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실명제 중점관리 대상사업 사업내역서
① 정책사업명 |
빅데이터 기반 기상기후 융합시스템 개선 및 운영 |
|||||||||||||||||||||
② 추진배경 |
- 미래 기상산업 육성과 국민편익 향상을 위한 기상기후 빅데이터 활용의 선순환 생태계 조성과 가치 창출의 기반 확보 요구 증대 - 기상기후 빅데이터의 공공·민간 활용 확대를 위한 분석 플랫폼 마련과 타 분야 융합서비스 제공 필요성 제기 - 생활편의와 관련된 다양한 생활기상서비스 수요 증가 - 취약계층의 건강 보호와 복지 강화를 위한 맞춤형 서비스의 기대수준이 높아짐 |
|||||||||||||||||||||
③ 사업개요 |
○ 목적 - 빅데이터 기반 기상기후 융합시스템의 운영과 기상과 타 분야 융합서비스 개발을 통해 기상 빅데이터의 보편적 활용과 가치 확산에 기여 - 날씨와 국민의 생활ㆍ건강정보를 융합한 생활밀착형 기상정보 개발ㆍ제공으로 취약계층을 포함한 국민의 건강과 안전에 기여 ○ 추진내용 - 빅데이터 기반 기상기후 융합서비스 개발과 개선 - 기상기후 융합시스템 운영과 유지관리 - 날씨 빅데이터 경진대회 운영과 홍보 - 생활기상정보 서비스 개발과 개선 - 생활기상정보 통합관리시스템 운영과 유지관리 ○ 사업비: 계속사업 (단위:백만원)
○ 2021년 추진계획(사업내용) < 빅데이터 > - 빅데이터 기반 기상기후 융합서비스 개발 - 기상기후 융합시스템 기능 개선 - 날씨 빅데이터 콘테스트 개최, 교육 콘텐츠 제작 등 < 생활기상 > - 공공성 높은 생활기상정보와 취약계층 서비스 개선 및 제공 - 생활기상정보 통합관리시스템 기능 개선 |
|||||||||||||||||||||
④ 사업부서 |
기상서비스진흥국 |
⑤ 담당자 |
기술서기관 정성훈 기상사무관 정선애 |
|||||||||||||||||||
⑥ 선정기준 |
대규모 예산 |
⑦ 사업기간 |
2014년~계속 |
|||||||||||||||||||
<그간 주요 추진내용> |
||||||||||||||||||||||
○ 2021년 생활기상정보 서비스 개선 계획 - 서비스 기간 확대 (모레→글피) - 서비스 상세화 (3시간→1시간) - 전달매체 확대 (문자메시지 |
’21.4.23 |
조경숙 과장 임소영 사무관 이호준 주무관 |
||||||||||||||||||||
○ 2021 날씨 빅데이터 콘테스트 운영 계획 수립 |
’21.3.5 |
조경숙 과장 임소영 사무관 박재우 주무관 |
||||||||||||||||||||
○ 보건기상지수 서비스 일원화에 대한 의견조회 |
’21.1.7 |
조경숙 과장 임소영 사무관 황애리 주무관 |
||||||||||||||||||||
○ 2021년 기상융합서비스 개발 결과 보고 - CCTV 영상기반 도로위험기상정보 확대 - 기상 수치모델 Web API 서비스 개발 - 원시자료 품질향상 기술 개발 |
’20.12.30 |
조경숙 과장 허철운 사무관 김양희 주무관 |
||||||||||||||||||||
○ 2021년 생활기상정보 개발 및 서비스 개선 사업계획 |
’20.12.21 |
조경숙 과장 임소영 사무관 황애리 주무관 |
||||||||||||||||||||
○ 2021년 맞춤형 기상기후 빅데이터 서비스 기반 구축 사업계획 |
’20.12.14 |
정관영 국장 조경숙 과장 허철운 사무관 김양희 주무관 |
||||||||||||||||||||
○ 2021년 기상융합서비스 개발·활용 수요조사 알림 |
’20.10.5 |
조경숙 과장 임소영 사무관 김수진 주무관 |
||||||||||||||||||||
○ 생활기상정보(보건기상지수) 서비스 운영 개선 계획 수립 |
’20.9.1 |
조경숙 과장 임소영 사무관 황애리 주무관 |
||||||||||||||||||||
○ 생활기상지수(열지수, 불쾌지수)서비스 종료 계획 |
’20.5.14. |
조경숙 과장 임소영 사무관 황애리 주무관 |
||||||||||||||||||||
○ 폭염특보 기준 개선에 따른 세분화된 체감온도 서비스 운영 계획 |
’20.4.29. |
신언성 과장 임소영 사무관 황애리 주무관 |
||||||||||||||||||||
○ 2020년 날씨마루 활용 활성화 계획 수립 |
’20.4.28. |
신언성 과장 허철운 사무관 윤영준 주무관 |
||||||||||||||||||||
○ 2020 날씨 빅데이터 콘테스트 개최 계획(안) 수립 |
’20.3.18. |
신언성 과장 임소영 사무관 최선영 주무관 |
||||||||||||||||||||
○ 2020년 취약계층 생활기상정보 문자서비스 운영 계획 |
’20.2.21. |
신언성 과장 임소영 사무관 황애리 주무관 |
||||||||||||||||||||
○ 2020년 생활기상정보 개발 및 서비스 개선 사업 계획 |
’20.4.1. |
신언성 과장 임소영 사무관 황애리 주무관 |
||||||||||||||||||||
○ 2020년 생활기상정보 서비스 세부추진계획 |
’20.2.21. |
신언성 과장 이기선 사무관 김수진 주무관 |
||||||||||||||||||||
○ 2020년 맞춤형 기상기후 빅데이터 서비스 기반구축 사업계획(안) 수립 |
’20.1.15. |
신언성 과장 임소영 사무관 윤영준 주무관 |
||||||||||||||||||||
○ 2019년 기상기후 빅데이터 융합서비스 개발 완료 - (교통) 부산시 대중교통 이용분석 - (관광) 맞춤형 관광기후지수 개선 - (활용) 비정형 데이터 분석도구 날씨마루 탑재 |
’19.12.23. |
신언성 과장 임소영 사무관 윤영준 주무관 |
||||||||||||||||||||
○ 2020년 기상기후 빅데이터 융합서비스 개발 수요조사 계획 수립 |
’19.11.16. |
신언성 과장 임소영 사무관 윤영준 주무관 |
||||||||||||||||||||
○ 2019 날씨 빅데이터 콘테스트 개최 ※ 2019 날씨 빅데이터 콘테스트 심사계획(안) 수립 |
’19.8.8. (’19. 7. 24.) |
신언성 과장 임소영 사무관 최선영 주무관 |
||||||||||||||||||||
○ 생활기상정보 서비스 개선 계획 수립 |
’19.4.30. |
신언성 과장 이기선 사무관 김수진 주무관 |
||||||||||||||||||||
○ 2019년 정보활용 취약계층 생활기상정보 문자서비스 운영 |
’19.3.15. |
신언성 과장 이기선 사무관 김수진 주무관 |
||||||||||||||||||||
○ 2019 날씨 빅데이터 콘테스트 개최 계획(안) 수립 |
’19.3.13. |
신언성 과장 임소영 사무관 최선영 주무관 |
||||||||||||||||||||
○ 총자외선지수 예측정보 정식서비스 |
’19.2.18. |
신언성 과장 이기선 사무관 김수진 주무관 |
||||||||||||||||||||
○ 정보활용 취약계층 생활기상정보 문자서비스 개선 |
’19.1.15. |
신언성 과장 이기선 사무관 김수진 주무관 |
||||||||||||||||||||
○ 생활기상정보(피부질환가능지수) 민간이양에 따른 종료 |
’18.12.29. |
신언성 과장 이기선 사무관 김수진 주무관 |
||||||||||||||||||||
○ 2018년 기상기후 빅데이터 융합서비스 개발 완료 - (에너지) 전국 태양광 발전량 예측 - (농업) 서리발생 가능성 예측 |
’18.12.20. |
신언성 과장 김지현 사무관 윤영준 주무관 |
||||||||||||||||||||
○ 2019년 맞춤형 기상기후 빅데이터 서비스 기반구축 사업계획(안) 수립 |
’18.12.14. |
김금란 국장 신언성 과장 김지현 사무관 경규정 주무관 |
||||||||||||||||||||
○ 2018 기상기후 빅데이터 포럼 개최 ※ 2018 기상기후 빅데이터 포럼 개최 계획(안) 수립 |
’18.11.9. (’18.10.25.) |
신언성 과장 김지현 사무관 손지현 주무관 |
||||||||||||||||||||
○ 부처 간 생활기상(식중독)지수 공동산출 결과 공유 |
’18.10.24. |
신언성 과장 이기선 사무관 김동수 주무관 |
||||||||||||||||||||
○ 제2차 기상기후 빅데이터 융합 기본계획(’18. ~ ’21.) 수립 |
’18.4.27. |
김세원 국장(직무대리) 신동현 과장 김지현 사무관 손지현 주무관 |
||||||||||||||||||||
○ 기상청 생활기상정보(더위체감지수, 자외선지수) 서비스 개선 알림 - 더위체감지수 정식서비스 실시 - 자외선지수 산출영역 확대 (B→B+A) |
’18.4.24. |
이기선 사무관 김수진 주무관 |
||||||||||||||||||||
○ 생활기상정보 서비스의 효과적 활용 확산을 위한 부처 간 실무협의회 구성·운영 계획 수립 |
’18.3.5. |
신동현 과장 홍기만 사무관 김수진 주무관 |
||||||||||||||||||||
○ 2017년 기상기후 빅데이터 융합 서비스 개발 완료 - (환경) 연안(남해) 적조발생 위험도 예측 - (교통) 기상상황에 따른 고속도로 교통사고 발생 위험도 현황 |
’17.12.21. |
신동현 과장 이봉주 사무관 윤영준 주무관 |
||||||||||||||||||||
○ 보건기상지수(감기, 뇌졸중, 천식폐질환)와 자외선지수 검증 및 더위체감지수 고도화 |
’17.12.4. |
신동현 과장 김지현 사무관 최다솜 주무관 |
||||||||||||||||||||
○ 대상·환경별 세분화된‘더위체감지수’개발 - 온열지수 기반의 더위 위험도에 따른 단계별 대응요령 마련 |
’16.12.29. |
오미림 팀장 홍기만 사무관 최다솜 주무관 |
||||||||||||||||||||
○ 2016년 기상기후 빅데이터 융합 서비스 개발 완료 - (방재) 지역 맞춤형 호우피해 위험 예측 - (수산) 해양기상정보를 활용한 오징어 어획량 예측 |
’16.12.27. |
오미림 팀장 김진석 사무관 조은주 주무관 |
||||||||||||||||||||
○ 기상기후 빅데이터 플랫폼 민간 개방 ※「기상기후 빅데이터 플랫폼」 민간분야 전면개방 계획(안) 보고 |
’16.6.30. |
유희동 국장 오미림 팀장 김진석 사무관 강민협 주무관 |
||||||||||||||||||||
○ 2015년 기상기후 빅데이터 융합 서비스 개발 완료 - (농업) 주산지 기상정보 제공 및 채소류 생산성 예측 - (관광) 관광코스별 기상정보 제공과 한국형 관광기후지수 |
’15.12.29. |
오미림 팀장 김진석 사무관 조은주 주무관 |
||||||||||||||||||||
○ 기상기후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공공분야 우선개방 ※ 공공분야「기상기후 빅데이터 플랫폼」 개방 계획(안) 보고 |
’15.11.30. |
유희동 국장 오미림 팀장 김진석 사무관 강민협 주무관 |
||||||||||||||||||||
○ 기상기후 빅데이터 분석 기반 마련을 위한 시스템 구축과 시험운영 ※ 기상기후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시험 운영 안내 |
’15.6.1. |
오미림 팀장 김진석 사무관 강민협 주무관 |
||||||||||||||||||||
○ 기상청 대표홈페이지 ‘생활기상정보’ 콘텐츠 개편 - 지수 산출 입력 예보모델 전환 (KWRF→UM) - 정보제공시간 연장 (+03~54h → +03~66h) - 시·청각 장애인을 위한 웹접근성 개선 |
’15.1.30. |
오미림 팀장 이은정 연구관 최다솜 주무관 |
||||||||||||||||||||
○ 기상기후 빅데이터 융합마스터 플랜(안) 수립 |
’14.12.30. |
고윤화 청장 정홍상 차장 김성균 기획조정관 오미림 연구관 김진석 사무관 |
||||||||||||||||||||
○ 꽃가루농도위험지수 서비스 제공지점 확대 완료 - 7개 지점 → 전국 시·군 단위 |
’14.9.21. |
오미림 팀장 이은정 연구관 김현미 주무관 |
||||||||||||||||||||
○ 기상기후 빅데이터 포럼 발족 ※ 제1회「기상기후 빅데이터 포럼 개최」 알림 |
’14.4.10. |
오미림 연구관 김성묵 사무관 이윤복 주무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