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실명제 중점관리 대상사업 사업내역서
①사업부서 |
기후변화감시과 |
②담당자 (전화번호) |
기술서기관 권오웅 (02- 2181- 0641) 기상연구관 이철규 (02- 2181- 0642) |
③정책사업명 |
선진 기후변화관측망 구축 및 운영 |
||
④선정기준 |
국정현안에 관한 사업 |
⑤사업기간 |
1992년 ~ 계속 |
⑥주요내용 |
○ 목적 - 한반도 기후변화감시망의 효율적·체계적 운영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전략 수립을 위한 고품질의 과학적 기초자료 생산 - 기후변화감시정보의 생산·제공·활용을 위한 기반기술 개발 강화 ○ 사업내용 - 안면도, 고산, 울릉도독도 기후변화감시소를 중심으로 한반도 기후변화감시망 확충·보강 및 안정적 운영 - 한반도 기후변화감시망 확보 및 운영을 위한 기후변화감시 노후장비 교체 및 신규 요소 감시용 장비 도입 - 기후변화감시 자료의 품질관리 및 입체적 분석·활용 - 온실가스, 에어로졸, 자외선 등 기후변화 및 국민보건에 직결되는 기후변화감시 요소에 대한 대국민 서비스 확충 ○ 주요 추진상황 - 예산 : ’15년까지 기투자액 225.09억원(’16년 238.63억원) - 기후변화감시 기본관측소 3소, 보조관측소 4소, 위탁관측소 6소 운영 ㆍ(기본) 안면도, 고산, 울릉도독도 기후변화감시소 ㆍ(보조) 강원지방기상청(관측과), 대구기상지청 포항관측소, 대구기상지청 울진지역서비스센터, 목포기상대 ㆍ(위탁)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광주과학기술원, 제주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극지연구소(남극세종기지) - 온실가스, 에어로졸, 반응가스, 성층권오존 및 자외선, 대기복사, 강수화학 등 6개 분야의 37개 요소 관측자료 생산 - 국가 기후변화 정책 결정 기초자료의 산출·품질관리 기술 및 활용증대 사업 추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