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실명제 사업관리이력서
등록번호 |
2015- 1 |
담당부서 작성자 |
(기후과학국/기후정책과) (김경하/02- 2181- 0455) |
||||||||||||||||||||||||||||||||||||||||||||||||||||||||||||||||||||||||||||||||||||||||||
정 책 명 |
지역기후서비스 |
||||||||||||||||||||||||||||||||||||||||||||||||||||||||||||||||||||||||||||||||||||||||||||
사업개요 |
○ 추진배경 - 정부부처와 지자체 기후변화 적응·대응 정책 수립 지원 및 지역별, 부문별 기후변화 영향, 취약성 평가에 필요한 상세 기후변화 전망자료 제공 요구 - 지역별 수요자 맞춤형 기후정보를 생산하고 정보 활용의 편리성 및 활용성 제고 ○ 추진기간 : 2011년 ~ 계속 ○ 사업비 : 99.5억원 ○ 주요내용 - 기후변화대응 정책 지원 기반 강화 ‧ 지역별 기후변화 감시, 기후에 관한 영향조사 및 변화추세 분석 ‧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활용한 국가 기후변화 적응 정책 지원 강화 - 수요자 맞춤형 기후과학정보 서비스 증대 ‧ 부문별·지역별 기후변화 활용정보 생산 ‧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계절기상정보 서비스 고도화 - 지역 기후변화 과학의 이해확산과 소통 ‧ 기후변화과학 이해 저변 확대를 위한 참여형 프로그램 운영 - 지역기상담당관제 운영 효율화 |
||||||||||||||||||||||||||||||||||||||||||||||||||||||||||||||||||||||||||||||||||||||||||||
추진경과 및 사업관련자 |
□ 추진경과 ○ 2010.5.~12.: 지역별 기후업무 활성화를 위한 사업 발굴 추진 ○ 2011년: 지역 기후변화과학 서비스 신규사업 추진(19억원) - 지역기후변화보고서(11권)와 종합본인 한국기후변화백서 발간 - 지역산업 특성을 반영한 제주감귤 산업 등 15개 지역기후변화 적응사업추진 - 지역맞춤형 기후서비스 강화를 위한 지역 계절기상정보확대 ○ 2012년: 지역기후서비스 2년차 사업 추진(19억원) - 지자체 정책수립 지원을 위한‘종합‧지역별 미래기후변화 전망보고서’(10권) 발간·제공 - 지자체 정책수립 지원을 위한 기후변화 상세분석정보 생산 및 제공(16개 기초지자체) - 지역별 기후변화 특성에 맞는 지역 특화사업 추진(기장미역 등 12개 사업) - 지역기후변화과학의 인식과 이해 확산을 위한 홍보 및 지역별, 대상별 참여프로그램 운영 ○ 2013년: 지역기후서비스 3년차 사업 추진(18.8억원) - 지자체 정책수립 지원을 위한 기후변화 상세분석정보 생산 및 제공(18개 기초지자체) - 지역 주력산업의 발전기반 조성을 위한 지역산업 맞춤형 기후정보서비스 추진(강화순무, 강원씨감자 등 12개 사업) - 지역기후변화과학의 인식과 이해 확산을 위한 홍보 및 지역별, 대상별 참여프로그램 운영 ○ 2014년: 지역기후서비스 4년차 사업 추진(21.4억원) - 지자체 정책수립 지원을 위한 기후변화 상세분석정보 생산 및 제공(65개 기초지자체) - 지역 주력산업의 발전기반 조성을 위한 지역산업 맞춤형 기후정보서비스 추진(항만열환경정보, 전력지원 등 14개 사업) - 지역기후변화과학의 인식과 이해 확산을 위한 홍보 및 지역별, 대상별 참여프로그램 운영 ○ 2015년: 지역기후서비스 5년차 사업 추진(21.3억원) - 지자체 정책수립 지원을 위한 기후변화 상세분석정보 생산 및 제공(67개 기초지자체) - 지역 맞춤형 기상정보 활용서비스 추진(강원 산림 경영 등 14개 사업) - 지역기후변화과학의 인식과 이해 확산을 위한 홍보 및 지역별, 대상별 참여프로그램 운영 □ 사업관련자
|
||||||||||||||||||||||||||||||||||||||||||||||||||||||||||||||||||||||||||||||||||||||||||||
추진실적 |
○ 2011년 : 지역 기후변화과학 서비스 사업 추진(19억원) - 지역기후변화보고서(11권)와 종합본인 한국기후변화백서 발간(12월) - 지역 주력산업에 대한 맞춤형 기상정보 생산 및 시범서비스(15개 사업) - 「기후변화와 지역경제」 포럼, 워크숍, 간담회 등 주제별, 대상별 소통 확산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 및 수요자, 지역민에게 이해확산 강화 - 「지역기후변화센터」‧「다학제 인적 네트워크」 운영 - 「지역기후변화 교육‧홍보 강사단(50인)」구성‧운영 - 지역별 기후변화대응서비스를 위한 지역별, 대상별 교육 실시 ○ 2012년 : 지역 기후정보 생산 및 활용 2년차 사업 추진(19억원) - 지자체 정책수립 지원을 위한 ‘종합‧지역별 미래기후변화 전망보고서’(10권) 발간 - 지역 주력산업에 대한 맞춤형 기상정보 생산 및 시범서비스(12개 사업) - 지역기후변화과학의 인식과 이해 확산(기후변화대응교육 및 포럼, 워크숍, 간담회 등 주제별‧대상별‧지역별 프로그램 연중 운영) ※「지역기후변화 교육‧홍보 강사단」구성‧운영(‘12년 4~12월, 99인) ○ 2013년 : 지역 기후정보 생산 및 활용 3년차 사업 추진(18.8억원) - 지자체 정책수립 지원을 위한 기후변화 상세분석정보 생산 및 제공(18개 기초지자체) - 지역 주력산업에 대한 맞춤형 기상정보 생산 및 시범서비스(12개 사업) - 지역기후변화과학의 인식과 기후변화과학정보의 이해 확산을 위한 워크숍·간담회 및 지역별, 대상별 참여프로그램 운영 ※「지역기후변화 교육‧홍보 강사단」구성‧확대운영(‘13년 4~12월, 106인, 190회 교육) ○ 2014년 : 지역 기후정보 생산 및 활용 4년차 사업 추진(21.3억원) - 지자체 정책수립 지원을 위한 기후변화 상세분석정보 생산 및 제공(65개 기초지자체) - 지역 주력산업에 대한 맞춤형 기상정보 생산 및 시범서비스(14개 사업) - 지역기후변화과학의 인식과 기후변화과학정보의 이해 확산을 위한 워크숍·간담회 및 지역별, 대상별 참여프로그램 운영 ※「지역기후변화 홍보 강사단」구성‧운영(‘14년 4~12월, 97인, 157회 교육) ○ 2015년: 지역기후서비스 5년차 사업 추진(21.3억원) - 지자체 정책수립 지원을 위한 기후변화 상세분석정보 생산 및 제공 사업 조달 발주 및 계약 - 지역기후변화과학의 인식과 이해 확산을 위한 홍보 및 지역별, 대상별 참여프로그램 운영 사업 추진 ‧ 홍보 강사단, 대학생 홍보단 등 이해확산 기본계획 수립 및 사업 조달 발주 ○ 지역기상담당관 운영 추진 경위 - 지역기상담당관 운영 계획 수립(’11.6.30) 및 시‧군 대상 시범 운영(’11.7.1~’12.3.31) - 전국 지자체 181개 대상 확대 운영(’12.4.1~’13.8.20) - 지역기상담당관제 활성화 계획(’13.8.21~현재) ※183개 지자체와 기상관서 1:1맞춤형 서비스 지원 |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