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실명제 사업관리이력서


등록번호

2013- 05

담당부서

작성자

(수치모델관리관실/

수치모델개발과)

(박근선/02- 2181- 0534)

정 책 명

한국형수치예보모델 개발

사업개요 

○ 추진배경

-  수치예보모델은 기상예측을 위한 가장 중요한 소프트웨어이나,현재는 외국의 모델을 활용하고 있는 상황임.

‧ 우리나라는 전지구 영역의 단・중기 예보지원을 위하여 일본기상청으로부터 도입한 수치예보모델을 10여년(97~10)간 활용 후 현재 영국 기상청으로부터 도입한 수치예보모델을 라이선스 계약 하에 사용 중

-  기존 수치예보모델의 한계를 극복하는 첨단 기술의 적용과 최근 점차 잦아지고 있는 기상이변 등 변동성 증가를 반영한 선도적인 수치예보모델 개발 필요

* 사업목적 : 기상재해 피해 경감 및 수치예보분야 글로벌경쟁력 확보를 위하여독자적 수치예보기술 확보 및 단・중기 기상예측용 소프트웨어(한국형수치예보모델) 개발

○ 추진기간 : 2011.2.15. ~ 2019.12.31.

○ 사업비 : 94,684백만원(KDI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 주요내용

-  총 9년간 3단계(단계별 3년)로 한국형수치예보모델 개발

-  1단계(11년~13년)

‧ 한국형수치예보모델 설계

‧ 한국형수치예보모델의 핵심분야 기초기술 연구개발

‧ 사업단 설립 및 연구기반 구축(전문인력 확보 포함)

-  2단계(14년~16년)

‧ 수치예보모델 핵심 부품인 역학코어, 물리모수화, 자료동화모듈 완성

‧ 개발된 핵심 부품의 결합을 통한 한국형수치예보모델 시험버전 개발

‧ 한국형수치예보모델 시험버전의 수치실험 및 성능검증

-  3단계(17년~19년)

‧ 한국형수치예보모델 시험버전 개선 및 최적화로 현업버전개발

‧ 현업 요구조건 충족 및 완결성 제고를 위한 테스트베드 확대 운영

‧ 한국형수치예보모델의 효율적 운영 및 응용을 위한 후처리개발


< 한국형수치예보모델의 개발 사업추진 전략 >


-  1단계(‘11~‘13) 기반구축 및 기초기술 개발

-  2단계(‘14~‘16) 시험모델 개발

-  3단계(‘17~‘19) 현업모델 개발

 


추진경과 및 사업관련자


□ 추진경과

○ 2009.1. : 기상예보 정확도 제고 실천계획

-  국내 독자적인 수치예보모델 개발을 3단계로 추진

○ 2010.3. : 2010년 상반기 예비타당성 심사 대상사업 선정 

○ 2010.3.~8. : 독자수치모델 개발을 위한 상세 기획 연구 수행

○ 2010.9. : 기획재정부 2010년도 예비타당성조사 심사 통과

○ 2011.1.~2. : 한국형수치예보모델개발사업 준비단 운영

○ 2011.2.15. : 한국형수치예보모델개발사업단 설립

○ 2011~2013 : 한국형수치예보모델개발사업 1단계 사업 추진

○ 2014~2016 : 한국형수치예보모델개발사업 2단계 사업 추진

-  15년 현재 총 9년 연구개발 기간 중 5차년도(2단계) 연구개발 사업 추진 중

○ 2015.1 : 기타공공기관 지정


□ 사업관련자

○ 최초 입안자 및 최종 결재자

-  최초 입안자 : 기상사무관 박경진

-  최종 결재자 : 기상청장 전병성

○ 사업관련자

구분

성명

직급

수행기간

담당업무

(업무분담 내용)

청장

고윤화

청장

‘13.9.26~현재

기상청 업무 총괄

차장

정홍상

차장

‘14.5.14~현재

기상청 업무 부총괄

과장

김동준

4급

‘15.1.22~현재

수치모델개발과 총괄

담당

방소영

연구관

‘15.1.22~현재

한국형수치예보모델 개발 지원

담당

최우예

6급

‘11.1.11~현재

한국형수치예보모델 개발사업단 업무 및 평가 지원

담당

박근선

6급

‘15.1.22~현재


<한국형수치예보모델개발사업단>

구분

성명

직급

수행기간

담당업무

(업무분담 내용)

단장

홍○○

사업단장

14.3.~현재

‧ 사업단 운영 총괄

본부장

황○○

책임급연구원

14.4.~현재

‧ 연구‧개발 총괄

본부장

권○○

책임급연구원

14.9~현재

‧ 예보시스템 총괄

팀장

이○○

책임급연구원

12.4~현재

‧ 수치모델팀 총괄

팀장

김○○

선임급연구원

12.3~현재

‧ 체계구축팀 총괄

팀장

설○○

선임급연구원

12.12~현재

‧ 예보검증팀 총괄

팀장

김○○

책임급연구원

15.4~현재

‧ 전산운영팀 총괄

팀원

진○○

책임급연구원

11.8~현재

‧ 응용분석 연구개발

팀원

신○○

책임급연구원

12.11~현재

‧ 자료동화 연구개발

팀원

오○○

책임급연구원

11.4~현재

‧ 체계구축 연구개발

팀원

정○○

책임급연구원

13.3~현재

‧ 응용분석 연구개발

팀원

김○○

선임급연구원

11.6~현재

‧ 응용분석 연구개발

팀원

김○○

선임급연구원

11.5~현재

‧ 체계구축 연구개발

팀원

최○○

선임급연구원

12.3~현재

‧ 수치모델 연구개발

팀원

이○○

선임급연구원

12.4~현재

‧ 수치모델 연구개발

팀원

강○○

선임급연구원

12.4~현재

‧ 자료동화 연구개발

팀원

김○○

선임급연구원

12.4~현재

‧ 응용분석 연구개발

팀원

강○○

선임급연구원

12.5~현재

‧ 응용분석 연구개발

팀원

배○○

선임급연구원

12.5~현재

‧ 수치모델 연구개발

팀원

연○○

선임급연구원

14.9~현재

‧ 예보검증 연구개발

팀원

이○○

선임급연구원

12.5~현재

‧ 예보검증 연구개발

팀원

전○○

선임급연구원

12.5~현재

‧ 체계구축 연구개발

팀원

한○○

선임급연구원

12.5~현재

‧ 응용분석 연구개발

팀원

채○○

선임급연구원

12.6~현재

‧ 수치모델 연구개발

팀원

최○○

선임급연구원

12.6~현재

‧ 수치모델 연구개발

팀원

김○○

선임급연구원

12.9~현재

‧ 전산운영 지원

팀원

강○○

선임급연구원

13.1~현재

‧ 자료동화 연구개발

팀원

최○○

선임급연구원

12.12~현재

‧ 응용분석 연구개발

팀원

전○○

선임급연구원

12.12~현재

‧ 자료동화 연구개발

팀원

이○○

선임급연구원

13.4~현재

‧ 수치모델 연구개발

팀원

권○○

선임급연구원

13.6~현재

‧ 자료동화 연구개발

팀원

이○○

선임급연구원

13.7~현재

‧ 예보검증 연구개발

팀원

남○○

선임급연구원

13.7~현재

‧ 응용분석 연구개발

팀원

하○○

선임급연구원

13.9~현재

‧ 자료동화 연구개발

팀원

구○○

선임급연구원

14.2~현재

‧ 수치모델 연구개발

팀원

박○○

선임급연구원

14.9~현재

‧ 수치모델 연구개발

팀원

성○○

선임급연구원

15.3~현재

‧ 체계구축 연구개발

팀원

백○○

선임급연구원

15.4~현재

‧ 예보검증 연구개발

실원

김○○

선임급행정원

15.6~현재

‧ 연구지원 업무

팀원

백○○

원급연구원

12.3~현재

‧ 전산운영 지원

팀원

조○○

원급연구원

12.4~현재

‧ 예보검증 연구개발

팀원

조○○

원급연구원

12.4~현재

‧ 자료동화 연구개발

팀원

정○○

원급연구원

12.9~현재

‧ 전산운영 지원

팀원

박○○

원급연구원

12.9~현재

‧ 수치모델 연구개발

팀원

이○○

원급연구원

12.11~현재

‧ 예보검증 연구개발

팀원

이○○

원급연구원

13.7~현재

‧ 체계구축 연구개발

팀원

한○○

원급연구원

14.1~현재

‧ 자료동화 연구개발

팀원

장○○

원급연구원

14.9~현재

‧ 예보검증 연구개발

팀원

박○○

원급연구원

15.3~현재

‧ 체계구축 연구개발

팀원

임○○

원급연구원

15.3~현재

‧ 예보검증 연구개발

실원

이○○

원급행정원

11.4~현재

‧ 연구지원 업무

실원

박○○

원급행정원

12.5~현재

‧ 연구지원 업무

실원

이○○

원급행정원

13.2~현재

‧ 연구지원 업무



추진실적

(1사분기)

○ 한국형수치예보모델개발사업 2014년 연구개발성과 (1/4분기)

- 수치예보모델 역학모듈 개발

⦁정역학 코어의 시간이산화 기법 개선

⦁비정역학 코어 모듈 개발 및 사례 실험

⦁연직 라그랑지안 이류 방안 장착

- 수치예보모델의 물리과정 모수화 개발

⦁구름 예단 모수화 코드 개발 

⦁구름물리 모수화의 구름유효반경 계산식 개발

⦁개발된 아격자 산악 모수화의 예측 검증

⦁개발된 경계층 Top- dowm mixing 모수화 방안의 예측 검증

⦁구름물리 모수화의 영향을 복사과정 모수화에 적용

- 관측자료 전처리 및 자료동화 개발

⦁KPOP 지상, Sonde, 항공자료에 ODB 입력 모듈 접합

⦁3DVAR의 2013년 7월 사례 싸이클 시험 수행

⦁KIM- LETKF 연동 시스템에 실측 존데 자료동화 테스트

- 시스템모듈 개발

⦁시험모델의 입출력 인터페이스 개선

⦁V- GECoRe를 이용한 육면체구 격자 지형자료 생성

⦁프레임워크에 연직 격자 생성 모듈 장착

⦁연직 내삽 및 초기장 생성 도구 검증 및 장착

⦁라그랑지 고차 내삽을 위한 육면체구 격자 정보 생성

- 전문가 초청 세미나 6회 개최

- 수치예보모델개발을 위한 2015 제1차 워크숍(총1회) 개최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