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실명제 사업관리이력서
등록번호 |
2013- 10 |
담당부서 작성자 |
(기후과학국/기후예측과) (박수희/02- 2181- 0473) |
정 책 명 |
이상기후 대응을 위한 장기예보 서비스 체계 구축 |
||
사업개요 |
□ 추진배경 ○ 이상기후로 인한 사회‧경제적 피해 최소화 및 장기예보 서비스 요구 증가로 체계적 이상기후 대응을 위한 선진 장기예보 서비스 체계 구축 -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하면 앞으로 기후변동성이 증가하여 이상기후는 더 자주, 더 강하게 발생할 것으로 예상 - 경제 규모의 성장 및 국민 삶의 질 향상에 따라 이상기후에 의한 피해 규모 증가 추세이므로 보다 자세하고 정확한 기후예측 정보 제공 시급 - 제58차 대통령 라디오‧인터넷 연설(2011.2.7)을 통해, 가까운 장래의 이상기후 출현에 대비한 기상청의 새로운 서비스 체계 구축 시급 강조 - 대통령 공약사항 : [157 : 기후변화에 적극 대처하고 지구환경 문제를 선도(2012년)]를 실천하기 위한 이상기후 대응 선진 장기예보 서비스 체계 구축 필요 ○ 추진기간 : 2012년 ~ 계속 ○ 사 업 비 : 3,859백만원 ○ 주요내용 - 이상기후 대응을 위한 장기예보 서비스 체계 구축을 위한 3분야 세부사업으로 구성 ‧ 선진 장기예보 생산 및 제공 서비스(2012년) ‧ 이상기후 조기탐지 및 조기경보 제공 서비스(2014년) ‧ 수요자 맞춤형 장기예보 정보 생산 및 전달 서비스(2016년 이후) |
||
추진경과 및 사업관련자 |
□ 추진경과 ○ 2011. 3.28 : 녹색위와의 이상기후예측 및 대응역량강화 사업계획 회의 계획(안) 수립 ○ 2012. 2.29 : 한영 공동계절예측시스템을 이용한 이상기후 확률예보 시스템 구축 사업 계약 체결 ○ 2012. 6.25 : 기후예측모델의 중장기 로드맵 작성 사업 계약 체결 ○ 2012. 9.5~7 : 제1회 학연관 기후예측기술 교류 워크숍 개최 ○ 2012. 9.28 : 저해상도 한영 공동계절예측시스템 구축 기반 마련 |
- 1 -
추진경과 및 사업관련자 |
○ 2012.11.14~15 : 제3차 한영조정위원회 개최 ○ 2012.12.27 : 저해상도 한영 공동계절예측시스템 구축 시험운영 ○ 2013. 1.18 : 2012년 이상기후 보고서 발간 ○ 2013. 3. 6 : 지역 장기예보 정보 생산시스템 구축 사업 계약 체결 ○ 2013. 3.14 : 고해상도 장기확률예보 생산시스템 및 상세 통계예측모델 구축 사업 계약 체결 ○ 2013. 4.22 : 확률장기예보 서비스 추진 계획(안) 보고 ○ 2013. 5.31 : 고해상도 한영 공동계절예측시스템 운영을 위한 고해상도 대기- 해양결합모델 구축 ○ 2013. 6.25 : 확률장기예보 서비스 체계 개발 ○ 2012. 9. 6~7 : 제2회 학‧연‧관 기후예측기술 교류 워크숍 개최 ○ 2013. 9.30 : 고해상도 한영 공동계절예측모델 시험운영 ○ 2013.10.21~25 : 제4차 한영조정위원회 회의 참석 ○ 2013.12.26 : 이상기후 확률예보생산시스템 구축 완료 ○ 2014. 1. 1 : 고해상도 한영 공동계절예측시스템 기후예측모델 및 상세 통계예측모델 현업 운영 ○ 2014. 2.10 : 지역 장기예보 생산시스템 구축 사업 계약 체결 ○ 2014. 2.24 : 기후예측모델 현업 운영 시스템 개선 사업 계약 체결 ○ 2014. 4.25 : 장기예보 가이던스 개발 사업 계약 체결 ○ 2014. 5. 2 : 이상기후 발생현황 조사 및 조기경보 체계 설계 사업 계약 체결 ○ 2014. 5.21 : 확률장기예보 서비스 시행
|
추진경과 및 사업관련자 |
○ 최초 입안자 및 최종 결재자 - 최초 입안자 : 기상연구관 김지영 - 최종 결재자 : 기후과학국장 유희동 ○ 사업 관련자
|
|||||||||||||||||||||||||||||||||||||||||||||||||||||||||||||||||||||||||||||
다른 기관 및 민간인 관련자 |
○ 사업자
|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