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도
성과관리 시행계획
목 차
Ⅰ. 2012년도 정책추진 방향1
1. 그간의 정책성과1
2. 2012년도 정책추진 방향8
Ⅱ. 일반 현황 및 계획의 개요10
1. 기상청 일반현황10
2. 성과관리 시행계획 개요13
Ⅲ. 세부 추진계획20
전략목표 Ⅰ20
전략목표 Ⅱ83
전략목표 Ⅲ120
전략목표 Ⅳ152
전략목표 Ⅴ169
Ⅳ. 환류 등 관련계획229
1. 이행상황 점검229
2. 평가결과 환류체계237
3. 변화관리 계획243
4. 갈등관리 전략246
【붙임】
1. 성과지표 현황257
2. 관리과제와 국정과제‧부처업무계획 등 연계 현황269
2012년도 정책 추진방향
Ⅰ
1. 그간의 정책성과
요 약
기상예보 정확도 제고, 국민생활 밀착형 기상서비스 확대, 위험기상의 선제적 대응으로 기상 예보 및 서비스에 대한 대국민 만족도가 최근 들어 크게 향상
※ 예보체감 만족도(점) : 63.2('08) → 69.8('09) → 81.9('10) → 78.2('11)
※ 기상서비스 만족도(점) : 59.5('08) → 67.4('09) → 78.3('10) → 77.9('11)
국가표준 기후변화 시나리오 생산, 세분화된 상세 장기예보서비스 제공, 풍력ㆍ태양- 기상자원지도 개발 등 기후ㆍ기후변화과학 정보의 활용도 제고
※ 기후변화 시나리오 해상도 100배 향상(km, 남한지역) : 10×10('10) → 1×1('11)
기상산업진흥법 제정(‘09)과 체계적 기상산업 육성책 추진, 기상기술 민간 이전으로 국내 기상산업 시장 규모 확대
※ 기상사업자 매출액(억원) : 319('08) → 443('09) → 644('10) → 1,069('11)
천리안 위성과 기상관측선 ‘기상1호’ 도입, 선진국 수준의 수치예측모델 및 슈퍼컴퓨터 3호기 운영 등 선진 기상업무 이행 기반 마련
※ 수치예측모델 정확도(m) : 63.5('08) → 58.9('09) → 53.8('10) → 44.8('11)
제32차 IPCC 총회 개최, WMO 집행이사국 재진출, 개도국 기상기술 전수 등으로 세계 기상계의 글로벌 리더십 확보
- 1 -
(1) 기상기술 주요 성과지표
성과 요소 |
'04년 |
'05년 |
'06년 |
'07년 |
'08년 |
'09년 |
'10년 |
'11년 |
|
단기예보 정확도 (오늘∼내일) |
강수유무 (%) |
85.4 |
85.5 |
85.2 |
85.0 |
88.3 |
91.9 |
89.0 |
90.7 |
최고기온 오차 (℃) |
2.0 |
1.9 |
2.0 |
1.9 |
1.8 |
1.5 |
1.5 |
1.3 |
|
최저기온 오차 (℃) |
1.8 |
1.8 |
1.7 |
1.7 |
1.8 |
1.6 |
1.4 |
1.4 |
|
중기예보 정확도 (+2∼+7일) |
강수유무 (%) |
71.8 |
69.0 |
67.5 |
73.6 |
77.0 |
80.4 |
75.6 |
79.7 |
최고기온 오차 (℃) |
3.2 |
3.0 |
3.2 |
3.0 |
2.8 |
2.1 |
2.0 |
1.9 |
|
최저기온 오차 (℃) |
2.8 |
2.6 |
2.6 |
2.4 |
2.5 |
1.8 |
1.8 |
1.7 |
|
장기예보 정확도 (기온, %) |
1개월 예보 |
44 |
41 |
32 |
43.5 |
41.7 |
42.6 |
40.7 |
29.6 |
호우특보 선행시간 (분) |
65 |
59 |
87 |
86 |
95 |
148 |
97 |
102 |
|
48시간 태풍 진로평균오차 (㎞) |
231 |
181 |
202 |
207 |
229 |
213 |
207 |
186 |
|
전지구 수치예측모델 정확도 (500h㎩ 고도장 +5일 예보오차, m) |
69.2 |
70 |
67.4 |
64.6 |
63.5 |
58.9 |
53.8 |
45.5 |
|
수치예측모델 계산능력 (Tflops) |
2.5 |
18.5 |
18.5 |
18.5 |
18.5 |
18.5 |
758 |
758 |
|
평균 지진 통보시간 (분) |
9.7 |
5.5 |
4.9 |
4.1 |
4.4 |
3.9 |
3.3 |
3.9 |
|
지진 발생위치 정확도 (㎞) |
- |
- |
7.3 |
4.7 |
4.3 |
4.2 |
3.4 |
3.0 |
- 2 -
□ 예보정확도
ㅇ 최근 기상기술력의 발전으로 강수 유무에 의한 정확도인 단기예보(오늘~내일)는 90% 내외, 중기예보(+2~+7일)는 80% 내외로, 선진국 수준의 예보정확도를 유지
2011년 |
단기예보(오늘~내일) |
중기예보(+2~+7일) |
||||
강수유무(%) |
기온오차(℃) |
강수유무(%) |
기온오차(℃) |
|||
최고 |
최저 |
최고 |
최저 |
|||
한국 |
90.7 |
1.3 |
1.4 |
79.7 |
1.9 |
1.7 |
일본 |
84.5 |
1.5 |
1.3 |
74.3 |
2.3 |
1.8 |
ㅇ 엘니뇨, 라니냐 등의 영향과 지구온난화에 의한 기후 변동성으로 인하여 1개월 장기예보 정확도는 29.6%(‘11년)로 전년대비 11.1%P 하락
ㅇ 태풍예보 정확도는 일본, 미국과 비교하였을 때 지속적으로 향상되어 선진국 수준 도달
< 한ㆍ미⋅일 기상청 48시간 태풍진로 예보오차 비교 >
년도 국가명 |
'03 |
'04 |
'05 |
'06 |
'07 |
'08 |
'09 |
'10 |
'11 |
한 국 |
240 |
231 |
181 |
202 |
207 |
229 |
213 |
207 |
186 |
미 국 |
237 |
226 |
189 |
193 |
185 |
222 |
228 |
181 |
161 |
일 본 |
222 |
243 |
176 |
192 |
201 |
209 |
216 |
206 |
190 |
* 태풍진로오차는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장기적인 추세를 중시
ㅇ 세계적 수준의 영국 통합수치예보모델 도입ㆍ운영으로 기존의 전지구 수치예보모델 대비 10% 이상 수치예측성능 향상
- 전지구 수치예보모델을 보유하고 슈퍼컴퓨터를 운영하는 13개 국가 중에서 수치예보 기술력*은 세계 7위 수준('05년 10위)
* 전지구 수치예보모델의 ‘+5일 예보’에서 500hPa의 고도오차로 측정
- 3 -
□ 기상기술력
ㅇ 우리나라의 기상기술력 수준은 천리안 위성 발사, 슈퍼컴 3호기 도입, 영국 통합수치예보모델 도입ㆍ운영 등으로 크게 성장
- 미국‧일본에 대한 상대적 기상기술 도달 수준은 미국의 89.9%, 일본의 91.9% 수준
- 상대적으로 취약한 기후예측, 원격관측망, 관측자료 품질, 수치 자료동화, 수치예측모델 부문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
< 분야 및 부문별 기술력 평가 결과 >
분 야 |
한국 |
미국 |
일본 |
부 문 |
한국 |
미국 |
일본 |
관 측 |
81.5 |
92.6 |
90.0 |
기본관측망 |
91.9 |
91.3 |
92.9 |
원격관측망 |
79.5 |
98.9 |
95.0 |
||||
관측자료 품질 |
72.3 |
87.5 |
81.7 |
||||
자료처리 |
86.1 |
94.5 |
91.2 |
자료동화 |
86.3 |
98.9 |
95.6 |
예측모델 |
82.9 |
94.4 |
92.9 |
||||
슈퍼컴 성능 |
91.3 |
89.2 |
82.8 |
||||
예 보 |
90.3 |
94.2 |
95.3 |
예보정확도 |
90.3 |
94.2 |
95.3 |
기 후 |
82.8 |
94.3 |
91.7 |
기후예측 |
82.8 |
94.3 |
91.7 |
* 과학기술정책연구원('00)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06)에 의해 수행된 평가기법을 적용하고 전문가 112명이 참여한 설문 평가를 모두 반영(국립기상연구소, '11) |
○ 지진통보 시간을 지속적으로 개선하여 4분 내로 단축하였으나, 선진국과 격차가 커 지진조기경보시스템 구축이 시급
* 일본은 5~20초, 미국, 대만은 20~40초 내에 지진조기경보 발령
○ 우주기상 감시 및 예보서비스가 선진국에서는 활발히 추진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이에 대한 기술개발이 부족
- 4 -
(2) 분야별 주요성과
□ 초단기예보 시행, 특보기준 개선, 태풍 5일예보제 운영 등 기상재해 사전 예방능력 제고
ㅇ 돌발적 기상현상의 효율적 대처를 위한 초단기예보 시행
ㅇ 강우강도와 지속적 강우 개념을 포함한 호우특보 기준 개선
ㅇ 유관기관의 대응시간 확보를 위한 태풍 예보기간 확대(3→5일)
□ 정보 활용 취약계층을 위한 국민 건강기상 서비스 확대와 서민 생활 중심의 기상서비스 강화
ㅇ 도시고온건강지수 등을 포함한 종합적인 폭염특보, 감기기상지수 및 교통기상지수 서비스 제공
ㅇ 해수욕장 날씨 서비스(388개소), 해운대 이안류 예보서비스 및 유명 관광지, 등산로 등 서민 집중지역 기상서비스 강화
□ 글로벌 중심의 기후변화 감시기술 확보, 고품질 기후변화 예측정보 생산 및 대국민 이해확산
ㅇ WMO가 지정한 극미량 온실가스(육불화황, SF6) 세계 표준센터 유치 및 독도 기후변화감시 무인관측소 신설
ㅇ 새로운 국제표준 온실가스 시나리오(RCP8.5)를 이용, 한반도 기후특성을 반영한 기후변화 전망 자료 산출(남한지역 해상도 1km)
ㅇ 기후변화시나리오 사용자협의체* 및 지역 기후변화 교육ㆍ홍보 강사단 구성ㆍ운영
* 10개 정부부처, 16개 광역자치단체 정책담당자 및 전문가 68명으로 구성
- 5 -
□ 기상정보 활용 촉진, 기상산업 지원 활용기술 개발과 제도 개선을 통한 기상산업 육성
ㅇ SNS를 통한 기상ㆍ지진정보 제공과 모바일 날씨 앱 서비스
ㅇ 날씨경영 인증제도(W마크) 및 기술보증기금 협약보증제 도입, 기상감정기사 신설 등 기상산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ㅇ 무역역조 해소를 위한 수입대체 유망 기상장비 국산화 추진
□ 지진ㆍ화산분화 등에 대한 국민 불안감 해소
ㅇ 일본 대지진에 따른 지진해일 영향 및 방사능 확산 가능성에 대한 선제적 과학정보 제공
ㅇ 백두산 화산대응 종합대책 수립, 화산분화 예상수준 및 영향범위 시뮬레이션 결과 산출
□ 국가 브랜드 향상 및 융합행정을 통한 기상선진화 추진
ㅇ WMO 집행이사국 진출,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지원과 2011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 특별 기상지원
ㅇ 천리안 위성자료 제공(30여개국 22억명) 및 아시아 지역 주요도시 수치예보자료 제공(18개국 220개 도시)
ㅇ 우리환경에 적합한 수치예보모델 개발과 수치예보기술 자립을 위한 ‘한국형수치예보모델개발사업단’ 발족ㆍ운영
ㅇ 국가 기후자료 분석ㆍ관리주체 일원화(26개 기관 3,459개소 자료) 및 범정부 레이더자료* 합성강우량 산출
* 국방부, 국토해양부, 기상청, 행안부 간 기상ㆍ강우레이더 공동 활용체계 구축으로 중앙부처 제도개선 및 융합행정 우수사례 선정(국무총리상 수상)
- 6 -
(3) 현 좌표진단
□ 지구환경 변화로 기상ㆍ기후정보가 산업 및 국가 경쟁력, 국가 안보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부각
ㅇ 그간 경험하지 못한 극한기상 및 대규모 기상재해가 속출하고, 인구와 기반시설이 집중된 대도시 지역의 위험도 증대
ㅇ 군사안보에서 테러, 질병, 환경, 재난 등 인간중심의 안보개념으로 다원화되어 지구환경재해에 대한 공동대처 필요
- G20 의장국으로서 아시아를 넘어 세계 기상업무를 선도하는 글로벌 기상협력체계 필요
□ 사회구조와 생활양식 변화로 새로운 패러다임에 적합한 지식경제 기반의 혁신적 융합 기상기술 수요 급증
ㅇ 국가 간 상호연결성 증대로 인적ㆍ물적 이동이 급증하면서 지구규모의 기상ㆍ재해정보 수요 증가
ㅇ 초고속 고령사회 진입 임박, 여행ㆍ레저 활동 증가 등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른 삶의 질 향상 요구 증대
□ 에너지ㆍ자원의 해외 의존도 심화, 기술무역수지 적자 등에 대비한 기상산업 육성 및 기상자원화 시급
ㅇ 선진국을 중심으로 국가 지속가능 발전을 위해 기상산업을 핵심 산업으로 육성하고 있으며, 기상서비스 시장이 급성장 추세
ㅇ 경제,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상정보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가치 확산과 기상산업 육성 필요
- 7 -
2. 2012년도 정책 추진방향
(1) 그간의 기상정책 변화
□ 새로운 위험기상에 대한 사전대응과 고객중심의 정보 제공
ㅇ 새로운 위험기상 사전예측을 통해 기상재해 경감을 주도하고 기후변화 예측능력 향상을 위한 정책 추진
ㅇ 유비쿼터스 시대에 맞는 정보전달 체계 개선과 사용자 맞춤형 기상정보 제공 등 고객중심의 서비스 개발
□ 순수 기상기술을 탈피한 융‧복합형 기상기술 개발 추진
ㅇ 신 국가 발전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저탄소 녹색성장’이 대두되면서 기상정보가 국가정책의 의사결정에 핵심요소로 부각
ㅇ 기상예보를 근간으로 한 기상행정에서 기후변화와 응용ㆍ환경 부분을 포함한 기상기술 정책 추진
□ 기상기술의 영역확장과 경쟁력 확보 추진
ㅇ 「기상산업진흥법」시행을 계기로 민간 기상산업을 육성하여 신규 고용인력 창출과 수출 증대로 국가 경쟁력을 제고
ㅇ 선진수치예보모델과 슈퍼컴퓨터 3호기 운영에 따른 한국형 독자 기상기술개발 기반조성으로 기상선진국 도약 발판 마련
□ 국내외 협력 강화를 통한 기상분야 역량 강화
ㅇ 동남아 국가에 기상위성자료 제공, 개도국 수치예보 기술공여 등을 통해 기상분야의 국제적 영향력 확대
ㅇ 지자체, 학ㆍ연간 협력으로 지역 밀착형 기성서비스 제공과 기상기술 향상의 원동력 확보
- 8 -
(2) 추진방향
□ 기후변화로 특이기상과 극한기상* 발생이 점차 가속화됨에 따라 이에 대한 사전 대처를 위한 재해기상 대응 역량 강화
* 시간당 30mm이상 강우 발생일수가 1970년대 평균 11일, 1980년대 17일, 1990년대 18일, 2000년대 22일로 지속적 증가 추세
ㅇ 보다 정확한 기상예보를 위해 3차원 입체 관측망 구축ㆍ운영, 수치예보모델 고도화, 예보관 역량 향상 등을 지속 추진
ㅇ 고품질 기후변화과학 정보생산과 지역 특색에 맞는 정보제공으로 기후변화과학 정보의 실용성 강화
□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사회ㆍ경제적 기상수요에 부응하기 위한 기상기술 향상과 기상서비스 중심의 업무 추진
ㅇ 범국가적 관측자료 활용도 증진, 수요맞춤형 기상서비스 체계 구축, 多분야 대비 융합 기상서비스 제공으로 기상가치 확산
ㅇ 지구환경변화와 재해에 대한 감시 및 예측기술 향상, 多학제 중심의 융‧복합 연구역량 강화
□ 기상사업체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기상산업육성 정책 추진
ㅇ 날씨경영 인증제도, 우수 날씨 앱 인증제도 등을 조기에 정착하여 기상정보 이용 활성화
ㅇ 유사업종 통합, 기상정보 유통업 신설 등 시장 흐름을 반영한 기상사업자 제도 보완 및 개도국 대상 기상산업의 신규시장 확대
- 9 -
일반 현황 및 계획의 개요
Ⅱ
1. 기상청 일반 현황
(1) 조직
청 장
차 장
기획조정관
기상선진화추진단
(한시)
예 보 국
관측기반국
기후과학국
기상산업정보화국
지 진 관 리 관
국립기상연구소
기상레이더센터
국가기상위성센터
기획재정담당관
행정관리담당관
인력개발담당관
국제협력담당관
대변인
감사담당관
기상선진화담당관
운영지원과
예보정책과
총괄예보관(4)
예보기술팀
국가태풍센터
수치모델개발과
수치자료응용과
슈퍼컴퓨터운영과
관측정책과
해양기상과
기상기술과
지진정책과
지진감시과
기후정책과
기후예측과
한반도기상기후팀
기후변화감시센터
기상산업정책과
기상자원과
정보통신기술과
항공기상청(책)
공항기상대(4)
공항기상실(8)
지방기상청(5)
기 상 대(45)
수치모델관리관
연구기획운영과
정책연구과
예보연구과
기후연구과
지구환경시스템연구과
황사연구과
응용기상연구과
위성기획과
위성운영과
위성분석과
레이더운영과
레이더분석과
※ 책 : 책임운영기관, ( )는 기관수
◦ 본부 : 1차장, 4국 3관, 1단, 26과, 2센터, 2팀
◦ 소속 : 1연구소, 5지방청, 1항공기상청, 1국가기상위성센터, 1기상레이더센터
- 10 -
(2) 인원
구 분 |
계 급 |
정 원 |
총 계 |
1,314 |
|
합계(일반 + 연구직) |
1,187 |
|
일 반 직 (별정직, 계약직 포함) |
소 계 |
1,144 |
정무직 |
1 |
|
고위공무원단 (별정직포함) |
13 |
|
계약직 (기상선진화추진단장) |
1 |
|
3급 |
9 |
|
4급 |
59 |
|
5급 |
201 |
|
6급 이하 |
860 |
|
연 구 직 |
소 계 |
43 |
고위공무원단(나급) |
1 |
|
연구관 |
16 |
|
연구사 |
26 |
|
기 능 직 |
기능직 |
127 |
- 11 -
(3) 재정현황
구 분 |
'11 |
'12 |
'13 |
'14 |
'15 |
□ 재정사업 합계 |
|||||
ㅇ 총지출 |
2,889 |
3,093 |
2,818 |
2,987 |
3,144 |
(전년대비증가율, %) |
(16.9) |
(7.1) |
(△8.9) |
(6.0) |
(5.3) |
ㅇ 총계 |
2,889 |
3,093 |
2,818 |
2,987 |
3,144 |
(전년대비증가율, %) |
(16.9) |
(7.1) |
(△8.9) |
(6.0) |
(5.3) |
□ 총지출 구분 |
|||||
ㅇ 인건비 |
698 |
746 |
799 |
855 |
915 |
(전년대비증가율, %) |
(6.6) |
(6.9) |
(7.1) |
(7.0) |
(7.0) |
ㅇ 기본경비 |
167 |
170 |
176 |
182 |
188 |
(전년대비증가율, %) |
(△13.5) |
(1.8) |
(3.5) |
(2.8) |
(3.3) |
ㅇ 주요사업비 |
2,024 |
2,177 |
1,843 |
1,950 |
2,041 |
(전년대비증가율, %) |
(28.3) |
(7.6) |
(△15.3) |
(5.8) |
(4.7) |
□ 예산 |
|||||
ㅇ (총)지출 |
2,889 |
3,093 |
2,819 |
2,987 |
3,144 |
(전년대비증가율, %) |
(16.9) |
(7.1) |
(△8.9) |
(6.0) |
(5.3) |
ㅇ 총계 |
2,889 |
3,093 |
2,819 |
2,987 |
3,144 |
(전년대비증가율, %) |
(16.9) |
(7.1) |
(△8.9) |
(6.0) |
(5.3) |
【 일반회계 】 |
|||||
ㅇ (총)지출 |
2,783 |
2,936 |
2,818 |
2,987 |
3,144 |
(전년대비증가율, %) |
(14.7) |
(5.5) |
(△4.0) |
(6.0) |
(5.3) |
ㅇ 총계 |
2,783 |
2,936 |
2,818 |
2,987 |
3,144 |
(전년대비증가율, %) |
(14.7) |
(5.5) |
(△4.0) |
(6.0) |
(5.3) |
【 혁신도시특별회계 】 |
|||||
ㅇ (총)지출 |
106 |
157 |
- |
- |
- |
(전년대비증가율, %) |
(140.9) |
(48.1) |
|||
ㅇ 총계 |
106 |
157 |
- |
- |
- |
(전년대비증가율, %) |
(140.9) |
(48.1) |
|||
□ 기금 |
|||||
ㅇ (총)지출 |
197 |
||||
(전년대비증가율, %) |
(순증) |
||||
ㅇ 총계 |
197 |
||||
(전년대비증가율, %) |
(순증) |
||||
【 국유재산관리기금 】 |
|||||
ㅇ (총)지출 |
197 |
||||
(전년대비증가율, %) |
(순증) |
||||
ㅇ 총계 |
197 |
||||
(전년대비증가율, %) |
(순증) |
- 12 -
2. 성과관리 시행계획 개요
(1) 시행계획의 주요특성
기상‧기후 재해경감을 위한 사전 예방능력 제고를 위해 이상기상의 체계적 감시와 예보역량 강화
기상정보 품질향상 및 다양화를 통한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고품질 수치예보자료 생산, 기상콘텐츠 개발 등을 추진
국가의 지속가능 발전을 선도하기 위해 기상산업을 육성하고 국가 자원의 효율적 관리로 기상정보 활용을 극대화
기상기술 선진화와 기상‧기후에 대한 공동 문제 해결을 위한 전 지구적 차원의 기상협력 및 미래도약 기반 강화
성과관리 전략계획('10~'14)
국정과제, 연두업무계획, 대통령 지시사항 등과의 연계성 강화
고품질 기상기후 융합서비스 및 기상산업 육성 강화('12년 목표)를 위해 5대 전략목표와 13개 성과목표, 39개 관리과제 추진
'12년도 성과관리 시행계획 구성
□ 수치예보모델 성능 향상 및 예보역량 강화 등으로 위험기상에 대한 대처 능력을 제고하여 국민 공감의 기상서비스 제공에 주력
ㅇ 고해상도(1.5㎞) 현업 수치예측모델과 예측자료 생산 주기 단축(1일 4회→8회)으로 위험기상 분석 및 예측능력 강화
ㅇ 선진예보시스템 구축으로 예‧특보 체계 고도화와 예보관 역량 강화 및 천리안 위성, 기상관측선(기상1호), 레이더자료를 활용한 수치예측 융합 활용기술 개발
- 13 -
□ 기후변화에 대한 과학적 예측정보 생산, 대국민 이해 확산과 활용도 제고로 국가 기후변화 적응 및 대응정책의 효율적 지원
ㅇ 전지구/한반도/남한 지역 국가표준 기후변화 시나리오 개발 및 수요자 맞춤형 기후변화 응용정보 생산과 전지구 탄소 흡수‧추적시스템 개발
ㅇ 지역기후정보 실용화 기반 확보를 위한 지역별 기후변화 감시‧영향‧변화추세에 대한 종합보고서 발간 및 지역특색에 맞는 지역기후변화 적응지원을 위한 서비스 발굴‧확대
□ 기상산업 육성과 기상‧기후정보 자원화로 산업 생산성 향상
ㅇ 항공기 운항, 농작물관리, 건설‧전력사업 등 산업관리에 필요한 전략상품 개발 및 수입의존도가 높은 기상관측장비 국산화 추진
ㅇ 국가 기후자료 통합 품질관리 및 서비스 체계 개선으로 국가 기후자료의 활용도 증대
□ 남북 기상협력 및 국격제고를 위한 국제협력 내실화
ㅇ 대북기조와 남북관계를 고려한 상황별 기상협력 추진으로 한반도 기상재해 예방과 통일 한국 대비
ㅇ 국제기구 내 역할과 활동을 강화하고 개발도상국 기상서비스 확대 및 기상선진국과의 협력 다변화로 선진기술 습득, 한‧중‧일 공동 기상서비스 체계 구축 등으로 국가 이미지 제고
□ 미래사회 대비 기상인프라 확보 및 기상문화 확산
ㅇ 세계 수준의 수치예보 기술 확보와 첨단 기상장비 기반의 입체적 기상관측망 구축으로 고품질 기상정보 생산 기반 마련
ㅇ 국가정책 수립 지원과 실용적 연구 등 선택과 집중을 통한 기상 R&D 활성화 및 국민 참여 프로그램 확대로 기상과학 저변 확대
- 14 -
(2) 시행계획의 목표체계
□ 기상청의 임무(Mission)
ㅇ 신속하고 정확하며 가치있는 기상서비스의 실현
- 기상재해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공공의 복리증진에 기여(「기상법」제1조)
혁신
몰입
행동
지표
임
무
ㅇ 기상청은 기상정보를 국민에게 서비스 하는 기관으로서 「기상법」 제1조 ‘기상업무의 건전한 발전을 기하도록 하여 기상재해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공공의 복리증진에 이바지함’ 목적을 3대 임무(신속, 정확, 가치)로 정의
ㅇ 「신속하고」는 위험기상 정보를 국민들과 방재기관에 보다 빠르게 제공함으로써 ‘기상재해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에 기여하고
ㅇ 「정확하며」는 일기예보를 포함한 기상정보의 정확성을 향상하여 언제 어디서나 이용 가능하게 하여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공공의 복리증진’에 기여함과 더불어
ㅇ 「가치있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국가 경제활동을 지원’하여 ‘국가경쟁력 향상’과 더불어 기상분야의 ‘국제적 위상향상’에 기여함을 의미
□ 기상청의 비전(Vision)
기상기후의 융합과 가치 확산으로 국민안전과 국가경제 선도
혁신
몰입
행동
지표
비
전
- 15 -
□ 목표체계도
임 무 |
신속하고 정확하며 가치 있는 기상서비스 실현 |
|
기상재해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공공의 복리증진에 기여 |
||
비 전 |
기상기후의 융합과 가치 확산으로 국민안전과 국가경제 선도 |
|
|
||
캐치프레이즈 |
하늘을 친구처럼, 국민을 하늘처럼 |
|
|
||
2012 목표 |
고품질 기상기후 융합서비스 및 기상산업 육성 강화 |
추진전략 |
중점 추진 분야 |
|
기상ㆍ기후 재해경감을 위한 사전예방 능력을 제고한다. |
① 신속하고 정확한 위험기상 대응체계 구축 ② 기후변화 적응‧대응 역량 강화 ③ 지진‧지진해일‧화산 대비능력 제고 |
|
기상정보의 품질향상 및 다양화를 통한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한다. |
① 신뢰성 있는 수치예측자료 생산 및 서비스 질 향상 ②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서민밀착형 기상서비스 진작 |
|
기상정보의 고부가가치 창출로 지속가능한 발전을 선도한다. |
① 경제성장 지원을 위한 기상정보의 고부가가치화 ②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기상정보 활용 극대화 |
|
기상기술 선진화를 위한 국제협력 및 남북협력을 강화한다. |
① 기상‧기후 이슈의 국제적 협력과 리더십 확보 ② 남북 기상업무 협력증진 |
선진 기상 서비스를 위한 미래 도약기반을 강화한다. |
① 국가기상관측망의 확충 및 표준화 ② 21세기형 기상업무 환경조성을 위한 행정인프라 구축 ③ R&D 역량확충을 통한 기상기술 역량 강화 ④ 수요자 중심의 대국민 관계 강화 |
- 16 -
(3) 목표 및 과제 현황
(단위 : 개)
전략목표 |
성과목표 |
성과목표 성과지표 |
관리과제 |
관리과제 성과지표 |
5 |
13 |
15 |
39 |
65 |
성과 목표 |
관리과제 |
100대 국정과제, 부처업무계획, 대통령 지시사항 |
Ⅰ. 기상ㆍ기후 재해경감을 위한 사전예방 능력을 제고한다 |
||
1. 신속하고 정확한 위험기상 대응체계 구축 |
- |
|
① 위험기상 감시 입체관측망 확대 및 관측기술 고도화 |
국정 2- 7- 32- 선진화- 16, 국정 2- 7- 21- 선진화- 8, 업무- 5- 가- 2 |
|
② 위험기상 예측모델 개발 |
국정 2- 7- 32- 선진화- 1- 2, 업무 1- 가- 1 |
|
③ 위험기상 대비 정책능력 강화 |
국정 2- 7- 32- 선진화- 10- 2, 업무- 1- 가- 2 |
|
④ 황사 예측역량 향상 및 대기 확산모델 개발 |
국정 1- 4- 17- 대기오염- 2, 업무- 4- 나- 2 |
|
⑤ 태풍 감시와 예측능력 향상 |
국정 2- 7- 32- 선진화- 10- 2, 업무 4- 나- 1 |
|
⑥ 위험기상에 대한 초단기 예보 및 동네예보지원기술 강화 |
국정 2- 7- 32- 선진화- 6, 업무- 3- 나- 2 |
|
2. 기후변화 적응ㆍ대응 역량 강화 |
- |
|
① 기후변화 과학정보 서비스 역량 강화 |
국정- 2- 7- 32- 산업육성- 4- 1, 국정- 2- 7- 32- 산업육성- 4- 2, 업무- 2- 가- 1, 업무- 2- 가- 2, 업무- 2- 가- 3, 업무- 4- 나- 1, 업무- 5- 나- 2 |
|
② 고품질 기후변화감시정보 제공 |
업무- 2- 가- 1 |
|
③ 기후변화 시나리오 활용 및 정책지원 |
국정 2- 7- 32- 산업육성- 4- 1, 국정- 2- 7- 32- 산업육성- 4- 2, 업무- 2- 가- 2 |
|
④ 기후변화 시나리오 생산 역량 강화 |
국정 2- 7- 32- 산업육성- 4- 1, 국정- 2- 7- 32- 산업육성- 4- 2, 업무- 2- 가- 2, 업무- 4- 나- 2 |
|
⑤ 지역기후서비스 기반 강화 |
업무- 2- 가- 3 |
|
3. 지진ㆍ지진해일‧화산 대비 능력제고 |
- |
|
① 국가지진업무 수행 인프라 강화 |
업무- 3- 가- 1, 업무- 3- 가- 2, 업무- 3- 가- 3 |
|
② 지진‧지진해일 분석능력 및 전달체계 강화 |
업무- 3- 가- 1 |
|
Ⅱ. 기상정보의 품질향상 및 다양화를 통한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한다 |
||
1. 신뢰성 있는 수치예측자료 생산 및 서비스 질 향상 |
- |
|
① 맞춤형 기상정보 전달체계 구축 |
국정 2- 7- 32- 선진화- 10- 2 |
|
② 자료동화시스템과 수치자료 활용기술 개선 |
업무- 1- 가- 2, 업무- 1- 가- 3 |
|
③ 수치예보모델 성능향상 |
국정 2- 7- 32- 선진화- 6, 업무- 4- 나- 2, 업무- 5- 가- 1 |
|
④ 예보 역량향상 기반 조성 |
국정 2- 7- 32- 선진화- 10- 2, 업무 1- 가- 1 |
|
2.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서민밀착형 기상서비스 진작 |
- |
|
① 국민의 생활과 함께하는 생활기상정보 서비스 |
국정 2- 7- 32- 선진화- 10- 2, 업무- 1- 가- 2, 업무- 1- 가- 3 |
|
② 관측인프라 확충 및 기술선진화를 통한 해양기상 서비스 강화 |
국정 2- 7- 32- 선진화- 8, 업무- 1- 가- 1, 업무- 1- 가- 2, 업무- 1- 가- 3, 업무- 4- 나- 1, 업무- 4- 나- 4 |
|
Ⅲ. 기상정보의 고부가가치 창출로 지속가능한 발전을 선도한다 |
||
1. 경제성장 지원을 위한 기상정보의 고부가가치화 |
- |
|
① 기상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및 기반 강화 |
국정 2- 7- 32- 산업육성- 2, 업무- 2- 나- 2, 업무- 2- 나- 3 |
|
② 기상장비산업 육성 |
국정 2- 7- 32- 산업육성- 7, 업무- 2- 나- 4 |
|
2.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기상정보 활용 극대화 |
- |
|
① 사용자 맞춤형 응용기상정보 실용화 기술 개발 |
국정 2- 7- 32- 산업육성- 3, 국정 2- 7- 32- 산업육성- 6, 업무- 1- 가- 2, 업무- 2- 나- 1, 업무- 3- 나- 1 |
|
② 수요자 중심의 장기예보 서비스 제공 |
업무- 2- 가- 3, 업무- 3- 나- 1 |
|
③ 수요지향형 수문기상정보 서비스 제공 |
업무- 3- 나- 1 |
|
④ 국가기후자료 관리 및 서비스체계 개선 |
국정 2- 7- 32- 산업육성- 5, 국정 2- 7- 32- 선진화- 13- 2, 업무- 2- 나- 1 |
|
Ⅳ. 기상기술 선진화를 위한 국제협력 및 남북협력을 강화한다 |
||
1. 기상‧기후 이슈의 국제적 협력과 리더십 확보 |
- |
|
① 전략적 국제무대 역할신장과 기상분야 국가브랜드 강화 |
국정 2- 7- 32- 선진화- 17, 업무- 4- 나- 1, 업무- 4- 나- 3 |
|
2. 남북 기상업무 협력증진 |
- |
|
① 남북기상통합 기반구축 |
국정 2- 7- 32- 산업육성- 4- 1, 업무- 4- 가- 1, 업무- 4- 가- 2 |
|
Ⅴ. 선진 기상 서비스를 위한 미래 도약기반을 강화한다 |
||
1. 국가기상관측망의 확충 및 표준화 |
- |
|
① 기상관측 첨단화와 표준화 |
국정 2- 7- 32- 선진화- 9, 업무- 1- 가- 1 |
|
② 기상위성 개발 및 효율적 운영을 통한 위성자료 활용 강화 |
국정 2- 7- 32- 선진화- 7, 업무- 3- 나- 3, 업무- 4- 나- 2, 업무- 5- 가- 2 |
|
③ 국가 레이더 공동활용 체계 강화 |
국정 2- 7- 32- 선진화- 16, 업무- 1- 가- 1 |
|
2. 21세기형 기상업무 환경조성을 위한 행정인프라 구축 |
- |
|
① 선진 기상서비스를 위한 정책수립 및 이행강화 |
업무- 5- 나- 1 |
|
② 선진기상 실현을 지원하는 인력운영 및 양성 |
국정 2- 7- 32- 선진화- 5- 1 |
|
③ 정보통신기술(ICT) 고도화를 통한 기상정보 서비스 선진화 |
국정 2- 7- 32- 선진화- 15- 2, 업무- 1- 가- 3, 업무- 4- 나- 1, 업무- 4- 나- 4 |
|
④ 법치행정 원칙확립과 적극행정을 위한 감사운영 |
- |
|
⑤ 최고의 기상서비스 구현을 뒷받침하는 기상행정 지원 |
업무- 1- 가- 3, 업무- 5- 가- 3 |
|
3. R&D 역량확충을 통한 기상기술 역량 강화 |
- |
|
① 기상 R&D 기획 관리 역량 강화 |
업무- 5- 가- 3 |
|
② 실용적 기상연구 활성화를 위한 역량 기반 구축 |
- |
|
4. 수요자 중심의 대국민 관계 강화 |
- |
|
① 온‧오프라인을 통한 대국민 소통 강화 |
국정 2- 7- 32- 선진화- 12- 2, 업무- 5- 나- 3 |
|
② 기상과학 문화 확산 |
국정 2- 7- 32- 선진화- 12- 2, 업무- 4- 나- 3, 업무- 5- 나- 3 |
- 17 -
세부 추진계획
Ⅲ
전략목표Ⅰ |
기상ㆍ기후 재해경감을 위한 사전예방 능력을 제고 한다 |
기 본 방 향 |
||
◇ 집중호우(1시간 강수량이 30mm 이상) 발생은 '70년대 보다 약 1.7배 증가하고, 새로운 위험기상요소에 의한 피해가 늘어나는 추세 ◦효율적인 방재업무 수행을 위해 특보체계 개선 및 유관기관 협력 강화 ◦위험기상 감시체계 강화와 예측기술 개발로 신속한 정보제공 및 방재대응 체계 구축 ◇ 이상기후 심화에 따른 국가적 차원의 대응 지원 요구 ◦新 기후변화시나리오를 미래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정책 수립에 제공 및 활용 방안 지원 ◦지역별 기후변화 특성에 대한 인식과 이해 확산 지원 요구 ◦국내외 기후변화감시를 통한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기후변화모니터링 자료 지원 ◇ 지진‧지진해일‧화산 관련 조기감지 및 체계적 대응기반 구축 ◦지진‧지진해일‧화산업무에 대한 중장기 대책 및 제도적 기반 강화 ◦과학적 예측불가능한 지진‧지진해일, 화산 등 조기감지 체계 구축 |
< 성과목표 및 관리과제‧성과지표체계 >
(단위 : 개)
성과목표 |
성과목표 성과지표 |
관리과제 |
관리과제 성과지표 |
3 |
5 |
13 |
19 |
- 18 -
성과목표 |
관리과제 |
성과지표 |
Ⅰ- 1. 신속하고 정확한 위험기상 대응체계 구축 |
①기상특보 선행시간(분) ②단기예보 정확도(%) |
|
① 위험기상 감시 입체관측망 확대 및 관측기술 고도화 |
①입체관측망 확대율(%) |
|
② 위험기상 예측모델 개발 |
①강수정확도 비교 달성율(%) ②바람정확도 비교 달성율(%) |
|
③ 위험기상 대비 정책능력 강화 |
①유관기관 정보제공 서비스 만족도(%) ②위험기상 예보역량 향상도(%p) |
|
④ 황사 예측역량 향상 및 대기 확산모델 개발 |
①황사예보정확도(%) ②황사농도 단기 예측모델 정확도(%) |
|
⑤ 태풍 감시와 예측능력 향상 |
①태풍예보정확도(km)(공통) |
|
⑥ 위험기상에 대한 초단기 예보 및 동네예보지원기술 강화 |
①동네예보 초단기모델 강수예측정확도(%) |
|
Ⅰ- 2. 기후변화 적응ㆍ대응 역량 강화 |
①기후업무 핵심과제 실행률(%) ②남한상세 시나리오 산출 이행율(%) |
|
① 기후변화 과학정보 서비스 역량 강화 |
①기후변화정보사용자 만족도(%) ②APCC 기후예측 및 변화 정보서비스 회원국 활용 만족도(%)(공통) |
|
② 고품질 기후변화감시정보 제공 |
①기후변화 관측 요소의 세계자료센터 등재율(%)(공통) |
|
③ 기후변화 시나리오 활용 및 정책지원 |
①기후변화 시나리오 활용률(%) |
|
④ 기후변화 시나리오 생산 역량 강화 |
①기후변화 시나리오 개발 실적(건수) |
|
⑤ 지역기후서비스 기반 강화 |
①지역기후서비스 인지도(%) (공통) |
|
Ⅰ- 3. 지진ㆍ지진해일‧화산 대비 능력제고 |
①지진ㆍ지진해일‧화산 대비 역량 지수 |
|
① 국가지진업무 수행 인프라 강화 |
①지진조기경보 체제 1단계 구축율(%) ②국가지진종합정보시스템 구축율(%) |
|
② 지진‧지진해일 분석능력 및 전달체계 강화 |
①지진통보신속도(%)(공통) ②지진발생 위치 정확도(㎞) (공통) |
- 19 -
성과목표Ⅰ- 1 |
신속하고 정확한 위험기상 대응체계 구축 |
(1) 주요 내용
□ 위험기상 감시체계 강화, 예측모델 개발을 통한 위험기상 분석 및 예측력 향상
ㅇ 위험기상의 실시간 감시체계 강화를 위한 3차원 입체 관측망 확대
ㅇ 관측자료 활용 확대, 물리과정 개선을 통한 위험기상 예측모델 정교화
ㅇ 국제협력을 통한 황사 종합감시체계 구축 및 예측모델 개선
ㅇ 낙뢰, 우박, 강설 등 새로운 유형의 위험기상 대비 초단기 예측기술 개발
□ 특보제도 개선, 재해기상 분석기술 향상을 통한 위험기상 정보지원 및 유관기관 협력 강화
ㅇ 국가적 방재시스템 향상을 위한 기상특보 제도 개선 및 방재기관 협력
ㅇ 지역별 재해기상 발생원인 분석 등 특이기상, 극한기상 분석체계 구축
ㅇ 태풍으로 인한 피해저감을 위한 열대저압부 및 태풍 예측정보 생산 지원
□ 성과목표의 전략목표에의 부합성
기상ㆍ기후 재해경감을 위한 사전예방 능력제고
위험기상 감시 및 예측능력 향상
위험기상정보 지원 및 유관기관 협력 강화
신속하고 정확한 위험기상
대응체계 구축
성과목표 주요내용
성과목표
전략목표
위험기상에 대한 신속한 대응체계 확보
- 20 -
(2) 성과지표
성과지표 |
실적 및 목표치 |
’12년 목표치 산출근거 |
측정산식 (또는 측정방법) |
자료수집 방법 (또는 자료출처) |
|||
’09 |
’10 |
’11 |
’12 |
||||
기상특보 선행시간 (호우특보, 분) |
148 |
97 |
102 |
107 |
◦기상특보 선행시간에 대한 '16년까지의 중장기적인 목표치(125분)를 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연도별 목표치를 정함 ※ 2012년 목표치 : 107 2013년 목표치 : 112 2014년 목표치 : 117 2015년 목표치 : 121 2016년 목표치 : 125 |
호우특보 선행시간 평균 *적중한 호우특보 선행시간의 총합을 발표 및 미발표 건수로 나눈 값 ※기상청 예보성과 평가지침에 따른 평가 |
기상청 예보성과 평가결과 반영 |
단기예보 정확도 (강수유무, %) |
91.9 |
89.0 |
90.7 |
91.0 |
◦예보정확도에 대하여 '16년까지의 중장기적인 목표치(92.5%)를 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연도별 목표치를 정함 ※ 2012년 목표치 : 91.0 2013년 목표치 : 91.4 2014년 목표치 : 91.8 2015년 목표치 : 92.2 2016년 목표치 : 92.5 |
정확도(ACC) =[(H+C)/(H+M+F+C)]×100 H : 맞춤(현상있음), M : 놓침, F : 틀림, C : 맞춤(현상없음) ※기상청 예보성과 평가지침에 따른 평가 |
기상청 예보성과 평가결과 반영 |
(3) 외부환경‧갈등요인 분석 및 갈등관리계획
□ 기후변화로 특이기상, 극한기상 발생이 점차 가속화
ㅇ 재해위험이 크고 예측성의 한계를 벗어난 특이기상 발생빈도 증가
- 시간당 30mm 이상 강우발생일수가 '70년대 평균 11일, '80년대 17일, '90년대 18일, '00년대 22일로 지속적 증가 추세
ㅇ 위험기상이 예상되는 경우 지자체 및 방재 유관기관에 ‘위험기상 발생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제공하여 대응기반 확충
□ 위험기상 사전대비를 위한 상세하고 정확한 정보요구 증가
ㅇ 국지적이고 급격하게 변하는 집중호우 등의 위험기상을 시‧공간적으로 정확히 예측하는데 기술적 한계
- '11.7.27. 수도권 집중호우 시, 서울 내에서도 56배의 큰 강수량
- 21 -
편차 발생(27일 8~9시 1시간 강수량 남현동 113mm, 수유동 2mm)
ㅇ 수 십분~수 시간 사이 발생‧소멸하는 국지성 집중호우 예측 향상을 위하여 실시간 3차원 입체관측망 확대 및 초단기예측 기술개발
ㅇ 전통적인 방식의 일방적 기상정보 전달에서 벗어나 기상지원이 필요한 지자체 등에 기상상황 및 전망을 직접 설명하여 쌍방향 소통 강화
□ 최근 범정부적 재난관리 및 통합적 대응에 관한 논의 활발
ㅇ '11년 여름철 집중호우에 따른 대규모 재해로「재난관리 개선 민관합동 T/F」구성 및 범정부적 종합대책 마련
- 주무부처 중심의 분산적 재난관리 체계에서 통합적 재난대응 체계로 변화 추진
ㅇ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통하여 기상재해 대응을 위한 융합행정 발굴 및 정부 부처간 정책연계 방안을 마련하여 선도적 역할 수행 추진
(4) 기타
□ 최근 10년간 자연재해 피해규모
ㅇ 기후변화에 따른 극한기후 출현과 피해는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전반적으로 고온현상 및 집중호우 증가, 평균해수면 고도 상승 추세
- '10년 여름철 평균기온이 평년보다 높았던 날이 92일 중 81일로 더위가 장기간 지속되며 열대야일수는 '00년 이래 최다
- '10년 겨울철 강한 라니냐와 북극고온으로 음의 북극진동지수가 장기간 유지되면서 한파와 폭설 피해 발생
ㅇ 태풍 강도나 빈도의 변화 경향은 뚜렷하지 않으나(IPCC 제34차 총회, '11),
- 태풍은 단일 기상현상 중 가장 큰 자연재해를 유발하기 때문에
- 22 -
대규모 피해가능성 상존
* '02년 태풍 루사 5.1조원, '03년 태풍 매미 4.2조원 등
ㅇ 최근 10년간 자연재해로 매년 평균 68명의 인명피해와 1조 7,044억원의 재산피해 발생
- 인명피해는 감소 추세이나, 도시화로 인한 인구집중으로 재산피해규모는 급증
* '00년대 재산피해액은 70년대의 10배, '90년대의 3배 수준
□ 최근 10년간 자연재해 피해규모
구분 |
태풍 |
호우 |
대설 (폭풍설) |
강풍 |
풍랑 |
호우‧태풍 |
기타 |
합 계 |
2001 |
- |
459,731 |
796,436 |
- |
1,256,167 |
|||
2002 |
5,185,728 |
929,564 |
- |
- |
6,115,292 |
|||
2003 |
4,233,391 |
174,849 |
- |
- |
4,408,240 |
|||
2004 |
341,562 |
214,978 |
673,896 |
- |
1,230,436 |
|||
2005 |
138,504 |
352,040 |
549,991 |
9,304 |
- |
1,049,839 |
||
2006 |
11,804 |
1,906,278 |
5,175 |
14,039 |
5,687 |
- |
1,942,983 |
|
2007 |
160,869 |
43,492 |
7,441 |
6,880 |
33,128 |
- |
251,810 |
|
2008 |
858 |
58,089 |
3,641 |
1,115 |
- |
- |
63,703 |
|
2009 |
- |
254,904 |
12,778 |
7,035 |
24,089 |
- |
298,808 |
|
2010 |
172,506 |
180,762 |
66,303 |
174 |
7,036 |
- |
426,782 |
|
합계 |
10,245,222 |
4,574,687 |
2,115,661 |
38,547 |
69,940 |
- |
- |
17,044,060 |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소방방재청) 통계자료 이용, 금액은 당해연도 가격기준
- 23 -
(5) 관리과제별 추진계획
위험기상 감시 입체관측망 확대 및 관측기술 고도화(Ⅰ- 1- ①)
□ 추진배경(목적)
ㅇ 한반도 및 주변지역의 위험기상(태풍, 집중호우 등)으로 인한 피해 증가로 입체관측 자료 필요성 증가
- 위험기상을 조기탐지하고 신속한 분석‧예측을 위해 지상, 고층, 해양, 레이더, 위성 등 입체관측망 구축
ㅇ 입체관측망 관측자료의 활용 확대를 위한 관측기술의 고도화 필요성 대두
- 지상, 고층, 위성, 레이더 등 위험기상 감시를 위한 입체관측망 관측자료의 통합 활용기술 개발
□ 주요내용 및 추진계획
ㅇ 다양한 관측체계 통합 운영을 통한 위험기상 실시간 감시 및 목적관측 체계 수립
- 지상, 고층, 해양, 위성, 레이더를 통합한 입체관측망 확충
- CCTV를 활용한 적설 관측체계 개선
- 3차원 관측기반 강화를 위한 다목적 기상항공기 도입추진
- 도시, 산악 등 지역 특화 기상관측망 구축
ㅇ 첨단 지상·고층관측 기술 활용 확대 및 품질관리체계 강화
- 표준기상관측소 기반의 첨단 관측기술 시험평가
- 과학적 환경관리 체계 도입으로 관측자료 품질관리 기반 고도화
- 24 -
- 육상 기상관측자료의 수집, 처리, 표출 등 통합관리 체계 수립
- 고층기상관측자료 활용 확대 및 품질관리체계 강화
- 세계 관측기술 발전을 선도하는 국제협력 활동
< ’12년도 과제추진 계획 >
구 분 |
추진계획 |
세부일정 |
비 고 |
1/4분기 |
친환경 라디오존데 구매계획 수립 |
‘12.1월 |
|
WMO 지정 국제 선도관측소 및 시험관측소 지정 |
|||
RA Ⅱ 지역 국제일사계 비교관측 프로그램 참가 |
'12.2월 |
||
2/4분기 |
라디오미터와 레윈존데 비교관측 계획 수립 |
‘12.5월 |
|
다목적 기상항공기 도입 운영 위원회 규정 제정 |
‘12.6월 |
||
신규 개발장비 성능시험 서비스제공 체계 구축 |
|||
3/4분기 |
다목적 기상관측항공기 도입 규격 확정 |
'12.7월 |
|
표준기상관측소 운영 기본계획 수립 |
|||
유관기관 CCTV 통합활용시스템 구축 |
'12.8월 |
||
적설관측자동화 개선 계획 수립 |
‘12.9월 |
||
4/4분기 |
육상기상관측망 통합운영체계 구축방안 수립 |
'12.11월 |
|
기상관측환경 시뮬레이터 상용화 계획 수립 |
'12.12월 |
||
관측망 확대를 위한 유관기관 지원 성과보고 |
|||
다목적 기상항공기 기종 확정 |
□ 수혜자 및 이해관계집단
ㅇ 수혜자 : 예보관, 방재관련 유관기관, 국민 및 언론/해양 기인성 위험기상 현상에 직‧간접적 영향을 받는 어업, 해운업, 항만 관련사 및 일반 국민
- 초단기 위험기상 감시 강화로 대국민 기상서비스 향상
- 상층 대기에 대한 입체적 감시로 위험기상의 조기 탐지
- 25 -
- 위험기상 실시간 감시체계 구현으로 위험기상 대응 능력 강화
ㅇ 이해관계집단 : 국토해양부 등 해양관련 유관기관, 우리나라 연‧근해 및 원해를 항행하는 국내외 선사 및 선박 등, 국적 항공사 및 국내취항 항공사
□ 기대효과
ㅇ 한반도 주변지역의 관측영역 확대와 집중호우, 폭설 등 위험기상 감시 극대화
ㅇ 지상, 고층, 해양, 위성, 레이더, 황사, 항공 등 분야에서 입체적 관측과 활용기술 개발로 위험기상의 신속한 분석과 예측에 기여
□ 관련 재정사업 내역
회계구분 |
’11 |
’12 |
||
지상기상관측(Ⅰ- 2- 재정①) |
||||
① 지상기상관측(1231) |
일반회계 |
- |
12 |
|
(124) |
(113) |
|||
▪다목적 기상항공기 도입 및 운영(321) |
- |
12 |
||
고층기상관측(Ⅰ- 2- 재정①) |
||||
① 고층기상관측(1233) |
일반회계 |
40 |
43 |
|
(147) |
(137) |
|||
▪고층기상관측망 확충 및 운영(301) |
40 |
43 |
- 26 -
□ 성과지표 및 측정방법
성과지표 |
실적 및 목표치 |
’12년 목표치 산출근거 |
측정산식 (또는 측정방법) |
자료수집 방법 (또는 자료출처) |
|||
’09 |
’10 |
’11 |
’12 |
||||
입체관측망 확대율 (%) |
- |
- |
- |
27 (신규) |
◦중장기 계획에 반영되어 있는 2012년 관측망 확대계획을 기준으로 목표치 산출 |
입체관측망 확대율 =
① R: 당해실적 ② O: 최종목표 ③ i: 관측망 수 1:융합행정 관측지점 2:해양관측지점 3:위성관측망 4:레이더관측지점 5:도시관측지점 6:평창올림픽지원관측지점 ④ 관측망별 최종목표 O1 : 200 O2 : 535 O3 : 7 O4 : 27 O5 : 600 O6 : 10 |
자체 보고자료 |
- 27 -
위험기상 예측모델 개발(Ⅰ- 1- ②)
□ 추진배경(목적)
ㅇ 기존의 예측모델들은 규모는 작지만 단시간에 급격히 발달하여 상당한 피해를 유발하는 위험기상 현상을 예측하는데 한계 존재
- [전지구·지역 예보모델] 시간과 공간 분해능이 낮아 12시간 이후 고·저기압 장마 등의 예측에 초점
- [레이더 등, 관측자료 기반 예측모델] 새로 발달, 성장, 소멸하는 위험기상 현상이 거의 불가능하여 이동에만 초점
ㅇ 통합모델 기반으로 고해상도 위험기상 예측모델을 구축하고 1일 4회 24시간 예측자료 제공 시범 운영(‘11.7.1~)
ㅇ 시범 운영 자료 분석 결과 6시간 이후 강한 강수 예측 성능 향상 필요성 대두
ㅇ 따라서 위험기상 예측모델의 예측 성능 향상을 추진하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정식 운영하여
- 위험기상에 대한 상세한 예측 시나리오를 제공하고,
- 레이더와 같은 조밀한 실시간 관측 자료를 활용하여 수시로 예측시나리오를 갱신하여,
- 6~12시간까지의 위험기상 대응능력 향상을 도모하고자 함
ㅇ 위와 같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고해상도 위험기상 예측자료를 제공하여 기상재해 경감을 위한 사전 예방에 기여하고자 함
□ 주요내용 및 추진계획
ㅇ 위험기상 대처 능력향상을 위한 예측모델 운영체계 개선 및 정식 운영
- 해수면 온도, 토양 수분 등 지면자료 정교화(5월)
- 28 -
- 강수 등 개선된 수치예보모델의 물리과정 적용(6월)
- 위험기상 예측모델 예측성 평가 및 정식 운영(6월)
- 지역적인 강수 시작 시점 단축을 위한 레이더자료 대표 관측값 산출 방법 최적화(9월)
- 최신 관측자료 반영을 통한 모델 오차 보정을 위해, 자료 입력 주기 단축 (3→1시간) 시스템 구축 및 예측 성능 평가(11월)
ㅇ 비종관 관측자료 활용 확대를 통한 수치예보모델의 예측 성능 개선
- 고해상도의 다양한 관측자료 활용(GPS, ATOVS 등 관측자료 활용 확대)
- 레이더 반사도 활용 기법의 통합모델 이전 방안 강구
- 레이더 시선속도 전처리 과정 개선에 따른 예측 민감도 분석
ㅇ 수치모델 운영 기초자료 개선을 통한 모델 정교화
- 한반도와 주변에서 발생(관측)되는 에어로졸 활용 체계 구축(10월)
- 수치예보모델 초기 입력자료(지표면 거칠기, 눈 등) 갱신 방안 강구(수시)
< ’12년도 과제추진 계획 >
구 분 |
추진계획 |
세부일정 |
비 고 |
1/4분기 |
위험기상 예측모델 정식 운영 및 성능 향상을 위한 계획 수립 |
'12.1월 |
|
강한 강수 예측 성능 향상을 위한 실험 설계 및 분석 |
'12.2월 |
||
운영체계 개선을 위한 기반 구축 |
'12.3월 |
||
2/4분기 |
해수면 온도, 토지이용도, 토양 수분 등 지면자료 정교화 |
'12.5월 |
|
강수 등 개선된 수치예보모델의 물리과정 적용 |
‘12.6월 |
||
위험기상 예측모델 예측성 평가 및 정식 운영 |
|||
3/4분기 |
지면 거칠기 변화에 따른 지표 변수 영향 평가 |
'12.7월 |
|
지표자료(눈) 정교화와 민감도 실험 결과 분석 |
'12.8월 |
||
지역적인 강수 시작 시점 단축을 위한 레이더자료 대표 관측값 산출 방법 최적화 |
‘12.9월 |
||
4/4분기 |
한반도와 주변에서 발생(관측)되는 에어로졸 활용 체계 구축 |
'12.10월 |
|
최신 관측자료 반영을 통한 모델 오차 보정을 위해, 자료 입력 주기 단축 (3→1시간) 시스템 구축 및 예측 성능 평가 |
'12.11월 |
||
정식운영으로 제공된 예측 자료의 평가 |
'12.12월 |
- 29 -
□ 수혜자 및 이해관계집단
ㅇ [일반국민] 시공간적으로 상세한 기상 정보를 이용하여 생활의 편리성과 안정성 도모 ⇒ 상세한 예측 자료
ㅇ [유관기관] 위험기상 예측 자료를 활용하여 신속하게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방재 대책 마련 가능 ⇒ 신속한 예측 시나리오
ㅇ [일반기업] 위험기상 정보를 이용하여 물류사업 등에 대한 단시간 계획 수립으로 자원 보호와 효율적 분배로 손해 저감 및 이익 창출 ⇒ 적시 예측 자료
ㅇ [기상사업자] 특정 수요자에게 안전관련 기상 정보 제공으로 기상 산업시장 규모 확대 ⇒ 다양한 예측 생산물
□ 기대효과
ㅇ 시ㆍ공간적으로 상세한 국지 기상 시나리오 제공으로 돌발홍수, 강풍 등 국지적 위험기상 대응 능력 강화
ㅇ 한반도의 복잡한 지형과 지리적 특성이 반영된 기상 현상 예측 능력 향상 기술 공유로 국내외 기상 기술력 동반 향상
ㅇ 상세한 수치예보 가이던스 지원을 통한 기상예보서비스 품질 제고
ㅇ 상세하고 다양한 기상 예측자료 제공으로 기상청의 외연 확대
- 30 -
□ 관련 재정사업 내역
회계구분 |
’11 |
’12 |
||
예보 및 통보체계 개선(I- 1- 정보화②) |
||||
① 예보 및 통보체계 개선(1140) |
일반회계 |
9 |
8 |
|
(93) |
(95) |
|||
▪수치예보시스템 개선(500) |
9 |
8 |
□ 성과지표 및 측정방법
성과지표 |
실적 및 목표치 |
’12년 목표치 산출근거 |
측정산식 (또는 측정방법) |
자료수집 방법 (또는 자료출처) |
|||
’09 |
’10 |
’11 |
’12 |
||||
강수정확도 비교 달성율(%) |
- |
- |
96.0 |
100.0 |
◦기존의 검증방법으로는 지역예보모델에 비해 검증 값 낮음 ◦영국기상청(1.5km 운영)은 지역예보모델 대비 약 87% *영국기상청 내부문서: "UKV(1.5km)- NAE(12km) assessment, December 2010 (Bornemann et al)" ◦따라서 목표치를 도전적인 100%로 설정 |
달성율(%) = A/B×100 A: 개발모델의 강수 검증 지수 (6시간 누적 강수 12.5mm, TS) B :현업지역모델의 강수 검증지수 (6시간 누적 강수 12.5mm, TS)
- 기간: 시험운영기간(‘11.7~12월, 1일 1회) *개발모델의 해상도는 현업지역모델의 해상도와 동일하게 유지 가능 |
자체보고자료 |
바람정확도 비교 달성율(%) |
- |
- |
108 |
110.0 |
◦‘11년 7~12월 12시간이내 6m/s 이상 바람의 오차 분석 결과는 108% - 문턱 값이 4m/s, 6m/s, 8m/s, 10m/s 이상인 경우 각각 6,901, 2,113, 699, 211로 급감 - 따라서 강풍의 의미와 적절한 사례수를 모두 만족하는 6m/s로 설정 ◦풍속은 다른 예보 요소와 달리 국지적인 변화가 크므로 ‘11년 예측 성능보다 2%p 개선된 값을 성과지표로 설정 |
달성율(%) = B/A ×100 A : 개발모델의 12시간 동안 6m/s이상 풍속 오차 B : 현업지역모델의 12시간 동안 6m/s이상 풍속 오차 - 기간: 현업운영기간 |
자체보고자료 |
- 31 -
위험기상 대비 정책능력 강화(Ⅰ- 1- ③)
□ 추진배경(목적)
ㅇ 최근 급증하는 집중호우, 태풍 등 위험기상으로 인한 피해저감을 위하여 방재시스템의 지속적인 개선 필요
ㅇ 국민의 생활안정을 위해 기상정보를 안정적으로 제공(기상법 제4조)
ㅇ 예보 및 특보업무 수행(기상법 제13조, 제15조, 기상법시행령 제8조 제12조)
□ 주요내용 및 추진계획
ㅇ 방재시스템 향상을 위한 기상특보 제도 개선
- 총 9단계(비, 바람 각 3단계)로 복잡한 태풍특보 현실화(5월)
- 폭염특보 판단요소(기온, 열지수 등) 기준 개선(6월)
- 특보시스템 개편방안 정책연구 및 계획 수립(6월)
- 폭풍해일특보 기준값 재설정 및 기준지점 확대(11월)
ㅇ 방재 대응체계 강화를 위한 유관기관과의 유기적 협력
- 여름철/겨울철 정부부처‧수도권 방재기상업무협의회 개최(5, 11월)
- 수도권 유관기관과의 일대일 연락체계 구축 및 성과 점검(5월)
ㅇ 특이기상, 극한기상 분석역량 강화
- 지역별, 정량적 예보 가이던스 작성 및 제공
- 위험기상 분석기법 공유를 위한 특이기상 가이던스 모음집 발간(4월, 10월)
ㅇ 사회경제적 위험기상 영향을 고려한 재해취약성 분석(11월)
- 기상재해 발생원인 파악 및 환류를 위한 사후분석 활성화(수시)
- 지역별 재해기상(HIW; High Impact Weather) 발생 통계분석
- 32 -
- 기상요소별 가중치 산출 및 지역별 지형 특성을 고려한 재해기상 가이던스 기반 구축
ㅇ 안개, 풍랑 등 위험기상 관련 대국민 서비스 강화
- 상세안개정보서비스 활용도 조사, 안개상습구역 추가 및 확대(3월)
- 특정관리해역 예‧특보 관련 유관기관 공동 개선대책 마련(10월)
< ’12년도 과제추진 계획 >
구 분 |
추진계획 |
세부일정 |
비 고 |
1/4분기 |
수도권 유관기관과의 일대일 연락체계 구축 |
'12.1월 |
|
상세안개정보서비스 활용도 조사 |
|||
상세안개정보서비스 개선 시행 |
'12.3월 |
||
2/4분기 |
여름철 정부부처‧수도권 방재기상업무협의회 개최 |
‘12.5월 |
|
태풍특보 현실화 |
|||
폭염특보 판단요소 기준 개선 |
‘12.6월 |
||
특보시스템 개편방안 계획 수립 |
|||
3/4분기 |
특정관리해역 민원해소를 위한 유관기관 공동 협의 |
'12.8월 |
|
4/4분기 |
특정관리해역 예‧특보 관련 개선 대책 마련 |
'12.10월 |
|
사회경제적 위험기상 영향을 고려한 재해취약성 분석 |
'12.11월 |
||
겨울철 정부부처‧수도권 방재기상업무협의회 개최 |
|||
폭풍해일특보 기준값 재설정 및 기준지점 확대 |
□ 수혜자 및 이해관계집단
ㅇ 소방방재청, 해양경찰청, 국토해양부, 지자체 등 유관기관
- 태풍, 폭염, 폭풍해일 등 기상특보 제도의 합리적 개선‧운영으로 효율적인 방재업무 수행
⇒ 유관기관 대상으로 사전 의견수렴 및 조정절차를 적극적으로 이행
- 중앙정부 및 수도권 지자체와의 방재기상업무협의회 정례화로 국가적 방재대응 역량 강화
- 33 -
ㅇ 일반국민
- 기상특보 제도 개선, 위험기상 분석역량 강화 및 대국민 서비스 향상으로 재해 예방‧저감 및 국민의 안전체감도 제고
□ 기대효과
ㅇ 방재 유관기관에 대한 위험기상 정보지원 강화 및 유기적 협력체계 구축으로 선제적 방재업무 수행
ㅇ 국민 안전 중심의 정책추진으로 기상재해로 인한 피해 최소화
□ 관련 재정사업 내역 [※비 예산 사업]
□ 성과지표 및 측정방법
성과지표 |
실적 및 목표치 |
’12년 목표치 산출근거 |
측정산식 (또는 측정방법) |
자료수집 방법 (또는 자료출처) |
|||
’09 |
’10 |
’11 |
’12 |
||||
유관기관 정보제공 서비스 만족도(%) |
81.2 |
83.9 |
89.7 |
85.0 |
◦위험기상 정보의 제공에서부터 활용도, 품질 등에 이르기까지 유관기관이 체감하는 정보의 가치를 종합적으로 측정 ◦3년 평균치로 목표치 설정 - 기상업무 대국민 만족도조사 결과 지속적인 만족도 향상으로 목표치가 포화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 - 향후 85% 이상의 만족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 ※다른 과제의 만족도지표 목표치와 비교시 85%는 최상위권에 해당 |
유관기관 정보이용자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전화면접 조사 - 모집단:위험기상정보를 제공받는 전국 방재관련 부서 980여명 중 300명 추출 - 7점 척도 활용 |
만족도 결과보고서 (대변인실) |
위험기상 예보역량 향상도(%p) |
- |
- |
- |
2.0 |
◦위험기상 예측능력 향상을 위한 예보관련 정책추진 결과를 종합적, 객관적으로 측정 ◦단기‧중기예보 정확도 및 기상특보 선행시간의 최근 5년('07~'11년) 평균대비 향상도를 지표로 설정하고 2%p 이상 향상을 목표치로 설정 - 예보관련 지표는 날씨상황에 따라 등락이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향상 추세를 중시하며, 따라서 5년 평균값을 기준으로 향상도 산출 - 최근 기상정보의 정확도와 신속성을 나타내는 지표 목표치가 포화수준임을 고려할 때 2%p는 매우 적극적인 설정임 |
위험기상 예보역량 향상도 = (A+B+C)/3 A:단기예보 정확도의 향상도 B:중기예보 정확도의 향상도 C:기상특보 선행시간의 향상도 |
자체보고자료 (예보 및 특보 평가지침서) |
- 34 -
황사 예측역량 향상 및 대기 확산모델 개발(Ⅰ- 1- ④)
□ 추진배경(목적)
ㅇ 최근 황사 발생이 증가하고, 발생시기가 가을과 겨울철로 확대됨에 따라, 국민 건강과 산업 피해 경감을 위한 대책이 필요
ㅇ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에 의거, 기상청 등 정부 관계부처 합동 ‘황사피해방지종합대책’ 수립(‘08.5.)
- 황사관측망을 확충하고 황사예측모델 개발을 추진
ㅇ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11. 3.)로 인한 방사능 확산정보와 연무현상에 대한 국민적 정보수요가 증대함에 따라, 대기확산모델 개발이 필요
□ 주요내용 및 추진계획
ㅇ 동아시아 황사종합감시·분석을 통한 황사예보 지원
- 발원지(중국, 몽골) 등 국내·외 황사감시망 및「황사해외모니터」운영(2월)
-「황사전문예보관」운영으로 황사예보 지원(1월~5월, 12월)
- 대국민「황사정보문자서비스」제공
ㅇ 「서울황사감시센터」운영(서울 종로구 송월동)
- 황사·연무 사례별 물리·화학·광학 특성 분석(6월)
- 준 실시간 화학분석을 통한 황사, 연무 분석 기술 개발
- ‘다채널 황사·연무 입자계수기’ 설치 및 운영(10월)
ㅇ 황사농도 예측모델 개선
- 황사 계절예측시스템 개선·운영 및 봄철 황사예보 지원(2월)
- 35 -
- 지상관측자료를 활용한 황사자료동화 기술 개발(7월)
- 위성자료의 야간 광학두께 산출알고리즘 개발(10월)
- 연무 예측모델 시험 운영(8월)
ㅇ 긴급대응 전지구 확산모델 개발
- 전지구 확산모델(미국 기상청) 시험운영 체계 구축(9월)
- 웹기반 방사능 확산모델 개발(11월)
- 긴급대응 전지구 확산모델(영국 기상청) 도입 추진 및 시험 운영
ㅇ 동북아 황사공동대응을 위한 국제협력 강화
-「한‧중‧일 황사공동연구단 실무그룹(Ⅰ)」대표 활동 수행
- 세계기상기구(WMO) SDS- WAS 아시아 운영위원회 활동
-「한‧미 공동 에어러솔 관측시스템」운영 및 활용(안면도)
< ’12년도 과제추진 계획 >
구 분 |
추진계획 |
세부일정 |
비 고 |
1/4분기 |
황사전문예보관 운영(1월 ~ 5월) |
'12.1월 |
|
봄철 황사 전망 지원을 위한 계절예측시스템 운영 |
'12.2월 |
||
황사해외모니터(중국, 몽골) 운영 |
|||
2/4분기 |
황사 사례별 특성 분석(물리, 화학, 광학 특성) |
‘12.6월 |
|
대국민 황사정보문자서비스 제공 결과 보고(상반기) |
|||
3/4분기 |
황사‧연무 입자계수기(8조) 정도 검사 |
'12.9월 |
|
전지구 긴급 대응 확산모델 시험운영 체계 구축 |
|||
4/4분기 |
위성자료의 야간 광학두께 산출 시스템 시험 운영 체계 구축 |
‘12.10월 |
|
웹기반 방사능 확산모델 개발 |
'12.11월 |
||
라이다 황사 관측자료 이미지 표출 개선 |
- 36 -
□ 수혜자 및 이해관계집단
ㅇ 수혜자 : 일반국민
- 황사 및 대기 확산정보를 국민에게 제공하여 건강보호와 산업피해 경감에 기여
ㅇ 이해관계자 : 국립환경과학원, 재해관련 방재기관
- 환경보건 연구, 위해성 평가, 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 조사
□ 기대효과
ㅇ 동아시아 황사 발생과 이동에 대한 종합감시체계 구축과 황사 수치모델개선으로 황사예측역량 향상
ㅇ 신뢰성 있는 방사능 확산정보를 조기에 제공하여 국민 안전에 기여하고 연무 정보 제공으로 쾌적한 생활을 보장
□ 관련 재정사업 내역
회계구분 |
’11 |
’12 |
||
기상업무지원 기술개발(Ⅱ- 2- R&D②) |
||||
① 기상업무 지원기술개발(3136) |
일반회계 |
12 |
13 |
|
(100) |
(142) |
|||
▪예보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301) - 황사감시 및 예보기술 개발 |
12 |
13 |
- 37 -
□ 성과지표 및 측정방법
성과지표 |
실적 및 목표치 |
’12년 목표치 산출근거 |
측정산식 (또는 측정방법) |
자료수집 방법 (또는 자료출처) |
|||
’09 |
’10 |
’11 |
’12 |
||||
황사예보정확도 (황사유무, %) |
66.2 |
71.1 |
64.5 |
71.0 |
◦최근 3년간 평균(67.3%) 보다 3.7% 높은 도전적인 목표치 설정 ※황사발원지로부터 우리나라로 황사가 이동하는 시간 변동이 큰 것을 감안할 때 70%정도가 황사예보정확도 임계값임. ※정부 황사피해방지종합대책(2008.5, 기상청 등 정부부처 합동)에서는 2012년까지 황사예보정확도 목표가 70%였음 |
임계성공지수(%) CSI=H/(H+M+F) ×100 ①H : 황사를 예보하고 황사가 관측된 경우 수 ②M : 황사를 예보하지 않았으나 황사가 관측된 경우 수 ③F : 황사를 예보하였지만 황사가 관측되지 않은 경우 수 |
자체보고자료 (기상청 예보정책과 통계자료) |
황사농도 단기 예측모델 정확도(%) |
- |
- |
67.6 |
69.0 |
○작년보다(67.6%)보다 1.4%p 가 높은 수치로 현 황사모델 수준을 고려한 도전적인 목표치 설정 |
황사농도단기예측모델 정확도 =∑[사례별 정확도 지수]/총 사례 수 ①사례별 정확도 지수 *각 황사사례별로 48시간 이전부터 12시간의 3차례예보를 평균함. *출현 적중 시 20점 *경로 적중 시 30점 *강도 적중 시 50점 (출현·경로·강도 모두 적중시 100점) ②판정기준 *출현: 총 먼지량 100㎎/㎥ 이상의 국내 통과 여부 *경로: 지표 200 ㎍/㎥ 이상의 국내 통과 여부 *강도: 통과한 황사에 대해 특보기준에 따라 3등분 (주의보 400㎍/㎥ 경보 800㎍/㎥ 기준으로 3등분 평가) |
자체보고자료 |
- 38 -
태풍 감시와 예측능력 향상(Ⅰ- 1- ⑤)
□ 추진배경(목적)
ㅇ 기후변화에 따라 최근 태풍의 발생패턴 변화, 강도 증가 경향
ㅇ 태풍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 효율적 대비태세 구축을 위해 태풍 감시‧예측 능력 제고 및 선제적이고 가치 있는 예측정보 제공 필요
□ 주요내용 및 추진계획
ㅇ 태풍발생 감시 및 예보 분석 강화
- 천리안, 레이더자료를 활용한 실시간 상세 태풍위치정보 생산(수시)
- 태풍 5일 예보 확대 운영(5월)
- 열대저압부에 대한 24시간 예측정보 시험 생산(5월)
- 태풍 계절 예보 발표(5월, 8월)
* 여름철(6- 8월), 가을철(9- 11월) 태풍계절전망 자료 생산
ㅇ 연구개발 및 역량 강화
- 태풍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및 ’11년 태풍분석보고서 발간(3월)
- ’12년 태풍 전문가 워크숍 개최 및 현안맞춤형 교육(4월)
- ’12년 한반도 영향 태풍 분석(10월)
- 태풍분석 및 예보시스템을 이용한 태풍객관 예보시스템 구축(11월)
- 웹기반 태풍 계절예측 모니터링 포털시스템 구축(11월)
ㅇ 국제협력을 통한 국내·외 위상강화
- 태풍위원회 연구장학생 모집 공고(2월)
- 제44차 태풍위원회 참석(2월)
- 5차 한중 공동워크숍 개최(12월)
- 39 -
< ’12년도 과제추진 계획 >
구 분 |
추진계획 |
세부일정 |
비 고 |
1/4분기 |
태풍위원회 연구장학생 모집 공고 |
'12.2월 |
|
제44차 태풍위원회 참석 |
|||
'11년 태풍예보 기술노트 발간 |
|||
’11년 태풍분석보고서 발간 |
'12.3월 |
||
태풍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
|||
2/4분기 |
’12년 태풍 전문가 워크숍 개최 |
‘12.4월 |
|
열대저압부 24시간 예측정보 시험 생산 |
‘12.5월 |
||
태풍 5일 예보 확대 운영 |
|||
여름철(6- 8월) 태풍계절전망 자료 생산 |
|||
3/4분기 |
태풍위원회 연구장학생 훈련 결과 보고 |
'12.7월 |
|
가을철(9- 11월) 태풍계절전망 자료 생산 |
'12.8월 |
||
4/4분기 |
’12년 한반도 영향 태풍 분석 |
‘12.10월 |
|
태풍분석 및 예보시스템을 이용한 태풍객관 예보시스템 구축 |
‘12.11월 |
||
웹기반 태풍 계절예측 모니터링 포털시스템 구축 |
|||
5차 한중 공동워크숍 개최(제주) |
'12.12월 |
||
태풍 5일예보 태풍별 국가별 진로오차 분석 |
□ 수혜자 및 이해관계집단
ㅇ 수혜자 : 우리나라 국민, 태풍영향을 받는 주변국가(국민)
- 태풍 5일예보 확대 운영으로 재해 대응시간 연장 및 피해 발생 최소화
ㅇ 이해관계집단 : 국내·외 자연재해관련 방재기관
- 선진태풍정보 제공으로 효율적 방재업무 수행
□ 기대효과
ㅇ 태풍 감시시스템 강화로 한반도에 접근하는 태풍피해 최소화
ㅇ 선진국 수준의 태풍 분석·예보시스템 구축으로 태풍예보 정확도 향상
- 40 -
□ 관련 재정사업 내역
회계구분 |
’11 |
’12 |
||
국가태풍센터운영(Ⅰ- 1- 재정①) |
||||
① 국가태풍센터운영(1131) |
일반회계 |
7.5 |
7.3 |
|
(7.5) |
(7.3) |
|||
▪국가태풍센터운영(301) |
7.5 |
7.3 |
□ 성과지표 및 측정방법
성과지표 |
실적 및 목표치 |
’12년 목표치 산출근거 |
측정산식 (또는 측정방법) |
자료수집 방법 또는 자료출처 (성과측정시 유의사항) |
|||
’09 |
’10 |
’11 |
’12 |
||||
태풍예보정확도 (48시간 태풍 진로평균오차, ㎞) (공통) |
213 |
207 |
186 |
183 |
○기상청에서 발표하는 태풍중심위치 예측값과 실제관측값과의 평균오차 - 최근 3년간(‘09~’11) 태풍예보 오차를 평균한 값 202㎞에 최근 평균향상률 6.6%와 추가 3%를 더하여 9.6% 향상률을 반영한 183km를 목표치로 설정 - 과거 평균향상률의 약 50%에 해당하는 3%를 추가하여 보다 도전적인 목표를 설정하고자 함 ※ 기후변화에 따른 태풍진로 패턴의 갑작스러운 변화로 인해 예측정확도의 변동이 큼 |
48시간 태풍진로 평균 오차 = N: 예보횟수 F: 48시간 예보 태풍중심 위치 O: 관측한 태풍중심위치 |
자체보고자료 (기상청 통계자료) |
- 41 -
위험기상에 대한 초단기 예보 및 동네예보지원기술 강화(Ⅰ- 1- ⑥)
□ 추진배경(목적)
ㅇ 한반도의 기상환경에 맞도록 초단기예측모델을 개선하여 위험기상에 대한 대비능력을 강화하고,
ㅇ 동네예보를 단기에서 초단기, 주간으로 확장하여 이음새 없는 예보체계를 구축하고,
ㅇ 특보와 예보가 연계된 통합 예·경보 체계(Warn- on- Forecast)를 조기 실현할 수 있는 선도기술개발 필요
□ 주요내용 및 추진계획
ㅇ 초단기예측 및 단기, 주간 동네예보지원기술 개선
- 초단기예측모델 정량강수예측 개선 및 가용관측자료 발굴(7월)
- 해상 초단기예보 향상을 위한 파랑예측모델과 연동체계 구축(4월)
- 다중관측자료 활용을 통한 초단기 예측모델의 구름분석과정 개선(6월)
- 앙상블기반 단기, 주간 동네예보의 기온, 강수유무 가이던스 개발(6, 10월)
ㅇ 새로운 유형의 위험기상 및 호우특보에 대한 선도기술개발
- 강수실황 앙상블예측시스템 기반 구축(8월)
- 인공지능, 인공생명기법을 이용한 호우특보 가이던스 개발(9월)
- 우박에 대한 실황예측모델 원형 구축(12월)
ㅇ 주요 현안 대응형 초단기 특화예측시스템 운영
- 여수EXPO 초단기 기상지원시스템 실시간 운영(1km 해상도)(5월)
- 기상1호 및 특별관측을 통한 위험기상감시 및 예측 강화(6월)
- 42 -
ㅇ 효율적 대테러 및 군작전 수행을 위한 기상지원체계구축
- 대기모델과 연동된 대형산불예측 등 특화기상정보시스템 개발(11월)
- 수도권 및 서해5도 작전기상지원시스템 개발(11월)
< ’12년도 과제추진 계획 >
구 분 |
추진계획 |
세부일정 |
비 고 |
1/4분기 |
실황분석 개선 및 동네예보 적용(기온분석, 하늘상태 등) |
'12.1월 |
|
한반도 강수의 시·공간 일변동 특성 분석 |
'12.3월 |
||
2/4분기 |
초단기 모델과 파랑모델의 연동체계 구축 |
'12.4월 |
|
여수EXPO 초단기 기상지원시스템 실시간 운영(1km 해상도) |
'12.5월 |
||
기상1호 및 첨단관측자료 활용 수치예측융합 활용기술개발 |
'12.6월 |
||
앙상블을 이용한 단기 및 주간 동네예보 기온 가이던스 개발 |
|||
3/4분기 |
초단기 예측모델의 정량강수예측 성능개선 |
'12.7월 |
|
강수실황 앙상블예측시스템 기반구축 |
'12.8월 |
||
호우특보 실시간 산출 가이던스 개발 |
'12.9월 |
||
4/4분기 |
앙상블을 이용한 단기 및 주간 동네예보 강수유무 가이던스 개발 |
'12.10월 |
|
효율적 군작전 수행 지원을 위한 기상지원체계 구축 |
'12.11월 |
||
우박에 대한 실황예측모델 원형개발 |
'12.12월 |
□ 수혜자 및 이해관계집단
ㅇ 정책의 수혜자 : 국민, 소방방재청, 국토해양부, 국방부, 산림청
- 초단기예보를 동네예보에 접목하여 새로운 대국민 서비스 실시
- 낙뢰에 대한 추가적인 서비스 개발을 통한 기상정보와 국민생활간의 접점 최소화
- 초단기 예측모델에 대한 유관기관 공동 활용
ㅇ 이해관계자 : 기상사업자
- 새로운 대국민 기상서비스 시행으로 사업영역 축소우려에 따른 거부감 우려
- 43 -
□ 기대효과
ㅇ 초단기예보서비스를 통한 최신의 기상정보 제공으로 기상예보의 틈새를 최소화하여 예보신뢰도 향상에 기여
ㅇ 위험기상현상인 낙뢰에 대한 새로운 기상서비스를 개발하여 재해경감에 능동적으로 대처
ㅇ 위험기상에 대한 국제수준의 기상예보기술 확보와 독자화를 통한 자연재해피해 저감에 기여
□ 관련 재정사업 내역
회계구분 |
’11 |
’12 |
||
기상업무지원 기술개발(Ⅱ- 2- R&D②) |
||||
① 기상업무지원기술개발(3136) |
일반회계 |
8 |
8 |
|
(100) |
(142) |
|||
▪예보기술지원 및 활용연구(301) - 초단기 위험기상 예측·대응기술개발 |
8 |
8 |
□ 성과지표 및 측정방법
성과지표 |
실적 및 목표치 |
’12년 목표치 산출근거 |
측정산식 (또는 측정방법) |
자료수집 방법 또는 자료출처 (성과측정시 유의사항) |
|||
’09 |
’10 |
’11 |
’12 |
||||
동네예보 초단기모델 강수예측정확도(%) |
26.1 |
24.8 |
26.2 |
26.5 |
◦초단기 기상분석 및 예측시스템의 예측성 향상 경향을 반영하여 설정 ◦지표의 변동성이 커서 최근 3년간 최고치보다 높게 목표치로 설정 |
동네에보 초단기모델 강수예측정확도(ETS, %) =
H(Hits), M(Misses), F(False alarms), E=
*예측강수: 6시간 누적강우량 12.5㎜기준 *관측강수: AWS 강우관측자료 |
자체보고자료 |
- 44 -
성과목표Ⅰ- 2 |
기후변화 적응‧대응 역량 강화 |
(1) 주요 내용
□ 국가 기후변화 대응 정책 지원을 위한 인프라 구축
ㅇ 범부처 기후변화 대응 및 적응정책 지원을 위한 관계기관 간 융합행정 체계 구축과 제도 정비
ㅇ 지역기후정보의 실용화를 위한 지역별 산‧학‧연‧관 다학제 컨소시엄 활성화
ㅇ 기후변화에 대한 전 국민적 관심 증대에 따른 대국민 기후변화 이해 확산 및 지역기후정보 활용 증진
□ 기후변화 과학정보 생산‧제공‧활용 기술 개발
ㅇ 기후변화 시나리오 등 기후변화 과학 정보 산출 및 독자 산출 시스템 개발
ㅇ 기후변화 과학정보의 실용화 지원을 위한 수요자 요구에 부합하는 연구과제 발굴
ㅇ 기후변화감시 선도적 역할수행을 위한 극미량 온실가스 감시기술 구현
□ 성과목표의 전략목표에의 부합성
기상ㆍ기후 재해경감을 위한 사전예방 능력제고
녹색성장 국가대응 체계 기반 조성
기후변화 국가대응 인프라 강화
기후변화 적응ㆍ대응 역량강화
성과목표 주요내용
성과목표
전략목표
기후변화에 의한 미래위험에 사전 대비
- 45 -
(2) 성과지표
성과지표 |
실적 및 목표치 |
’12년 목표치 산출근거 |
측정산식 (또는 측정방법) |
자료수집 방법 (또는 자료출처) |
|||||||||||||||||||||
’09 |
’10 |
’11 |
’12 |
||||||||||||||||||||||
기후업무 핵심과제 실행률(%) |
- |
- |
- |
80% |
◦‘12년 기상정책 추진계획’ 중 기후업무 핵심과제(8건)에 대한 실행율 * 근거 : 2012년 기상정책 추진계획 ‘기후변화대응 및 적응역량 강화’ 분야 추진과제 - 실행률 매년 5% 증가
|
기후업무 핵심과제 실행률(%) =(실행건수/목표건수) * 독도 기후변화감시 운영, 청소년 기후변화 동아리 전국 확대, GFCS 구축 세부 이행계획 수립 등 |
자체보고자료, (공문, 증빙서류 등) |
||||||||||||||||||
남한상세 시나리오 산출 이행율(%) |
- |
- |
- |
25% |
◦남한상세 시나리오 산출에 대한 중기 계획에 의거 목표치 수립
|
남한상세 시나리오 산출 이행률(%) = (산출건수/총목표건수) |
자체보고자료, (공문, 증빙 서류 등) |
(3) 외부환경‧갈등요인 분석 및 갈등관리계획
□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시 기관별로 다른 시나리오를 사용하고 있어 국가 미래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관련 정책에 일관성 결여
ㅇ 기상청「기후변화 시나리오 사용자 협의체」의 확대 운영으로 관련 기관이 통일된 새로운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적응정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추진
* 적응대책 수립시 부문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시나리오도 제공 추진 필요
ㅇ 환경부, 국토해양부, 소방방재청 등 관련부처와의 정책 소통 강화 및 실질적 협력 체계 구축
- 기후변화 및 이상기후에 대한 정보공유 활성화와 기후변화 관련 문제 해결을 위한 융합행정 구현
- 기후변화에 의한 사회‧경제적 영향을 다룬 국가보고서의 공동 제작‧발간
- 46 -
□ 고해상도 국가표준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대한 수요 증가
ㅇ 고해상도의 새로운 기후변화 시나리오 생산을 위한 전산자원 확보와 사용자 맞춤형 시나리오 정보 제공 필요
* 적응분야 요구사항 : 농업(1- 5km, 월별), 산림(1- 10km, 월‧일별) 등
* 우리나라 등 각국의 전망 결과는 ‘13년 발간될 IPCC 5차 보고서에 수록 예정
ㅇ 지역 규모 모델자료 생산과 통계적 상세화 추진
(4) 기타
□ 기후변화 과학정보를 기반으로 한 기후변화 대응
ㅇ 기후변화협약에 따른 전략 마련이 세계 각국 정책의 현안으로 부상
- 리우 세계 환경 정상회의 이후 교토의정서 채택(’97.12), 발리로드맵 채택(’07.12) 후속으로 Post- 교토의정서 체제 마련을 위한 선진국과 개도국간의 갈등 심화
* 기후변화 속도가 당초 예상보다 빠르게 나타남에 따라 강력한 온실가스 규제 정책 추진 및 적응 정책의 조기 수립 필요성 제기
ㅇ 과학정보에 근거한 기후변화 적응정책 수립을 위한 기술 개발
- 미국, 영국, 일본, 독일, 캐나다 등을 중심으로 지역기후모델을 사용하여 기후변화 시나리오 생산 진행
ㅇ 우리나라는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모델, 시나리오 등 기반 인프라 구축 초기 단계
- 차세대 지구시스템모델 개발을 위하여 영국과 MoU 체결‧개발 착수
- 독일, 미국 기후변화 예측모델을 이용하여 한반도 고해상도 시나리오 생산‧제공 시작
- 기후변화 예측을 위한 선진 수준의 지구시스템모델을 개발 중임
- 47 -
(5) 관리과제별 추진계획
기후변화 과학정보 서비스 역량 강화(Ⅰ- 2- ①)
□ 추진배경(목적)
ㅇ 국가 기후업무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융행행정 추진 필요
ㅇ 기후변화 대응 기술 역량 향상과 정보 서비스 활용도 제고
ㅇ 기후분야 국제협력 활동의 내실화를 통해 정책 활용도 제고
ㅇ 기후변화에 대한 과학적 이해도 증진을 위한 홍보 강화
□ 주요내용 및 추진계획
ㅇ 국가 기후업무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융행행정 추진 및 기후변화 과학정보 서비스 역량 강화
- 기후변화 관련 부처와의 정책 공조 기능 강화와 융합 행정 추진
- 기후변화 대응 정책결정 지원을 위한 기후변화과학 정보 제공
- 선진 기후서비스체제 구축을 위한 기반 조성
* 「녹색성장 5개년 계획」및「국가 기후변화 적응 대책」수립 지원 기능 강화
ㅇ 기후변화 대응 기술 역량 향상과 정보서비스 활용도 제고
- 국가 기후변화 대응 정책 방향에 부합하는 기후 R&D 추진
- 기후변화감시 업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정책 기획
- 울릉도·독도 기후변화감시소 신설을 통한 기후변화감시 체계 확립
ㅇ 기후분야 국제협력 활동의 내실화를 통해 정책 활용도 제고
- IPCC 제5차 평가보고서 검토 전문가단 운영, 「극한현상 및 재해의 위험관리 IPCC 특별보고서(SREX)」번역 발간 등
- 48 -
- 국제 GEO 사업계획 대응 유기적 협력체계 및 GEO 한국사무국 정책 조정 역량 강화
- 아태 지역특성을 고려한 지역커뮤니티 활동을 통해 아‧태지역 기후정보서비스의 다양화 및 국제프로젝트 사업 강화
- 서비스의 다양화 및 국제프로젝트 사업 강화
ㅇ 기후변화에 대한 과학적 이해도 증진을 위한 홍보 강화
- 기후변화 이해확산을 위한 ‘청소년 기후변화 동아리’ 운영
- ‘청소년 기후변화 동아리’ 활동 결과 보고서 발간
- 기후변화에 대한 과학적 이해 증진을 위한 홍보 추진
< ’12년도 과제추진 계획 >
구 분 |
추진계획 |
세부일정 |
비 고 |
1/4분기 |
청소년 기후변화 동아리 전국확대를 위한 관계부서간 업무협의 |
‘12.1월 |
|
‘13년 기후R&D 예산확보 전략회의 개최 |
|||
APCC 연구 및 기관성과 평가 계획 수립 |
‘12.2월 |
||
청소년 기후변화 동아리 전국 확대 홍보 추진 |
‘12.3월 |
||
2/4분기 |
청소년 기후변화 동아리 운영 추진 |
‘12.4월 |
|
울릉도 기후변화감시소 착공 |
|||
독도 기후변화감시 무인관측소 본격 운영 |
‘12.5월 |
||
주요 기후변화 국제기구 활동 리플렛 발간 |
‘12.6월 |
||
IPCC 특별보고서 번역 추진 |
|||
3/4분기 |
APCC 연구개발 성과 중간 점검 발표회 |
‘12.7월 |
|
‘12년도 기후분야 R&D 중간 점검 |
‘12.9월 |
||
4/4분기 |
전지구기후서비스체제 구축 세부 이행계획 수립 |
‘12.12월 |
|
청소년 기후변화 동아리 활동 결과보고 |
|||
기후변화정보센터(CCIC) 만족도조사 결과 보고 |
- 49 -
□ 수혜자 및 이해관계집단
ㅇ 기후변화에 대한 과학적 정보 제공을 통한 국가 기후변화 적응 및 완화 정책 수립에 기여
- 유관부처(녹색위, 환경부, 농림부, 국토해양부 등), 지자체 등
ㅇ 국가 기후변화 대응 정책 추진(예, 탄소배출권거래제 등)의 논리적 근거 제공을 위한 기후변화에 대한 과학적 이해 확산
- 일반인, 기업인, 교사, 학생, NGO 등
ㅇ 아태지역의 기후변동 및 기후변화에 의한 자연재해 피해 경감 및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정책 지원
- APEC 회원국의 기상청 등의 관련기관 및 정책결정자 등
□ 기대효과
ㅇ 유관부처와의 융합행정을 통한 국가 기후업무의 효율성 제고
ㅇ 기후변동성‧기후변화에 대한 정보 유통 체계 활성화를 통한 기후산업 육성에 기여
ㅇ 기후변동성·기후변화 관련 서비스 개선을 통한 기후변화 피해 경감 및 사회경제적 편익 증진
ㅇ 보다 다양화된 기후 및 기후변화 관련한 국제협력 활동 내실화 및 선제적인 대응체계 마련
- 50 -
□ 관련 재정사업 내역
회계구분 |
’11 |
’12 |
||
기후변화 과학정보 생산 및 서비스 (Ⅱ- 1- 재정①) |
||||
① 기상 See- At 기술개발(3138) |
일반회계 |
65 |
71 |
|
(185) |
(206) |
|||
▪기후변화 감시‧예측 및 국가정책 지원강화(R&D)(303) |
65 |
71 |
||
② 기후변화 과학정보 생산 및 서비스(1331) |
일반회계 |
19 |
19 |
|
(55) |
(66) |
|||
▪울릉도·독도 기후변화감시소 신설(305) |
19 |
19 |
||
기후분야 국제협력 활동 강화 (Ⅱ- 1- R&D①) |
||||
① 아태 기후정보서비스 및 연구개발 (1332- 301) |
일반회계 |
37 |
59 |
|
② GEO 정책 기획‧조정 역량 강화 (1332- 302) |
일반회계 |
5.2 |
4.8 |
□ 성과지표 및 측정방법
성과지표 |
실적 및 목표치 |
’12년 목표치 산출근거 |
측정산식 (또는 측정방법) |
자료수집 방법 또는 자료출처 (성과측정시 유의사항) |
|||
’09 |
’10 |
’11 |
’12 |
||||
기후변화정보 사용자 만족도 (%) |
- |
- |
76.0 |
79.0 |
◦‘12년 기후변화정보에 대한 서비스 만족도 조사를 시작하기 위해 ’11년 사전조사를 실시하였음 ◦‘12년목표치는 ’11년 사전 조사결과(76점) 대비 3점을 상승하여 목표치(79.0)로 설정 - ‘12년 11~12월 실시 - '11년도 CCIC 방문자:266,257명 |
기후변화정보센터(CCIC) 홈페이지 방문자 중 정보 사용자의 만족도 조사 결과(7점척도) - 설문문항 : 기후변화 정책‧감시‧예측분야의 정보 활용성 등 분야 |
자체 만족도 조사 결과보고서 |
APCC 기후예측 및 변화 정보서비스 회원국 활용 만족도 (%)(공통) |
- |
- |
88.7 |
90.0 |
○국가 R&D 사업 상위평가 매우 우수등급(90점 이상)에 해당하는 만족도를 2012년 목표로 설정 ※2011년부터 APCC가 기존 기후예측 중심에서 기후변화정보 서비스 제공 등 사업영역 확대에 따라 이를 반영한 성과지표명으로 변경 |
기후예측 및 변화정보서비스 활용 만족도(5개 척도 중 만족 이상 설문 응답)율 ※ 5개 척도: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 불만족 |
자체 만족도 조사 결과보고서 (APCC 21개 회원국 실무단 회의 참가자 대상) |
- 51 -
고품질 기후변화감시정보 제공(Ⅰ- 2- ② )
□ 추진배경(목적)
ㅇ 한반도 기후변화감시망 운영 및 국제협력 강화로 기후변화감시에 대한 전 지구적 대응활동 및 기후변화과학의 기초가 되는 감시정보 확보 및 제공
ㅇ 기후변화대응 전략 수립의 근간인 기후변화 과학정보 생산‧제공‧활용을 위한 기반기술개발 및 정보 활용도 제고
□ 주요내용 및 추진계획
ㅇ 기후변화감시 정보 품질 고도화 및 체계적인 감시망 운영
- 보조 및 위탁 관측소의 고품질 자료 생산을 위한 기후변화감시 관측망 지도점검 실시(3월) 및 관계관 회의 개최(5월)
- 기후변화감시 자료 활용성 증대와 소통을 위한 학·연·관 전문가 워크숍 개최(5월)
- 2011년 한반도 기후변화감시 결과에 대한「2011년 지구대기감시보고서」발간 및 관보 게재(6월)
- 기상청 내외 관련 업무자를 대상으로 관측 및 자료 생산의 전문성을 위한「기후변화감시 전문가 과정」교육 프로그램 운영(11월)
ㅇ 기후변화감시의 국제협력 선도
- WMO 육불화황 세계표준센터 운영을 위한 기본 계획(안) 수립(3월)
- 육불화황(SF6) 자료의 WMO 온실가스세계자료센터에 등록(9월)
-「2011 지구대기감시보고서」의 영문 요약본 발간(8월)
- WMO/GAW 제4차 아시아 기후변화감시 국제워크숍 개최(10월)
- WMO 주관 국제공동 비교실험 참여(강수화학: 5월, 12월)
- 아시아 GAW 온실가스 영문 뉴스레터 발간(12월)
- 52 -
< ’12년도 과제추진 계획 >
구 분 |
추진계획 |
세부일정 |
비 고 |
1/4분기 |
고품질 자료생산을 위한 기후변화감시 관측망 지도점검 |
‘12.3월 |
|
WMO 육불화황 세계표준센터 운영계획수립 |
|||
2/4분기 |
2012년 기후변화감시 학‧연‧관 전문가 워크숍 개최 |
‘12.5월 |
|
2012년 기후변화감시 관계관 회의 개최 |
|||
WMO 강수화학 국제비교 실험 참여 |
|||
2011년 지구대기감시보고서 발간 및 관보게재 |
‘12.6월 |
||
3/4분기 |
지구대기감시보고서 영문 요약본 발간 |
‘12.8월 |
|
온실가스(육불화황, SF6) 관측 자료의 WMO 세계자료센터에 등록 |
‘12.9월 |
||
4/4분기 |
WMO/GAW 제4차 아시아 기후변화감시 국제워크숍 개최 |
‘12.10월 |
|
기후변화감시 전문가 과정 교육프로그램 운영 |
‘12.11월 |
||
아시아 GAW 온실가스 영문 뉴스레터 발간 |
‘12.12월 |
□ 수혜자 및 이해관계집단
ㅇ 온실가스를 포함한 기후변화 원인물질에 대한 과학적인 정보 생산‧제공 및 한반도 감시 네트워크 강화
- 수혜자 : 관련 정부 기관(환경부, 녹색성장위원회 등), 관련 연구자, 일반인, 기업인 등
- 이해관계기관: 위탁관측소, 용역사업자 등 유관기관, 대학, 연구소
ㅇ 기후변화감시의 국제협력 선도를 위한 국제 워크숍 개최 및 관측 정보 제공
- 수혜자 : WMO GAW 회원국 및 관련 기관, 국외 연구 기관
- 53 -
□ 기대효과
ㅇ 기후변화감시 기능 강화 및 고품질 정보 생산을 통한 녹색성장 및 기후변화대응 강화를 위한 주도적 역할 수행
ㅇ 아시아 기후변화감시 허브로서 국제 수준의 기후변화감시 자료생산 및 관측 자료의 국제적 신뢰도 확보
□ 관련 재정사업 내역
회계구분 |
’11 |
’12 |
||
기후변화 과학정보 생산 및 서비스 (Ⅱ- 1- 재정①) |
||||
① 기후변화감시(1331) |
일반회계 |
8 |
8 |
|
(55) |
(64) |
|||
▪ 기후변화관측망 보강(301) |
8 |
8 |
||
② 기후과학국 기본경비(7111) |
5 |
5 |
□ 성과지표 및 측정방법
성과지표 |
실적 및 목표치 |
’12년 목표치 산출근거 |
측정산식 (또는 측정방법) |
자료수집 방법 또는 자료출처 (성과측정시 유의사항) |
|||
’09 |
’10 |
’11 |
’12 |
||||
기후변화 관측 요소의 세계자료센터 등재율(%)(공통) |
30 |
35 |
40 |
45 |
○세계자료센터(WDC) 등록분석 요소수에 대한 중기계획 수립 - 2013년: 50%(10개) 2014년: 55%(11개) 2015년: 60%(12개) 2016년: 65%(13개) ※일본의 경우 현재 4개 지점 13개 요소 우리나라의 경우 1개 지점 8개 요소 *현재 기상청 관측 요소 중 활성화 된 분야의 세계자료센터 등록 가능 요소수 : 20개 - 세계자료센터에 감시관측요소를 등록한다는 것은 국제적으로 장기간 자료의 품질 관리역량을 인정받아야 가능함 |
(지구대기감시 세계자료센터 등록 분석 요소수/20) ×100 |
지구대기감시 세계자료센터 홈페이지 및 문서 |
기후변화 시나리오 활용 및 정책지원(Ⅰ- 2- ③)
□ 추진배경(목적)
ㅇ 2011년부터 IPCC 5차 평가보고서(’13)용으로 RCP 기반의 새로운 기후변화 시나리오가 생산되고 있음
- 새로운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기존 시나리오에 비해 미래 기후변화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
ㅇ 새로운 시나리오를 반영한 기후변화 대응대책의 정비‧보완을 위한 상세 기후변화 미래전망 산출이 필요함
* 관련법령 :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제 40조(기후변화 대응 기본계획) 및 제48조(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대책의 추진)
- 부처에서 新시나리오 기반의 부문별 영향평가 및 대책을 마련하도록 부처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시나리오 제공 필요
- 특히, 기후변화 적응주체인 지자체에서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 평가 및 적응대책 수립을 위해 상세한 전망자료 요구
□ 주요내용 및 추진계획
ㅇ 범정부적 기후변화 정책 지원을 위한 상세 기후변화 시나리오 생산
- RCP 3종(2.6, 4.5, 6.0)에 대한 남한 상세(1km 이하) 시나리오 생산(12월)
* RCP8.5는 2011년 생산완료
- 부문별(수자원, 보건 등) 영향‧취약성 평가를 위한 시나리오 응용정보 생산(12월)
-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불확실성 평가 및 신뢰수준 제시를 위한 앙상블 기법 개발(12월)
ㅇ 기후변화 시나리오 활용확대를 위한 정보제공 및 소통강화
- 55 -
- 기후변화 시나리오 웹기반 제공 시스템 운영 및 개선(12월)
- 생산자와 사용자간 소통 강화 및 적응정책 지원을 위한 ‘기후변화 시나리오 사용자 협의체*’ 운영(4월, 9월)
* 농림‧복지‧국토‧환경부 등 9개 중앙부처 및 16개 지자체 70여명 내외
- 새로운 시나리오 이해 및 활용방안 소개를 위한 사용자 워크숍 개최(10월)
- ‘기후변화 활용사례집’(12월), ‘기후변화 시나리오 사용자 매뉴얼’(2월) 등 작성‧배포
< ’12년도 과제추진 계획 >
구 분 |
추진계획 |
세부일정 |
비 고 |
1/4분기 |
기후변화 시나리오 사용자 매뉴얼 작성 |
'12.2월 |
|
새로운 기후변화 시나리오 웹 제공 |
|||
2/4분기 |
상세 시나리오 및 부문별 응용정보 생산계획 수립 |
'12.4월 |
|
기후변화 시나리오 사용자 협의체 회의 |
|||
기후변화 시나리오 사용자 의견수렴(설문조사 등) |
‘12.6월 |
||
3/4분기 |
RCP 3종(2.6, 4.5, 6.0) 기반 남한 상세(1km) 기후변화 시나리오 전문가 자문 |
'12.7월 |
|
기후변화 시나리오 사용자 협의체 회의 |
'12.9월 |
||
4/4분기 |
국가 기후변화 시나리오 사용자 워크숍 개최 |
‘12.10월 |
|
기후변화 시나리오 활용사례집 작성 |
‘12.12월 |
||
RCP 3종(2.6, 4.5, 6.0) 기반 남한 상세(1km) 기후변화 시나리오 및 부문별 응용정보 산출 |
|||
기후변화 시나리오 웹 서비스 운영 결과보고 |
□ 수혜자 및 이해관계집단
ㅇ (수혜자)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하는 각 부처 및 지자체 등과 과학정보를 활용하여 관련 연구를 수행하는 대학 및 연구기관
- 국가 기후변화 7개 분야(건강, 재난/재해, 농업, 산림, 해양/수산업, 물관리, 생태계) 적응대책을 지원하는 과학정보 필요성 강조
ㅇ (이해관계집단) 온실가스 감축 및 기후변화 대응 관련 기업
- 56 -
□ 기대효과
ㅇ 국가표준 시나리오에 따른 상세 전망정보 제공을 통해 기후변화적응 분야 및 지자체의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정책 수립에 기여
ㅇ 관련부처 및 지자체와의 적극적 소통을 통해 표준화된 시나리오 공유로 중복투자 방지 및 대책의 일관성 확보
□ 관련 재정사업 내역
회계구분 |
’11 |
’12 |
||
기후변화 과학정보 생산 및 서비스 (Ⅱ- 1- 재정①) |
||||
① 기상 See- At 기술개발(R&D)(3138) |
일반회계 |
65 |
71 |
|
(185) |
(206) |
|||
▪기후변화 감시‧예측 및 국가정책지원강화(303) |
65 |
71 |
□ 성과지표 및 측정방법
성과지표 |
실적 및 목표치 |
’12년 목표치 산출근거 |
측정산식 (또는 측정방법) |
자료수집 방법 (또는 자료출처) |
|||||||||||||||||||||||||||||||||||
’09 |
’10 |
’11 |
’12 |
||||||||||||||||||||||||||||||||||||
기후변화 시나리오 활용률(%) |
- |
- |
- |
32.5 |
○활용정보 생산은 RCP 남한상세(1km 이하) 시나리오 기준
*IPCC 및 국립기상연구소 시나리오 개발일정에 따라 산출 ○적응정책 적용 중 - 환경부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계획(2011- 2015)’에 따라 수립된 지자체 세부시행계획 수 - 2012년 정책수립예정인 16개 광역지자체 중 6개 기관에서 활용을 목표. 매년 10%씩 증가 *현재 지자체는 국립환경과학원 시나리오 활용중 - 시나리오 반영 정책 수는 기상청 제공 명시 및 시나리오 분석결과가 적응정책과 연계된 정책 수 |
○활용률 =(활용정보 생산)×0.5 +(적응정책 적용)× 0.5
①활용정보 생산(%) =
②적응정책 적용(%) =
|
관련 문서 |
- 57 -
기후변화 시나리오 생산 역량 강화(Ⅰ- 2- ④)
□ 추진배경(목적)
ㅇ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10년) 제40조(기후변화대응기본계획) 이행 및 ‘녹색성장 국가전략 및 5개년 계획(’09년)‘ 수행을 통해 국가차원 대책 수립에 필요한 기후변화 시나리오 생산 및 예측기술과 탄소추적시스템 개발 수행
ㅇ 또한 기상법 제6장(기후) 제20조(기후감시 등을 위한 노력의무), 제21조(기후감시 및 영향조사 등) 등 기후관련 법령 근거에 의해 기후변화 예측정보 생산기술 개발 필요
ㅇ 우리나라는 기후변화협약 가입국('94.3.1)으로서 지역 기후변화 과학연구 및 영향평가 연구수행의 의무사항과 함께 교토의정서 제10조에 의거 당사자의 공약이행을 통한 활동 수행이 필요
□ 주요내용 및 추진계획
ㅇ IPCC AR5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 및 분석
- 대표농도경로(RCP*) 4종(RCP4.5/8.5/2.6/6.0)에 따른 전지구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5월)/한반도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 (9월)
* RCP(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 IPCC 5차 평가보고서(AR5)를 위하여 기후변화 전문가들이 권장하는 온실가스 대표농도경로
- 관측/시나리오 자료를 활용한 전지구/한반도 기후변화 특성 분석(12월)
ㅇ IPCC AR6 대비를 위한 지구시스템모델 개발
- 해양산성화 정보 산출을 위한 기반 구성(6월)
- 아시아 지역기후모의향상을 위한 에어러솔 및 지면과정 개선(12월)
- 58 -
ㅇ 기후변화 대응 지원을 위한 탄소추적시스템 개발(10월)
- 탄소추적시스템 운영과 2000- 2010 이산화탄소 배출‧흡수정보 산출
- 아시아 연안의 초기 대기- 해양 CO2 분압 산출과 민감도 실험
ㅇ 단기 기후변화 전망 산출을 위한 기반 구축
- 결합모델 기반 저해상도 장기예측시스템(~135 km) 현업부서 이전(3월)
- 한·영 공동연구 강화를 통한 영국 기상청 고해상도 계절예측시스템 도입 및 관련 기술 습득(7월)
- 한·영 공동 고해상도(~60km) 장기예측시스템 구축 (9월)
< ’12년도 과제추진 계획 >
구 분 |
추진계획 |
세부일정 |
비 고 |
1/4분기 |
RCP 2.6/RCP6.0에 대한 전지구 미래 기후변화 전망 산출 |
'12.1월 |
|
에어러솔 불확실성 평가를 위한 앙상블 자료 생산 |
'12.2월 |
||
결합모델 기반 저해상도 장기예측시스템(~135 km) 현업부서 이전 |
'12.3월 |
||
2/4분기 |
RCP 4종에 대한 전지구 기후변화 시나리오 앙상블 실험 수행 |
'12.5월 |
|
해양 산성화 정보 산출 기반 구성 |
‘12.6월 |
||
3/4분기 |
영국기상청 고해상도 계절예측시스템 도입 및 관련 기술습득 |
'12.7월 |
|
국립기상연구소- 해양연구원 기후공동 워크숍 개최 |
'12.8월 |
||
RCP 4종에 대한 한반도 기후변화 전망 산출 |
‘12.9월 |
||
고해상도 장기예측시스템 최적화 및 한영 공동 계절예측시스템 구축기반 마련 |
|||
한영 공동 고해상도 장기예측시스템 구축 |
|||
4/4분기 |
기후분야 공동협력을 위한 한영업무회의 개최 |
'12.10월 |
|
기후변화 대응 지원을 위한 탄소추적시스템 개발 |
|||
RCP 4종에 대한 기후변화 시나리오 보고서 작성 |
'12.12월 |
||
지구시스템모델 지면과정 개선을 통한 모의성능 향상 평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