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형 직위 안내자료 

(기상청 기후과학국 해양기상과장)








2021. 5.




기 상 청

1

일반현황


 조직 및 정원

수치모델링센터

기상기후

인재개발원

대변인

차 장

청 장

기상레이더센터

국가기상

위성센터

감사담당관

항공기상청(책)

기상대(5)기상실(2)

한국기상산업기술원(산)

APEC기후센터(산)

차세대수치예보모델개발사업단산)

지방기상청(7)

기 상 대(7)

수도권  강원 

부산   대전

광주   대구

제주

기상지청(2)

전주, 청주

인천, 울산, 창원,

목포, 춘천, 홍성, 안동


국립기상과학원(책)

기획조정관

예 보 국

관측기반국

기후과학국

기상서비스진흥국

지진화산국

기획재정담당관

혁신행정담당관

연구개발담당관

국제협력담당관

운영지원과

예보정책과

총괄예보관(4)

예보기술과

국가태풍센터

예보분석팀

영향예보추진팀

관측정책과

계측표준협력과

정보통신기술과

국가기상슈퍼컴퓨터센터

정보보호팀


기후정책과

기후예측과

해양기상과

기후변화감시과

이상기후팀

기상서비스정책과

국가기후데이터센터

기상융합서비스과


지진화산정책과

지진화산감시과

지진화산연구과

지진정보기술팀




기후과학국

기후정책과

기후예측과

해양기상과

기후변화

감시과

수문기상팀


(기준정원, 단위 : 명)

구    분

4급

5급

6급

7급

8급

9급

기후과학국 

해양기상과

13

1

3

3

1

2

3

항공기상청

총액

항공기상청

총액


 업무 관련 법령

ㅇ 기상법 및 동법 시행령·시행규칙

2

해양기상과장 주요 업무


◇ 해양기상과장은 해상기상 관측‧분석 등을 통해 국민안전 및 복리 증진을 위한 해양기상정보 서비스 제공을 총괄하는 역할 수행


1) 해양기상에 관한 사항


해양기상에 관한 주요정책 및 기본계획 수립


해양기상관측망의 구성계획의 수립・종합・조정


전지구 해양기후 감시체계 구축・운영 


국내외 해양기상정보 수집・분석 및 서비스

* 극지방(남극, 북극)의 해양기상정보 수집‧분석 등


해양기상업무에 관한 대외협력 및 기술지도


2) 해양기상관측에 관한 사항


 해양기상관련 위탁기상관측 관리 및 지도


 항만기상관 및 관측지원선박 제도의 관리


 해양기상 조사 및 분석


 기상관측선 운영에 관한 기본계획 수립


3) 기상통신소 운영에 관한 사항


ㅇ 국내의 기상실황 및 예보의 무선통신에 관한 사항


ㅇ 통신시설의 유지・관리


ㅇ 기상통신소 청사 및 각종시설물의 유지관리 및 보안 업무

3

주요 현안 과제


해양기상 위성방송 서비스 확산

(콘텐츠) 해양위험기상 긴급정보와 조업지원정보 등 콘텐츠 강화

-  (긴급알림) 해상특보, 지진해일 등 해양위험기상 긴급알림 제공

-  (해양위성) 국외 및 어민 지원을 위한 해양환경위성(GK2B) 정보 제공

-  (국제정보) 동아시아 지역 서비스 확대를 위한 국제 해양기상정보 제공

(수신기) 설치보조금 지급의 법적 근거 마련 및 유관기관 협업

-  (법령) 설치보조금 지원을 위한 기상법 조항 신설 및 대상 선박 지정 등 추진절차 관련 하위법령 개정

-  (협업) 지자체, 해양 유관기관과 협업을 통한 수신기 보급 확대

-  (국제) 동아시아(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등) 수신기 보급 협력 강화


빅데이터 기반 해양기상 영향예보 제공 추진 

(분석) 빅데이터를 활용한 기상정보와 해양교통 정보 분석(’21)

-  빅데이터를 활용한 기상에 따른 선박통제, 해양사고 사례 분석

-  선박통제와 해양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해양기상 요소 선정 및 기상요소별 임계치 도출, 기상특보 발표기준과의 비교 분석

(개발) 해양기상 영향정보 개발 및 제공체계 구축 추진(’22)

-  해양기상기인 선박통제 및 해양사고 위험도 분석 및 발생 가능성 예측모델 개발

-  실시간 자료를 활용한 선박통제 및 해양사고 발생 가능성 기반의 해양기상 영향정보 제공체계 구축


 파도넘침 정보 서비스 확대 추진

(정보수집)취약지점 선정 및 지점별 위험수준 예측정보 생산‧검증

-  지자체 및 유관기관 협력을 통한 파도넘침 취약지점 선정

-  현장조사, 관측자료 수집 및 해양기상요소(파고, 파주기, 파랑에너지 등) 분석을 통한 지점별 위험수준 설정

(전국확대) 파랑모델을 활용한 파도넘침 정보 서비스 지점 확대

-  예측, 관측 융합자료를 활용한 파도넘침 정보 생산체계 구축

-  지방(지)청별 시범지점에 대한 파도넘침 정보 서비스 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