기상청 |
Ⅰ. 평가개요
□ 평가대상 및 평가지표
ㅇ 초단기예보기술시스템 개발 등 총 37개 주요정책과제
평가항목 |
평가지표 |
평가내용 |
성과 달성도 |
성과지표의 목표달성도 |
ㅇ 성과관리시행계획에 제시된 성과지표의 목표치 대비 달성도 |
성과지표의 적절성 |
ㅇ 상위목표와의 연계성, 지표의 대표성, 목표치의 적극성 |
|
계획 수립의 적절성 |
사전조사 및 정책분석의 충실성 |
ㅇ 계획 수립시 관련 통계현황, 사례조사, 정책수요자 의견수렴, 전문가 의견수렴의 충실성 ㅇ 계획 수립시 내부 및 외부 환경 분석의 충실성, 분석결과 개선 필요사항에 대한 대비책의 충실성 ㅇ 전년도 자체평가 결과 제시된 검토의견에 대한 반영의 충실성 |
전략적 중요도 |
ㅇ 기관 임무, 정부시책 등 상위목표 달성을 위한 전략적 연계성과 우선순위 |
|
시행 과정의 적절성 |
추진일정의 충실성 |
ㅇ 과제별 추진계획 준수 여부 |
전략적 대응성 |
ㅇ 정책 집행과정에 나타난 문제점, 정책고객의 반응, 상황변화 등을 모니터링한 실적의 충실성 ㅇ 모니터링 결과 도출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의 충실성 및 성과 ㅇ 상반기 점검결과 제시된 검토의견에 대한 조치의 충실성 |
|
정책효과성 및 환류충실성 |
정책영향이 발생한 정도 |
ㅇ 정책 추진결과 정책고객에게 객관적으로 나타난 정책 파급효과 ㅇ 상위목표(성과목표) 달성에 기여한 정도 |
정책성과의 원인분석 및 환류계획의 충실성 |
ㅇ 정책성과의 원인 및 문제점 분석의 충실성 ㅇ 차기년도 사업계획 개선계획의 충실성 |
2. 평가결과
(1) 총 평
□ ‘10년도 총 38개 과(팀)중 30개 과(팀) 37개 관리과제에 대한 자체평가 결과,
ㅇ 우수 4개(10.81%), 다소 우수 7개(18.92%), 보통 15개(40.54%), 다소 미흡 9개(24.32%), 미흡과제 2개(5.41%)로 나타남
ㅇ 우수한 과제는 “초단기 예보시스템 개발”, “기후변화 예측정보 생산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 지원”, “자료동화시스템과 수치자료 활용 기술개선”, “수요자 중심의 장기예보 서비스 제공” 등이며, 미흡한 과제는 “위험기상 실시간 감시체계 구현”, “생활기상정보서비스 다양화”등인 것으로 평가됨
□ 총 37개 관리과제의 81개 성과지표에 대한 목표달성도 분석 결과, 성과지표 목표치에 대한 평균 달성율은 93.8%로,
ㅇ 76개 성과지표의 목표치는 충실히 달성하였으나, “주간예보 정확도(강수유무,%)”, “장기예보 정확도(%)”, “신규전략과제 개발률(%)” 등 5개 성과지표의 목표치는 달성하지 못함
ㅇ 성과 목표치 미달성은 대부분이 기상‧기후 예보정확도 향상을 위하여 개발된 지표로 관련된 수치모델 결과와 실측에서의 오차 등이 주요 원인인 것으로 분석되고, “신규전략과제 개발률(%)”은 신규지표로서 목표치를 도전적이고 적극적으로 설정한데 있음
(2) 주요성과
□ “초단기 예보시스템 개발”, “기후변화 예측 정보 생산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 지원”, “자료동화시스템과 수치자료 활용기술 개선”, “ 수요자중심의 장기예보 서비스 제공” 등 4개 과제는 우수한 성과를 보인 것으로 평가됨.
ㅇ “초단기 예보시스템 개발”은 초단기예보를 위한 정책, R&D, 정보화, 현업의 역량을 결집
— 새로운 패러다임의 초단기 동네예보 서비스를 구현하여 대국민 시범서비스를 실시하고,
— 강수확률예측, 낙뢰실황예측을 위한 예측모델의 원형을 개발하여 새롭게 대두되는 위험기상에 대한 사전대응능력 확보에 기여함.
ㅇ “기후변화 예측 정보 생산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 지원”과제는 국제기후변화사업에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공동연구 및 국제 협력을 수행
— CMIP5 체계에 따른 RCP 기반 전지구 기후변화 시나리오 생산 체계 구축 및 135km 해상도 규모 자연강제력에 대한 200년 전지구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생산하고
— 대기- 해양- 해빙- 탄소순환 결합 지구시스템 모델 개발 및 지역기후모델을 구축하는 등 국가 표준 기후변화 시나리오 활용 증대 및 기후변화과학분야 전담부처로서의 기관위상 증진
ㅇ “자료동화시스템과 수치자료 활용기술 개선”은 매일 예보브리핑 참석을 통하여 수치자료의 현업활용 상황을 파악하고 입전 관측자료량 및 처리과정, 위성자료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면서 예보관과 관련부서와 유기적인 소통을 하고 기술동향 파악 및 협력을 위한 국내외 유관기관과의 협력 체계를 강화
— 전지구 수치예보모델 정확도(500hPa 고도장 예측오차)의 목표치를 100% 이상 달성하였고, 자료동화와 모델을 포함한 수치예보 전반에 대하여 총체적인 개선효과를 나타냄
ㅇ “ 수요자중심의 장기예보 서비스 제공”은 한파, 폭염 등 예측이 불가능한 이상기후 현상에 적절히 대처
— 해양 및 해빙의 효과를 반영할 수 있는 영국 기상청의 차세대 기후예측모델인 GloSea4 도입하고 현업에 활용
— 부문별 장기예보 수요를 조사하고, 정부 부처와의 융합행정 기능을 강화해 범정부적 차원의 공동 대응 방안 마련
(3) 개선‧보완 사항
□ “위험기상 실시간 감시체계 구현”, “생활기상정보 서비스 다양화”등 2개 과제는 미흡한 것으로 평가되었는데,
ㅇ “위험기상 실시간 감시체계 구현”과제는
— 성과지표의 적절성, 시행과정의 전략적 대응 등 평가지표 전반에 걸쳐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 계약업체의 자금사정이 악화되어 해양기상관측선 건조공정이 90% 추진되는 등 일부 추진일정 지연
ㅇ “생활기상정보 서비스 다양화”과제는
— 기존에 제공하고 있는 생활기상서비스와의 차이가 명확하지 않고, 지수 활용, 개선사항에 대한 사전조사 및 정책 분석이 미흡
— 생활기상정보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를 전달체계 방법과 연계시켜서 구체화하고 생활기상정보 활용에 대한 실질적인 만족도 조사가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