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전문가 해외파견사업 모집안내
2011년 퇴직전문가 해외파견 사업 개도국 파견 퇴직전문가 모집안내 |
||
2011. 4. 11.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퇴직전문가 해외파견사업 모집안내
사 업 안 내 |
■ 추진배경
o 민간‧공공 부문에 풍부한 경험을 가진 퇴직자들의 지식과 네트워크가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
o 우리나라의 경제개발과정에서 축적된 노하우가 국제적으로 인정되어 개도국에 다양한 형태로 전수되고 있으나 체계적인 공공서비스 수출 상품화된 사례 적음
<공공서비스 수출 추진 사례>
(韓)한전- (英)AMEC 합작법인 설립 |
ㅇ국내 공기업 기술력+영국의 글로벌 컨설팅 경험‧네트워크 ㅇ해외 원전 등 발전소 건설 및 녹색에너지 시장 진출 추진 |
|||
인천공항공사 ‘공항운영 시스템’ |
ㅇ수년간의 공항운영경험을 이라크 아르빌공항에 컨설팅 ㅇ통신‧기계설비 등 장비와 운영인력도 동반진출(3150만불) |
|||
우정사업본부 ‘포스트넷’ |
ㅇIT기술을 활용한 통합 우정관리노하우를 카자흐에 수출(59억원) ㅇ민관(SK C&C) 긴밀한 협력으로 각국 진출을 추진 |
o 국내 퇴직전문인력을 적극 활용하여, 개도국의 경제‧사회개발과 빈곤퇴치에 기여하고, 우리 개발 노하우의 공유를 통해 우호협력관계를 강화하는 한편,
- 이와 연계하여 우리의 공공서비스가 개도국에 수출상품으로 진출할 수 있는 방안 강구 필요
■ 사업내용
o (파견목적) 개도국 정부와 공공기관에 대한 기술‧경영 자문을 통해 개도국 개발 사업을 발굴하고 우리기업의 수주활동 지원
o (파견분야) 산업 핵심기술 및 구축 노하우 등을 보유하여 수출 가능성이 높은 공공서비스 분야를 관계기관 협의를 통해 결정
- 1 -
퇴직전문가 해외파견사업 모집안내
o (파견인력) 기본적으로 개도국 봉사정신이 있는 공공‧민간 부문의 퇴직(예정) 전문가 (기술 및 경영 전문가)
o (추진절차) 퇴직전문가 공공서비스 수출지원사업 시행 지침에 의거하여 사업 추진 및 절차 진행
o (경비지원) 별도의 임금없이 파견 소요경비를 지원하되, 치안이 확보된 지역에 거주 및 최소한의 품위유지가 가능한 수준으로 항공료, 주거비, 보험료, 활동비, 기타경비 등
※ 파견경비 : 약 77.5백만원/1인
o (지원기간) 1년 원칙 (연장 가능)
o (주관기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 사업추진절차
개도국 수요발굴 (해외공관, 공공기관) |
파견자 선정‧교육 |
⇨ |
현지 파견 |
|
⇩ |
⇧ |
⇩ |
||
파견분야 확정 |
파견자 확정 |
파견자 귀환 |
||
⇩ |
⇧ |
⇩ |
||
모집공고/접수 |
⇨ |
선정심사위원회 개최 |
평가, 후속사업과 연계 |
■ 퇴직전문가 관리체계
o 파견대상자 교육
- 파견 대상 퇴직전문가에 대해 현지 문화, 에티켓, Best Practice 전수 등 기본 소양교육 실시
o 파견자 안전
- 파견전문가를 피보험자로 하여 여행자보험에 가입하고, 긴급사태에 대비한 연락체계, 긴급소산 및 대피계획 유지
- 보험은 상해사망(보상한도액 3억원), 질병사망(보상한도액 2억원)을 보장
- 2 -
퇴직전문가 해외파견사업 모집안내
- 파견 현지 의료 서비스 및 긴급 대피 등은 파견국 의료수준 및 안전도를 고려하여 차별 제공
- 외교부 협조하에 제외공관과의 긴급연락체계, 긴급소산 및 대피계획을 유지
o 파견자 복무
- 주기적인 활동 보고서 작성, 현지 공관(KOICA, 대사관 등)을 활용하여 복무 실태를 상시 점검
- 점검결과 파견목적과 배치되는 행위 시 관련 협의회에 상정하여, 소환 여부를 판단
- 파견자는 보고시점에 맞춰 주간활동보고서, 분기활동보고서, 귀국보고서를 작성하여 전담기관에 제출
o 활동 평가
- 퇴직전문가는 활동 종료와 함께 활동평가를 실시
- 주간활동보고서, 분기활동보고서 및 귀국보고서를 기준으로 활동성과를 심사
- 활동성과 심사를 위해 활동보고회를 개최
- 3 -
퇴직전문가 해외파견사업 모집안내
2011년 제1차 퇴직전문가 모집안내 |
■ 모집개요
◎ 파견목적 : 개도국 정부와 공공기관에 대한 기술‧경영 자문을 통해 개도국 개발 사업을 발굴하고 우리기업의 수주활동 지원 ◎ 파 견 국 : 25개국 ◎ 수원국 수요 : 105개 직위, 147명 ◎ 선발인원 : 50명 내외 ◎ 파견기간 : 1년 원칙(파견성과에 따라 최대 3년까지 연장 가능) ◎ 파견시기 : 2011년 6월말 ~ (예정) ◎ 경비지원 : 별도의 임금 없이 파견 소요경비를 지원하되, 치안이 확보된 지역에 거주 및 최소한의 품위유지가 가능한 수준으로 항공료, 주거비, 보험료, 활동비, 기타경비 등 지원 ※ 파견단가 : 약 77백만원/1인 |
- 4 -
퇴직전문가 해외파견사업 모집안내
■ 지원자격
o공통사항
- 해당분야에 10년 이상 또는 50세 이상의 해당분야의 전문적 소양을 가진자
- 1942년 1월 1일 이후 출생자로 신체 건강한 자
- 봉사정신이 투철하고 해외 여행 결격 사유가 없는 자
- 현지어 또는 공용어로 의사소통 가능자
o세부사항
- 공공부문(정부, 정부산하기관 및 공기업 등)에서 재직 후 퇴직 하였거나 해외 파견일 이전에 퇴직 예정인자
- 민간부문(공공부문을 제외한 민간기업 등)에서 해당분야 10년 이상 또는 그에 상응하는 경력을 가지고 퇴직하였거나 해외 파견일 이전에 퇴직 예정인자
■ 전형방법
o1차 서류 심사
- 전문성(학력/자격, 경력, 외국어 구사력) 50점
- 지원동기/활동계획서(기본자질, 지원동기, 현지적응력, 활동계획서) 50점
o2차 면접 심사
- 전문성(학력/자격, 국내외 경력) 40점
- 어학(외국어 구사능력‧영어) 25점
- 인성/자실(성실성 및 인성, 지원동기, 현지적응력 등) 35점
* 다음에 해당할 경우 총점의 5%이내에서 가산점을 부여할 수 있음
1) 해외에 파견되어 유사 업무수행을 3개월 이상 수행한 자
2) 협력대상국에서 학사, 석사 및 박사 등 학위를 취득한 자
■ 제출서류
o1차 제출 서류(모집시, 이메일로 제출)
1. 지원신청서 및 활동 계획서 ............................................................................. 1부
2. 어학 능력 증명서(필요시)................................................................................... 1부
o2차 제출 서류(서류 합격자 제출서류, 우편 또는 직접제출)
1. 경력 증명서(국문, 원본) ...................................................................................... 1부
2. 학위 증명서(국문 혹은 영문, 원본)...................................................................... 1부
3. 기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서류 등(현지 활동 증빙자료 등).................... 1부
- 5 -
퇴직전문가 해외파견사업 모집안내
o3차 제출 서류(합격예정자 제출서류, 우편, 이메일 또는 직접제출)
1. 이력서(영문, 소정양식) ........................................................................................ 1부
2. 경력 증명서(영문) .................................................................................................. 1부
3. 학위 증명서(영문)........................................................................................................ 1부
4. 기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서류 등(현지 활동 증빙자료 등).................... 1부
■ 지원신청서 교부 및 접수
o기 간 : 2011. 4. 11(월) ~ 5. 6(금)
o지원서 교부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홈페이지(www.nipa.kr)
o지원서 접수 : 이메일 접수(khkim@nipa.kr / hjahn@nipa.kr / zyong2@nipa.kr)
■ 전형절차 및 선발일정
구 분 |
내 용 |
비 고 |
공고 및 접수 |
2011. 4. 11(월) ~ 5. 6(금) |
* 지원신청서 및 활동계획서를 NIPA 홈페이지(www.nipa.kr)에서 다운로드 받아 작성 후 NIPA 담당자에게 이메일로 송부 |
설명회 개최 |
2011. 4. 21(목) |
* NIPA 본원(송파구 가락동) 5층 강당 |
1차 서류 전형 |
2011. 5. 11(수) ~ 5. 13(금) |
|
1차 합격자 발표 |
2011. 5. 13(금) |
* NIPA 홈페이지에 발표 |
2차 면접 전형 |
2011. 5. 17(화) ~ 5. 19(목) |
* 1차 합격자에 한하여 개별 통지 면접내용 : 기본소양, 언어, 기술 |
합격예정자 발표 |
2011. 5. 20(금) |
* NIPA 홈페이지에 발표 * 2차 합격자를 대상으로 인성검사, 건강검진, 신원조사, 신용조회 및 개도국 파견동의를 거쳐 최종 합격 여부 결정 |
교 육 |
2011. 5. 말 ~ |
* 합격자에게 교육일정 개별 통지 |
출 국 |
2011. 6. 말 ~ |
* 현지 사정에 따라 변동 가능 |
* 면접 전형은 서류전형 합격자에 한함.
* 위 일정은 추진경과에 따라 일부 변경되어질 수 있음.
* 면접 합격이후 신원조회, 건강검진 실시 결과에 따라 결격사유 발생 시 합격이 취소될 수 있음
- 6 -
퇴직전문가 해외파견사업 모집안내
■ 문의처
o정보통신산업진흥원 지식서비스단 지식정책팀
- 주소 : (138- 711) 서울특별시 송파구 가락본동 79- 2 NIPA빌딩 12층 지식정책팀
- 전화 : 김광혁 책임(02- 2141- 5514) / 안혜진 책임(02- 2141- 5515)
이지용 책임(02- 2141- 5520)
■ 기타 참고사항
ㅇ파견기관 직무기술서 및 서류전형에 필요한 지원서와 활동계획서는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홈페이지(www.nipa.kr)에서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음
ㅇ 파견기관에서 요구하는 직무 능력사항 및 근무 제공시설 등은 각기 상이하므로 반드시 파견기관의 직무기술서(원문)를 반드시 확인하시고 지원하시기 바람
ㅇ 본 사업은 개도국의 파견 요청에 따라 실시되는 사업으로서 개도국 현지 사정에 따라 파견 일정이 지연되거나 혹은 파견이 취소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지원시 감안하여 주시기 바람
ㅇ 최종 파견대상자로 확정된 후, 개인의 변심에 의하여 파견을 포기하는 경우 국가 이미지 저하 및 외교적 마찰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신중한 의사결정 후 지원해 주시기 바람
ㅇ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중장기 자문단 파견사업과 중복 지원 불가
- 7 -
퇴직전문가 해외파견사업 모집안내
■ 세부 수원국 수요현황
국가 |
직위ID |
분야 |
세부분야 |
인원 |
기간 (개월) |
라오스 |
LA01 |
전력 |
전력분야 자문 |
2 |
12 |
말레이시아 |
MY01 |
기상관측 |
농업기상, 기상지도 작성 |
1 |
12 |
몽골 |
MO01 |
국가기록 |
국가기록물관리 |
1 |
6 |
MO02 |
과학기술 |
과학기술정책 |
1 |
10 |
|
MO03 |
산업안전 |
승강기안전 |
1 |
6 |
|
MO04 |
건설주택 |
주택건설 |
1 |
12 |
|
미얀마 |
MM01 |
방송제작 |
AVID 소프트웨어 전문가 |
1 |
12 |
MM01 |
방송제작 |
Virtual Studio 전문가 |
1 |
12 |
|
방글라데시 |
BD02 |
도로교통 |
교통정보 활용 및 ITS |
2 |
12 |
BD10 |
도로교통 |
도로교통 분석 및 관리 |
1 |
12 |
|
BD11 |
전자정부 |
전자국회 |
1 |
6 |
|
BD12 |
전자정부 |
e- Gov |
2 |
6 |
|
BD15 |
도로교통 |
교통분야 e- Governance 구축 |
2 |
12 |
|
BD17 |
정보통신 |
광케이블 임대, 구매 등 |
1 |
6 |
|
BD18 |
이러닝 |
e- Learning(Mobile) |
1 |
6 |
|
BD18 |
정보통신 |
e- Health(Mobile) |
1 |
6 |
|
베트남 |
VN01 |
환경 |
환경 및 공해방지정책 |
1 |
9 |
VN02 |
중소기업 |
중소기업지원 |
11 |
12 |
|
VN03 |
주택건설 |
주택시장/주택기술 |
1 |
12 |
|
VN04 |
우정정보 |
우편정보시스템 |
1 |
12 |
|
VN08 |
정보통신 |
GreenICT진흥정책 |
1 |
6 |
|
VN09 |
정보통신 |
ICT분야 FDI개발정책 |
1 |
6 |
|
VN10 |
정보통신 |
ICT의 GDP기여도연구 |
1 |
6 |
|
VN11 |
정보통신 |
농촌/산간지역 광대역망 개발 |
1 |
6 |
|
VN12 |
정보통신 |
ICT인프라보안 |
1 |
6 |
|
VN13 |
물관리 |
물관리 |
1 |
12 |
|
VN14 |
광산자원 |
광산간척 및 환경관리 |
1 |
12 |
|
VN15 |
가스안전 |
가스안전 및 제도 |
1 |
12 |
|
솔로몬군도 |
SB01 |
정보통신 |
IT 기술지원 |
1 |
12 |
SB01 |
정보통신 |
데이터베이스 전문가 |
1 |
12 |
|
인도네시아 |
ID01 |
국제행사 |
국제행사 기획/주최 |
1 |
6 |
ID02 |
국가R&D |
국가 R&D계획(세라믹 분야) |
1 |
6 |
|
ID03 |
국가R&D |
국가 R&D계획(수공예, 염색 분야) |
2 |
12 |
|
ID05 |
정보통신 |
산업정보시스템 |
1 |
12 |
|
ID05 |
전자정부 |
정부데이터센터 |
1 |
12 |
|
ID06 |
도로교통 |
GIS |
1 |
12 |
|
ID07 |
무역통상 |
무역촉진정책 |
1 |
6 |
|
ID08 |
교육 |
Web기반 교육 및 커리큘럼 연구 |
2 |
6 |
|
ID09 |
교육정보 |
교육정보시스템 |
2 |
6 |
|
ID10 |
금융 |
금융공학 |
2 |
6 |
|
ID11 |
중소기업 |
중소기업지원 |
1 |
12 |
|
ID12 |
정보통신 |
데이터베이스 전문가 |
1 |
12 |
|
ID12 |
정보통신 |
IT네트워크 전문가 |
1 |
12 |
|
ID13 |
국가R&D |
국가R&D(교통, 수송) |
1 |
6 |
|
ID14 |
철도건설 |
철도건설 및 관리(측정표준) |
3 |
6 |
|
ID15 |
철도건설 |
철도건설 및 관리(철도신호, 통신, 전기) |
3 |
6 |
|
파키스탄 |
PK01 |
우정정보 |
우편정보시스템개발 |
1 |
6 |
피지 |
FJ01 |
이러닝 |
e- Learning & ICT전문가 |
1 |
12 |
가봉 |
GA02 |
무역통상 |
수출입관리 |
2 |
6 |
르완다 |
RW01 |
도로교통 |
교통정책(ITS) |
2 |
12 |
RW02 |
국가R&D |
국가 R&D계획 |
3 |
12 |
|
RW03 |
도로교통 |
도로분야 R&D |
4 |
12 |
|
RW04 |
에너지 |
신재생에너지 정책 |
2 |
12 |
|
RW05 |
공항운영 |
공항운영관리 |
2 |
12 |
|
에티오피아 |
ET01 |
기상관측 |
기상모델 구축 등 |
1 |
12 |
탄자니아 |
TZ02 |
기상관측 |
기상 현대화 |
1 |
12 |
과테 말라 |
GT01 |
이러닝 |
e- Learning 전문가 |
1 |
12 |
GT02 |
환경 |
오염예방정책 |
1 |
12 |
|
GT03 |
에너지 |
에너지 정책 |
1 |
12 |
|
GT04 |
에너지 |
에너지 정책 |
5 |
10 |
|
GT05 |
정보통신 |
정보시스템 분석 및 개발 |
1 |
6 |
|
니카라과 |
NI01 |
무역통상 |
무역/수출 진흥 |
3 |
6 |
도미 니카 공화국 |
DO01 |
전자무역 |
e- Trade |
1 |
12 |
DO02 |
이러닝 |
e- Learning 전문가 |
1 |
12 |
|
DO03 |
무역통상 |
수출/투자부문 중장기 개발전략 |
1 |
12 |
|
에콰 도르 공화국 |
EC01 |
전자정부 |
e- Procurement, 정부조달법 |
2 |
6 |
EC02 |
국가R&D |
중기개발전략, 공공투자 |
1 |
6 |
|
EC03 |
GIS/지적 |
GIS |
1 |
6 |
|
EC04 |
국가R&D |
국가 R&D계획 |
1 |
6 |
|
EC04 |
특허행정 |
특허관리시스템 |
1 |
6 |
|
EC04 |
국가R&D |
중장기 개발전략 |
1 |
6 |
|
EC04 |
전자정부 |
e- Gov |
1 |
6 |
|
EC04 |
에너지 |
에너지 정책 |
1 |
6 |
|
EC04 |
과학기술 |
과학기술정책 |
1 |
6 |
|
EC04 |
도로교통 |
수송 정책, ITS, 공항운영 등 |
1 |
6 |
|
EC06 |
전자정부 |
공공정보관리시스템, e- Gov 등 |
1 |
6 |
|
EC07 |
통계 |
정부통계시스템 |
1 |
6 |
|
EC09 |
GIS/지적 |
Governance : GIS |
1 |
9 |
|
EC12 |
도로교통 |
산업 에너지 : 수송정책, 항만운송 등 |
1 |
9 |
|
EC13 |
전자정부 |
국가정보시스템 통합, 통계시스템 구현 |
1 |
12 |
|
EC14 |
지역개발 |
지역개발전문가 |
1 |
6 |
|
EC15 |
공공행정 |
공공부문 업무개선 |
1 |
12 |
|
EC16 |
GIS/지적 |
GIS(토지대장관리시스템) |
1 |
12 |
|
EC17 |
이러닝 |
e- Learning 전문가 |
1 |
6 |
|
EC18 |
통계 |
통계전문가1 |
1 |
6 |
|
EC19 |
통계 |
통계전문가2 |
2 |
6 |
|
EC20 |
정보통신 |
정보통신전문가(e- Learning, 보안 등) |
1 |
12 |
|
EC21 |
정보통신 |
데이터센터 전문가 |
1 |
6 |
|
EC22 |
정보통신 |
정보통신전문가(보안, 정보교환 등) |
1 |
12 |
|
EC25 |
공공행정 |
품질관리시스템 |
1 |
12 |
|
코스타리카 |
CR01 |
자동차 |
하이브리드/전기자동차 교육 |
1 |
6 |
페루 |
PE01 |
전자정부 |
e- Government |
1 |
12 |
PE02 |
공공행정 |
선거시스템 |
2 |
6 |
|
몰도바 |
MD01 |
정보통신 |
ICT, e- Learning 전문가 |
1 |
12 |
MD02 |
통계 |
통계시스템 전문가 |
1 |
12 |
|
MD03 |
무역통상 |
e- Trade System |
1 |
12 |
|
MD04 |
전자정부 |
e- Gov, IT촉진 정책 |
1 |
12 |
|
벨라루스 공화국 |
BY02 |
공공행정 |
관세행정시스템 |
1 |
6 |
BY03 |
전자무역 |
e- Trade System |
2 |
6 |
|
BY04 |
산업경제 |
경제분야 중장기 개발전략 |
2 |
6 |
|
아제르 바이잔 |
AZ01 |
도로교통 |
ITS 및 도로교통자문 |
1 |
12 |
AZ04 |
산업경제 |
산업분석, 발전 자문 |
1 |
12 |
|
우즈베키스탄 |
UZ03 |
기상관측 |
기상현대화 |
1 |
12 |
키르기스 스탄 |
KG01 |
정보통신 |
정보관리시스템 |
1 |
6 |
KG02 |
산업경제 |
경제,투자 자문 |
1 |
12 |
|
25개국 |
|
|
105개 직위 |
147 |
|
-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