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지 제3호서식]
정책실명제 사업관리이력서
정책실명제 등록번호 |
2013- 03 |
담당부서 작성자 |
(지진화산관리관실 / 지진화산정책과) (김재영/02- 2181- 0767 /kjycurtin@korea.kr) |
|||||||||||||||||||||||||||||||||||||||||||||||||||||||||||||||||||||||||||||||||||||||||||||||||||||||
정 책 명 |
지진조기경보시스템 구축 운영 |
|||||||||||||||||||||||||||||||||||||||||||||||||||||||||||||||||||||||||||||||||||||||||||||||||||||||||
사업개요 및 추진경과 |
○ 추진배경 및 목적 - 전 세계적으로 지진ㆍ지진해일에 의한 재해 규모의 대형화와 최근 국내지진 발생 증가로 국민 불안감 증대 - 지진정보 전달시간의 획기적인 단축을 위한 국가 지진조기경보체제 구축 필요 - 대국민 지진조기경보서비스를 위한 지진조기경보체제 구축 및 지진관측자료의 범국가적 공동 활용을 위한 국가지진자료 공유체계 구축 ○ 추진기간 : 2011 ∼ 계속 ○ 총사업비 : 계속사업(‘14년까지 투입액 512억) ○ 주요내용 (지진조기분석시스템) : 지진조기분석 알고리즘 개발 및 현업 운영을 위한 시스템 구축 - 한국형 지진 조기분석 알고리즘 개발 - 지진요소 결정 개선을 위한 해외 지진조기분석 알고리즘 추가 - 지진이벤트 결정 알고리즘 적용 및 국외지진 필터링 개발 - 지진조기경보시스템 현업화 및 통합모니터링 개발 (지진조기경보 전용 통보시스템) : 대국민 지진조기경보서비스를 위한 전용 통보시스템 개발 - 지진조기분석시스템과 연동된 전용 통보시스템 구축 - 유관기관 재난경보시스템과 연계체계 구축 및 지진조기경보 표준 메시지 변환 모듈 개발 - 수요자별 신속한 지진조기경보 전달을 위한 전달매체 다양화 (국가지진종합정보시스템) : 체계적인 국가 지진관측망 관리 및 지진자료 활용을 위한 종합지진정보시스템 개발 - 국가지진자료 공유체계 구축, 지진정보 통합관리체계 구축 - 지진관측소 및 지진자료 데이터베이스(DB) 구축 - 국가지진통합관측망 등 유관기관 관측자료 연계 - 지진기술개발 및 산업지원을 위한 웹서비스 제공 (지진조기경보 관측망 구축) : 최초 지진관측이 5초 이내에 가능하도록 ‘20년까지 18km 격자망의 총 314소 지진관측망 구축 * 총 414개소=기상청 264개소+유관기관 50개소 ○ 추진경과 - 2009.08.06 : 지진조기경보체제 구축을 위한 국가지진 대응체계 고도화 기본계획 수립 - 2011.01.27 : 2011년도 지진관측망 보강 사업계획 수립 - 2011.02.10 : 지진조기경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1단계 사업추진계획 수립 - 2011.06.15 : 지진조기경보체제 구축의 전체사업규모 조정 계획 수립 - 2011.12.02 : 2011년 지진연구용역과제 최종보고회 - 2011.12.06 : 2011년 지진조기경보 구축 추진 평가결과 보고 - 2011.12.29 : 2012년도 지진관측망 보강 사업계획 수립 - 2012.01.11 : 지진조기경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2단계 사업추진계획 수립 - 2012.06.21 :「지진조기경보 전용 통보시스템 설계」 자문회의 - 2012.08.17 : 지진조기경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2단계 사업추진계획 수립 - 2012.11.27 : 2012년 지진연구용역사업 최종보고회 및 평가회의 - 2012.11.28 :「지진조기경보 전용 통보시스템 설계」 최종보고회 - 2012.12.11 : 2013년 국가지진조기경보시스템 구축 사업 계획수립 - 2013.01.03 : 2013년도 지진조기경보 관측망 확충 사업계획 수립 - 2013.02.07 : 2012년도 지진조기경보 관측망 확충사업 완료 보고 - 2013.02.25 : 2013년 지진조기경보체계 구축사업 통합감리 용역 사업계획 수립 - 2013.04.15 :「국가지진종합정보시스템」착수보고회 및 자문회의 - 2013.05.01 : 국가지진종합정보 웹서비스 시행 - 2013.06.11 :「지진조기경보 전용 통보시스템 개발 및 구축」 자문회의 - 2013.07.16 :「지진조기분석 전용 통보시스템」사업 중간보고회 및 전문가 자문회의 - 2013.08.08 : 2013년 지진조기경보체계 구축사업 중간보고회 및 전문가 자문회의 - 2013.10.28 :「지진조기분석 전용 통보시스템」전문가 자문회의 - 2013.11.21, 29 : 2013년 지진조기경보체계 구축사업 최종보고회 및 평가회의 - 2013.12.20 : 2013년 지진조기경보체계 구축사업 완료 - 2013.12.27 : 2014년 국가지진조기경보시스템 구축 사업 계획수립 - 2014.01.13 : 2014년 「지진조기경보 관측망 확충 및 교체사업」계획 수립 - 2014.01.21 : 「지진·지진해일·화산의 관측 및 경보에 관한 법률」제정·공포 - 2014.02.28 : 「지진조기경보 관측망 확충 및 교체사업」 전문가 자문회의 - 2014.04.30 : 「지진조기분석 전용 통보시스템」 연계확대를 위한 관계기관 의견조회 - 2014.04.18 : 지진종합정보 웹서비스 사용자 확대 (지진 전문가 → 관‧학‧산‧연 관계자) - 2014.05.09 : 「지진·지진해일·화산의 관측 및 경보에 관한 법률」하위법령 공청회 개최 - 2014.05.26 :「지진조기분석‧통보시스템 통합구축」사업 계약 체결 - 2014.05.29 :「지진조기분석‧통보시스템 통합구축」사업 착수보고회 및 전문가 자문회의 개최 - 2014.07.29 : 2014년도 지진관측장비 설치용 시추공사 심의회의 - 2014.08.5∼15 : 「지진·지진해일·화산의 관측 및 경보에 관한 법률 시행령 및 시행규칙」제정안 부처 의견조회 - 2014.08.21∼09.30 : 「지진·지진해일·화산의 관측 및 경보에 관한 법률 시행령 및 시행규칙」 제정안 입법예고 - 2014.09.17 : 언론인 대상 「지진조기경보」 강좌 - 2014.09.18~19 : 「지진조기분석‧통보시스템 통합구축」사업 중간보고회 및 전문가 자문회의 - 2014.10.24∼31 : 「지진·지진해일·화산의 관측 및 경보에 관한 법률 시행령 및 시행규칙」제정안 규제심사 - 2014.11.04 : 「국가지진종합정보시스템 3차년도 구축」사업 착수보고회 - 2014.11.21 : 「지진·지진해일·화산의 관측 및 경보에 관한 법률 시행령 및 시행규칙」제정안 법제처 심사의뢰 - 2014.11.26 : 지진조기경보 운영을 위한 유관기관 실무협의회 - 2014.11.28 : 「지진조기분석‧통보시스템 통합구축」사업 최종보고회 및 전문가 자문회의 - 2014.12.22 : 「지진‧지진해일‧화산 요소별 관측방법」고시 제정 - 2015.01.22 :「지진·지진해일·화산의 관측 및 경보에 관한 법률」 및 1단계 지진조기경보서비스 시행 - 2015.01.26 : 2015년도 지진조기경보 관측망 확충 및 교체사업 세부추진 계획 수립 - 2015.02.05 :「국가지진종합정보시스템 3차년도 구축」사업 중간보고회 - 2015.03.16~17 : 지진조기경보 관측망 확충 및 교체 합동워크숍 - 2015.04.16 : 「국가지진종합정보시스템 3차년도 구축」최종보고회 및 NECIS 사용자 워크숍 - 2015.05.06 : 「지진조기경보 서비스 기능 고도화」사업 착수보고회 - 2015.05.29 : 지진조기경보 발전 포럼 개최 - 2015.06.16 : 지진관측장비 설치용 시추공사 최종보고회 |
|||||||||||||||||||||||||||||||||||||||||||||||||||||||||||||||||||||||||||||||||||||||||||||||||||||||||
정책수행자 (관련자 및 업무분담 내용) |
○ 최초 입안자 및 최종 결재자 - 최초 입안자 : 기상연구관 황의홍 - 최종 결재자 : 기상청장 전병성 ○ 사업 관련자
|
|||||||||||||||||||||||||||||||||||||||||||||||||||||||||||||||||||||||||||||||||||||||||||||||||||||||||
다른기관 또는 민간인 관련자 |
○ 사업자 : (주)희송지오텍, 케이아이티밸리(주), 대영유비텍(주), (주)세이프코리아, AKGC, ㈜코리아이엠티, ㈜지디엔, (주)넥스지오 ○ 관련기관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