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도 추진 연구용역과제






2014. 12





 




목  차

Ⅰ. 총괄표  1

Ⅱ. 연구용역과제[210- 13목 51개, 260목 21개]9 

[연구용역 기상분야]( 32개)

1. 국지위험기상 최적관측기반기술연구(Ⅳ)9 

2. 종합기상탑 자료를 활용한 국지순환 연구(II)12

3. 성층권 장기체공기탑재용 기상센서 및 지상체 개발(Ⅰ)15

4. 레이더자료 통합품질관리기술개발(4차년도)(비R&D)17

5. 레이더 강설강도 추정 및 차세대 레이더 신기술 선행연구(II)20 

6. 레이더자료 공동활용시스템 구축(Ⅴ)(비R&D)22

7. 국지예보모델 지원을 위한 이중편파레이더 시뮬레이터기술 개발(II)26 

8. 범부처 레이더 융합 활용기술개발(II)29

9. 위성자료의 기후표준DB 구축을 위한 핵심기후변수 산출기술개발(II)32

10. 위성융합활용 기술개발34

11.위성정보를 활용한 북극 해빙면적 단기예측기술 개발(II)35 

12. 현업지원 및 사용자 맞춤형 위성자료 서비스 콘텐츠 개발37

13. 고품질 위성자료 재처리 기술개발 및 체계구축(I)39 

14. 천리안 기상위성 위치보정분석지원 시스템 개발41

15. GPM 위성강수 산출 알고리즘 개발(III)43

16. 위성자료의 수치모델 활용 지원 기술개발45

17.위성예보지원 기술개발47

18. 위성을 이용한 해양기상요소 산출기술 개발(V)49 

19. 해양관측자료의 검증기술 개발 및 활용51

20. 전지구 해양순환예측시스템 검증 및 자료동화 기술 개발55 

21. 정지궤도상의 우주기상 예측모델 개발(I)56 

22. 고해상도 실황분석 기법 개발57 

23. 강원산지 겨울철 재해기상 분석·예측기법 개발59

24. GIS 기반 재해기상분석시스템 고도화(II)61 

25. 태풍분석 및 예측기술개발(I)63

26. 선진 태풍예보시스템 구축(비R&D)65

27. 황사감시기상탑 운영 및 발원지특성연구(I)67

28. 황사·연무 통합예측모델 개선 연구(I)71

29. 황사 광학관측망 운영 및 위성자료동화 활용 연구(III)74

30.수도권 스톰규모예측모델 운영기술 개발78 

31. 전산유체역학기반 도시기상 수치모델 운영기술 개발79

32. 동아시아 재분석 및 재예측장 생산 기술  개발80 

[연구용역 기후분야](17개)

33. 기후변화감시자료 산출기술 개발(II)(비R&D)16

34. 육불화황 분석기술 보급체계 개발(II)(비R&D)83

35. 기후변화감시자료 품질관리 기술 개발(II)(비R&D)85 

36. GOSAT 위성을 이용한 전구 온실가스 산출기술 개발(IV)87 

37. 전지구기후서비스체제(GFCS) 이행을 위한 국내 기후정보 개발 및 서비스 개선 연구(비R&D)89

38. 기후모델 활용지원 및 평가시스템 구축(IV)92 

39. 한영 공동 기후예측시스템 진단체계 구축(III)94

40. 기후예측모델 현업 운영시스템 개선(II)(비R&D)97 

41. 기후변화 시나리오 활용 증진을 위한 기후모델자료 DB 구축99

42. RCP 시나리오를 활용한 극한 기후변화 분석(IV)101 

43. 장기예보 생산 지원시스템 개선(II)(비R&D)103 

44. 이상기후 조기탐지 및 조기경보 시스템 개발(비R&D)105 

45. 전북지역 농업기상서비스지원 사전 조사(비R&D)108 

46. 지역별 기후변화 상세분석정보 생산(III)(비R&D)109 

47. 지역 산업분야별 맞춤형 기후정보 생산 확대·서비스 운영(비R&D)113 

48. 지역별 계절기상 정보의 신뢰도 검증 및  개선(비R&D)117 

49. 장기예보 정확도 향상 요인 조사ㆍ분석(비R&D)120






[연구용역 산업·응용분야](7개)

50. 수요자중심의 수문기상 정보활용연구(1.3개월 가뭄 전망정보 시스템 구축)(비R&D)121

51. 수문기상모델링 개선을 위한 요소기술 개발 및 활용 연구(II)123 

52. 낙동강 기상연구관측망 자료 활용 및 수치모의 기술 개발(II)126 

53. 고해상도 기상자원 예측시스템 개발 연구(II)130 

54. 생명기상 응용모델개발(III)135 

55. 인공증설 실험 수치모델링기술 개발 연구(III)136 

56. 응용기상관측장비 실용화 기술개발 연구(III)139 

[연구용역 지진분야](6개)

57. 지진조기분석통보시스템 통합구축(II)(비R&D)142 

58. 실시간조기경보파라미터 산출‧전송 활용기술개발(I)145

59. 인공지진 식별체계 자동화 및 분석시스템 구축(II)146 

60. 대규모지진 실시간 분석 및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구축(III)148

61. 열적외선 위성을 활용한 백두산 화산 모니터링 기술 개발150

62. 국가지진종합정보시스템 개선(비R&D)151

[연구용역 기타분야](10개)

 63. 다목적 기상항공기 도입사업 공정관리(III)(비R&D)153

64. 우주기상 분석 및 활용기술 개발(II)155

65. 우주기상 통합예보시스템 구축(III)156

66. 기상위성 활용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훈련체계 구축(V)160

67. 위성기반상세 정량강수산출 기술개발(I)163

68. 정지궤도기상위성 지상국개발감리용역164

69. 기상정보서비스 만족도 향상 방안 연구165

70. 테스트베드레이더 성능시험 및 운영기술 개발연구(비R&D)166

71. 학사관리시스템 구축 및 기상교육 이러닝콘텐츠 개발(비R&D)168

72. 그린데탕트실현을 위한 기상분야 역할 및 추진방안 연구(비R&D)170




Ⅰ. 총 괄 표

□ 2015년도 연구용역과제 총괄표

○ 시험연구비, 개별부서 사업비 內 연구용역과제 : 72과제, 18,369백만원

단위(건/백만원)

구분

기상

기후

산업

지진

기타

관측

예보

감시

예측

서비스

장비

연구용역과제

21(6,416)

11(2,580)

5(710)

12(3,556)

6(1,100)

1(240)

6(1,820)

10(1,947)

-  시험연구비(210- 13) 

19(5,216)

11(2,580)

1(270)

4(840)

5(1,040)

1(240)

4(520)

6(1,127)

-  연구개발비(260)

2(1,200)

-

4(440)

8(2,716)

1(60)

-

2(1,300)

4(820)


□ 2015년도 연구용역과제 목록

(단위 : 백만원)

번호

분야

기술분류코드

예산

성격

추진부서 및 기관명

연 구 과 제 명

연구목표

주요연구내용

예산

1

관측

A0101

210

국립기상연구소 예보연구과

국지위험기상 최적관측기반기술연구(Ⅳ)

▪구름레이더, 라디오미터 관측자료 활용 및 분석기술개발

▪AWS 품질관리기술개선 및 주요행사 기상지원시스템개발

1.구름레이더 및 라디오 미터품질관리 기법 개발

2.기계학습기반의 AWS 품질관리기술개발

3.3차원 가시화를 통한 광주하계 유니버시아드 기상지원 표출 시스템개발

350

2

관측

A0101

210

국립기상연구소 예보연구과

종합기상탑 자료를 활용한 국지순환 연구(II)

▪하부경계층 내  미기상 관측 및 이를 활용한 국지순환 연구

1.하부경계층내의 미기상 관측자료수집 및 분석

2.종합기상관측탑 측정자료를 활용한 지면모형 비교검증

3.종합기상관측탑 측정자료를 활용한 경계층 모형비교검증

200

3

관측

A0101

210

국립기상연구소  예보연구과

성층권장기체공기 탑재용 기상센서 및 지상체개발(Ⅰ)

▪성층권 장기체공시범기 기상탑재체 핵심부품 시험제작

기상센서 조종 및 자료처리를 위한 지상관측스테이션 최종설계 및 시험 구축

1.성층권 장기체공시범기 기상탑재체 최종설계 및 핵심부품 시험제작

2.성층권 장기체공시범기 기상탑재체 운영 및 관측자료 시뮬레이터 개발

3.기상탑재체 조종 및 자료처리를 위한 지상체 소프트웨어 최종설계

4.지상체 하드웨어 시스템 시험 구축 

1,358

4

관측

A0102

260

기상레이더센터  레이더분석과

레이더자료  통합품질관리기술개발(4차년도)

▪범부처 레이더 관측자료 품질향상을 위한 통합품질관리기술 개발

1.이중편파레이더 품질관리

2.단일/이중편파 레이더 품질정보 생성 알고리즘 개선

3.신호처리기반 품질관리기술개발

300

5

관측

A0102

210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레이더 강설강도 추정 및 차세대 레이더 신기술 선행연구(II)

▪레이더 강설강도 추정 기술개발을 통한 대설 피해 저감 및 차세대 레이더를 이용한 레이더 신기술 분석 및 활용 기반  구축

1.레이더강설강도 추정 기술개발 및 현업적용연구

2.수도권소 형레이더관측망 활용을위한 기획연구

150

6

관측

A0102

260

기상레이더센터  레이더분석과

레이더자료 공동활용시스템 구축(Ⅴ)

▪이중편파레이더 핵심 기술 고도화를 통한 수요자 중심의 맞춤서비스 확산

1.다분야 활용서비스 플랫폼 구축

2.신기술적용 레이더자료처리기법 현업화

3.시스템 이중화 구성 및 저장스토리지 증설

900

7

관측

A0102

210

기상레이더센터  레이더분석과

국지예보모델  지원을 위한 이중편파레이더 시뮬레이터기술 개발(II)

▪국지예보모델용이중편파레이더시뮬레이터개선및 검증을통한레이더자료품질고도화및수치예측정확도 향상기여

1.이중편파레이더자료를 이용한 수치모델 온도기반의 녹는층모듈 검증 및 개선

2.겨울철강수입자에 대한 시뮬레이터 성능 향상 기술개발

3.강수관측사례를 적용한 시뮬레이터 성능평가 및 개선

200

8

관측

A0102

210

기상레이더센터  레이더분석과

범부처 레이더 융합 활용기술개발(II)

▪범부처 활용을 위한 고정밀 레이더 강수장 합성 및 테스트베드 활용기술 개발

1.범부처 이중편파레이더 강 수량 추정값 산출 및 합성기술개발

2.레이더 기반 다중센서(위성,모델)등 이용한 동북아시아격자 강수량 산출기술개발

3.용인테스트베드 레이더 활용기반 기술개발

500

9

관측

A0102

210

국가위성센터  위성기획과

위성자료의  기후표준DB 구축을 위한 핵심기후변수 산출기술개발(II)

▪천리안위성기반핵심기후변수생산을통한기후분야활용확대

▪고품질핵심기후변수산출물자료생산,관리,활용체계고도화

1.천리안위성기반 핵심기후변수통합 산출소프트웨어 구축

2.국내외 위성기반 핵심기후변수산출물 인벤토리(자료공유) 및 서비스 체계 구축 

150

10

관측

A0102

210

국가위성센터 위성분석과

위성융합활용 기술개발

▪위성기반 미세먼지 탐지 기술 확보 및 가뭄 감시 기반 마련

1.환경기상 통합예보지원을 위한 위성정보활용 기술개선

2.가뭄,수자원관리 등 수문기상지원을 위한 활용기술 개발

233

11

관측

A0102

210

국립기상연구소  지구환경시스템연구과

위성정보를  활용한 북극 해빙면적 단기예측기술 개발(II)

▪북극정책 기본계획 수행을 위한 북극항로 환경예측정보 산출기반 구축

1.북극해빙 면적단기예측을 위한통계모델개선 및 예측성검증

2.북극해빙정보의 가시화 기술개발

200

12

관측

A0102

210

국가위성센터  위성운영과

현업지원  및 사용자 맞춤형 위성자료 서비스 콘텐츠 개발

▪방재업무지원을위한위성영상조회기능고도화

▪신규위성자료의 영상표출 콘텐츠 및 자료지원 체계개선

1.태풍/실황 감시영상 표출체계 지원 등 위성영상자료분석환경개선

2.신규위성자료의 맞춤형 표출콘텐츠 개발

100

13

관측

A0102

210

국가위성센터  위성기획과

고품질 위성자료 재처리 기술개발 및 체계구축(I)

▪축적된독자기상위성자료의장기적활용도향상을위한품질개선

▪단계별·수준별위성자료품질관리성과를통합하는자료관리체계구축

1.천리안 정규운영 이후 기상위성영상 품질검사 및 대리 검정결과를반영한 영상자료 재처리기술개발

2.천리안 기상위성기반 기상변수 품질검정결과 반영 및 개선알고리즘 적용을 통한 산출물재처리 기술개발

3.외국기상위성 자료재처리 및 사용자 서비스체계 구축

120

14

관측

A0102

210

국가위성센터  위성운영과

천리안  기상위성 위치보정분석지원 시스템 개발

▪기상위성관측자료 복사/위치보정 알고리즘에 대한 원천기술확보

▪시스템 기반의 천리안 기상위성영상기 노후화에 대한품질저하신속대응

1. GUI 기반의 위치보정독립모듈 개발 및 복사보정분석지원도구 고도화

2. 위치보정 기술 개선을 위한지표기준(Landmark   Chip) 분석 및 구축방법 개발

3. 영상품질관리 시스템의 환경 통합 및 개선

315

15

관측

A0102

210

국립기상연구소  지구환경시스템연구과

GPM  위성강수 산출 알고리즘 개발(III)

▪마이크로파 위성자료를 이용한 한국형 위성강수 산출 알고리즘 개발

1.동아시아 GPM위성강수 산출 통합알고리즘개발

2.위성강수산출을 위한 최적화기법 정교화

350

16

관측

A0102

210

국가위성센터  위성기획과

위성자료의  수치모델 활용 지원 기술개발

▪수치예보모델 성능개선을 위한 천리안 위성 및 외국 위성자료 자료동화 지원 기술개발 

▪.위성 자료동화 성능향상을 위한 위성자료의 품질정보 생산체계   구축 등 현업화 지원 

1.위성산출물의수치예보활용지원을위한품질진단시스템고도화

2.수치모델을위한위성자료민감도평가체계구축

3.위성자료의수치모델활용최적화를위한일차원변분법등기반기술개발

300

17

관측

A0102

210

국가위성센터 위성분석과

위성예보지원 기술개발

▪위험기상 조기 탐지 및 예보지원 활용기술 확보

1.위성기반 태풍감시 및 예보지원 활용 기술 개선

2.천리안위성 기상산출물 품질검증체계확립

3.위성현업 분석시스템 개선

195

18

관측

A0102

210

국가위성센터 위성분석과

위성을 이용한 해양기상요소 산출기술 개발(V)

▪능동형 위성기반 해양기상요소 (해상풍, 유의파고, 해수면 고도) 산출 기반 마련

1.해상풍, 유의파고, 해수면 고도 산출통합프로그램개발

2.통합산출물에 대한 검증평가 결과제시

125

19

관측

A0103

210

국립기상연구소  지구환경시스템연구과

해양관측자료의 검증기술 개발 및 활용

▪ARGO 자료 품질검증 및 관리 기법 개선을 통한 고품질 해양관측자료 확보

1.ARGO자료품질의검증

2.ARGO자료를 활용한 해양수온 및 염분의 장기변동연구

3.ARGO 지연모드 품질관리 기법 개선

80

20

관측

A0103

210

국립기상연구소  지구환경시스템연구과

전지구  해양순환예측시스템 검증 및 자료동화 기술 개발

▪단기 해양순환 예측을 목적으로 한·영 기상청간 공동연구에 기반한 전지구 해양순환예측시스템(NEMO/NEMOVAR)을 개발

1.해양순환예측시스템 초기 및경계 자료분석 기술 개발

2.전지구해양순환예측시스템운영체계개선 및 최적화 연구

3.해양자료동화기술개선을 위한 위성관측자료 활용 연구

170

21

관측

A0104

210

국가위성센터  위성기획과

정지궤도상의  우주기상 예측모델 개발(I)

▪정지궤도상의 위성 운영에 영향을 주는 우주기상 현상 예측모델을 개발하여 정지궤도 기상위성 운영 업무 강화

1.정지궤도상의 자기장, 고에너지입자(전자플럭스)등에 대한 예측모델개발‧개선

2.개발된 모델의 현업화 및 활용 가이던스 제공

120

22

예보

A0201

210

국립기상연구소 예보연구과

고해상도 실황분석 기법 개발

▪다중규모 분석기법 개발을 통한 고해상도동네예보 실황분석 기법 개선

1. 고해상도 실황분석을 위한 다중규모 기법 주요 프레임 개발 및 개선

2. 통합모델 기반의 고해상도 다중규모 분석 기법 적용

3. 다중규모 분석결과 가시화를 위한 하늘상태 표출 시스템 개발

200

23

예보

A0205

210

국립기상연구소예보연구과

(재해기상연구센터)

강원산지  겨울철 재해기상 분석·예측기법 개발

▪강원산지와 영동해안지역의 대설과 한파의 메커니즘 규명 및 평창동계올림픽 기상지원 방안 수립

1.CSEOF 통계기법을 활용한 대설·한파 예측(중장기 포함)기법 개발

2.대설 집중관측을 통한 대기조건별 강설 유형·특성   분석

3.산악지역(올림픽 경기장)의 국지풍 집중관측을 통한 산지 국지풍 상세 분석

4.레이더 반사도와 강설의 강수율 비교분석을 통한 Z- S 관계식 개발

150

24

예보

A0205

210

국립기상연구소예보연구과

(재해기상연구센터)

GIS  기반 재해기상분석시스템 고도화(II)

▪재해기상의 사회경제적 영향예보시스템 개발 및 초기버전 구현

1.기상·지리·피해 DB개선

2.연구개발자중심의 시스템 체계유연화

3.재해예측 가이드라인 v.1개발

4.웹기반의 사결 정지원 시스템설계 및 스캔라이더 관측 자료의 통합 저장기법 개발

210

25

예보

A0205

210

국가태풍센터

태풍분석 및 예측 기술 개발(I)

태풍 단‧장기 예측성 향상

태풍 재분석시스템 고도화 및 다양한 재분석자료 확충

1.태풍 강도 단기예측 모델 개선 및 적용

2.국가태풍센터 태풍계절예측시스템 검증 및 개선

3.태풍분석 및 통계 체계 확립

570

26

예보

A0205

210

국가태풍센터

선진 태풍예보시스템 구축

▪효율적인 태풍예보 훈련 및 태풍정보 생산체계 구축

1.태풍분석 및 예보시스템(TAPS) 기능 및 구성 효율화

2.태풍 동적홈페이지 구축

3.종합태풍방재훈련시스템

440

27

예보

A0205

210

국립기상연구소  황사연구과

황사감시기상탑 운영 및 발원지특성연구(I)

▪황사감시기상탑의 효율적 운영 을 통한 황사 감시와 예측 능력 강화

1.중국(나이만)과 몽골(에르덴,놈곤)에 설치된 황사감시기상탑의 효율적 운영

2.황사감시기상탑 관측자료를 황사발원지 특성 분석

90

28

예보

A0205

210

국립기상연구소  황사연구과

황사·연무  통합예측모델 개선 연구(I)

▪황사연무통합모델 개선

1.황사·연무통합 예측모델 오염 물질 배출량 모델 개선

2.동아시아지역 배출원- 피해지최적검증도구개발

3.황사·연무 통합예측모델 물리화학 과정 개선 

160

29

예보

A0205

210

국립기상연구소  황사연구과

황사  광학관측망 운영 및 위성자료동화 활용 연구(III)

▪스카이라디오 관측망 운영 및 위성을 이용한 황사 탐지기법과 자료 동화 기법 개발

1.국내 스카이라디오미터 관측망 운영

2.극궤도 및 정지궤도위성자료를 이용한 해상(海上) 황사모니터링

3.황사의 광학두께 및 고도산출 자료를 활용한 위성자료 동화기법개발

110

30

예보

A0301

210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수도권  스톰규모예측모델 운영기술 개발

▪수도권 스톰규모예측모델 원형 운영 및 최적화기술 개발

1.수도권 강수사례 분석을 통한 강수예측 정량화

2.스톰규모 예측모델 원형 시스템 운영 및 개선방안 개발

3.스톰규모 예측모델의 입력자료 초기화를 위한 관측자료 활용방안설계

150

31

예보

A0301

210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전산유체역학기반 도시기상 수치모델 운영기술 개발

▪전산유체역학 기반의 도시기상 수치모델 운영을 위한 요소기술 개발

1.LES모델을 이용한 도시난류흐름분석 및 운영기반 기술 개발

2.RANS모델운영기반기술개발

3.수도권도시기상집중관측및도시기상모델표출체계구축

350

32

예보

A0301

210

국립기상연구소 예보연구과

동아시아 재분석 및 재예측장 생산 기술  개발

▪통합예보모델을 이용한 동아시아 지역상세 재분석/재예측 자료생산

▪재분석자료검증‧평가‧진단기반기술개발

1.동아시아 재분석 생산 시스템 설계와 구축

2.재분석을 위한 관측자료 수집 및 재분석 자료 검증‧평가‧진단   기술 개발

150

33

기후

감시

A0402

260

기후국 기후변화감시센터

기후변화감시자료 산출기술 개발(II)

▪지구 대기조성 변화감시에 따른 기후변화감시기술개발

▪자외선 변화량과 인체건강에 대한 지수개발 및 서비스 제공 

1.배경대기의메탄동위원소(12C,13CinCH4)및O2/N2비율실시간관측기술개발연구

2.순자외선산출방법개발 및 서비스기반구축

100

34

기후

감시

A0402

260

기후국 기후변화감시센터

육불화황 분석기술 보급체계 개발(II)

▪WMO소급성(Traceability)을확보한정밀한SF6 표준가스보급‧운용기술개발

▪관측기술 적합성 정도평가(Audit) 기술개발

1.육불화황보급용 표준가스의 작업표준(Workingstandard),이송표준(Transferstandard) 기술개발

2.WMO중앙교정실에서 보급하는2차표준가스를 이용한 보급용표준가스의 인증기술개발

3.육불화황관측기술 적합성정도평가기술개발

130

35

기후

감시

A0402

260

기후국 기후변화감시센터

기후변화감시자료 품질관리 기술  개발(II)

▪에어로졸 자료품질 관리체계구축

▪기후변화 원인물질의 배경대기 농도산출기법 정립 및 최적 알고리즘개발

1.에어로졸 관측자료 온라인 품질관리기술개발

2.한반도 에어로졸라이다 관측자료 통합비교분석기법 및 시스템개발

3.기후변화 원인물질(온실가스등)배경대기 통계적 산출기법개발

130

36

기후

감시

A0403

210

국립기상연구소  지구환경시스템연구과

GOSAT  위성을 이용한 전구 온실가스 산출기술 개발(IV)

▪GOSAT CO2 산출 알고리즘 원형 개선 및 최적화

1.GOSAT전구CO2산출 알고리즘원형개선

2.탄소추적시스템에 위성CO2 농도입력을 위한 알고리즘구축

270

37

기후감시

A0499

260

기후국  기후정책과

전지구기후서비스체제(GFCS) 이행을 위한 국내 기후정보 개발 및 서비스 개선 연구

▪수요자 중심의 기후정보서비스 기반 구축

1.국가 기후‧기후변화 관련 정보 개발 및 서비스 개선 방안 연구

2. GFCS 신규 우선분야(도시화 등) 관련 이행계획 수립

80

38

기후예측

A0401

210

국립기상연구소  기후연구과

기후모델  활용지원 및 평가시스템 구축(IV)

▪CMIP6  대비 지구시스템모델의 결합구조 개선 및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기반 구축

1.대기- 해양/해빙결합모델의결합구조개선

2.지구시스템모델의기후변화시나리오산출기반구축

3.해양생지화학과정결합을 위한결합환경분석

200

39

기후예측

A0401

210

국립기상연구소  기후연구과

한영  공동 기후예측시스템 진단체계 구축(III)

▪전지구앙상블 계절예측시스템의 계절내규모예측성능검증

▪계절예측시스템을 이용한 열대계절내진동과연관된중위기장기예측성발굴

▪대기- 해양접합과정이개절내진동에미치는영향평가

1.GloSea5열대계절내진동예측성능 및 모델구조적오차진단기술개발

2.Glosea5의계절내변동성의 대기- 해양접합과정 진단체계수립

2.Glosea5계절내 성층권변동성 예측성능진단기술개발 및 구조적오차진단 

230

40

기후예측

A0401

260

기후국  기후예측과

기후예측모델 현업 운영시스템 개선(II)

▪슈퍼컴4호기 기반의 개선된 GloSea5 구축 및 활용

1.개선된GloSea5를슈퍼컴4호기구축

2.결합모드및초기과정개선

500

41

기후예측

A0403

210

국립기상연구소  기후연구과

기후변화  시나리오 활용 증진을 위한 기후모델자료 DB 구축

▪IPCC 제6차평가보고서(AR6) 대비 대용량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의 효율적 관리·활용을 위한 기후모델자료 DB  시스템 설계 및 구축

1.기후변화시나리오자료활용을 위한 DB시스템구축

2.기후모델자료의 전문사용자를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개발

100

42

기후예측

A0403

210

국립기상연구소  기후연구과

RCP  시나리오를 활용한 극한 기후변화 분석(IV)

▪국립기상연구소에서 개발한 기후변화시나리오를 활용한 한반도 및 동아시아 극한기후의 발생 및 변화에 대한 원인분석과 미래변화를전망

▪HadGEM2- AO의 성능 평가를 위한 CMIP5기후변화시나리오 산출관련 국제사업참여모델결과와의 비교평가 

1.한반도 극한기후변화의 원인분석과 CMIP5모델의성능평가 및 미래전망

2.미래 극한기후변화 불확실성 및 신뢰도평가기술확보

310

43

기후예측

A0403

260

기후국  기후예측과

장기예보  생산 지원시스템 개선(II)

▪기후감시전망시스템 개선

1.기후감시자료 표출체계개선

2.확률예보생산및통보시스템개선

100

44

기후예측

A0404

260

기후국  기후예측과

이상기후  조기탐지 및 조기경보 시스템 개발

▪이상기후 발생 가능성 예측정보 생산을 위한 이상기후 조기경보 시스템 개발

1.이상기후 조기탐지ㆍ경보시스템 개발

2.이상기후 합동 분석 체계개발

3.이상기후조기경보 예측변수확장성 조사 및 예측성 향상 기법 개발

476

45

기후예측

A0499

260

기후국  기후협력서비스팀 전주기상대

전북지역  농업기상서비스지원 사전 조사

▪전라북도의 지역‧작물‧계절별 다양한 농업기상정보 활용실태 파악‧조사 및 학‧연‧관, 분야별 전문가 등 농업관련기관과  기상협력체계 구축

1.전라북도의 지역별 대표농산물의 농업기상정보 활용실태조사

2.주요작물별 필요 농업기상정보지수조사

3.계절별영향에 따른 농업기상정보 활용도조사

4.시설농업등 분야별 농업기상정보이용현황조사

5.농업관련기관의 기상재해정보지원 및 수요자활용현황 

100

46

기후예측

A0499

260

기후국  기후협력서비스팀

지역별  기후변화 상세분석정보 생산III

▪지자체 기후변화 적응대책 계획 수립을 지원하기 위한 상세(읍면동 단위) 기후변화 분석정보 제공 및 기후변화  분석정보에 대한 활용 제고 및 이해확산

1.67개 기초지자체상세 기후변화 분석정보 제공

2.기후변화 분석정보 활용 제고 및 이해확산을 위한 자료집 제작

360

47

기후예측

A0499

260

기후국기후협력서비스팀

지방기상청

기상대

지역  산업분야별 맞춤형 기후정보 생산 확대·서비스 운영

▪지역별 기후변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남에 따라 지역산업에 맞춤형 기후정보 제공으로 정보활용의 편리성 제고 및 지역산업의 발전기반 조성

1.지역별,산업별 맞춤형 기후정보 개발

2.개발된 맞춤형 정보의 검증 및 정보사 용자에 시범제공

3.정보사용자의 수요분석을 통한 맞춤형 정보제공 및 효율적 정보활용 방안 연구

980

48

기후예측

A0499

260

기후국  기후협력서비스팀

지역별 계절기상 정보의 신뢰도 검증 및  개선

▪기존 전국단위로 발표하는 정보를 지역별로 생산 가능하도록 개선하고, 예측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검증

1.계절기상정보생산 기술개선 및 검증

2.계절기상정보시스템 활용 확대 및 체계적 관리를 위한 시스템 안정화

3.계절기상 정보의 대국민 홍보

100

49

기후예측

A0499

260

기후국  기후예측과

장기예보  정확도 향상 요인 조사ㆍ분석

▪장기예보 정확도를 결정하기 위한 핵심 요인 조사 및 분석

1.기상청 장기예보 역량진단 평가모델개발

2.요인별 장기예보 역량 진단 및 평가

3.장기예보 정확도 향상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 제시

100

50

산업

A0499

260

기후국  기후예측과

수요자중심의수문기상정보활용연구

-  1.3개월 가뭄 전망정보 시스템 구축

▪실시간 가뭄 현황감시 및 전망정보 생산, 통보 시스템 구축

1.가뭄전망 생산기술 최적화 및 현업화

2.1.3개월 가뭄전망 정보생산 및 통보체계 구축

60

51

산업

A0501

210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수문기상모델링 개선을 위한 요소기술 개발 및 활용 연구(II)

▪수문기상 분석 및 예측 정보 활용기술 개발 기반 구축

1.다중수문기상모델기반수문기상분석및예측정보산출체계구축및활용

2.낙동강 수문기상 관측 및 분석 예측자료 웹표출 개선

3.기상- 수문결합모델을 활용한 수문기상분석 및 예측정보활용기술개발 기반 구축

200

52

산업

A0502

210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낙동강  기상연구관측망 자료 활용 및 수치모의 기술 개발(II)

▪구미보를 대상으로 수환경 변화가 국지기상에 미치는 영향 분석

1.지상 및 원격탐사자료활용  한국지기상 영향 분석

2.미규모수치모델을 이용한 국지 기상영향 분석

3.에너지 플럭스 관측자료를 활용한 국지기상영향분석

150

53

산업

A0501

210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고해상도  기상자원 예측시스템 개발 연구(II)

▪고해상도 풍력·태양광 기상자원 예측 정보산출기술 개발 및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 미래 상세풍력·태양광 기상 자원 정보 산출 기술개발

1.시범지역 대상 UKPP, SSPS모델기반 고해상도 태양광 및풍력- 기상자원 예측정보 산출체계 구축

2.PRISM기법을 이용한 시범지역 대상 1km 해상도 미래 풍력 및 태양광 기상자원지도 산출체계 구축

210

54

산업

A0501

210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생명기상  응용모델개발(III)

▪생명기후분석시스템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구성모델 성능개선과 꽃가루 알레르기 예보 개선을 위한 실험 연구

1.생명 기후분석 시스템모델 개선

2.꽃가루 알레르기 예보개선 실험

280

55

산업

A0506

210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인공증설  실험 수치모델링기술 개발 연구(III)

▪인공증설 항공실험 전략수립 및 사후 검증을 위한 수치모델링 기술개발 및 구름- 에어러솔- 강수의 미세물리적 특성 이해

1.중규모 모델기반의 인공증설항공 실험 수치모델링 기술개발

2.수치실험에 의한 구름시스템의 상호작용분석 기술개발

3.집중관측에 의한 구름시스템의 미세 물리적 특성 분석

200

56

산업

A0601

210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응용기상관측장비 실용화 기술개발 연구(III)

▪고품질의 구름특성과 기상요소를 생산하는 첨단기상장비 개발 및 검증

1.라이다방식을 이용한 구름 특성 관측 시스템 개발

2.강수입자부피·모양 측정기 개발

3.집중관측에 의한 구름시스템의 미세물리적 특성 분석

240

57

지진

A0703

260

관측기반국  지진정책과

지진조기분석통보시스템  통합구축(II)

▪지진조기경보 1단계 서비스를 위한 성능개선 및 시스템 안정화

1.지진 조기분석 알고리즘최신버전적용

2.유관기관 지진자료 적용

3.시범운영을 통한 요구수준 분석 및 개선

4.통보체계 일원화 및 편의성 개선

5.조기분석 시뮬레이션 시스템구축 및 통보 이중화

850

58

지진

A0703

210

국립기상연구소  지구환경시스템연구과

실시간조기경보파라미터산출‧전송활용기술개발(I)

▪지진조기분석 시스템의 지진자료 전송‧처리속도향상을 통한 지진조기경보통보시간단축

▪지진조기경보관측 변수산출‧전송장비(EPGen)의활용가능성진단

1.관측환경에 따른 지진조기 경보 관측변수 산출‧전송 장비 설치 및 운영 기술개발

2.지진조기경보 관측변수 산출‧전송 모듈 시험 운영 및 기술 개선

3.지진조기경보 시스템을 통한 조기경보 파라미터 산출‧전송모듈성능검증

4.지진조기 경보시스템을 위한관측변수 산출‧전송 모듈의 활용 적정성 평가

180

59

지진

A0704

210

국립기상연구소  지구환경시스템연구과

인공지진  식별체계 자동화 및 분석시스템 구축(II)

▪효율적인 현업지원을 위한 인공지진 식별체계 자동화

▪인공지진분석 및 평가 근거제공을 위한 분석 및 표출기술개발

1.인공지진 분석결과 자동산출 알고리즘 개선 및 식별능력 향상 방안도출

2.인공/자연지진 특성분석을 위한 인공지진 DB확충 및 표출 알고리즘 개발

100

60

지진

A0704

210

국립기상연구소  지구환경시스템연구과

대규모지진  실시간 분석 및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구축(III)

▪한반도 지진해일 예측을 위한 차세대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개발

▪대규모 지진분석 알고리즘 및 가변격자를 이용한 한반도지진해일예측정확도향상

1.차세대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 시스템 개발

2.대규모 지진 및 지진해일 표출 시스템 개선

170

61

지진

A0704

210

국립기상연구소  지구환경시스템연구과

열적외선  위성을 활용한 백두산 화산 모니터링 기술 개발

▪열적외선 인공위성 영상의 국내·외 활용 사례조사 및 활용방안도출

백두산의 화산활동 양상파악에 활용가능한열적외선인공위성자료현황조사

▪열적외선센서에적합한지표온도추정알고리즘개발

1.국내·외의 열적외선 인공위성영상의 화산활동 감시 활용사례분석 및 백두산 화산에 대한 활용 방안도출

2.백두산 지역의 열적외선 인공위성자료 현황 조사

3.열적외선 센서에 적합한 지표온도추정 알고리즘 개발을 통한 백두산 지역의 온도분포 분석 체계구축

70

62

지진

A0799

260

관측기반국 지진정책과

국가지진종합정보시스템 개선

▪국가 지진ㆍ지구물리 자료ㆍ정보의 통합관리 및 서비스 기반 구축

1.KISS를 이용한 유관기관과의 자료수집ㆍ분배의 표준화  및 안정화

2.통합지진자료ㆍ정보를 활용한 빅데이터 플랫폼 시범개발

3.NECIS 사용자 확대를 위한 멀티미디어ㆍ교육ㆍ훈련 콘텐츠 보강

4.NECIS운영을 통한 통합관리 및 운영자ㆍ사용자 편의성 개선

450

63

기타

260

관측기반국  관측정책과

다목적  기상항공기 도입사업 공정관리(III)

▪다목적 기상항공기 도입사업과 운영에 필요한 자료조사 및 기술공정관리 사업 수행

1.'15년 사업범위내의 기술공정관리 수행

2. 항공기 국내 인수 대비 사전 준비 및 기술지원

3. 항공기 운영을 위한 세부방안 제시

4.계절별‧임무별 항공관측 프로그램 상세 설계

290

64

기타

210

국가위성센터  위성기획과

우주기상  분석 및 활용기술 개발(II)

▪다양한가이던스제공과우주기상자료처리‧분석체계개선을통한우주기상서비스지원체계강화 

우주기상수요자중심의우주기상예특보체계개선을통한우주기상서비스활성화

1.극항로 기상 및 기상위성운영 지원 우주기상가이던스 구축

2.전지구위성항법시스템 자료활용 극대화를 위한 자료처리체계구축

3.기상청 우주기상서비스 향상을 위한 성과분석 및 개선방향 제시

280

65

기타

210

국가위성센터  위성기획과

우주기상  통합예보시스템 구축(III)

국제적 우주기상자료공유 및 서비스 체계 고도화

▪국내 우주기상 유관 부처 및 기관과의 우주기상자료 공유 및 활용방안수립

▪우주기상 관련 제도 정비 및 개선

1.NMSCDCPC를통한우주기상자료‧산출물공유체계구축

2.국내 우주기상 유관부처 및 기관과의 우주기상자료‧산출물의 공유 및 공동활용 방안

3. 기상청 우주기상 관련 제도를 분석하고, 현 시점에 적합하도록 관련 법 또는 규정 정비

278

66

기타

210

국가위성센터  위성기획과

기상위성 활용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훈련체계 구축(V)

▪독자위성 시대를 맞아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이론 및 실습 교재 개발

▪기상위성분야 종사자의 전문성 제고 및 역량강화를 위한   체계적인 교육훈련 프로그램 구축

1.과학관련교원, 관련기관 종사자 교육프로그램개발 및 운영

2.국내‧외 위성관련 온라인교육훈련 콘텐츠개발

3.「위성사이버교육훈련센터」웹페이지관리 및 운영

142

67

기타

210

국가위성센터 위성분석과

위성기반상세정량강수산출 기술개발(I)

▪동아시아 영역을 중심으로 위성을 이용한 정량적 상세 강수 합성장 산출기술 확보

1.국.내외 위성기반 강수산출기술 동향조사 및 개발 방안수립

2.직간접수신 마이크로파 강수정보상세화 기초기술 개발

120

68

기타

210

국가위성센터  위성운영과

정지궤도기상위성 지상국개발감리용역

▪후속 정지궤도 기상위성 지상국 개발 사업의 안정성, 효율성 및 일관성 확보

1.기상및우주기상 자료수신처리시스템개발·구축감리

2.위성자료관리 및 서비스시스템개발·구축감리

3.기상요소 및 우주기상요소 산출알고리즘 개발감리

4.위성자료 예보 및 분석지원기술개발 감리

287

69

기타

210

국립기상연구소 정책연구과

기상정보서비스 만족도 향상 방안 연구

수요자 중심의 기상정보 효율적 활용과 가치창출지원 연구

1.기상ㆍ기후 관련 의사결정 서비스 개선 연구

2.다학제 융ㆍ복합 기반 기상정보 전달 기술개발

3.기상기후서비스 개선 연구

20

70

기타

260

기상레이더센터  레이더운영과

테스트베드레이더 성능시험 및 운영기술 개발연구

▪첨단성능의 레이더 관측망 운영 및 레이더자료의 고품질화로 위험기상 조기감시

1.기상레이더 부품별 국산화방안 및 실용화 절차에 대한 중장기방안

2.레이더 관측소 전파환경분석  및 개선 방안 제시

3.레이더 성능시험 및 기술개발 환경 조성

200

71

기타

260

기획조정관  인력개발담당관실

학사관리시스템 구축 및 기상교육 이러닝콘텐츠 개발

▪체계적인학사관리체계구축및  기상교육   이러닝콘텐츠 개발

1.교육신청,이력관리등 기상교육 행정업무지원을 위한 학사관리시스템 개발

2.학점은행제 대기과학전공 과정, 사이버기상교육 등을 위한이러닝 콘텐츠 개발

300

72

기타

260

기획조정관  국제협력담당관

그린데탕트실현을위한기상분야역할 및 추진방안 연구

▪한반도 그린데탕트 실현을 위한 기상분야 역할 모색과 추진과제 발굴

1.통일부,환경부 등 남북협력 유관기관과의 공조 방안 연구

2.민간부문을 통한 공동연구,학술 및 전문가교류 등 남북기상교류 방안 연구

3.국제사회를 통한 우회적 협력 방안 연구

30


- 1 -



















- 2 -

Ⅱ. 연구용역과제[210- 13, 260]

□ 연구용역 기상분야( 32개)

1

210- 13

A0101

예보연구과

국지위험기상 최적관측기반기술연구(Ⅳ)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구름레이더 자료의 품질개선 및 활용기술 개발

○ 마이크로파 라디오미터의 효율적 운영 및 활용 기술 개발

○ 고층관측을 통한 제주도 위험기상 관측 및 특성 분석

○ 전국 AWS 기상관측자료 품질검사 알고리즘 개발 및 개선

○ 광주 하계 유니버시아드 상세 기상지원 표출 시스템 개발 및 지원 


(2) 과제내용

○ 구름레이더 품질관리 및 활용기술 개발

-  구름레이더 자료 품질관리 개선

-  구름의 계절별, 고도별 통계분석

-  구름물리변수 도출 기초기술 개발

○ 라디오미터 원시자료의 실시간 품질감시 알고리즘 개발

-  품질감시를 위한 주/부 주파수 선정

-  실시간 이론적 복사휘도 정확도 평가 및 최적흐름도 제시

○ 적외 복사온도 센서를 이용한 구름정보 생산 알고리즘 개발

-  적외 복사온도 센서 자료를 이용한 구름탐지 알고리즘의 성능 개선

-  운고계, 구름레이더와의 비교를 통한 실험적 적외탐지 구름정보 생산

○ 제주도지역의 국지위험기상 감시를 위한 집중관측

-  한라산주변의 고해상도 집중관측 수행

-  고층, 지상 및 레이더 관측을 활용한 위험기상 입체분석

○ 기계학습/통계기법 기반의 AWS 관측자료 품질검사 알고리즘 개발 

-  준실시간 모드로 동작하는 공간성 검사 개발 및 개선

-  기상청 AWS 관측자료 품질검사(공간성 검사)와 비교 평가

○ 광주 하계 유니버시아드 상세 기상지원 표출 시스템 개발 및 지원

-  3차원 표출을 위한 광주 하계 유니버시아드 대회 경기장 및 주변 지역 표출 개선

-  광주 하계 유니버시아드 지원용 모바일 관측차량 3차원 표출시스템 개발


- 3 -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여부)

○ 현업 라디오미터 원시자료의 실시간 품질감시 기능(공개, 과제 종료후) 

○ 전국 3500여개 AWS의 관측자료 품질검사 수행(공개, 과제 종료후) 

○ 구름레이더 품질관리 기능(공개, 과제 종료후) 

○ 위험기상 관측과 예측 기술 다양화 및 고도화

○ AWS의 설치 및 재배치 위치 선정에 활용

○ 광주 하계 유니버시아드 기상지원에 활용


(4) 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350

1

1

2

2

3

11

3 ~ 11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2012 ~ 2015

(2) 총 사업비 : 750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2

해당연도- 1

해당년도

해당연도+1

해당연도+2

국지위험기상 최적관측 기반기술 연구

750

200

200

350

-

-

- 4 -

용역과제 차별성 검토보고서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1

국지위험기상 최적관측 기반기술 연구(Ⅰ)

(2012)

박관동

한반도 위험기상(집중호우, 태풍 등)과 중규모 기상현상에 대한 관측 및 예측 기술 개발

학술용역

○ GPS를 활용한 라디오미터 관측자료 최적화 및 GPS/GLONASS 자료처리기술 개발

○ 구름레이더, 우량계를 활용한 한반도 중규모기상 분석기술 개발

○ 라디오미터 관측특성 분석 및 온습도 산출기법 개선기술 개발

2

국지위험기상 최적관측 기반기술 연구(Ⅱ)

(2013)

박관동

한반도 위험기상(집중호우, 태풍 등)과 중규모 기상현상에 대한 관측 및 예측 기술 개발

학술용역

○ GPS 관측자료 품질 제어(QC) 및 GPS 가강수량 검증·최적화 기술개발

○ 구름레이더 운영 안정화 및 활용한 구름 특성 분석기술 개발

○ 창원 라디오미터, 오토존데 관측자료 비교분석 및 개선된 온습도 산출 알고리즘 개발

3

국지위험기상 최적관측 기반기술 연구(Ⅲ)

(2014)

안명환

한반도 위험기상(집중호우, 태풍 등)과 중규모 기상현상에 대한 관측 및 예측 기술 개발

학술용역

○ 연구용 구름레이더 관측자료 품질제어 및 공동관측 수행

○ 위험기상정보 산출을 위한 라디오미터 활용기술 개발

○ 고층관측을 통한 제주도 위험기상 관측 

4

5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 국지위험기상 최적관측 기반기술 연구(Ⅳ)

연구

목적

○ 한반도 위험기상(집중호우, 태풍 등)과 중규모 기상현상에 대한 관측 및 예측 기술 개발

연구

방법

○ 학술용역

연구

내용

구름레이더 품질관리 개선 및 활용기술 개발

○ 라디오미터 원시자료의 실시간 품질감시 알고리즘 개발

○ 적외 복사온도 센서를 이용한 구름정보 생산 알고리즘 개발

○ 제주도지역의 국지위험기상 감시를 위한 집중관측

○ 기계학습/통계기법 기반의 AWS 관측자료 품질검사 알고리즘 개발 

○ 광주 하계 유니버시아드 상세 기상지원 표출 시스템 개발 및 지원




- 5 -

2

210- 13

A0101

예보연구과

종합기상탑 자료를 활용한  국지순환 연구(II)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하부경계층 내 미기상 관측 및 고품질의 관측자료 구축, 이를 활용한 국지 순환 연구


(2) 과제내용

○ 하부경계층 내의 미기상 관측의 지속적 운영 및 자료 분석

-  기온 및 온습도 연직 분포 측정 관측 자료 분석

-  집중 관측 수행 (고층 관측, 에어로졸 수농도 및 난류 연직 분포 관측)

-  에너지, 수증기, 운동량 플럭스 관측 시스템 운영 및 자료 분석

-  초정밀 이산화탄소 농도 관측 및 보정 체계 구축

-  난류 관측 요소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 종합관측탑 측정 자료를 활용한 지면 모형 비교 검증

-  2개 이상의 지면 모형 구동 및 지표면 플럭스에 관한 모형 비교 연구 수행

-  위성자료를 활용한 지표 특성 및 phenology 분석 및 모형 민감도 실험

○ 종합관측탑 측정 자료를 활용한 경계층 모형 비교 검증 

-  행성경계층 모형 구동 및 비교 연구 수행

-  종합관측탑 관측 자료를 활용한 경계층 발달 과정 수치 모사 

-  종합관측탑 관측 자료를 활용한 안개 모델링 검증

-  경계층 난류 연직 분포 모델링 수행 및 검증 분석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여부)

○ 대기 하부경계층의 고품질 관측시스템 및 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공개, 자료품질검사 이후)

○ 고품질 자료를 활용한 한반도 남서해안의 국지순환 이해


(4) 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200

1

1

2

2

3

11

3 ~ 11


- 6 -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2014 ~ 2015

(2) 총 사업비 : 400 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2

해당연도- 1

해당년도

해당연도+1

해당연도+2

종합기상탑 자료를 활용한 국지순환 연구

400

200

200

-

-

- 7 -

용역과제 차별성 검토보고서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1

종합기상탑 자료를 활용한 국지순환연구(Ⅰ)

홍진규

종합기상탑에서 관측되는 자료를 활용한 수치모델 검증 및 개선, 하부경계층 내 미기상 관측 및 고품질의 관측자료 구축, 이를 활용한 국지 순환 연구

학술용역

○ 행성경계층 내의 기상요소 관측시스템 구축

○ 관측자료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 종합관측탑 주변의 미기상/미기후학적 특성 정량화


2

3

4

5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 종합기상탑 자료를 활용한 국지순환연구(Ⅱ)

연구

목적

○ 종합기상탑에서 관측되는 자료를 활용한 수치모델 검증 및 개선

○ 하부경계층 내 미기상 관측 및 고품질의 관측자료 구축, 이를 활용한 국지 순환 연구

연구

방법

○ 학술용역

연구

내용

○ 하부경계층 내의 미기상 관측의 지속적 운영 및 자료 분석

○ 종합관측탑 측정 자료를 활용한 지면 모형 비교 검증

○ 종합관측탑 측정 자료를 활용한 경계층 모형 비교 검증


- 8 -

3

210- 13

A0101

예보연구과

성층권 장기체공기 탑재용 기상센서 및 지상체 개발(I)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성층권 장기체공시범기 기상탑재체 핵심부품 시험제작

○ 기상센서 조종 및 자료처리를 위한 지상관측스테이션 최종설계 및 시험 구축


(2) 과제내용

○ 성층권 장기체공시범기 기상탑재체 최종설계 및 핵심부품 시험제작

※ 기상탑재체(기상센서와 부체계) 최종설계 시 필수요구사항

· 경량화 (<4kg), 소모전력 최소화(<50W), 성층권 극한환경(< - 75℃, >40hPa) 극복기술

-  성층권 장기체공시범기 기상탑재체 최종설계

-  성층권 장기체공시범기 기상탑재체 핵심부품 시험제작 및 환경실험

-  기상탑재체 전자 및 기계 제어계통 시험제작

-  기상탑재체 운영 프로그램 원형 제작

○ 성층권 장기체공시범기 기상탑재체 운영 및 관측자료 시뮬레이터 개발

-  운영시나리오별 작동상태 모사를 위한 기상탑재체 운영 시뮬레이터 개발

-  모사된 기상환경을 이용한 기상탑재체 모의자료 산출기법 기술 개선

-  시범기 운영 시나리오에 따른 시뮬레이터 적용 기술 개발

○ 기상탑재체 조종 및 자료처리를 위한 지상체 소프트웨어 최종설계

-  기상탑재체 조종을 위한 최종설계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I) 개발

-  기상탑재체 전송자료 처리를 위한 최종설계 및 UI 개발

-  기상탑재체 자료와 기상수치자료의 융합가시화시스템 개발

○ 지상체 하드웨어 시스템 시험 구축 

-  기상탑재체 조종, 자료수집 및 표출시스템을 위한 하드웨어 최종설계 

-  기상탑재체 자료처리를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 시험구축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여부)

○ 성층권 장기체공시범기 기상탑재체 제작에 필요한 최종설계 및 핵심기술 시험 (비공개; 다부처사업 공통합의사항. 제작 및 시험 완료 후 공개 예정)

○ 기상관측스테이션 제작에 필요한 최종설계 및 핵심기술 시험 (비공개; 다부처사업 공통합의사항. 제작 및 시험 완료 후 공개 예정)




- 9 -

(4)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1,358

1

1

2

2

3

11

3 ~ 11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15년

(2) 총 사업비 : 4,728 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2

해당연도- 1

해당년도

해당연도+1

해당연도+2

성층권 장기체공기 탑재용 기상센서 및 지상체 개발(I)

4,728

-

-

1,358

2,470

900

- 10 -

4

260

A0102

레이더분석과

레이더자료  통합품질관리기술개발(4차년도)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범부처(기상청,국토부,국방부) 레이더 관측자료 품질향상을 위한 통합품질관리기술 개발

○ 하드웨어 사양에 의존하지 않는 레이더자료 품질관리기술 개발

○ 새로 도입되는 이중편파레이더의 품질관리기술 개발

(2) 과제내용

이중편파레이더(기상청, 국토부) 품질관리

-  연차별 도입·운영되는 기상청, 국토부 신규 이중편파레이더 품질관리 알고리즘 개발 및 적용

※ 대상 : 테스트베드, 모후산 등

-  평균우적크기분포, 레이더간 비교, 자기상관성을 활용한 통합보정기법 기초 개발

단일/이중편파레이더 품질정보 생성 알고리즘 개선

-  연차별 도입 운영되는 레이더의 반사도, 시선속도 품질정보 확대 적용

-  연차별 도입 운영되는 단일/이중편파레이더 비기상에코 TID(Target Identifier)정보 산출 알고리즘 적용

-  백령도 또는 테스트베드레이더를 활용한 이중편파변수 샘플링 품질지수 산출 

신호처리 기반 품질관리기술 개발

-  레이더 신호처리 단계별 품질관리기술 개발

-  제작사 제공 모멘트 자료와 신호처리기반 생산자료의 비교 및 평가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

○ 3개 부처 레이더 자료에 동일한 품질관리기법 적용을 통한 균질한 레이더자료 생산, 품질향상 및 레이더자료 활용 극대화 도모

○ 통합품질관리기술의 범부처 레이더 적용 및 기술이전을 통한 예산 절감 및 한국 독자 기술력 확보 

(4) 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

예정

300

2014.12

2014.12

-

-

1

11

2013.12 ~ 2014.11

※ 사유 : 장기계속계약(2012년∼2016년)


- 11 -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2012년∼ 2016년

(2) 총 사업비 :   1,484 (단위 : 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2

해당연도- 1

해당년도

해당연도+1

해당연도+2

레이더자료 통합품질관리기술(Ⅳ)

1,130

265

265

300

300

-





























- 12 -

용역과제 차별성 검토보고서(제9조의2 관련)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1

레이더자료 통합품질관리기술 개발(I)- (2012년)

- (용역)

경북대학교산학협력단

○한국형 레이더자료 품질관리 알고리즘 방안 도출

○정량적인 레이더자료의 활용을 위한 품질관리시스템 구축

외국의 품질관리기법 현황및 향후 발전 추세 조사를 통한 한국에 적합한 최적의 품질관리기법 조사

○알고리즘 개발 및 적용결과제시

한국형 레이더자료 품질관리 알고리즘 방안 도출

○단일/이중편파레이더를 이용한 품질관리 알고리즘 개발

레이더 반사도 편차보정 알고리즘 개발

○레이더반사도 및 시선속도 품질정보 알고리즘 생성 알고리즘 개발

2

레이더자료 통합품질관리기술 개발(II)- (2013년)

- (용역)

경북대학교산학협력단

범정부적 레이더자료의 공동활용을위한 통합품질관리기술 개발

○알고리즘 개발 및 확대 적용

○알고리즘 개선

시선속도 필터 복원기법 개발

2012년말 기준 운영중인 기상청및 국토부 이중편파레이더에 대한품질관리 알고리즘 개발 및 적용

○이중편파레이더를 이용한 강수유형 분류 알고리즘 개발

○레이더 반사도 및 시선속도 품질정보 생성 알고리즘 개선

3

레이더자료 통합품질관리기술 개발(III)- (2014년)

- (용역)

경북대학교산학협력단

실시간 레이더자료품질관리기술 개발

이중편파레이더 비기상에코신호 정보 산출

알고리즘 개발 및 확대 적용

○알고리즘 개선

○복원된 시선속도를 이용한 단일편파 품질알고리즘 개발

2013년말 기준 운영중인 기상청및 국토부 이중편파레이더에 대한품질관리 알고리즘 개발 및 적용

퍼지 소속함수 생성 GUI 인터페이스 형식 프로그램 개발 

이중편파레이더 비기상에코정보 산출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 레이더자료 통합품질관리기술 개발(IV)

연구

목적

○ 정부 3개 부처(기상청, 국토교통부, 공군) 자료 품질향상을 위한 통합품질관리기술 개발

○ 신호처리기반의 이중편파레이더자료 자료품질관리기술 개발

연구

방법

○ 연차별 도입되는 기상청, 국토교통부 신규 이중편파레이더 품질관리 알고리즘 개발 및 적용

○ 단일/이중편파레이더 품질정보 산출 알고리즘 개선

○ 신호처리 기반 품질관리기술 개발

연구

내용

연차별 도입·운영되는 기상청, 국토부 이중편파레이더 사이트별 퍼지기반 품질관리 알고리즘 개발 및 적용

평균우적크기분포, 레이더간 비교, 자기상관성을 활용한 통합 반사도 보정오차 산출기법 개발

○ 도입‧운영 예정인 이중편파레이더 적용을 위한 퍼지기반 품질관리 시험버전 개발

연차별 도입‧운영되는 레이더(테스트베드, 모후산)의 반사도, 시선속도 품질정보 산출

연직지향 관측자료의 샘플링 수에 따른 반사도, 시선속도 오차 및 품질정보 산출

이중편파레이더 비기상에코(TID) 정보 산출 알고리즘 개선 및 검증

 신호처리 기반 품질관리기술 개발(I)


- 13 -

5

210- 13

A0102

웅용기상연구과

레이더 강설강도  추정 및 차세대 레이더 신기술 선행

연구(II)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레이더 강설강도 추정 기술개발을 통한 대설 피해 저감

○ 수도권 소형레이더 관측망 활용을 위한 기획연구

○ 차세대 레이더를 이용한 레이더 신기술 분석 및 활용 기반 구축


(2) 과제내용

○ 레이더 강설강도 추정 기술개발 및 현업 적용 연구

-  적설 관측자료를 활용한 레이더 강설강도 보정 알고리즘 개선

-  한반도 레이더 강설강도 산출시스템 원형 설계 및 시험판 구축

-  강설 집중관측 자료를 이용한 레이더 강설강도 검증 및 개선 연구

○ 수도권 소형레이더 관측망 활용을 위한 기획 연구

-  선진국 소형레이더 관측망 운영 현황 및 활용연구 동향 분석

-  수도권 소형레이더 관측망 활용연구 가이드라인 제시


(3) 기대효과

○ 레이더 강설강도 추정 기술개발을 통한 대설예보 정확도 향상에 기여

○ 소형레이더 신기술 기획연구를 통한 수도권 소형레이더 관측망 연구방향 제시

○ 선진국 레이더 신기술 동향 분석을 통한 및 신기술 활용 기반 구축


(4) 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150

1

1

2

3

4

11

4 ~ 11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2014~2016(3년)

(2) 총 사업비: 500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 2

해당연도- 1

해당연도

해당연도+1

해당연도+2

 레이더 강설강도 추정 및 차세대 레이더 신기술 연구

500

-

100

150

250

-

- 14 -

용역과제 차별성 검토보고서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1

레이더 강설강도 추정 및 차세대 레이더 신기술 선행연구

(2014)

이규원

레이더 강설강도 추정 기술개발을 통한 대설 피해 저감

레이더 및 강설관측자료를 이용한 레이더 강설강도 추정

○ 레이더 강설강도 추정 기술개발 및 현업 적용 기반 연구

○ 차세대 연구용레이더 신기술 개발을 위한 기획 연구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 레이더 강설강도 추정 및 차세대 레이더 신기술 선행연구

연구

목적

○ 1차년도와 동일

연구

방법

○ 1차년도와 동일

연구

내용

○ 레이더 강설강도 추정 기술개발 및 현업 적용 기반 연구

-  1차년도 강설강도 추정 및 보정 알고리즘 원형 개발

-  2차년도 강설강도 추정 및 보정 알고리즘 개선

○ 레이더 신기술 기획연구

-  1차년도 차세대 연구용레이더 선진기술에 대한 개괄적 동향분석 및 방향성 제시를 위한 기획연구

-  2차년도 수도권 소형레이더 관측망 활용에 대한 상세 기획연구







- 15 -

6

260

A0102

레이더분석과

레이더자료 공동활용시스템 구축(Ⅴ)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이중편파레이더 도입 및 다양한 요구사항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유연한 업무체계 수립 및 핵심 요소기술 고도화를 통한 수요자중심의 맞춤서비스 확산

○ “국민 중심 서비스 정부 3.0 구현”의 핵심 추진계획인 “공공정보 개방‧공유 확대 및 민‧관 합치 강화”를 구현하기 위해 국가 공공정보인 레이더정보를 개방‧공유가 가능하도록 공유서비스로 개발하여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수요자 맞춤형 제공기반 구축

(2) 과제내용

○ 과제규모, 물량 등 주요내용

○ 다분야 활용을 위한 서비스 플랫폼 구축

-  레이더자료 데이터셋 및 오픈 API 개발

-  공개 SW를 활용한 서비스 플랫폼 구축

-  서비스 플랫폼과 공공데이터포털, 기상청 홈페이지 연계

○ 신기술을 도입‧적용한 레이더자료 처리기법 현업화

-  품질정보를 활용한 레이더자료 합성기술 개선

-  범부처 융합 이중편파레이더 활용기술 개발 산출물 서비스

-  기타 서비스 개선

○ 안정적인 시스템 운영

-  레이더자료 공동활용시스템 핵심 업무의 이중화 구성

-  이중편파레이더자료 저장용 스토리지 증설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여부)

○ 공공과 민간에서 활용할 수 있는 레이더정보를 오픈 API 기반으로 개발‧제공함으로써 실시간 연계‧활용이 가능하고 다른 정보와의 융합서비스 개발 촉진

○ 성과 공개

(4)사업진행순서(예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

예정

900

‘14.12

1

1

2

2

11

2 ~ 11

- 16 -

※ 사유 : 계약체결 예정일이 5월 이후에는 반드시 구체적인 사유 작성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2011년 ~ 2015년

(2) 총 사업비 : 4,750(단위 : 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2

해당연도- 1

해당년도

해당연도+1

해당연도+2

레이더자료 공동활용시스템 구축(V)

2,550

1,000

650

900

-

-




























- 17 -


[별지 제1- 2호서식] 

용역과제 차별성 검토보고서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1

레이더자료 공동활용기술 개발 및 시스템 구축(2012)

넥스다임

○ 공동활용 기반 인프라 구축

○ 레이더자료의 생산에서 서비스단계까지의 상세한 감시체계 구현

○ 3개 부처에서 공동활용할 수 있는 기술 개발

○ 전산인프라 구축

○레이더자료 처리 및 분배시스템 구축

○ 레이더자료 통합DB 시스템 및 인프라 구축

○ 레이더기반의 지상풍 산출 알고리즘 개발

○ 레이더기반의 다운버스트 산출 알고리지므 개발

○ 클러스터링 및 퍼지추론 기법을 이용한 채프에코 식별 품질관리 알고리즘 개선

2

레이더자료 공동활용시스템 구축(III)

세이프코리아

○ 통합 DB 구성 및 사용자 활용성·편의성 강화

○ 레이더자료 통합관리체계 기반 마련을 통한 급증하는 데이터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체계 구현

○ 기상레이더자료 종합관리시스템 구축

○ 이중편파레이더 자료 모니터링 체계 구축

○ 스톰구조 분석을 위한 3차원 서비스 체계 구축

○ 전문가용 레이더자료 편집 툴 개발

3

레이더자료 공동활용시스템 구축(IV)

세이프코리아

○ 운영기술 고도화

○ 레이더자료 공동활용시스템 핵심 기술의 안정화, 기능개선 및 신규기능 개발 등을 통한 한국형 레이더자료 활용 표준 패키지 구현

○ 백업 및 복구 관리시스템 고도화

○ 레이더자료 공동활용시스템 운영기술 고도화

○ 위험기상 의사결정지원 기능 강화

○ 사용자 요구사항을 반영한 표출시스템 개선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 레이더자료 공동활용시스템 구축(V)

연구

목적

○ 다분야 활용을 위한 서비스 플랫폼 개발을 통하여 수문·기후·농업 등 타 응용분야와 융·복합 서비스 창출 및 서비스 지향적 개방·공유·협업 기반 마련

연구

방법

○ 공개 SW를 활용한 통합 서비스 플랫폼 구현

○ 유럽, 미국 등의 선진 레이더합성기술을 활용한 고품질의 레이더정보 생산

○ 현업 운영 기술과 R&D 개발 기술을 융합하여 현업화하는 체계 구현

연구

내용

 레이더자료 데이터셋 및 오픈 API 개발

○ 공개 SW를 활용한 서비스 플랫폼 구축

○ 레이더 품질정보를 활용한 합성기술 개선

○ 범부처 융합 이중편파레이더 활용기술 개발 산출물 서비스

○ 레이더자료 공동활용시스템 핵심 업무 이중화

○ 이중편파레이더자료 저장용 스토리지 증설










- 18 -

7

210- 13

A0102

레이더분석과

국지예보모델  지원을 위한 이중편파레이더 시뮬레이터기술 개발(II)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이중편파레이더 관측자료의 예보지원 뿐만 아니라 수치예보모델의 성능향상 등에 활용하기 위해서 수치예보자료를 이중편파레이더자료 형태로 변환해주는 시뮬레이터기술 개발

○ 기상청 현업 국지예모모델(UM)의 성능검증 등의 지원을 위해 개발된 이중편파레이더 시뮬레이터기술을 국내환경에 맞게 개선하여 성능 향상

(2) 과제내용

○ 이중편파레이더자료를 이용한 수치모델 온도기반의 녹는층 모듈 검증 및 개선

-  한반도 강수계의 연직단면 관측(RHI) 자료 및 모델 자료를 이용하여 녹는 층의 깊이 결정 및 녹는층 모듈 개선

겨울철 강수입자에 대한 시뮬레이터 성능 향상기술 개발

- 이중편파레이더 연직단면자료 분석을 통한 한반도 겨울철 강수입자 특성 분석

-  겨울철 강수계의 효과적 모의를 위한 얼음, 눈입자(모양, 크기분포)의 시뮬레이터 반영

○ UM 모델 자료를 이용한 이중편파 모의변수와 관측변수의 비교‧분석

-  용인테스트베드레이더를 이용하여, UM 모델 모의변수와 레이더 관측변수가 잘 맞는 경우와 잘 맞지않는 경우 등에 대한 원인 분석

-  UM모델의 강수물리과정 개선을 위한 방안 제시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

○ 수치예보 결과를 사람들에게 보다 친숙한 이중편파레이더 관측자료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위험기상 감시, 분석 등 예보지원 강화 및 강수계의 물리과정에 대한 이해 증진

○ 수치예보모델 검증 및 레이더 산출물 생산 알고리즘 (강수량, 수상체 분류 등)의 체계적인 성능평가 기반 마련

- 19 -


(4)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200

2014.12

2014.12

-

-

3

11

3 ~ 11

국제공동연구

※ 사유 : 계약체결 예정일이 5월 이후에는 반드시 구체적인 사유 작성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13 ~ ’17

(2) 총 사업비 :  1,200  (단위 : 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2

해당연도- 1

해당년도

해당연도+1

해당연도+2

국지예보모델용 이중편파레이더 시뮬레이터기술개발(II)

1,200

200

200

200

300

300

- 20 -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1

국지예보모델 지원을 위한 이중편파레이더 시뮬레이터기술 개발(I) (2014)

-  (용역)

미국 오클라호마대학

국지예보모델(UM)용 이중편파레이더 시뮬레이터기술 개발을 통해 레이더자료 품질고도화 및 수치예보정확도 향상

알고리즘 개발, 사례 분석

시뮬레이터와 UM모델간 인터페이스 개발

○시뮬레이터 입력자료인 비, 눈, 싸락눈의 입자분포 관련변수 계산코드 개발

모델 온도기반의 녹는층 모듈 개발

○국내사례를 이용한 UM 미세물리과정 성능 평가

○가우스 전력이득함수를 이용한 연직방향 좌표변환 개발

시뮬레이터 일반화 버전 개발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 국지예보모델용 이중편파레이더 시뮬레이터기술 개발(II)

연구

목적

○ 기상청 현업 국지예모모델(UM)의 성능검증 등의 지원을 위해 개발된 이중편파레이더 시뮬레이터기술을 국내환경에 맞게 개선하여 성능 향상

연구

방법

○ 모델 녹는층 모듈 개선, 사례분석

○ 얼음, 눈입자의 특성(모양, 크기분포)의 시뮬레이터에 반영, 개선

○ 기상청 이중편파레이더 자료와 시뮬레이터의 이중편파변수 모의 결과 비교분석

연구

내용

○ 한반도 강수계의 연직단면 관측(RHI) 자료 및 모델 자료를 이용하여 녹는 층의 깊이 결정 및 녹는층 모듈 개선

○ 이중편파레이더 연직단면자료 분석을 통한 한반도 겨울철 강수입자 특성 분석

○ 겨울철 강수계의 효과적 모의를 위한 얼음, 눈입자(모양, 크기분포)의 시뮬레이터 반영

○ UM 모델 자료를 이용한 이중편파 모의변수와 관측변수의 비교‧분석





- 21 -

8

210- 13

A0102

레이더분석과

범부처 레이더 융합 활용기술개발(II)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지형에 의한 빔차폐 등을 개선하여 레이더관측 최저고도의 레이더 강수량 추정값 산출 및 합성장 생산기술 개발

○ 강수관련 위험기상 감시 및 정량예보 지원을 위한 레이더기반 다중센서를 이용한 격자 강수장 생산 기술 개발

○ 용인테스트베드레이더를 이용한 원시자료처리, 부분빔차폐 보정 등 관측자료 품질 향상 및 활용 극대화 연구


(2) 과제내용

범부처 확대적용을 위한 이중편파레이더 강수량 추정값 산출 및 합성기술 개발(II) 

-  하이브리드기법의 강수량 추정값 산출기술 확대 적용 및 검증

※ 대상 : 고산, 성산, 구덕산, 모후산,  테스트베드레이더

-  통계적방법을 이용한 하이브리드기법의 이중편파레이더 강수량 추정값 산출기술 개선

※ 대상 : 테스트베드레이더

-  하이브리드기법을 적용한 단일·이중편파레이더 산출물 합성기술 개선 및 검증

○ 레이더 기반 다중센서(위성, 모델 등)를 이용한 동북아시아 격자 강수장 산출기술 개발

-  융합강수장 산출을 위한 강수유형별(차가운강수, 따뜻한 강수) 위성강수요소의 정확도 개선

-  레이더- 위성- 초단기모델의 융합을 통한 격자 강수장 산출 및 검증

-  레이더- 위성자료를 이용한 초단기모델 자료의 최적화 활용 기초기술 개발

 테스트베드레이더 활용 기반기술 개발

-  이중편파레이더 자료를 이용한 부분 빔차폐 보정기술 개선

-  강수 연직구조 파악을 위한 이중편파변수 연직프로파일(QVP) 생성기술 개발

※ QVP(Quasi- Vertical Profile)

-  시선속도 자료 품질 향상을 위한 레이더 임계변수 평가 및 시험 

※임계변수: 신호품질인텍스(SQI, Signal Quality Index), 클러터 필터(clutter filter) 등

-  안개 탐지를 위한 레이더 활용 가능성 진단 연구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여부)

○ 단일‧이중편파레이더를 통합한 양질의 균질한 강수량 추정값 생산 및 합성장 

- 22 -

제공으로 위험기상 감시 및 예보지원 향상

○ 현업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 기개발된 기술의 사전시험 및 검증을 통한 안정적인 현업화 기반 마련 및 테스트베드레이더의 활용 강화

○ 레이더기반 위성- 모델 융합 격자 강수장의 생산을 통해 해상, 북한 등 레이더 관측공백지역에 대한 지상관측기반 고품질 정량적 강수정보 제공으로 예보, 수문, 수자원 등 다분야 지원 증대


(4)사업진행순서(예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

예정

500

2014.12

2014.12

1

2

3

11

3 ~ 11

※ 사유 : 계약체결 예정일이 5월 이후에는 반드시 구체적인 사유 작성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13 ~ ’18

(2) 총 사업비 :  2,700  (단위 : 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2

해당연도- 1

해당년도

해당연도+1

해당연도+2

범부처 레이더 융합 활용기술 개발(II)

2,700

300

500

500

700

700












- 23 -


용역과제 차별성 검토보고서(제9조의2 관련)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1

범부처 레이더융합 활용기술개발(I)(2014)

-  (용역)

경북대학교산학협력단

범부처 활용을 위한 고정밀 레이더 강수장 합성 및 테스트베드 활용기술 개발

알고리즘 개발, 사례분석 및 검증

하이브리드기법을 적용한 단일/이중편파레이더 강수량 추정값 산출(백령도, 강릉, 비슬산)

레이더 관측공백에 대한 레이더- 위성 기반 융합 강수장 불연속 개선

테스트베드 이중편파변수 안정화 평가 및 품질 검증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 범부처 레이더 융합 활용기술개발(II)

연구

목적

○ 지형에 의한 빔차폐 등을 개선하여 레이더관측 최저고도의 레이더 강수량 추정값 산출 및 합성장 생산기술 개발

○ 강수관련 위험기상 감시 및 정량예보 지원을 위한 레이더기반 다중센서를 이용한 격자 강수장 생산 기술 개발

○ 용인테스트베드레이더를 이용한 원시자료처리, 부분빔차폐 보정 등 관측자료 품질 향상 및 활용 극대화 연구

연구

방법

○ 하이브리드기법을 적용한 레이더 사이트별 알고리즘 개발, 사례분석 및 검증(고산, 성산, 구덕산, 모후산)

○ 레이더 기반 다중센서(위성, 모델 등)를 이용한 동북아시아 격자 강수장 산출기술 개발

○ 테스트베드레이더 자료를 이용한 이중편파변수 연직프로파일 생성 알고리즘 개발, 분석

연구

내용

○ 하이브리드기법을 적용한 단일/이중편파레이더 강수량 추정값 산출(고산, 성산, 구덕산, 모후산) 및 합성기술 개선

○ 통계적 방법에 의한 하이브리드기법의 강수량 추정값 산출기법 개선

융합 격자 강수장 산출을 위한 수유형별 위성강수요소의 정확도 개선

레이더- 위성- 초단기모델의 융합을 통한 격자 강수장 산출 및 검증

○ 레이더- 위성자료를 이용한 초단기모델 자료의 최적화 활용 기초기술 개발 

○ 강수 연직구조 파악을 위한 이중편파변수 연직프로파일 생성기술 개발

○ 시선속도 자료 품질 향상을 위한 레이더 임계변수 평가 및 시험


- 24 -

9

210- 13

A0102

위성기획과

위성자료의  기후표준DB 구축을 위한 핵심기후변수 산출기술개발(II)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천리안 위성기반 핵심기후변수 생산을 통한 기후분야 활용 확대 

○ 고품질 위성기반 핵심기후변수 산출물 자료 생산, 관리, 활용체계 고도화

(2) 과제내용

○ 천리안 위성기반 핵심기후변수 통합 산출 소프트웨어 구축 

-  천리안 위성기반 핵심기후변수(해수면온도, 일사량 등)의 국제표준 자료생산, 품질관리, 검증시스템 구축 

○ 국내외 위성기반 핵심기후변수 산출물 인벤토리(자료공유) 및 서비스 체계 구축

-  기후분야 핵심기후변수 위성자료 제공 방안 수립 

-  천리안 및 외국위성기반 핵심기후변수 자료 수집·공유 서비스 기술 개발 

○ Level 3 산출물 품질 향상을 위한 평가 체계 구축 

-  Level 3 산출물 특성 분석 및 산출 기술 개선 방안 연구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여부)

○ 천리안 기상위성기반 핵심기후변수 생산을 통한 기후 감시·활용 지원 

○ 국제공동프로젝트 참여를 통한 핵심기후변수 자료 공유 및 국제협력 강화 

(4) 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150

‘15.1

‘15.1

‘15.2

‘15.2

‘15.3

‘15.11

‘15.3~11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2014년 ∼(계속)

(2) 총 사업비 : 계속사업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2

해당연도- 1

해당년도

해당연도+1

해당연도+2

위성자료의 기후표준DB 구축을 위한 핵심기후변수 산출기술개발(II)

650

-

100

150

200

200

- 25 -

용역과제 차별성 검토보고서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1

위성자료의 기후표준DB 구축을 위한 핵심기후변수 산출기술개발(I)

(2014)

부경대학교 

한경수

천라안 위성기반 핵심기후변수 산출기술 고도화를 통한 기후분야 활용체계 구축

용역

○ 천리안 기상위성기반 핵심기후변수(ECVs) 산출기술 고도화 

-  핵심기후변수 산출시스템 구축을 위한 실행계획 수립

-  ECVs 산출물 생산을 기술개발 

-  ECVs 정확도 평가를 위한검증시스템(S/W) 개발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 위성자료의 기후표준DB 구축을 위한 핵심기후변수 산출기술 개발 (II) 

연구

목적

○ 천리안 위성기반 핵심기후변수 생산을 통한 기후분야 활용 확대

○ 고품질 핵심기후변수 산출 자료생산, 관리, 활용체계 고도화

연구

방법

○ 조사연구

연구

내용

 천리 위성기반 핵심기후변수 통합 산출시스템(S/W) 구축

○ 국내외 위성기반 핵심기후변수 인벤토리(자료공유) 및 서비스 체계 구축 

○ Level 3 위성산출물 품질 향상을 위한 평가 체계 구축 






- 26 -

10

210- 13

A0102

위성분석과

위성융합활용 기술개발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매년 중국발 미세먼지, 스모그 등이 빈번해 지고 있으며, 또한 위성기반 가뭄정보에 대한 청내 사용자 요구가 점차 증대

○ 다양한 위성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등 환경기상, 토양수분 등 수문‧가뭄 정보 제공을 위한 위성융합 활용기술 개발

(2) 과제내용

○ 환경기상 통합예보 지원을 위한 위성정보 활용기술 개선

-  저궤도 환경위성 기반 미세먼지(NO2, PM2.5) 탐지 기술 개선

-  히마와리위성 자료 활용 미세먼지 탐지 기술 개발

○ 가뭄, 수자원 관리 등 수문기상 지원을 위한 위성 활용기술 개발

-  국내외 위성기반 가뭄감시기술 동향 및 기술조사

-  천리안 및 히마와리위성 활용 가뭄감시 가능성 사전연구

-  자체개발 마이크로파 토양수분정보 다운스케일링 기술개발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여부)

○ 미세먼지, 스모그 등 환경기상, 상세 토양수분 정보 등 지원을 위한 위성기술 기반 마련

○ 예상되는 성과 공개여부 

-  비공개: 기술개발 시작단계이며, 많은 검증 후 현업화 과정을 거쳐 공개함이 타당함

(4)사업진행순서(예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233

`15.1

`15.1

`15.2

`15.2

`15.3

`15.11

`15.3 ~ 11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3년

(2) 총 사업비 : 883 (단위: 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2

해당연도- 1

해당년도

해당연도+1

해당연도+2

위성 융합 활용기술 개발

883

-

-

233

300

350


- 27 -

11

210- 13

A0102

지구환경시스템연구과

위성정보를  활용한 북극 해빙면적 단기예측기술 개발(II)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북극정책 기본계획」수행을 위한 북극항로 환경예측정보 산출기반 구축

○ 위성관측기반의 북극 해빙면적 단기예측 정보 산출과 활용

(2) 과제내용

○ 북극 해빙면적 단기 예측을 위한 통계모델 개선 및 예측성 검증

-  위성자료를 활용한 북극해빙 상태지수 설정 방법 개선

-  여름철 예측성 강화를 위한 해빙농도 아노말리 회귀법 개발

-  개선된 통계모델 예측성 검증: 과거(1979~현재)기간 동안의 hindcast를 수행

○ 통계적 해빙면적 예측모델의 시간 해상도 향상 방안 도출 

-  예측시간해상도 향상(한달→10일 규모)을 위한 기반 기술 연구

○ 북극해빙정보의 가시화 기술 개발 

-  해빙면적 예측정보 및 관측정보의 가시화 모듈 원형 개발 

○ 대외용 “북극해빙감시시스템” 개편 및 “지구환경감시시스템” 개선

-  다양한 해빙정보 제공을 위한 “북극해빙감시시스템” 개편 

-  “지구환경감시시스템” 분석 정보 확대 및 사용자서비스 기능 강화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여부)

○「북극정책 기본계획」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기반 기술 확보 

○ 북극해빙 예측 및 환경 정보의 독자적인 생산기반 구축으로 기후변화 연구 활동 강화와 더불어 북극 비즈니스 발굴 등 다양한 활용 분야와의 시너지 효과 창출

(4)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200

12

1

1

2

3

11

3 ~ 11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14~`16(3년)

(2) 총 사업비 : 500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2

해당연도- 1

해당년도

해당연도+1

해당연도+2

북극해빙 단기예측을 위한 통계모델 개발

500

100

200

200

- 28 -

용역과제 차별성 검토보고서(제9조의2 관련)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1

위성정보를 활용한 북극 해빙면적 단기예측기술 개발

(2014)

정지훈

위성관측자료를 이용하여 북극해빙의 시공간적인 변동 특성을 이용한 해빙면적 단기예측 정보 산출기술을 확보

북극 해빙면적 단기 예측을 위한 통계모델 개발


▪과거 실험예측을 통한 통계모델 예측성 검증


▪통계모델 예측성 개선 방안 도출 

1)북극해빙의 주요 변동패턴 탐지기술 개발

2)통계적 기법을 이용한 북극 해빙농도 예측기법 개발 

1)통계예측모델 결과 검증 실험

2)수치모델 및 위성관측 자료와의 비교를 통한 통계모델 예측성 검증

1)물리적 변수를 이용한 통계모델 예측성 개선방안 연구

2)통계예측모델 개선 설계안 도출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 위성정보를 활용한 북극 해빙면적 단기예측기술 개발(II)

연구

목적

○ `2014년에 개발된 통계적인 북극해빙단기예측모델을 개선

○ 효과적인 해빙정보 제공을 위한 가시화 기술 개발

연구

방법

○ 여름철 북극해빙변화에 영향을 및는 조건을 고려하여 북극 해빙면적 단기예측 통계모델 개선 

○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위한 해빙정보의 가시화 기술 개발 

○ 대외용“북극해빙감시시스템”개편

연구

내용

○ 북극 해빙면적 단기 예측을 위한 통계모델 개선

-  해빙상태를 고려한 북극해빙 상태지수 설정방법 개선

-  대기순환, 기온조건을 고려한 해빙농도 아노말리 회귀법 개발

○ 통계적 해빙면적 예측모델의 시간 해상도 향상 방안 도출 

-  예측시간해상도를 10일 규모로 상세화 기술 기반 연구

○ 북극해빙정보의 가시화 기술 개발 

-  북극해빙정보를 다양한 방법으로 가시화하는 기술 개발

○ 대외용 “북극해빙감시시스템”개편

-  위성관측정보 및 해빙예측정보 제공을 위해 시스템 개편

- 29 -

12

210- 13

A0102

위성운영과

현업지원  및 사용자 맞춤형 위성자료 서비스 콘텐츠 개발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방재업무지원을 위한 위성영상 조회기능 고도화

○ 활용성 향상을 위한 선진화된 위성자료 분류 체계 개선

○ 신규 위성자료의 영상표출 콘텐츠 및 자료지원체계 개선


(2) 과제내용

○ 태풍/실황감시 영상표출체계 지원 등 위성영상자료 분석 환경 개선

-  실황감시와 같은 현업업무 의사결정 과정을 고려한 영상 조회 환경 구축

‧사례 및 이벤트 기준 분석영상의 정리 및 실시간 제공

‧마이크로파 위성자료 분류체계 개선을 통한 영상 접근성 향상

-  사용자 선택에 따른 위성자료 속성정보 표출 콘텐츠 개발

‧태풍 경로의 상세정보, 격자별 휘도온도 등 상세정보 제공 기능 구현

‧태풍분석 정보 등 그래프 영상에 정량적 분석 기능 구현

-  선진화된 해외사례 영상표출체계 분석 및 벤치마킹

○ 신규 위성자료의 맞춤형 표출 콘텐츠 개발

-  일본 HIMAWARI, GPM, GCOM- W1 위성 등 온라인 수신자료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여부)

○ 위성자료 사용자 요구에 맞는 위성자료 서비스

○ 기상위성영상의 현업 활용도 증대

○ 신규 기상위성자료의 서비스 확대 및 활용 지원 증대


(4)사업진행순서(예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100

`15.1

`15.1

`15.2

`15.2

`15.3

11

`15.3 ~ 11


- 30 -

(5) 기타

○ 정지궤도 기상위성 지상국 개발사업(기상자료 관리 및 서비스시스템 개발 부분과 연계) 고려해서 추진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2010년~ (계속)

(2) 총 사업비 : 계속사업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2

해당연도- 1

해당년도

해당연도+1

해당연도+2

사용자 맞춤형 위성자료 서비스 콘텐츠 개발

943

248

195

100

200

200
























- 31 -

13

210- 13

A0102

위성기획과

고품질 위성자료 재처리 기술개발 및 체계구축(I)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축적된 독자 기상위성자료의 장기적 활용도 향상을 위한 품질개선

○ 단계별·수준별 위성자료 품질관리 성과를 통합하는 자료관리 체계 구축

○ 수치모델 개발·개선 및 기후예측·감시 등 위성자료 활용분야 확대 기반확보


(2) 과제내용

○ 천리안 정규운영 이후 기상위성영상 품질검사 및 대리검정 결과를 반영한 영상자료 재처리기술 개발

-  개별 영상자료의 복사/위치성능 평가결과 분석을 통한 기반 재처리 기준 선정 및 영상자료 성능개선을 위한 적용기술 확보

-  위성간 상호비교 및 대리검정을 통한 위성센서의 장기간 성능변화 경향을 적용한 영상자료 재처리 기술 개발

○ 천리안 기상위성 기반 기상변수 품질검정 결과 반영 및 개선 알고리즘 적용을 통한 산출물 재처리기술 개발

-  재처리 영상자료를 활용한 산출물 재처리 및 비실시간 품질검정 체계 구축 

-  산출물 품질검정을 위한 기준자료의 성능 재평가 및 재처리 산출물 자료 품질검정 체계 구축

○ 외국 기상위성 자료 재처리 및 사용자 서비스 체계 구축

-  직수신 외국위성의 과거 자료에 대한 최신 분석기술 적용 체계 구축

-  개선된 천리안 자료처리기술의 외국위성 적용을 통한 기상산출물의 품질 및 시계열자료 확장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

○ 다양한 사용자들의 수요에 부합하는 과거 위성자료 서비스 고품질 구현

○ 위성자료 재처리를 위한 기반기술을 확보하여 산·학계와 공유







- 32 -

  (4)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사업추진 타당성 

검토

과업

지시서 

작성

과업

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

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120

`15.1

`15.2

`15.3

`15.3

`15.4

`15.4

`15.11

‘15.4 ~ 11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3년(장기계속계약)

(2) 총 사업비 : 520 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2

해당연도- 1

해당년도

해당연도+1

해당연도+2

고품질 위성자료 재처리 기술 개발 및 체계 구축

520

-

-

120

200

200

















- 33 -

14

210- 13

A0102

위성기획과

천리안 기상위성 위치보정분석지원 시스템 개발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기상위성 관측자료 위치보정 알고리즘의 원천기술 확보로 영상품질 유지관리

○ 천리안 기상위성 영상기 노후화 대응을 위한 시스템 기반의 분석시스템 개발

○ 통합된 연구 환경 내에서 영상 품질 유지 및 관리의 일원화 


(2) 과제내용

○ 위치보정 분석지원 시스템 개발

-  GUI 기반, 프로젝트 단위로 실행되는 위치보정 독립 모듈 개발

-  천리안 기상위성 위치보정의 자료처리 흐름별 성능 분석 체계 구축

-  대량, 장기간의 자료 일괄처리 및 처리된 결과의 비교분석

○ 위치보정기술 개선을 위한 지표기준(Landmark Chip) 분석 및 구축방법 개발

-  천리안위성의 지표기준과 최신 해안선 정보의 비교 분석

‧지표기준의 입력 자료인 해안선 정보(GSHHS)는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  변화되는 지형정보 반영을 위한 Landmark Chip DB 구축 기반기술 연구

‧구축 방법과 절차 정의 및 구축 도구 개발

○ 영상품질관리 환경 통합, 개선

-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별 별도 개발된 시스템의 통합

-  사용자 편의의 영상품질관리 환경 구축 및 신규 개발 알고리즘의 시험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여부)

○ 천리안 기상위성자료의 위치보정 원천기술 개발

○ 천리안 기상위성 및 후속위성과 연계한 위치보정품질 자체검증 기술 확보


(4)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315

`15.1

`15.1

`15.2

`15.2

`15.3

`15.11

`15.3 ~ 11



- 34 -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2014년 ~ 2015년

(2) 총 사업비 : 665 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2

해당연도- 1

해당년도

해당연도+1

해당연도+2

천리안 기상위성 위치보정 분석지원 시스템 개발

665

-

350

315

-

-























- 35 -

15

210- 13

A0102

지구환경시스템연구과

GPM  위성강수 산출 알고리즘 개발(III)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마이크로파 위성자료를 이용한 한국형 위성강수 산출 알고리즘 개발

○ 전지구강수관측(GPM) 위성자료의 기후, 수문, 재해분야 활용 기반 구축

(2) 과제내용

 동아시아 GPM 위성강수 산출 통합 알고리즘 개발

-  위성 마이크로파 시뮬레이터 및 강수/비강수 구분 기술 정교화

-  최적의 강수 산출을 위한 역변환(Inversion) 기술 개선

-  강수 산출물 해상도 개선을 위한 다채널 합성 기법(deconvolution) 개발

 위성강수 산출을 위한 최적화 기법 정교화

-  강한 대류형 강수 산출 정확도 향상을 위한 “밝기온도- 강수구름 DB” 개선

-  위성강설 산출을 위한 “밝기온도- 강설구름 DB” 구축

○ 한반도 GPM 지상검증기술 정교화

-  이중편파 특성을 활용한 GPM 지상검증 기술 개발 및 검증 수행

-  GPM 위성강설 지상검증 알고리즘 원형 개발

-  강설 집중 관측자료 제공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여부)

○ 한반도 및 동아시아 지역 특성에 맞는 독자적인 마이크로파 강수산출 알고리즘 개발을 통한 국제적인 위상 강화

○ 강수시스템의 물리적 특성과 위성 센서 특성 사이의 불확실성 규명을 통한 위성 강수 정확도의 획기적인 개선

○ 예상되는 성과 공개여부(비공개)

-  개발된 알고리즘에 대한 논문 게재 후 공개

(4) 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300

12

1

1

2

3

11

3 ~ 11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2013~2016(4년)

(2) 총 사업비 : 1,300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2

해당연도- 1

해당년도

해당연도+1

해당연도+2

GPM 위성강수 산출 알고리즘 개발(II)

1,300

300

350

350

300

- 36 -

용역과제 차별성 검토보고서(제9조의2 관련)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GPM 위성강수 산출 알고리즘 개발(I) (2013)

서은경

마이크로파 위성자료를 이용한 한국형 위성강수 산출 알고리즘 개발

○ 마이크로파 위성 모의 관측자료 생산을 위한 시뮬레이터 개발 

○ GPM 위성 활용을 위한 기반기술 개발

○ 동아시아 지역 특성에 적합한 위성 강수자료 생산을 위한 최적화 기술 개발

-  위성 수동 마이크로파 센서 모의 관측자료 생산을 위한 휘도온도 및 레이더 반사도 시뮬레이터 개발

-  GMI 모의 관측자료를 이용한 강수 유무 및 강수 유형 분류기술 개발

-  동아시아 강수 특성 및 다양한 규모의 강수시스템을 고려한 강수구름 수치모의 자료 생산

-  GPM 모의 관측자료를 이용한 “밝기온도- 강수구름 DB" 최적화 기법 개발

GPM 위성강수 산출 알고리즘 개발(II) (2014)

서은경

마이크로파 위성자료를 이용한 한국형 위성강수 산출 알고리즘 개발

○ 동아시아 해양에서 GPM 위성강수 산출 원형 알고리즘 개발

○ 위성 강수자료 산출을 위한 최적화 기술 개선

○ 한반도에서 GPM 지상검증기술 개선

-  GPM/GMI 관측자료를 이용한 강수/비강수 구분 및 강수유형 분류기법 개선

-  마이크로파 위성강수 산출을 위한 역변환(Inversion) 기술 개발 

-  동아시아 지역 강수시스템에 적합한 “밝기온도- 강수구름 DB” 개선

-  모의 강수구름 생산을 위한 변분법 기반 최적화 기술 개선

-  GPM/DPR 지상검증기술 개선: Ka- 밴드 검증기술 개발

-  한반도 GPM 강설 관측 지상검증 계획안 제시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GPM 위성강수 산출 알고리즘 개발(III)

연구

목적

마이크로파 위성자료를 이용한 한국형 위성강수 산출 알고리즘 개발

전지구강수관측(GPM) 위성자료의 기후, 수문, 재해분야 활용 기반 구축

연구

방법

○동아시아 GPM 위성강수 산출 통합 알고리즘 개발

○위성강수 산출을 위한 최적화 기법 정교화

○한반도 GPM 지상검증기술 정교화

연구

내용

○최적의 강수 산출을 위한 역변환(Inversion) 기술 정교화

○강수 산출물 해상도 개선을 위한 다채널 합성 기법 개발

악기상 및 약한 강수 산출 정확도 개선을 위한 “밝기온도- 강수구름 DB” 증설

○위성강설 산출을 위한 “밝기온도- 강설구름 DB” 구축

지상레이더 관측을 이용한 강수/비강수 및 강수유형 분류 기술 검증

○이중편파 특성을 활용한 GPM 지상검증 기술 개선

○GPM 위성강설 산출을 위한 지상검증 수행

- 37 -

16

210- 13

A0102

위성기획과

위성자료의 수치모델 활용 지원 기술개발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수치예보모델 성능개선을 위한 천리안위성 및 외국위성자료 자료동화지원 기술개발

○ 위성 자료동화 성능향상을 위한 위성자료의 품질정보 생산체계 구축 등 현업화 지원 기술 개발 


(2) 과제내용

○ 위성산출물의 수치예보 활용 지원을 위한 품질진단시스템 고도화 

-  위성항법시스템(GNSS- RO) 자료의 품질 진단 및 활용 기술 개발

-  해수면온도, 토양수분, 하층구름정보 등 품질진단요소 확대 및 시스템 개선

-  위성항법시스템(GNSS) 자료의 처리지점 및 품질관리 확대 

-  신규 외국위성 수신자료(EUMETCast) 품질진단 추가

○ 수치모델을 위한 위성자료 민감도 평가 체계 구축 

-  천리안위성 가시채널 검정모듈 개선 및 전지구 위성자료 상호검정시스템(GSICS) 고도화

-  GSCIS 검정계수 업데이트에 따른 개선된 천리안 산출물 전처리체계 구축

○ 위성자료의 수치모델 활용 최적화를 위한 일차원변분법 등 기반기술 개발

-  관측오차 산출 알고리즘별 특성 분석 및 산출 프로그램 개발

-  자료동화 최적화 지원을 위한 채널선택기법 조사 및 분석

-  기술관리 및 사용자 지원을 위한 웹시스템(trac) 개선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여부)

○ 위성자료의 수치예보 활용지원을 통한 위성자료(천리안, 외국위성)의 활용 증대 및 수치모델 정확도 개선에 기여

○ 수치예보분야의 기술 지원, 결과 환류를 통한 위성자료의 품질 및 관리기술 개선

○ 위성자료의 품질진단 기술, 검정시스템 및 수치모델 활용 결과 공개(단, 활용 결과는 수치모델 활용을 위한 현업화 이후에 공개 가능)


(4) 사업진행순서

- 38 -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300

‘15.1

‘15.1

‘15.2

‘15.2

‘15.3

‘15.11

‘15.3~11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2011년 ~ (계속)

(2) 총 사업비 : 계속사업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2

해당연도- 1

해당년도

해당연도+1

해당연도+2

위성자료의 수치모델 활용 지원 기술 개발

1,300

200

200

300

300

300






















- 39 -

17

210- 13

A0102

위성분석과

위성예보지원 기술개발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다양한 위성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태풍, 집중호우, 대류운 등 조기탐지를 위한

예보지원기술 개발

○ 체계적인 천리안위성 산출물 품질검증 개선 및 가이던스 개발


(2) 과제내용

○ 위성기반 태풍감시 및 예보지원 활용기술 개선

-  객관적 태풍분석기술(ADT) 최신버전 도입 및 현업화 기술 개발

-  태풍의 패턴별, 강도별 특성에 따른 강풍반경 산출기술 개선 및 태풍 중심위치 분석기술 개발

○ 대류운 등 위험기상 조기탐지 기술 개선

-  차세대 일본위성(히마와리) 활용 대류운 추적, 강수확률 분석, 대기 연직구조 및 불안정 지수 산출기술 개발

-  당근형 구름, 대설 등 위험기상 현상에 대한 한국형 개념모델 개발

○ 천리안위성 기상산출물 품질 검증체계 확립

-  16종 산출물에 대한 시‧공간적 특징 분석 및 품질검증보고서 발간

-  실시간 품질 관리체계 개선 및 품질검증 가이던스 개발

-  12종 산출물 국영문 기술문서 작성

 위성현업분석 시스템 개선

-  현업 구름분석 및 웹기반 태풍분석시스템  개선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여부)

○ 태풍, 집중호우 등 위험기상 조기탐지를 위한 선진 위성기술 기반 마련

○ 천리안위성 품질의 통계적 결과는 후속위성 산출물의 목표정확도 근거로 활용 가능

○ 예상되는 성과 공개여부 

-  부분공개: 현업적으로 운영되는 위성태풍 분석기술을 청내외 사용자에게 부분공개




- 40 -

(4)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195

`15.1

`15.1

`15.2

`15.2

`15.3

`15.11

`15.3 ~ 11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3년

(2) 총 사업비 : 845 (단위: 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2

해당연도- 1

해당년도

해당연도+1

해당연도+2

위성 예보지원 기술 개발

845

-

-

195

300

350



















- 41 -

18

210- 13

A0102

위성분석과

위성을 이용한 해양기상요소 산출기술 개발(V)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해상 관측공백 영역에서 해양감시‧예측시스템에 활용할 해양기상요소 개발 필요

○ 능동형 위성관측 기반 해양기상요소(해상풍, 유의파고, 해수면고도) 산출기반 마련

(2) 과제내용

○ 해상풍- 유의파고- 해수면고도 통합 산출 프로그램 개발

-  해상풍, 유의파고, 해수면고도 산출 프로그램들이 통합된 프로그램 개발

-  통합 프로그램에서 생산되는 산출물에 대한 검증 평가 결과 제시 

-  통합 프로그램에 대한 ATBD (Algorithm Theoretical Basis Document) 제공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여부)

○ 해양상태 감시와 해양예측모델의 입력자료로 활용

○ 예상되는 성과 공개여부 

-  공개: 검증 후 현업화 과정을 거쳐 공개함이 타당함

(4)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

예정

125

-

-

-

-

`15.1

`15.12

`15.1 ~ 12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2011년∼2015년(5개년 장기계속사업)

(2) 총 사업비 : 625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2

해당연도- 1

해당년도

해당연도+1

해당연도+2

위성을 이용한 해양기상요소 산출기술 개발(V)

375

125

125

125

-

-

- 42 -

용역과제 차별성 검토보고서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1

위성을  이용한 해양기상요소 산출기술 개발(II)

서울대

박경애

능동형 위성관측기반 해상풍 산출기술 개발

다밴드(C/L/X밴드) 고해상도 SAR 자료활용 


위성활용 해상풍 특성 및 산출기술 분석

- 인공위성 산란계 해상풍 오차 특성 연구

- 인공위성 SAR 활용 고해상도 한반도 주변해 해상풍 산출 및 오차 특성 분석

위성 해상풍 활용방안제시

- 모델입력자료, 기름유출탐지 등

2

위성을  이용한 해양기상요소 산출기술 개발(III)

서울대

박경애

능동형 위성관측기반 유의파고 산출기술 개발

ERS, JASON 등 마이크로파 위성자료 활용

○한반도주변해 적용 알고리즘 개발

○신출된 유의파고 비교- 검증

○유의파고 결과물 생산

3

위성을  이용한 해양기상요소 산출기술 개발(IV)

서울대

박경애

능동형 위성관측기반 해수면고도 산출기술 개발

위성고도계 자료 활용

○해수면고도 산출 알고리즘 분석

○해수면고도 산출 알고리즘 개발

○비교검증 및 결과물 생산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 위성을  이용한 해양기상요소 산출기술 개발(V)

연구

목적

○ 다년간 연구개발 결과물 (해상풍, 유의파고, 해수면고도)의 한반도 주변해에 대한 종합적 분석 및 산출 시스템 구축

연구

방법

○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내요의 통합 산출 프로그램 개발

-  위성센터에 이식가능성

-  표출, 검증 기능

연구

내용

○해상풍- 유의파고- 해수면고도 통합 산출 프로그램 개발

-  해상풍, 유의파고, 해수면고도 산출 프로그램들이 통합된 프로그램 개발

-  통합 프로그램에서 생산되는 산출물에 대한 검증 평가 결과 제시

-  통합 프로그램에 대한 ATBD (Algorithm Theoretical Basis Document) 제공


- 43 -

19

210- 13

A0103

지구환경시스템연구과

해양관측자료의 검증기술 개발 및 활용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ARGO 플로트 자료의 검증을 통한 자료의 품질개선 

○ 정확한 ARGO플로트 자료를 활용한 해양의 장기변동성 연구

○ ARGO 지연모드 품질관리 수행 기법 개선을 통한 고품질 해양관측자료 확보 및 안정적 자료 분배

(2) 과제내용

○ ARGO 관측자료의 검증을 통한 자료의 품질 개선

-  ARGO 플로트 자료 상호간의 비교를 통한 ARGO 자료 안정도 검사

-  해역별 초정밀 선박 관측자료와의 비교를 통한 ARGO 자료 품질 검증

○ ARGO 관측자료를 이용한 장기 해양환경변화 분석

-  동해 해역 수온 해양 상층부의 열용량 장기변동성 분석

-  동해 수온약층 내의 수온 및 염분의 장기변동성 분석 

ARGO 지연모드 자료처리·생산 및 품질관리 기법 개선 연구

-  국립기상연구소 ARGO 플로트 자료의 지연모드 자료처리 및 전지구 ARGO 자료센터 전송

-  ARGO 지연모드 품질관리 프로그램 개선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여부)

○ ARGO 관측자료의 고품질화 및 활용도 증대

○ 고품질 자료 생산 및 안정적 분배를 통한 국제사회 기여(국제 ARGO 공동연구)

(4)사업진행순서(예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80

1

1

2

2

3

11

3 ~ 11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2015 ∼ 2017(3년간)

(2) 총 사업비 : 300 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2

해당연도- 1

해당년도

해당연도+1

해당연도+2

해양관측자료의 검증기술 개발 및 활용

300

-

-

80

100

120


- 44 -

[별지 제1- 2호서식]

용역과제 차별성 검토보고서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1

해양관측자료 품질관리 기술 및 표출시스템 개발(2012)

문일주

·전지구 및 지역 해양 관측·재분석 자료의 저장체계 구성 및 자료표출 시스템 개발

·ARGO 지연모드 품질관리 연구 및 지연모드 자료생산

·자료수집 및 분류

·자료분석

·저장체계 구성


 사전 기술조사 및 자료 수집 및 분류

 자료 분석 및 저장체계 구성

 격자화된 재분석 자료 표출 시스템 개발

 비 격자 해양관측자료(CTD, Buoy, ARGO 자료 등) 표출 시스템 개발

 해양자료의 시·공간적인 변화 조사를 위한 동영상 표출시스템 개발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해양관측자료의 검증기술 개발 및 활용

연구

목적

○ ARGO 플로트 자료의 검증을 통한 자료의 품질개선

○ 정확한 ARGO 플로트 자료를 활용한 해양의 장기변동성 연구

○ ARGO 지연모드 품질관리 수행 기법 개선을 통한 고품질 해양관측자료 확보 및 안정적 자료 분배

연구

방법

○ ARGO 자료의 품질개선을 위한 다른 관측자료와의 비교검증

○ 고품질의 ARGO 자료를 이용한 해양장기변동성 연구

연구

내용

○ ARGO 관측자료의 검증을 통한 자료의 품질 개선

-  ARGO 플로트 자료 상호간의 비교를 통한 ARGO 자료 안정도 검사

-  해역별 초정밀 선박 관측자료와의 비교를 통한 ARGO 자료 품질 검증

○ ARGO 관측자료를 이용한 정밀한 장기 해양환경변화 분석

-  동해 해역 수온 해양 상층부의 열용량 장기변동성 분석

-  동해 수온약층 내의 수온 및 염분의 장기변동성 분석 

ARGO 지연모드 자료처리·생산 및 품질관리 기법 개선 연구

-  국립기상연구소 ARGO 플로트 자료의 지연모드 자료처리 및 전지구 ARGO 자료센터(GDAC) 전송

-  ARGO 지연모드 품질관리 프로그램 개선

- 45 -

20

210- 13

A0103

지구환경시스템연구과

전지구 해양순환예측시스템 검증 및 자료동화 기술 개발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국립기상연구소는 기상청 계절예측시스템(GloSea5)의 해양·해빙 초기 입력자료 생산 및 단기 해양순환 예측을 목적으로 한·영 기상청간 공동연구에 기반한 전지구 해양순환예측시스템(NEMO/NEMOVAR)을 개발 중에 있음

본 연구용역 사업에서는 예측시스템(NEMO/NEMOVAR)에서 산출되는 해양·해빙 초기장 및 모델 경계자료의 정확도를 평가하여, 모델 검증 및 개선을 위한 방안을 도출하고자 함.

아울러, 향후 본 시스템의 현업운영을 위한 운영체계 개선 및 전·후처리 과정 개선 등의 최적화 연구를 수행하고, 자료동화 기술 향상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위성관측 자료의 활용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자 함.


(2) 과제내용

해양순환예측시스템 초기 및 경계자료 분석 기술 개발

-  해양순환예측시스템 해양·해빙 초기장 결과 분석

· 예측시스템 초기장 (수온, 염분, 해빙농도 등) 시·공간 변동성 분석 

· 관측 및 재분석 자료와의 비교를 통한 모델 오차 분석 

-  대기- 해양순환 결합모델 및 기상청 전구 예보모델의 대기 예측변수 비교

· 해양모델의 경계장 (열·염수지, 해상풍 등) 비교 분석 및 정확도 평가

전지구 해양순환예측시스템 개선 및 최적화 연구

-  운영체계 개선 및 재 산출된 해양·해빙 초기장 비교·검증

-  전‧후처리 및 모델 수행 스크립트 개선 등을 통한 시스템 최적화 연구

-  해역별 결과 검증 및 분석 등을 위한 후처리 과정(표출포함) 개선

해양자료동화 기술 개선을 위한 위성 관측자료 활용 연구

-  해양자료동화 활용을 위한 위성산출 해양·해빙 자료 조사

-  위성 관측 자료(표층염분 등)의 해양자료동화 방안 조사

-  위성 관측 자료를 이용한 해양예측시스템 검증 방안 제시 

-  해수면 온도 자료 서브샘플링 방법 조사 및 알고리즘 개발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여부)

해양순환예측시스템 평가 방법 구축과 예측성 분석을 통한 모델 개선 기여

해양순환예측시스템 운영체계 개선 기여

관측 공백 지역에 대한 위성자료의 해양자료동화 활용 방안 기여


- 46 -

(4)사업진행순서(예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170

1

1

2

2

3

11

3 ~ 11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2015 ∼ 2017(3년간)

(2) 총 사업비 : 550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2

해당연도- 1

해당년도

해당연도+1

해당연도+2

전지구해양순환예측시스템 검증 및 자료동화 기술 개발

550

170

180

200




















- 47 -

용역과제 차별성 검토보고서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1

해양관측자료를 활용한 자료동화시스템 개발(2013)

오재호

해양순환예측시스템의 관측자료 전처리 시스템 구축

○해양관측자료의 포맷변환 및 품질관리

○영국기상청 관측자료 적용 초기장 생산 및 관측과의 비교·분석

○ 관측자료 전처리 시스템 개발(해양자료 포맷전환/품질관리 적용)

○ 영국기상청 관측자료 적용 해양초기장 생산 및 결과 분석

2

전지구 해양순환예측시스템 진단체계 구축(2014)

오재호

해양순환예측시스템의 전처리 과정개선 및 모델결과 평가를 위한 진단체계 구축

○해양관측자료 추가적용(Argo, 계류부이)

○웹기반 예단변수 표출/진단체계 구축

○해양관측자료 추가적용 등 전처리 과정 개선

○모델/자료동화 결과 표출 및 결과분석 체계 구축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 전지구 해양순환예측시스템 검증 및 자료동화 기술 개발

연구

목적

○ 전지구 해양순환예측시스템의 검증 및 개선 방안 도출

○ 전지구 해양순환예측시스템 운영을 위한 최적화

○ 위성자료를 활용한 해양자료동화 성능향상

연구

방법

○ 해양순환예측시스템 초기 및 경계자료 정확도 평가 등을 통한 결과 검증

○ 전·후처리 및 모델 수행 스크립트 개선을 통한 최적화

○ 위성자료를 활용한 해양자료동화 기술 개선관련 기획연구

연구

내용

해양순환예측시스템 초기 및 경계자료 분석 기술 개발

○ 전지구 해양순환예측시스템 개선 및 최적화 연구

○ 해양자료동화 기술 개선을 위한 위성 관측자료 활용 연구




- 48 -

21

210- 13

A0104

지구환경시스템연구과

정지궤도상의 우주기상 예측모델 개발(I)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천리안 위성 및 후속위성이 위치한 정지궤도상의 위성에 영향을 주는 우주기상 현상 예측모델을 개발하여 정지궤도 기상위성 운영 지원


(2) 과제내용(3년)

○ 정지궤도상의 자기장, 고에너지 입자(전자 플럭스) 등에 대한 예측 모델 개발‧개선

○ 개발된 모델의 현업화 및 활용 가이던스 제공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여부)

○ 정지궤도상의 천리안 위성 및 후속 위성 운영 시 자기장 또는 전자 플럭스 변화에 의해 발생할 위험 대응 지원

○ 우주기상 예측 모델 기술의 외국 의존도를 줄이고, 국내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 


(4)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사업추진 타당성 

검토

과업

지시서 

작성

과업

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

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120

`15.1

`15.2

`15.3

`15.3

`15.4

`15.4

`15.11

`15.4 ~ 11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3년(장기계속계약)

(2) 총 사업비 : 450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2

해당연도- 1

해당년도

해당연도+1

해당연도+2

정지궤도상의 우주기상 예측모델 개발(I)

520

-

-

120

200

200

- 49 -

22

210- 13

A0201

예보연구과

고해상도 실황분석 기법 개발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현재 동네예보 실황 분석에 활용되고 있는 Barnes 기법은 수행 시간이 빠른 것이 특징임

○ 하지만, Barnes 기법은 물리적 균형, 레이더와 위성 같은 진보된 관측 자료를 직접적으로 처리하는데 곤란

○ 미국 NOAA에서는 빠른 분석이 가능한 Barnes 기법과 물리량의 균형을 고려한 3차원 변분법의 장점이 결합된 다중규모기법을 개발하고 있음

○ 미국 NOAA와 국제협력을 통해 다중규모기법을 활용한 고해상도 실황분석체계를 개발하고자 함


(2) 과제내용

○ 고해상도 실황분석을 위한 다중규모 기법 주요 프레임 개발 및 개선

-  다중규모 분석 성능 향상을 위한 비용함수 개선 

-  다중규모 수행시간 단축을 위한 최적화 기법 개선

○ 통합모델 기반의 고해상도 다중규모 분석 기법 적용

-  통합모델 배경장 입력루틴 개발

-  KLAPS 관측자료 입력루틴 개발

○ 고해상도 다중규모 구름분석 기법 개발

-  구름분석을 위한 라디오미터 관측 자료를 활용 기술 개발

-  구름분석을 위한 GNSS 수증기 지연 자료를 활용 기술 개발

○ 다중규모 분석결과 가시화를 위한 하늘상태 표출 시스템 개발

-  3차원 구름정보를 반영한 하늘상태 표출 기반체계 구축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여부)

○ 종관규모와 중규모의 특성이 고려된 고해상도 실황 분석 기술 개발(공개)

○ 다중규모기법을 활용한 고해상도 실황분석 기술(공개)

○ 구름 하늘상태 표출을 통한 현장감 있는 기상정보 제공(공개)





- 50 -



(4)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200

1

1

2

3

4

11

5 ~ 11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2015- 2017

(2) 총 사업비 : 600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2

해당연도- 1

해당년도

해당연도+1

해당연도+2

고해상도 실황분석 기법 개발

600

0

0

200

200

200
















- 51 -

23

210- 13

A0207

예보연구과

(재해기상연구센터)

강원산지 겨울철 재해기상 분석·예측기법 개발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강원산지와 영동해안지역의 대설과 한파의 메커니즘 규명 

○ 복잡지형 구조의 산악지역 겨울철 국지적 기상특성 파악

○ 대설 예측정확도 제고와 평창동계올림픽 기상지원 방안 수립

(2) 과제내용

○ CSEOF 통계기법을 활용한 대설·한파 예측(중장기 포함)기법 개발

○ 대설 집중관측을 통한 대기조건별 강설 유형·특성 분석

○ 산악지역(올림픽 경기장)의 국지풍 집중관측을 통한 산지 국지풍 상세 분석

○ 레이더 반사도와 강설의 강수율 비교분석을 통한 Z- S 관계식 개발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여부)

○ 강원산지와 영동해안의 대설·한파 및 정량적 적설 예측정확도 제고(공개)

○ 대규모 기상장을 통한 국지규모(영동 산지·해안) 대설·한파 중장기 예측(공개)

○ 평창동계올림픽 경기장의 겨울철 국지규모 기상변동 특성 규명 → 올림픽 기상지원 체계 효율성 제고(공개)

(4)사업진행순서(예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150

1

1

2

2

3

11

3 ~ 11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2012 -  2015

(2) 총 사업비 : 550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3

해당연도- 2

해당연도- 1

해당연도

해당연도+1

강원산지 겨울철 재해기상 분석·예측기법 개발

550

100

150

150

150

-

- 52 -

용역과제 차별성 검토보고서(제9조의2 관련)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1

강원지역 재해기상 사례연구 및 예측가이던스 개발(2012)

이재규

영동해안 대설메커니즘 규명, 강원 산지의 여름철 집중호우 유발 MCS 특성 분석

학술용역

○ 영동 해안 및 대관령의 대설사례 연구

○ 소설과 대설의 종관특성 및 대기안정도 분석

○ WRF 모델기반 및 위성영상자료를 활용한 집중호우 특성 분석

2

강원산지 겨울철 재해기상 사례연구 및 예측가이던스 개발(2013)

김병곤

복잡한 강원산지와 영동해안의 겨울철 중규모 재해기상 현상 이해를 통한 예측가이던스 개발

학술용역

○ 영동산지 지역중심의 최근 10년간 1- 2월초고해상도(300m) 분석장 산출

○ 강원산지 고해상도 분석장의 CSEOF 통계기법적용을 통한 강설·기온 공간 변동특성 분석

○ 영동해안 강설과 동해 해기차 및 하층 안정도 특성 분석

3

강원영동 대설 및 한파 특성 분석 및 예측기법 개발(2014)

김병곤

강원영동 대설 및 한파 특성 상세 분석을 통한겨울철 재해기상 예측기법 고도화 

학술용역

○ 평창부근 산지 및 영동지역의 기후학적인 측면에서 장기간의 기온 및 강설(수) 특성 분석

○ 영동지역 대설 메카니즘 규명: 대설 판별 tree 개발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 강원산지 겨울철 재해기상 분석·예측기법 개발

연구

목적

 강원산지와 영동해안지역의 대설과 한파의 메커니즘 규

 복잡지형 구조의 산악지역 겨울철 국지적 기상특성 파악

 대설 예측정확도 제고와 평창동계올림픽 기상지원 방안 수립

연구

방법

 학술용역

연구

내용

 CSEOF 통계기법을 활용한 대설·한파 예측(중장기 포함)기법 개발

 대설 집중관측을 통한 대기조건별 강설 유형·특성 분석

 산악지역(올림픽 경기장)의 국지풍 집중관측을 통한 산지 국지풍 상세 분석

 레이더 반사도와 강설의 강수율 비교분석을 통한 Z- S 관계식 개발

- 53 -

24

210- 13

A0205

예보연구과

(재해기상연구센터)

GIS 기반 재해기상분석시스템 고도화(II)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재해기상의 사회경제적 영향예보시스템 개발 

○ 자료 신뢰도 향상, 계산속도 향상, 시스템 체계 유연화로 시스템 활용도 제고

○ 영향예보시스템(재해 예측가이드라인) 초기버전 개발

(2) 과제내용

○ 기상·지리·피해 DB 개선

-  피해자료를 기상원인별로 분배, 교통사고와 산사태 자료 추가

-  재해자료의 신뢰도 향상 및 기상자료 DB 검색 속도 향상

○ 연구개발자 중심의 시스템체계 유연화

-  재해 분석 및 예측 방법, 범위, 요소에 대한 개방형 시스템 도입

-  연구자에게 익숙한 R, Fortran, Python 등을 자료 분석 및 예측, 표출 툴로 사

○ 재해 예측 가이드라인 v. 1 개발

-  강우와 강설 재해에 대해 우선 통계 기반 재해 예측 가이드라인 v. 1을 개발

-  기상관측자료와 수치예보자료를 사용한 비실시간/실시간 재해 예측 시험

○ 웹기반 의사결정지원시스템 설계 및 스캔라이더 관측자료의 통합저장기법 개발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여부)

○ 재해기상의 사회경제적 영향 분석·예측 연구개발 기반구축(공개)

○ 향후, 재해기상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핵심 구성요소 구축(구축)

(4)사업진행순서(예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210

1

1

2

2

3

11

3 ~ 11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2012 -  2015

(2) 총 사업비 : 560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3

해당연도- 2

해당연도- 1

해당연도

해당연도+1

GIS 기반 재해기상분석시스템 고도화 (II)

560

100

100

150

210

-

- 54 -

용역과제 차별성 검토보고서(제9조의2 관련)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1

기상자료와 지리정보 중첩기술 개발(2012)

손철

재해기상 영향예보를 위한 기상정보와 공간 데이터베이스의 융합기술 개

학술용역

○ 세계측지계 기반 기상자료의 지리정보 자료변환기술 개발

○ 시범지역의 세계측지계 기상·지리정보 중첩실

○ 재해기상 영향예보용 데이터 모델 구축

2

GIS 기반 재해기상분석시스템 시범구축(2013)

손철

기상정보와 지리·피해정보의 융합을 통한 재해기상의 사회경제적 영향예측 기반구축

학술용역

○ GIS DB 다양화 및 검색·갱신기능 구축

○ 영향예보지수 개발용 GIS 기반 tool 개발 

○ 재해·지리·기상정보 웹페이지 구축

3

GIS 기반 재해기상분석시스템 고도화(2014)

기유근

재해기상의 사회경제적 영향분석·예측기술의 실용화 수준 연구개발용 “GIS 기반 재해기상분석시스템” 고도화 

학술용역

○ GIS DB 자료검색 기능 및 사용자 편의기능 추가확대

○ 시피해현황 및 기상요소 통계분석 및 공간분포와 시계열 표출, 기상재해의 피해현황과 기상요소·지리자료의 상관관계 분석tool 고도화

○ 웹기반 관측차량 운영관리 개선 및 의사결정지원시스템 골격(frame) 시험설계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 GIS 기반 재해기상분석시스템 고도화(II)

연구

목적

○ 재해기상의 사회경제적 영향예보시스템 개발

○ 영향예보시스템(재해 예측가이드라인) 초기버전 개발

○ DB 개선 및 시스템 체계 유연화로 시스템 활용도 제고

연구

방법

○ 학술용역

연구

내용

○ 재해기상분석시스템 기상·지리·피해 DB 개선

○ 연구개발자 중심의 시스템체계 유연화: 개방형 시스템 도

○ 재해 예측 가이드라인 v. 1 개발

○ 웹기반 의사결정지원시스템 설계 및 스캔라이더 관측자료의 통합저장기법 개발


- 55 -

25

210- 13

A0205

국가태풍센터

태풍 분석 및 예측기술 개발(I)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태풍강도예측능력 향상을 위한 통계예측모델 활용 및 역학예측모델 개선

○ 태풍 계절예측성 향상을 위한 태풍계절예측시스템 통합 검증

○ 태풍분석 및 통계 체계 확립

(2) 과제내용

○ 태풍 강도 단기예측 모델 개선 및 적용

-  통계적 방법을 이용한 실시간 태풍강도 단기예측시스템 활용

-  역학모델(UM) 기반의 태풍강도 단기예측모델 개선

-  태풍강도변화에 따른 구조분석 기반연구

○ 국가태풍센터 태풍계절예측시스템 검증 및 개선

-  국가태풍센터에서 운영 중인 태풍계절예측시스템 간 비교 검증

-  통계기반 태풍계절예측시스템 개선 (매월 3개월 단위)

-  멀티 전지구 역학모델을 이용한 태풍 계절예측 연구

-  태풍 특성 분석에 따른 재해 산정 연구

○ 태풍분석 및 통계 체계 확립

-  2014년 구축된 재분석체계(원형)의 현업 수행 및 보완

-  2015년 북서태평양 발생태풍 재분석 자료 축적

-  태풍 재분석시스템의 분석기능 최적화 및 스트트랙 생산체계 안정화

-  2014년 개발된 위성기반 태풍발생탐지 기술의 검증 및 현업화

-  안정적이고 체계적인 통합 데이터베이스 구축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여부)

○ 통계/역학기반 태풍강도 예측모델의 활용을 통한 태풍강도예측능력 향상

○ 태풍계절예측시스템별 비교를 통한 예측의 일관성 확보 및 계절예측성 향상

○ 태풍분석의 정확도 개선으로 태풍예보기술 향상의 기반 마련 

○ 기상청 고유의 베스트트랙(진로, 강도) 산출

○ 태풍발생 사전대응 능력 향상 

※ 본 사업은 개발 단계로 충분한 검증 후 공개 예정





- 56 -

(4)사업진행순서(예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570

1

1

2

2

3

11

3 ~ 11

※ 사유 : 계약체결 예정일이 5월 이후에는 반드시 구체적인 사유 작성

(5) 기타

○  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2013 -  2017

(2) 총 사업비 : 2,810 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2013

2014

2015

2016

2017

태풍 분석 및 예측기술 개발 (I)

2,810

250

410

570

700

880


- 57 -

26

210- 13

A0205

국가태풍센터

선진 태풍예보시스템 구축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효율적인 태풍예보 훈련 및 태풍정보 생산체계 구축

○ 맞춤형 대국민 태풍정보 제공체계 구축

○ 태풍예보 정확도 향상

(2) 과제내용

○ 태풍분석 및 예보시스템(TAPS) 기능 및 구성 효율화

-  각종 태풍예보 요소의 표 및 그래프로 일목요연한 표출

-  예보시간 3시간 간격으로 내삽표출

-  수치모델자료 컨센서스 기능 강화

○ 태풍 동적홈페이지 구축

-  태풍 이동경로에 다른 태풍강도 및 크기 동적 표출

-  모바일 어플용 태풍정보 개발

○ 종합태풍방재훈련시스템

-  태풍예보훈련 사례 발굴 및 훈련 프로그램 설계

-  태풍예보관 훈련자료 DB 및 표출시스템 설계

-  국내외 방재훈련실태 및 태풍방재훈련센터 타당성 조사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여부)

○ 태풍예보 관련 자료의 효율적인 활용체계 마련으로 태풍예보 정확도 향상

○ 편리한 태풍예보기능으로 신속한 태풍정보 생산

○ 홈페이지 및 모바일 어플을 통한 대국민 맞춤형 태풍정보 제공으로 태풍정보 활용 극대화 및 태풍피해 최소화

○ 평소 태풍예보 상황과 동일한 훈련으로 안정적인 태풍예보 생산 및 정확도 향상

○ 신임 태풍예보관, 공군, 방재기관 등의 교육 및 훈련용으로 활용

(4)사업진행순서(예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440

1

1

2

2

3

11

3 ~ 11

※ 사유 : 계약체결 예정일이 5월 이후에는 반드시 구체적인 사유 작성

(5) 기타

- 58 -

○ 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2013∼2017

(2) 총 사업비 : 1,840 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2013

2014

2015

2016

2017

선진 태풍예보시스템 구축

1,840

280

240

440

440

440























- 59 -

27

210- 13

A0205

황사연구과

황사감시기상탑 운영 및 발원지특성연구(I)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황사농도예측모델의 황사발생모델이 종관기상 관측 자료에 기반함.

○ 모델 개선 및 황사 예측을 위해 황사발원지인 고비 사막과 내몽골 지역에 대한 황사발원특성 분석 및 감시가 필요

○ 중국과 몽골에 설치된 황사감시기상탑의 효율적 운영으로 황사 감시와 예측 능력 강화 및 예보 지원

○ 황사감시기상탑 관측 자료 분석을 통한 황사 발원 특성 분석


(2) 과제내용

○ 중국(나이만)과 몽골(에르덴, 놈곤)에 설치된 황사감시기상탑의 효율적 운영

-  측기 및 센서 정기/수시점검 및 검‧교정 실시

-  몽골(에르덴, 놈곤) 황사감시기상탑에 대한 준실시간 관측자료 수집 및 표출

※ 황사감시기상탑 운영 현황

나이만 (奈曼, Naiman)

에르덴 (Erdene)

놈곤 (Nomgon)

위치

중국 내몽골

몽골 남동부 (Dornogovi)

몽골 남부 (Umnugovi)

설치시기

2007. 10.

2007. 10.

2010. 10.

주변토양

사막화 진행 (모래)

고비 (Gobi)

고비 (Gobi)

관측요소

 풍향/풍속, 기압, 기온, 습도, 지중온도, 토양수분, 토양열속, 강수량, 대기복사, PM10, 자동 다단입자포집기

 풍향/풍속, 기압, 기온, 습도, 지중온도, 토양수분, 토양열속, 강수량, 대기복사, PM10

 풍향/풍속, 기압, 기온, 습도, 지중온도, 토양수분, 토양열속, 강수량, 대기복사, PM10

○ 황사감시기상탑 관측 자료를 황사 발원지 특성 분석

-  황사발원시기의 기상 특성 분석 (연직 바람 구조, 난류 특성, 지표면 특성 등)

-  황사발원을 억제시키는 기상 요소 분석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

○ 황사발원지의 기상 및 PM10 농도 실시간 감시로 황사예보 지원 (공개)

○ 황사발원지 특성 분석을 이용한 황사예보모델 개선 (공개)



- 60 -

(4)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90

1

1

2

3

4

12

4 ~ 12

※ 사유 : 계약체결 예정일이 5월 이후에는 반드시 구체적인 사유 작성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15 ~‘17년

(2) 총 사업비 : 390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2

해당연도- 1

해당년도

해당연도+1

해당연도+2

황사감시기상탑 운영 및 발원지특성연구(I)

390

90

150

150

- 61 -

[별지 제1- 2호서식]

용역과제 차별성 검토보고서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1

황사감시기상탑 운영 및 에어러솔 예측 모델 개발 (I)

(2011)

박순웅

황사 예측 능력 강화와 예보 지원

 황사감시기상탑의 효율적 운영

 인위적 에어러솔이 포함된 에어러솔 예측모델의 개발

황사감시기상탑 정기/수시 점검

어러솔 역학 모델 개발

현업 황사예측모델과의 결합을 통한 인위적 에어로솔이 고려된 에어로솔 예측 모델 개발

2

황사감시기상탑 운영 및 에어러솔 예측모델 개발 (Ⅱ) 

(2012)

박순웅

황사감시기상탑 정기/수시 점검

연무, 박무 현상의 기상학적 특성 분석

에어러솔예측모델 개발 및 사례 실험을 통한 검증

3

황사감시기상탑 운영 및 에어러솔 예측모델 개발 (Ⅲ) (2013)

박순웅

황사감시기상탑 정기/수시 점검

발원지의 황사 성분 및 크기 분석

에어러솔모델링시스템을 통한 황사, 연무, 박무 예측 방법 개발

에어러솔모델링시스템의 장기수행을 통한 성능평가

관측자료를 이용한 에어러솔모델링시스템 초기장 개선

4

황사감시기상탑 운영 및 에어러솔 예측모델 개발 (Ⅳ)(2014)

박순웅

황사감시기상탑 정기/수시 점검

황사감시기상탑 관측자료를 이용한 황사발원지 지표면 특성 분석

에어러솔모델링시스템의 배출량 자료 연구

관측자료를 이용한 에어러솔모델링시스템 초기장 개선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황사감시기상탑 운영 및 발원지특성연구(I)

연구

목적

황사 감시와 예측 능력 강화 및 예보 지원

 황사 발원 특성 분석

연구

방법

중국과 몽골에 설치된 황사감시기상탑의 효율적 운영

 황사감시기상탑 관측 자료 분석

연구

내용

 중국(나이만)과 몽골(에르덴, 놈곤)에 설치된 황사감시기상탑의 효율적 운영

-  측기 및 센서 정기/수시점검 및 검‧교정 실시

-  몽골(에르덴, 놈곤)에 설치된 황사감시기상탑에 대한 준실시간 관측자료 수집 및 표출

 황사감시기상탑 관측 자료를 황사 발원지 특성 분석

-  황사 발원 시기의 기상 특성 분석 (연직 바람 구조, 난류 특성, 지표면 특성 등)

-  황사 발원 억제 기상 요소 분석









- 62 -

28

210- 13

A0205

황사연구과

황사·연무 통합예측모델 개선 연구(I)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인위적 오염물질 배출량 불확실성 개선을 위한 배출량 모델 고도화와 최신 배출량 자료 도입 필요

○ 황사·연무 통합예측모델의 에어로졸 농도 예측 개선을 위해서는 황사와 연무 에어로졸 간의 물리화학과정 개선 필요

○ 황사·연무 통합예측모델을 활용한 에어로졸에 대한 배출원 기여도 평가 기법 개발 필요

○ 배출량 모델 고도화 및 배출원 기여도 평가 기법 도입을 통한 황사·연무 통합예측모델의 개선

○ 챔버 실험을 통함 황사와 연무 에어로졸의 상호 과정 연구


(2) 과제내용

○ 황사·연무 통합예측모델 오염물질 배출량 모델 개선 

-  SMOKE를 활용한 황사·연무 통합예측모델 배출량 자료 최적화 연구

※ SMOKE: Sparse Matrix Operator Kernel Emissions 

인위적 오염물질 배출량 자료(국외: MICS- Asia 2010, INTEX- B 2006, 국내: 최신 CAPSS 자료)

‣ MICS- Asia: Model Intercomparison of Atmospheric Dispersion Models for Asia

‣ INTEX- B: International Chemical Transport Experiment- B

‣ CAPSS: Clean Air Policy Support System

 자연적 배출량 자료

‣ MEGAN: Model of Emissions of Gases and Aerosols from Nature

-  AQUM 모델을 위한 배출량 자료 구축

※ AQUM: Air Quality in the Unified Model (영국 기상청 개발 모델)


○ 동아시아 지역 배출원- 피해지 최적 검증도구 개발 

-  사례실험을 통한 CMAQ의 DDM 방법과 CAMx의 PSAT 배출원- 피해지 산정방법 비교

※ CMAQ: Community Multi- scale Air Quality (미국 EPA 개발 모델)

CAMx: Comprehensive Air Quality Model with Extensions (미국 Envrion 社 개발 모델)

‣ DDM: Direct Decoupled Method

‣ PSAT: Particle Source Apportionment Technique

-  현업용 황사·연무 통합예측모델에 DDM 구축 및 테스트


○ 황사·연무 통합예측모델 물리화학과정 개선 

-  실외 챔버(outdoor chamber) 실험을 통한 황사와 연무에어로졸 상호작용 연구

 황사가 SO2 산화과정에 미치는 영향 조사

‧ 황사- 유기에어로졸 상호작용 조사 (평가: 톨루엔[Toluene] 에어로졸)


(3) 기대효과

○ 황사·연무 통합예측모델의 개선(배출량 자료와 배출원- 피해지 산정도구 개발)

- 63 -

○ AQUM 활용을 위한 배출량 자료 구축

○ 황사와 연무에어로졸 상호작용 파악 및 모델 물리화학 과정 개선



(4) 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160

1

1

2

3

4

11

4 ~ 11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15~’17년

(2) 총 사업비: 610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2

해당연도- 1

해당년도

해당연도+1

해당연도+2

 황사·연무 통합예측모델 개선 연구

610

-

-

160

200

250


















- 64 -

[별지 제1- 2호서식]

용역과제 차별성 검토보고서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4

황사감시기상탑 운영 및 에어러솔 예측모델 개발 (Ⅳ)

(2014)

박순웅

황사 예측 능력 강화와 예보 지원

 황사감시기상탑의 효율적 운영

 인위적 에어러솔이 포함된 에어러솔 예측모델의 개발

황사감시기상탑 정기/수시 점검

황사감시기상탑 관측자료를 이용한 황사발원지 지표면 특성 분석

에어러솔모델링시스템의 배출량 자료 연구

관측자료를 이용한 에어러솔모델링시스템 초기장 개선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황사·연무 통합예측모델 개선 연구(I)

연구

목적

황사·연무 통합예측모델의 배출량 모델 고도화 및 황사와 연무 에어로졸 상호작용 규명

연구

방법

황사·연무 통합예측모델 오염물질 배출량 모델 개선

동아시아 지역 배출원- 피해지 최적 검증도구 개발

황사·연무 통합예측모델 물리화학과정 개선

연구

내용

SMOKE를 활용한 황사·연무 통합예측모델 배출량 자료 최적화

사례실험을 통한 CMAQ의 DDM 방법과 CAMx의 PSAT 배출원- 피해지 산정방법 비교

실외 챔버(outdoor chamber) 실험을 통한 황사와 연무에어로졸 상호작용 연구






- 65 -

29

210- 13

A0205

황사연구과

황사 광학관측망 운영 및 위성자료동화 활용 연구(III)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스카이라디오미터 관측망(KSNET) 운영 및 황사광학특성의 실시간 표출

※ KSNET: Korea Skyradiometer Network

○ 극궤도/정지위성의 적외채널을 이용한 황사 탐지 및 자료동화기법 개발


(2) 과제내용

○ 국내 스카이라디오미터 관측망 운영

-  관측 사이트 운영 및 관측 (서울대, 공주, 용인)

-  황사 및 연무 에어로졸의 광학특성 자료 산출 

(에어로졸 광학두께, 옹스트롬 지수, 크기분포)

-  플럭스 관측 자료를 활용한 에어로졸 복사강제력 산출 (서울)

-  광학특성 결과의 준 실시간 웹 표출 및 웹 페이지 관리 (서울, 백령도)

○ 극궤도 및 정지궤도 위성자료를 이용한 해상(海上) 황사 모니터링

-  MODIS와 천리안 위성을 적용한 황사탐지기법 개선 및 검증

-  해상 황사탐지 기법의 안정적인 시험운영체계 지원

○ 황사의 광학두께 및 고도 산출자료를 활용한 위성자료동화 기법 개발

-  AIRS자료를 이용한 황사의 광학두께 및 고도산출 기법 개선 및 검증

-  황사의 광학두께 및 고도산출 기법의 안정적인 시험운영체계 지원

-  황사의 광학두께 및 고도 자료를 이용한 황사자료동화기법 개발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여부)

○ 광학관측망의 황사모니터링을 바탕으로 황사 및 연무 감시 능력 향상(공개)

○ 정확한 지상관측 자료 확보로 위성 산출물 검증(공개)

○ 위성을 이용한 황사의 입체적 탐지를 통한 황사 감시능력 향상(공개)

○ 위성자료동화 기법을 통한 황사예측모델 성능 향상(공개)


(4)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110

1

1

2

3

4

11

4 ~ 11



- 66 -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13~’17년

(2) 총 사업비 : 641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2

해당연도- 1

해당년도

해당연도+1

해당연도+2

황사 광학관측망 운영 및 위성자료동화 활용 연구(III)

641

101

130

110

150

150


- 67 -

[별지 제1- 2호서식]

용역과제 차별성 검토보고서(제9조의2 관련)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1

황사 광학관측망 운영 및 위성자료동화 활용 연구(I)

(2013)

손병주

황사 예측 능력 강화와 예보 지원

○국내 황사 광학관측망 운영 및 기술지원

○위성 자료동화를 위한 황사판독 및 적외 초분광자료 활용 연구

스카이라디오미터(서울, 용인, 공주) 운영 및 기술지원(서울황사감시센터)

○황사 및 연무의 광학특성 산출 및 웹 표출

○적외 파장의 편광 성질을 이용한 서해상 황사 탐지기법 검증 및 개선

○적외 초분광 위성자료(AIRS)를 이용한 황사의 광학두께 및 고도 산출 기반 연구

2

황사 광학관측망 운영 및 위성자료동화 활용 연구(II)

(2014)

손병주

스카이라디오미터(서울, 용인, 공주) 운영 및 기술지원(서울황사감시센터)

○국립기상연구소 내부 서버에 실시간 표출시스템 구축

○해상 황사탐지 기법의 MODIS 자료를 이용한 시험운영체계 지원

○황사의 광학두께 및 고도산출을 위한 ANN 알고리즘 구축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황사 광학관측망 운영 및 위성자료동화 활용 연구(III)

연구

목적

○황사 감시 및 예측능력 강화와 예보지원

○황사자료동화기법 개발을 위한 위성자료 활용

연구

방법

○국내 스카이라디오미터 관측망 운영

○극궤도 및 정지궤도 위성자료를 이용한 해상(海上) 황사 모니터링

○황사의 광학두께 및 고도 산출자료를 활용한 위성자료동화 기법 개발

연구

내용

○국내 스카이라디오미터 관측망 운영

-  관측 사이트 운영 및 관측 (서울대, 공주, 용인)

-  광학특성 결과의 준 실시간 웹 표출 및 웹 페이지 관리 (서울, 백령도)

○극궤도 및 정지궤도 위성자료를 이용한 해상(海上) 황사 모니터링

-  MODIS와 천리안 위성을 적용한 황사탐지기법 개선 및 검증

-  해상 황사탐지 기법의 안정적인 시험운영체계 지원

○황사의 광학두께 및 고도 산출자료를 활용한 위성자료동화 기법 개발

-  AIRS자료를 이용한 황사의 광학두께 및 고도산출 기법 개선 및 검증

-  황사의 광학두께 및 고도산출 기법의 안정적인 시험운영체계 지원

-  황사의 광학두께 및 고도 자료를 이용한 황사자료동화기법 개발



- 68 -

30

210- 13

A0301

응용기상연구과

수도권 스톰규모예측모델 운영기술 개발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수도권 스톰규모예측모델 원형 운영 및 최적화기술 개발 

○ 스톰규모예측모델을 이용한 강수예측 정량화


(2) 과제내용

○ 수도권 강수사례분석을 통한 강수예측 정량화

-  과거 강수사례 모의를 통한 강수예측 성능 평가

-  강수사례 모의를 통한 최적 운영방안 도출

-  강수예측 성능평가 방안 개발

○ 스톰규모예측모델 원형시스템 운영 및 개선방안 개발

-  스톰규모예측모델 수행을 위한 상세 운영 매뉴얼 구축 

-  과거자료(‘14년) 시험운영에 따른 예측성적서 구축

-  스톰규모예측모델 개발/개선을 위한 소스코드 버전관리체계 개발

○ 스톰규모예측모델의 입력자료 초기화를 위한 관측자료 활용방안 설계

-  사업단 관측자료를 이용한 자료동화체계 설계

-  입력초기화에 따른 관측자료별 예측성능 평가방안 개발 


(3) 기대효과

○ 수도권 스톰모규모예측모델의 예측성능 정량화

○ 수도권 도시농림기상 관측자료의 활용 및 예측성 향상


(4) 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150

1

1

2

2

3

11

3 ~ 11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15년

(2) 총 사업비: 150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 2

해당연도- 1

해당연도

해당연도+1

해당연도+2

수도권 스톰규모예측모델 운영기술개발

150

-

-

150

-

-

- 69 -

31

210- 13

A0301

응용기상연구과

전산유체역학기반 도시기상 수치모델 운영기술 개발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전산유체역학 기반의 도시기상 수치모델 운영을 위한 요소기술 개발

○ 도시환경 특성을 반영한 경계조건 개선 및 도시관측자료를 활용한 검증


(2) 과제내용

○ LES 모델을 이용한 도시난류 흐름 분석 및 운영 기반 기술 개발

-  마곡 인공협곡 실험 자료를 이용한 LES 모델 검증

-  실제 도시지역(강남/선릉)의 LES기반 수치모델링 시스템 원형 개발

-  건물이 밀집된 도심지역의 난류 및 오염물질 분산 특성 분석

○ RANS 모델 운영 기반 기술 개발

-  선릉/강남 관측망 주변 지역 대상 테스트베드 구축

-  WRF- RANS 접합 모델링 시스템 원형 개발

-  관측자료를 활용한 WRF- RANS 접합 모델의 도시흐름 및 분산 특성 분석

○ 수도권 도시기상 집중관측 및 도시기상모델 표출체계 구축

-  서울(강남/선릉) 중심으로 풍상/도심/풍하지역(3소) 여름철 존데 집중관측

-  강남/선릉 지역 LES/RANS/CAS 표출체계 구축


(3) 기대효과

○ 고해상도 도시기상 관측과 예측 기술 다양화 및 고도화

○ 급속한 도시화에 따른 도시지역 바람 및 열적 변화 예측성 향상



(4) 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350

1

1

2

2

3

11

3 ~ 11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15~’17년

(2) 총 사업비: 950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 2

해당연도- 1

해당연도

해당연도+1

해당연도+2

전산유체역학기반 도시기상 수치모델 운영기술개발

950

-

-

350

300

300



- 70 -

32

210- 13

A0301

예보연구과

동아시아 재분석 및 재예측장 생산 기술 개발

1. 당해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통합예보모델을 이용한 동아시아 지역 상세 재분석 및 검증·평가·진단을 위한 기반 기술개발

○ 기상청 현업 통합예보모델 기반의 동아시아 40년 재분석 및 재예측 자료 생산을 통하여 기상·기후 빅데이터 활용 및 확산 기반 마련


(2) 과제내용

○ 통합예보모델 기반의 재분석·재예측 생산시스템 상세 설계 및 분석

○ 재분석·재예측을 위한 관측자료와 수치모델 경계자료 처리기법 개발 

○ 재분석·재예측 자료의 검증·평가·진단 및 모니터링 방법 설계

○ 재분석 결과에 대한 분야별 예비수요조사 및 유형별 우선순위 산정

○ 재분석용 관측자료 추가 확보를 위한 한·중·일 각국의 집중관측 및 국제공동관측 프로그램 현황 및 계획 조사


(3) 기대효과

○ 강수정량예보 개선을 위한 지역수치예보 기술 개선 및 현업 적용

○ 장기간 재분석·재예측기술 확보로 수치예측·분석·검증·평가·진단체계 개선

○ 동네예보용 통계모델 개선과 예보관의 수치모델 활용능력 강화


(4) 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150

1

1

2

2

3

11

3 ~ 11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15년~ ’18년

(2) 총 사업비 : 550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당해연도- 2

당해연도- 1

당해년도

당해연도+1

당해연도+2

동아시아 재분석 및 재예측장 생산기술개발

550

-

-

150

200

200


- 71 -

□ 연구용역 기후분야(17개)

33

260

A0402

기후변화감시센터

기후변화감시자료 산출기술 개발(Ⅱ)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지구대기조성 변화 감시에 따른 기후변화감시 기술개발

○ 자외선 변화량과 인체건강에 대한 지수 개발 및 서비스 제공

(2) 과제내용

○ 배경대기의 메탄동위원소(12C, 13C in CH4) 및 O2/N2 비율 실시간 관측기술 개발 연구

-  국내·외 메탄 동위원소 측정현황·기술, 관측자료 특성 및 활용방안 조사·분석

-  메탄 동위원소 실시간 측정기를 이용한 기후변화감시센터(안면도)에서 예비 관측실험 실시

-  국내·외 O2/N2 비율의 측정현황·기술, 관측자료 특성 및 활용방안 조사·분석

○ 순자외선 산출 방법 개발 및 서비스 기반 구축

-  비타민 D 합성 등 인체에 필요한 순자외선량 산출 알고리즘 개발

-  계절별, 위도별, 고도별, 기상조건 등에 따른 순자외선 양의 민감도 분석

-  기존 총자외선(UVA+UVB)과 순자외선지수의 동시 서비스 체계 개발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여부)

○ 메탄동위원소(12C, 13C) 및 O2/N2의 관측 항목의 실시간 관측 기반 마련 

○ 순자외선지수 대국민 실시간 서비스 기반 마련

○ 성과 공개가능

(4) 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100

1

2

2

2

3

10

3~10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4년

(2) 총 사업비 : 550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기후변화감시자료 산출기술 개발(ІІ)

550

-

50

100

200

200



- 72 -

용역과제 차별성 검토보고서(제9조의2 관련)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1

기후변화감시자료 산출기술개발(Ⅰ)

이윤곤

총자외선지수개발 및 산출

기반기술연구 등

자외선A, B 측정값 활용한 자외선지수 산출기술 개발

2

3

4

5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기후변화감시자료 산출기술개발(ⅠⅠ )

연구

목적

○ 과학적인 자외선지수 서비스를 위한 자외선지수 산출방법 개선

○ 한반도 자외선 측정망 확대를 위한 기반연구

연구

방법

자외선지수 가중함수 조사 및 파장별 가중함수 확대적용방안 연구 

자외선복사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소 연구 및 품질관리 기반기술 연구

연구

내용

○선진사례 조사와 선행연구 조사를 통한 벤치마킹 방법 제시

○자외선지수 가중함수 및 파장별 확대적용 방안제시

○자외선 A와 B를 통합한 자외선지수 산출기술 개발

○자외선지수 서비스를 위한 표출방법 개발 및 시험서비스 운영

자외선측정망 확대를 위한 센서크리닝 및 이동식 시스템 설계 고안

○자외선의 인간건강에 긍정적 효과 기초자료 제시






- 73 -

34

260

A0402

기후변화감시센터

육불화황 분석기술 보급체계 개발( II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적

○ 육불화황 세계표준센터(WCC- SF6)의 역할은 지구대기감시(GAW) 관측소에서 생산하는 자료의 국제적 비교성 제고에있으며, 주요 임무는 다음과 같음

-  관측자료의 품질보증 지원을 위한 품질절차 개발 및 보급

-  세계기상기구의 표준에 맞는 실험실용 육불화황 표준가스의 제조 및 보급

-  육불화황 국제비교실험 주관, 감사활동, 온실가스 측정기술 교육·훈련 수행

○ WMO 소급성(Traceability)을 확보한 정밀한 SF6 표준가스 보급·운용기술 개발 및 관측기술 적합성 정도평가(Audit) 기술 개발

(2) 과제내용

○ 육불화황 보급용 표준가스의 작업표준(Working standard), 이송표준(Transfer standard) 기술 개발

-  희석용 제로에어포집 및 제조기술 방안 정립

-  저농도 표준가스의 제조법 및 희석장치 개발

-  고농도 표준가스의 제조법 및 제조장치 개발

○ WMO 중앙교정실에서 보급하는 2차 표준가스를 이용한 보급용 표준가스의 인증기술 개발

-  육불화황 표준가스 순도분석 기술 정립

-  국내 및 국제 순차순환실험 지침서(Guideline) 개발

○ 육불화황 관측기술 적합성 정도평가 기술 개발

-  관측소 적합성 정도평가 체크리스트 개선

-  적합성 정도평가를 위한 절차서 및 영문보고서 개발

-  국내‧외 적합성 정도평가를 위한 현지 비교실험 기반기술 및 매뉴얼 개발

-  적합성 정도평가 구현을 위한 단계적 전략(기술·지역적 측면) 및 로드맵 작성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가능)

○ 육불화황 세계표준센터 운영을 위한 표준가스(운영표준 및 이송표준) 보급기술 및 적합성 정도평가 기반기술 확보

○ 육불화황 세계표준센터 활동의 대내외 확장 및 제고

○ 성과 공개가능

(4)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130

12월

12

1월

2월

3

11

3 ~ 11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3년

(2) 총 사업비 : 460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육불화황 분석기술 보급체계 개발

460

-

130

130

200

-


- 74 -

용역과제 차별성 검토보고서(제9조의2 관련)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1

육불화황 분석기술 보급체계 개발 I (2014)

이정순

보급용 분석 방법론 개발

다양한 분석기술의 개발 및 정리

분석기술 지침서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

2

3

4

5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 육불화황 분석기술 보급체계 개발( II )

연구

목적

○ WMO 소급성을 확보한 정밀한 표준가스의 경제적 보급 기술 확보

연구

방법

○ 희석 제조 장치/기술 개발

○ WMO 표준가스를 이용한 보급용 표준가스 인증기술 개발

○ 적합성 정도평가 기술 개발

연구

내용

○ 대기 수준의 육불화황 운영, 이송표준(Working standard, Transfer standard) 개발을 위한 고농도 표준가스의 희석 제조 장치 및 제조법 개발

○ 희석 제조 가스의 WMO 표준가스을 활용한 인증 기술 개발 

○ 적합성 평가를 위한 국제 협력 체계 구축

- 75 -

35

260

A0402

기후변화감시센터

기후변화감시자료 품질관리 기술개발 II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WMO GAW 권고에 따른 한반도 기후변화 감시자료의 품질관리 체계 구축

○ 기후변화 원인물질의 배경대기농도 산출기법 정립 및 최적 알고리즘 개발

(2) 과제내용

○ 에어로졸 관측자료 온라인 품질관리 기술 개발

-  WMO GAW 권고에 따른 품질관리 및 관측일지 전산화 기법 개발 

-  측정소(안면도, 고산, 울릉도)에 따른 관측자료 플래깅(Flagging) 기법 및 자료처리 기법 개발

-  측정소(안면도, 고산, 울릉도) 관측자료 실시간 관측현황 파악 및 비교분석 시스템 개발

○ 한반도 에어로졸 라이다 관측자료 통합 비교분석 기법 및 시스템 개발

-  관측지점별(5소 이상) 관측자료 수집, 표출 및 상호 비교분석 기법 및 시스템 개발

○ 기후변화 원인물질(온실가스 등) 배경대기 통계적 산출기법 개발

-  통계적 방법을 이용한 온실가스의 지구대기농도, 배경대기농도, 지역대기농도 등의 정의 및 산정 기법 개발

-  이산화탄소 배경대기 산출기법들의 비교분석·적용 및 관측지점(안면도, 고산, 울릉도)에 최적화된 알고리즘 개발

-  관측지점(안면도, 고산, 울릉도)에 최적화된 메탄, 아산화질소, 육불화황의 배경대기농도 산출 알고리즘 개발

-  에어로졸 관측요소에 따른 배경대기농도 산출기법 조사·분석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여부)

○ 기후변화감시 정보의 활용성 극대화를 위한 고품질 감시자료 생산 및 관리

○ 기후변화 원인물질의 기후효과 정량화 산출에 활용

○ 성과 공개가능 

(4)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130

1

1

1

2

2

11

3 ~ 11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3년

(2) 총 사업비 : 470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기후변화감시자료 품질관리 기술 개발(ІІ)

470

-

140

130

200

-


- 76 -

용역과제 차별성 검토보고서(제9조의2 관련)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1

기후변화감시자료 품질관리 기술 개발(І)

(2013)

이보원

온실가스 

자료 품질 향상


플래깅 

기법 개발,

후방공기

궤적 및 클러스터 자료표출 최적화

온실가스 측정 자료 자동품질 관리 프로그램 개발

2

3

4

5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기변화감시자료 품질관리 기술 개발(II)

연구

목적

○ WMO GAW 권고에 따른 기후변화 감시자료의 품질관리 체계 구축

○ 기후변화 원인물질의 배경대기농도 산출기법 정립 및 최적 알고리즘 개발

연구

방법

○ 에어로졸 측정자료에 Flagging 프로그램 개발 및 구현

○ 에어로졸 라이다 협의체 홈페이지 개발

○ 배경대기 통계적 산출 기법 연구

연구

내용

○ 에어로졸 관측자료 온라인 품질관리 기술 개발

○ 한반도 에어로졸 라이다 관측자료 통합 비교분석 시스템 개발

○ 기후변화 원인물질(온실가스 등) 배경대기 통계적 산출기법 개발

- 77 -

36

210- 13

A0403

지구환경시스템연구과

GOSAT 위성을 이용한 전구 온실가스 산출기술 개발(IV)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GOSAT 이산화탄소 농도 산출 알고리즘 원형 개선·최적화 및 평가

○ 위성 CO2의 탄소추적시스템 입력을 위한 알고리즘 구축

(2) 과제내용

○ GOSAT 전구 CO2 산출 알고리즘 원형 개선 

-  산출 알고리즘 최적화 및 구름의 영향 제거와 보정

-  이산화탄소 산출 오차 유발 주요 영향인자 개선 

○ 위성 및 FTS 산출 온실가스 지상검증을 위한 관측 수행

-  지상 검·보정용 CO2 프로파일 항공기 관측 및 기상정보 측정을 위한 존데 관측

○ 탄소추적시스템에 위성에서 산출한 CO2 농도 입력을 위한 알고리즘 구축

-  자료동화 시간창(time window)의 최적화와 특성분석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여부)

○ 독자적인 위성 온실가스 산출기술 확보를 통한 자료의 대외의존성 감소 및 글로벌 리더십 확보

○ 탄소추적시스템 활용 등과 연계를 통한 연구 시너지 창출 및 정책지원 기반 확보

○ 예상되는 성과 공개여부(비공개)

-  개발된 알고리즘에 대한 논문 게재 후 공개

(4)사업진행순서(예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270

12

1

1

2

3

11

3 ~ 11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12~’15(4년)

(2) 총 사업비 : 886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3

해당연도- 2

해당년도- 1

해당연도

해당연도+1

GOSAT 위성을 이용한 전구 온실가스 산출기술 개발(IV)

886

146

224

246

270

-

- 78 -

용역과제 차별성 검토보고서(제9조의2 관련)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1

GOSAT 위성을 이용한 전구 온실가스 산출기술 개발(I)

(2012)

김준

위성 관측을 통한 이산화탄소 농도 산출 및 분석기술 개발

-  GOSAT 위성 이산화탄소 산출 알고리즘 분석 및 평가

-  위성 자료 및 분석결과 표출 시스템 구축


-  GOSAT FTS 전지구 이산화탄소 산출 알고리즘 분석 및 민감도 시험

-  GOSAT CAI 3채널 카본계 에어러솔 알고리즘 분석 및 민감도 시험

-  웹 기반의 위성 지구환경정보 연구용 표출 및 분석 시스템 구축

2

GOSAT 위성을 이용한 전구 온실가스 산출기술 개발(II)

(2013)

김준

GOSAT 위성 관측을 통한 이산화탄소 농도 산출 알고리즘 개발

-  탄소계 에어로솔 산출 알고리즘 개발 및 CO2 산출 알고리즘 설계안 도출

-  이산화탄소 농도 연직 분포 및 기상정보 측정을 위한 항공기·라디오존데 관측

-  위성 지구환경정보 표출 및 분석 시스템 개선

-  구름 제거 알고리즘 및 흡수성/비흡수성 에어러솔 모델 조견표 구축

-  GOSAT CAI 채널을 이용한 탄소계 에어로솔 알고리즘 개발 및 성능시험

-  항공관측 20회, 존데 관측 30회 이상

-  위성 지구환경정보 정규 생산을 위한 자동화 모듈 구축 및 시스템 최적화

3

GOSAT 위성을 이용한 전구 온실가스 산출기술 개발(II)

(2014)

김준

GOSAT 위성 관측을 통한 이산화탄소 농도 산출알고리즘 원형 개발

-  GOSAT 전구 CO2 산출 알고리즘 원형 개발

-  위성 및 FTS 산출 온실가스 지상검증을 위한 관측 수행

-  위성 분석정보 표출 시스템 개선 및 사용자서비스 기능 강화

-  GOSAT 에어러솔 및 CO2 산출 알고리즘 최적화 및 결합

-  온실가스 항공 관측 및 라디오존데 관측 수행

-  웹 기반 위성 지구환경정보 표출 및 분석 시스템 정보 확대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 GOSAT 위성을 이용한 전구 온실가스 산출기술 개발(IV)

연구

목적

○ GOSAT CO2 농도 산출 알고리즘 원형 개선·최적화 및 평가

○ 위성 CO2의 탄소추적시스템 입력을 위한 알고리즘 구축

연구

방법

○ GOSAT CO2 산출 알고리즘 최적화 및 오차 유발 인자 개선

○ 위성 자료의 지상 검·보정을 위한 항공기 및 존데 관측 수행

○ 자료동화 시간창(time window)의 최적화와 특성분석

연구

내용

○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알고리즘의 개선 및 최적화를 통한 계산효율성 개선

○ 지상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 관측 결과와 비교를 통한 정확도 평가

○ 위성 CO2 자료의 탄소추적시스템 활용을 위한 알고리즘 개발


- 79 -

37

260

A0499

기후정책과

전지구기후서비스체제(GFCS) 이행을 위한 국내 기후정보 개발 및 서비스 개선 연구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기후정보 개발 및 서비스를 통해 기후 변화로 인한 위험과 이에 대한 적응을 향상된 수준으로 관리하기 위한 전지구기후서비스체제(GFCS)가 수립, 세계기상기구(WMO)는 이를 우선과제로 선정하여 전세계 기상청을 중심으로 추진

○ GFCS 이행을 위한 수요자 중심의 기후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국내 다양한 수요에 부응하는 국가 기후·기후변화 관련 서비스 정보 개발 및 GFCS 신규 우선 분야에 대한 발전 방향 연구


전지구기후서비스체제(GFCS)


○ 기후정보를 사용하는 사람, 정보를 개발하는 사람, 기후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들이 상호 작용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고 합의된 절차 및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기후자료와 정보를 제공하는 일련의 체제 구축을 통하여 새로운 기후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 5대 구성요소 ] 

① 사용자 인터페이스 플랫폼

- 사용자, 기후 연구자, 기후서비스 제공자들 사이의 소통을 위한 도구의 제공

②  기후서비스 정보시스템

- 정부, 정보 제공자들이 합의한 절차와 사용자에 따라 기후 데이터 보존, 제공하는 시스템

③ 기후 관측 및 감시

- 기후서비스 수요에 부합하는 기후관측과 감시

④ 연구‧모델링 및 예측

- 연구차원에서 기후서비스 수요를 평가하고 촉진

⑤ 능력 배양

- 효과적 기후서비스 위한 인프라, 체계적 개발 지원

* 능력배양은 모든 구성요소 및 그 연계과정에 포함됨 


(2) 과제내용

○ 국가 기후·기후변화 관련 정보 개발 및 서비스 개선 방안 연구

-  국내 기후변화 과학적 정보 수집 및 신규 서비스 정보 개발

-  국제적 GFCS 이행 동향 파악 및 국내 서비스 개선 방안 제시

○ GFCS 신규 우선분야(도시화 등) 관련 이행계획 수립 

-  관련 국제적 동향 분석 및 시사점 발굴

-  기상청 및 관계 부처·기관 우선분야 응용정보 현황 및 개선 연구

-  국가 내 통합된 기후정보 서비스 방안 수립



- 80 -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

○ 국가적 GFCS 구축 기반 확립 및 기후정보서비스 활용도 제고

○ 국가 수준의 GFCS 이행에 관한 국제적 모범사례 정립 

○ GFCS 기반 구축으로 세계 선도적 역할 기대 및 지원 활동을 통한 국격 제고


(4)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80

1

1

2

2

2

11

2 ~ 11


(5) 기타

○ 해당사항 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2015년~

(2) 총 사업비 : 280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GFCS 이행을 위한 국내 기후정보 개발 및 서비스 개선 연구

280

-

-

80

100

100

- 81 -

용역과제 차별성 검토보고서(제9조의2 관련)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1

전지구기후서비스체제(GFCS) 구축을 위한 국가전략 수립 기획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GFCS 이행을 위한 국가적 
기반 마련

정책 
조사‧분석

-  GFCS 이행을 위한 
장‧단기 목표

-  GFCS를 위한 정책‧제도 및 기술기반 
현황과 문제점

2

전지구기후서비스체제(GFCS) 구축 사업 타당성 조사 연구

(주)비컨컨설팅

정책 
조사‧분석

-  국가 수준의 GFCS 
구축을 위한 주요 사업 

-  정책적‧경제적 타당성 
확보

3

전지구기후서비스체제(GFCS) 사용자인터페이스플랫폼 구축을 위한 전략연구

(주)기술과 가치

정책 
조사‧분석

-  UIP 구축 전략

-  기후서비스 UIP 포털 
구축(안)

4

GFCS 기반구축을 위한 기후정보서비스 체계 마련

(주)이노그리드

정책 
조사‧분석

시스템 개선

-  기후변화정보센터(CCIC)
개선 방안

-  기후정보서비스(KGEO,
CCIC, CORDEX- East 
Asia) 
개선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 GFCS 이행을 위한 국내 기후정보 개발 및 서비스 개선 연구

연구

목적

○ 국가 수준의 GFCS 이행을 위한 기반 기술 마련

○ 기후정보에 대한 다양한 수요에 부응하는 기후서비스 체계 개선

연구

방법

○ 국내외 관련 현황 조사 및 연구‧분석

연구

내용

○ 국가 기후·기후변화 관련 정보 개발 및 서비스 개선 방안 연구

-  국내 기후변화 과학적 정보 수집 및 신규 서비스 정보 개발

-  국제적 GFCS 이행 동향 파악 및 국내 서비스 개선 방안 제시

○ GFCS 신규 우선분야 관련 이행계획 수립 

-  신규 우선분야 관련 국제적 동향 분석 및 시사점 발굴

-  기상청 및 관계 부처·기관 우선분야 응용정보 현황 조사 및 국가 내 통합된 기후정보 서비스를 위한 방안 수립


- 82 -

38

210- 13

A0401

기후연구과

기후모델 활용지원 및 평가시스템 구축 (IV)


1. 당해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CMIP6 대비 지구시스템모델의 결합구조 개선 및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기반 구축

(2) 과제내용

○ 대기- 해양/해빙 결합모델의 결합구조 개선

-  대기 성분모델의 버전 및 전구모델구성(GC) 업그레이드, 결합자 코드 이식

-  대기 성분모델의 기상청 슈퍼컴퓨터(4호기) 장착 및 최적화

○ 지구시스템모델의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기반 구축

-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을 위한 기후 강제력 보조파일 변환

-  지구시스템모델을 이용한 과거기후 모의 및 성능 분석

○ 해양 생지화학과정 결합을 위한 결합환경 분석

-  영국기상청 지구시스템모델의 해양 생지화학과정과의 계산 알고리즘, 결합환경 비교분석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여부)

○ 지구시스템모델링 기반기술 확보 및 IPCC AR6 대비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 기반구축

○ 모델 공개 활용을 통한 모델링 인력 저변 확대

(4) 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200

12

12

1

2

3

11

3 ~ 11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12- ’15년(4년)

(2) 총 사업비 : 1,030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당해연도- 3

당해연도- 2

당해연도- 1

당해연도

당해연도+1

기후모델 활용지원 및 평가시스템 구축 (IV)

1,030

360

220

250

200

-







- 83 -

용역과제 차별성 검토보고서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목적

연구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1

모델 활용 지원을 위한 Climate Testbed 기반 구축 (I)

(2011)

김기영

지구시스템모델 공개활용을 위한 climate testbed 구축

- 모델 사용자 환경 및 버전 관리 체계 구축

- 지구시스템모델의 climate testbed 시험 가동

- 에어러솔- 구름- 기후 피드백 과정 진단 정보산출

- 모델소스코드 관리체계 구축,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리눅스 클러스터 환경 코드 최적화

- 수평 및 연직 해상도에 따른 모델 장기적분 및 평가

- 에어러솔- 대기화학 과정 관련 자료 수집 및 특성 파악

- HadGEM2- AO,ES를 사용한 지표이용도변화 및 에어러솔 영향 분석

2

기후모델 활용지원 및 평가시스템 구축 (I)

(2012)

김기영

- 지구시스템 모델 원천기술 확보 및 전문 인력 저변 확대

- 결합모델 성능개선을 위한 기후값 진단·평가 체계 구축

- 지구시스템모델 원형체계 장기적분 수행

- 모델 공개 활용 시스템 구축

- 모델 기후값 진단·평가체계 구축

- 다양한 계산환경에서 장기적분 수행 및 평가, 안정성 검증

- 외부 사용자 지원을 위한 웹기반 코드관리 및 제공 시스템 구축

- IDL 기반 모델 개발·진단 및 환류체계 구축 및 자동화

- GloSea4의 기후변동성(ENSO, AO, 몬순 등) 예측성능 평가 

- 기후변동성이 동아시아 기후예측에 미치는 영향 분석

3

기후모델 활용지원 및 평가시스템 구축 (II)

(2013)

김기영

지구시스템모델의 단위 기후과정에 따른 민감도 평가 및 산업혁명 이전 자료 산출기반 구축

- 지구시스템모델의 단위기후과정 민감도 평가

- 지구시스템모델의 산업혁명 이전 자료 산출기반 구축

- 결합모델의 현재기후 모의성능 평가와 개선

- 지구시스템모델의 육상탄소, 에어러솔 과정의 결합 및 기후모의 민감도 평가 

- 해양 생지화학과정 시험구동

- 산업혁명 이전 대기 및 해양모델의 초기자료 산출기반 구축

- 장기적분 검증과 성능향상을 위한 결합환경 분석

4

기후모델 활용지원 및 평가시스템 구축(III)

(2014)

김기영

지구시스템모델의 기후모의성능평가 및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기반 구축

- 지구시스템모델의 단위기후과정 민감도 평가

- 산업혁명이전자료 산출기반구축

- 결합모델 개선

- 검댕 에어러솔 배출에 따른 기후적 영향 평가

- HadGEM2- AO, ES의 대기 및 해양순환 비교

- 해양 생지화학과정 포함 장기적분 및 기후모의 민감도 평가

- 해양 생지화학과정 관측 비교 평가를 위한 자료 수집

- 결합모델개선을 위한 remapping 과정 보완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기후모델 활용지원 및 평가시스템 구축 (IV)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연구

내용

- 84 -

39

210- 13

A0401

기후연구과

한영 공동 기후예측시스템 진단체계 구축 (III)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GloSea5 열대 계절내진동 예측 성능 및 모델 구조적 오차 진단 기술 개발 

○ GloSea5의 계절 내 변동성의 대기- 해양 접합 과정 진단체계 수립

○ GloSea5 계절내 성층권 변동성 예측 성능 진단 기술 개발 및 구조적 오차 진단 

(2) 과제내용

○ GloSea5 계절예측시스템의 열대 계절내진동 예측 성능 및 구조적 오차 진단 

-  열대 계절내진동 예측성능 진단 기법 개발 및 예측 성능 평가 

-  열대 계절내진동 예측성 장벽에 미치는 초기화 및 모델 물리과정 원인 평가 

-  열대계절내 진동과 중위도 동아시아 계절내변동의 원격 상관성 진단 기법 개발 및 평가

-  원격상관성 모의 성능 개선을 위한 모델 초기화 및 물리과정 오차 평가 

○ GloSea5 계절예측시스템의 열대 계절 내 변동성의 대기- 해양 접합 과정 진단 체계 수립

-  여름철 및 겨울철 열대 계절 내 진동에 해양 변동성이 미치는 영향 평가

-  열대 계절 내 진동에 영향을 미치는 대기- 해양 접합 과정 진단 체계 수립 

-  열대 계절 내 변동성과 경년 변동성 간의 상호 작용 검증 체계 수립

-  열대 계절 내 변동성의 예측성에 영향을 주는 적도 해양 인자 개발

○ GloSea5 계절예측시스템의 계절내 성층권 변동성 예측 성능 진단 기술 개발 및 구조적 오차 진단

-  계절내 성층권 변동성 예측성능 진단 기법 개발 및 예측성 평가

-  계절내 성층권- 대류권 접합 과정 모의 능력 평가

-  성층권- 대류권 변동성 주요 원인 인자 분석을 토대로 예측성 장벽 원인 분석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여부)

○ 전지구 앙상블 계절예측 시스템의 3주 이내 계절 내 규모 예측 성능 검증

○ 계절예측시스템을 이용하여 열대 계절 내 진동과 연관된 중위도 장기예측성 발굴 

○ 대기- 해양 접합 과정이 계절 내 진동에 미치는 영향력 평가 및 열대 해역과 관련된 계절 내 진동 예측성 발굴 

○ 계절예측시스템을 이용하여 성층권 계절 내 진동과 연관된 중위도 장기예측성 발굴 

○ 예상되는 성과 공개여부(비공개)

-  영국기상청과의 협정을 통한 기후예측시스템의 공동현업운영에 관련 연구로  비공개

- 85 -

(4) 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230

1

1

2

2

3

11

3 ~ 11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13- ’15년 (3년)

(2) 총 사업비 : 690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2

해당연도- 1

해당년도

해당연도+1

해당연도+2

한영 공동기후예측시스템 진단체계 구축 (III)

690

180

280

230

-

-

- 86 -

용역과제 차별성 검토보고서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1

한영공동 기후예측시스템 진단체계 구축 (I) 

(2013)

이명인

○ 계절예측시스템 진단체계 개선 및 표준화

○ DePreSys 자료 분석을 통한 10년 예측 가능성 진단

○ 계절예측성 검증기법 고도화 및 계산 효율성 개선 

○ DePresys의 다년 예측성의 정량적 평가 및 10년 예측 가능성 진단 

-  기 개발된 한영 공동 계절예측시스템(GloSea4)의 검증기법 개선 및 예측성 평가

※ AO, 동아시아 여름/겨울 몬순, MJO, 태풍발생지수 및 한반도 영역 계절 및 월별 예측성 평가 기법 등

-  Hindcast 진단시스템 계산 효율성 개선

※ Hindcast Suite 출력자료 처리과정 효율성 개선 및 준 자동화, 진단체계 정보 추가 및 표출체계 개선

-  HadGEM3- DePreSys의 과거 기후모의 결과를 이용한 예측오차의 수평장 및 시계열 분석

-  분석결과에 기반한 전지구 및 동아시아 10년 예측 가능성 진단

-  CMIP5 near- term projection을 위한 실험설계 

2

한영공동 기후예측시스템 진단체계 구축 (II) 

(2014)

이명인

○ 고해상도 계절예측시스템(GloSea5)의 진단체계 개선 및 동아시아 기후모의 평가

○ GloSea5의 해양 및 하천 모듈 관련 분석요소 추가 및 진단체계 기반 구축

○ 다년 예측성 진단을 위한 GloSea5 기반 과거기후 모의자료 분석 

○ 고해상도 계절예측시스템(GloSea5) 진단체계 개선 및 동아시아 기후특성 분석 

○ GloSea5의 해양, 하천모듈 기반 산출자료 진단체계 기반 구축 

○ 다년 예측성 진단을 위한 GloSea5 기반 과거기후모의 자료 분석 


-  전지구 및 동아시아지역 주요 기후모드에 대한 GloSea5 기반의 월별, 계절별 검증기법 개선 및 예측성 평가

-  GloSea5의 여름철 및 겨울철 과거기후 재현자료(hindcast)를 사용한 동아시아 지역 계절 예측성 분석 및 여름, 겨울철 극한기후 모의 평가

-  해수면온도, 염분도, 수온약층 등 주요 해양변수 진단 및 평가요소 추가

-  토양수분, 하천 유출량 등 물수지 및 수문 관련 진단 요소 추가 및 고해상도 전지구 하천자료에 기반한 하천모듈(TRIP) 개선 코드 적용

-  GloSea5의 12개월 과거기후 모의자료를 사용한 전지구 및 동아시아 예측성 분석

-  DePreSys 자료(5년 예측)를 활용한 예측성 평가 기법 개선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연구

내용

- 87 -

40

260

A0401

기후예측과

기후예측모델 현업 운영시스템 개선(II)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영국 기상청과 공동으로 운영하는 고해상도 한영 공동계절예측시스템(GloSea5)을효율적으로 현업 운영하고 기후예측모델을 지속적으로 개선하여 장기예보 정확도 향상에 기여하고자 함

○ 슈퍼컴 4호기 도입 일정에 따라 개선된 GloSea5(GC2.0)을 슈퍼컴 4호기에 구축하여 현업 운영체계를 마련하고 현업 코드에 대한 소스 관리체계를 구현하고자 함

(2) 과제내용

○ GloSea5의 현업 운영 지원

-  개선된 GloSea5(GC2.0)의 슈퍼컴 4호기에 설치 및 운영체계 구축

-  Rose/Cylc기반의 개선된 GloSea5(GC2.0) 운영체계 구축

-  Rose/Cylc기반의 장기예측 시스템 운영 모니터링 체계 구축

-  장기예측 시스템의 소스코드 관리체계 구현

-  검증방법체계 개선 및 진단과 예측 가이던스 산출 과정 최적화

-  모델 자료의 형식 변환을 위한 인터페이스 개선

○ GloSea5의 운영 체계 개선

-  개선된 GloSea5(GC2.0)의 편차장 산출을 위한 후처리 방법 개선

-  결합모드 및 앙상블 초기화 과정 개선을 통한 예측특성 분석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여부)

○ 고품질의 장기예보 자료를 정기적으로 제공하고 예측성능을 향상에 기여

○ 최신 모델의 적용에 따른 상세 장기예보 정보 활용으로 최근 부각되고 있는 기후변화에 대한 국가 차원의 대응책 마련에 기여

 (4)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500

1

1

2

3

4

12

4 ~ 12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2012년 〜 

(2) 총 사업비 : 3,884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기후예측모델 현업 운영시스템 개선(II)

3,184

650

534

500

700

700


- 88 -

용역과제 차별성 검토보고서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1

기후예측모델 현업운영시스템 개선(2014)

㈜환경예측연구소

GloSea5 현업 수행체계 구축

기후모델현업체계구축

○ GloSea5 현업운영 시스템 개선

○ 장기예보지원 및 모델수행 점검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개선

2

고해상도 장기확률예보 생산시스템 및 상세 통계예측모델 구축 (2013)

㈜환경예측연구소

GloSea5 도입 및 설치

기후모델구축

○ GloSea5 설치, 구축

 상세통계예측모델 구축

3

한영 공동계절예측 시스템을 이용한 이상기후 확률예보시스템 구축(2012)

㈜환경예측연구소

GloSea4 도입 및 설치

기후모델구축

○ GloSea4 설치, 구축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  기후예측모델 현업 운영시스템 개선(II)

연구

목적

○ 개선된 한영 공동계절예측시스템(GloSea5(GC2.0))을 슈퍼컴 4호기에 구축하여 현업 운영체계 구현

연구

방법

○ 향상된 성능의 개선된 GloSea5(GC2.0)를 도입하여 새롭게 도입되는 슈퍼컴 4호기 최종분에 설치하고 운영을 최적화

연구

내용

개선된 GloSea5(GC2.0)의 슈퍼컴 4호기에 설치하고 현업 운영기반 마련

○ 새롭게 개발된 통합운영체계(Rose/Cylc)에 기반한 계절예측 시스템의 운영체계를 구축하고 안정화 작업

○ 대용량을 기후모델 자료를 체계적으로 처리하여 장기예보 지원하기 위한 기후모델자료 처리과정 최적화

○ 현업 운영 결과로 얻어진 모델자료의 대기- 해양의 결합모드 및 앙상블 초기화 과정에 따른 현업 모델의 민감도 실험을 통한 모델 특성 분석




- 89 -

41

210- 13

A0403

기후연구과

기후변화 시나리오 활용 증진을 위한 기후모델자료 DB 구축

1. 당해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기후변화 모델의 고해상도화 및 복잡화로 모델자료의 크기 및 갯수가 수배~수십배 증가하여 기후모델자료의 효율적 관리·활용을 위한 시스템의 필요성 증대 

○ IPCC 제6차평가보고서(AR6) 대비 대용량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의 효율적 관리·활용을 위한 기후모델자료 DB 시스템 설계 및 구축

(2) 과제내용

○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 활용을 위한 DB 시스템 구축 

-  DB 서버와 기존 기후연구과 보유 NAS 및 슈퍼컴퓨터와 연계 구성

○ 기후모델자료의 전문 사용자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

-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의 특성을 반영한 메타정보 설계·구성

-  명령줄 및 웹페이지 상 실험 및 파일 단위 검색·관리 기능 구현

-  오픈 소스 기반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자료 저장, 추출, 백업 체계 구축

-  자료 기간, 변수 등 사용자 선택에 의한 자료 추출 기능 및 다양한 기후모델자료 포맷(NetCDF, GRIB2, UM- PP/FF)에 대한 자료 변환 기능 개발 

-  DB 시스템 운영ㆍ개발자를 위한 모니터링 및 진단 기능 구현

-  향후 기후모델자료 추가 산출에 따른 DB 확장, 서버 이전 등에 따른 백업 및 이전 기능 구현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여부)

○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의 효율적 관리 및 사용 편의성 증대

○ 기후 재분석 및 계절 이상 기후 예측자료 확장을 위한 기후자료 통합 관리체계 기반 마련

○ 본 연구용역을 통한 성과는 자체 DB 시스템 구축으로 기상청 내부에서 활용예정

(4) 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100

12

12

1

2

3

11

3 ~ 11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15년 (1년)

(2) 총 사업비 : 100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2

해당연도- 1

해당년도

해당연도+1

해당연도+2

기후변화 시나리오 활용 증진을 위한 기후모델자료 DB 구축

100

-

-

100

-

-

- 90 -

용역과제 차별성 검토보고서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1

기후변화 시나리오 활용증진을 위한 기후모델자료 DB 구축 연구

류성현

대용량 저장장치의 효율적 활용을 도모하고, 사용자의 편의성 증대를 위한  기후모델자료 DB 구축 방안 마련

- 주요 국가 기후모델자료 DB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축운영실태 분석

- 오픈소스 기반 대용량 DB 시스템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체계 설계

- 기후모델자료 DB 체계 구축을 위한 사업계획 도출

- 영국기상청(MetOffice)의 MASS 및 MOOSE에 대한 기술조사

- ECMWF, NCAR, 미국 PCMDI 등의 DB 시스템 기술조사

- 오픈 소스 기반의 자료 저장, 추출, 백업 체계 설계

- 기후모델자료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 설계

- IPCC AR6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 예상 기반 시스템 구축안 수립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기후변화 시나리오 활용 증진을 위한 기후모델자료 DB 구축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연구

내용

- 91 -

42

210- 13

A0403

기후연구과

RCP 시나리오를 활용한 극한 기후변화 분석(Ⅳ)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국립기상연구소에서 개발한 기후변화시나리오를 활용한 한반도 및 동아시아 극한기후의 발생 및 변화에 대한 원인분석과 미래 변화를 전망 

○ HadGEM2- AO의 성능평가를 위한 CMIP5 참여 모델 결과와의 비교 평가 

(2) 과제내용

○ 한반도 극한기후 변화의 원인분석과 CMIP5모델의 성능평가 및 미래 전망 

-  한반도 여름철 열파 발생관련 동서원격상관순환(Circumpolar Global Teleconnection)의 이해와 CMIP5 비교 평가 

-  CMIP5모델에 나타난 동아시아 몬순과 스톰트랙 간의 관계성 분석

-  CMIP5모델을 이용한 태풍잠재강도의 역학적 효율의 미래 전망 및 기후적 요인 평가 

-  CSEOF에 기반을 둔 한파기작의 이해와 CMIP5모델의 미래 전망

○ 미래 극한기후 변화 불확실성 및 신뢰도 평가 기술 확보 

-  BMA 기반 불확실성 평가 기술의 CMIP5 강수자료에 대한 적용

-  극한기후전망의 불확실성 이해를 위한 SST와의 관계 분석 및 CMIP5 성능평가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여부)

○ 한반도 극한 기후변화 탐지‧분석 기술 및 시나리오 신뢰도 확보

○ 한반도 미래 극한기후 변화 평가와 이해에 따른 국가 차원의 기후변화 대응 전략 수립에 기여

○ 예상성과 공개여부

-  논문게재를 통해 연구결과 공개

(4)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310

1

1

2

2

3

11

3 ~ 11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12~’15 (4년) 

(2) 총 사업비 : 1,340 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2

해당연도- 1

해당년도

해당연도+1

해당연도+2

RCP시나리오를 활용한 

극한 기후변화 분석(IV)

1,340

323

420

310

-

-

[별지 제1- 2호서식]

- 92 -

용역과제 차별성 검토보고서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1

RCP시나리오를 활용한 극한기후변화 분석(I)

김맹기

미래 극한기후의 변화 탐지 및 평가 기법 개발

국립기상연구소RCP 4.5, 8.5시나리오 및 통계기법 활용

- 통계적 방법을 이용한 극한기후 지수 개발 및 시나리오에 적용

- 관측 및 시나리오를 활용한 태풍, 스톰, 해수면온도의 변화 분석

2

RCP시나리오를 활용한 극한기후변화 분석(II)

김맹기

시나리오에 기반을 둔 미래 극한기후의 변화 탐지 및 평가 기법 개발


국립기상연구소 RCP 4종(2.6,4.5,6.0, 8.5) 및 통계기법 활용

- 다변량, 다차원 관점에서 한반도 극한기후변화 지수 개발

- 한반도 이상고온 및 한파의 원인 분석과 미래전망 평가

- 극한기후를 야기하는  태풍의 미래변화 열적 원인 분석 

3

RCP시나리오를 활용한 극한기후변화 분석(III)

김맹기

한반도 미래 극한기후 변화 평가와 미래변화경향 분석

RCP 시나리오 및 통계기법 활용 CMIP5 모델결과와의 비교

- 극단분포 기반의 극한 기후변화 분석기법 개발과 적용

- CSEOF 기반 한파와 북극진동과 연관성 기작 분석

- 동아시아 몬순, 호우, 북태평양 고기압의 미래 변화 분석 

- 한반도 극한기후 관련 기후요소의 미래변화  경향 분석

· 태풍 잠재강도 관련 성층권 요인 

· 스톰트랙 강도와 겨울철 중위도 경압성 간의 관계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 RCP시나리오를 활용한 극한기후변화 분석(IV)

연구

목적

○ 한반도 극한기후변화 원인분석과 CMIP5 모델의 성능평가 및 미래 전망

○ 미래 극한기후변화 불확실성 및 신뢰도 평가방법 연구

연구

방법

○ 국립기상연구소 시나리오 및 CMIP5 모델자료 비교

○ BMA, CSEOF 등 통계기법 활용

연구

내용

○ HadGEM2- AO 및 CMIP5 기반의 한반도 열파, 한파 발생 기작에 대한 분석 

○ 극한기후관련 기후요소의 미래변화경향 

(태풍잠재강도의 역학적 원인, 스톰트랙과 몬순 관계성 분석)

○ 미래 극한기후변화 불확실성 및 신뢰도 평가기술 확보


- 93 -

43

260

A0403

기후예측과

장기예보 생산 지원시스템 개선(II)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최근 기후 경향을 감시하고 장기예보를 생산‧통보‧검증하는 기후감시전망시스템의우리나라 관측자료 입수 방법을 COMIS3에서 COMIS4 기반으로 전환하고, 외국기관 자료는 외부 중계서버를 통해 입수함으로 보안성을 강화

○ 기후감시전망시스템의 장애에 대비하여 수동으로 장기예보를 생산‧통보할 수 있는 장애대비용 장기예보문 생산 체계를 구축

(2) 과제내용

○ 기후감시전망시스템의 자료 표출체계 개선

-  자료표출시스템의 관측자료 데이터베이스 변환(COMIS4 D/B 적용)

-  자료교환을 위한 외부 ftp 서버 구축 및 자료교환 기능 개선

-  기후감시전망시스템의 백업체계 구축 

-  표출자료 추가 및 기능 개선

○ 장기예보 예‧통보시스템 개선

-  통보시스템의 확률예보 생산체계(예보토의) 개선 

-  장애대비용 장기예보 통보문 생산 체계 구성

-  장기예보 통보문 및 통보기능 개선

-  장기예보 검증체계 및 브리핑 시스템 기능 개선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여부)

○ 확률장기예보를 각 지역별로 생산하도록 예‧통보시스템을 보다 체계적으로 개선하여 장기예보 업무에 활용

○ 관측자료를 포함한 최근 기후 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체계적으로 기후자료를 감시하고 효과적으로 기후특성을 분석하여 장기예보 업무 능률 향상에 기여

(4)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100

1

1

2

3

4

11

4 ~ 11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2013년 〜

(2) 총 사업비 : 850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장기예보 생산 지원시스템 개선(Ⅱ)

850

400

150

100

100

100

- 94 -

용역과제 차별성 검토보고서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1

지역장기예보 생산시스템 개선(2014)

㈜동녘

지역별 확률장기예보 생산체계 구축

시스템구축

○ 지역별 확률장기예보 생산체계 구축

○ 확률장기예보문 생성 및 통보 시스템 개선

○ 확률장기예보 지역 토의 및 검증시스템 개선


2

지역별 장기예보 정보 생산시스템 구축 (2013)

㈜동녘

지역 장기예보 생산 체계 구축

시스템구축

○ 지역 장기예보 생산 체계 개선

○ 지역별 기후 분석 정보 제공

○ 장기예보 통보시스템 구축

3

장기예보 생산지원시스템 개선사업(2012)

㈜동녘

장기예보 지원 시스템구축

시스템구축

○ 장기예보 선행인자 분석 및 실황분석체계 개발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  장기예보 생산 지원시스템 개선(II)

연구

목적

○ 기후 경향을 감시하고 장기예보를 생산‧통보‧검증하는 기후감시전망시스템의 백업체계를 구축하고 관측자료 처리 방법을 체계화하여 보안성 확보

연구

방법

○ 확률장기예보를 생산하고 통보하는 기후감시전망시스템을 기능을 개선하여 현업 지원 강화

연구

내용

자료표출시스템의 관측자료 데이터베이스 변환

(COMIS4 D/B 적용)

○ 자료교환을 위한 외부 ftp 서버 구축 및 기능 개선

○ 기후감시전망시스템의 백업체계 구축

○ 통보시스템의 확률예보 산출체계(예보토의) 개선 

○ 장애대비용 장기예보 통보문 생산 체계 구성 및 통보문 개선



- 95 -

44

260

A0404

기후예측과

이상기후 조기탐지 및 조기경보 시스템 개발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우리나라 기후에 영향을 주는 전지구와 지역 이상기후 및 기후변동성 감시를 위한 이상기후 모니터링 등 이상기후 조기탐지 시스템 개발

○ 이상기후 발생 가능성 예측정보 생산을 위한 이상기후 조기경보 시스템 개발


(2) 과제내용

○ 이상기후 조기탐지‧조기경보 시스템 개발

-  전지구 및 한반도 이상기후 발생 감시 시스템 구축

-  이상기후 발생 메커니즘 표출 시스템 구축

-  기후예측모델(GloSea5) 결과를 이용한 이상기후 예측자료 표출 시스템 구축

-  이상기후 조기경보를 위한 기온예보 편집 및 표출 시스템 구축

○ 이상기후 합동분석 체계 개발

-  이상기후 현상에 대한 합동분석을 위한 외부전문가용 미러링 시스템 구축

-  이상기후 현상에 대한 합동분석을 위한 화상회의 시스템 구축

-  이상기후 합동분석을 위한 자료분석 심층화 방안 제시 

○ 이상기후 조기경보 예측변수 확장성 조사 및 예측성 향상기법 개발

-  강수량을 포함한 다양한 이상기후 지수(빈도 및 강도)에 대한 예측성 평가

-  이상기후 관련 광역 메카니즘에 대한 GloSea5 모의능력 검증 

-  광역변수 패턴을 이용한 이상기후 예측성 확보 방안 제시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여부)

○ 현재 기상청 장기예보 정보(평균기온 및 강수량에 관한 1‧3개월 전망) 외에 폭염‧한파 등 이상기후 발생 가능성 정보를 추가로 생산‧제공

○ 이상기후 현상으로 인한 산업, 에너지, 건강 등 사회‧경제적 영향 최소화 


(4) 사업진행순서(예시)

- 96 -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476

1

1

2

3

4

11

4 ~ 11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2014~계속

(2) 총 사업비 :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이상기후 조기탐지 및 조기경보 시스템 개발

1,716

-

240

476

500

500



















- 97 -

용역과제 차별성 검토보고서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1

이상기후 발생현황 조사 및 조기경보 체계 설계 연구용역(2014)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상기후 조기탐지 및 조기경보 시스템에 대한 설계 및 장기예보의 발전적 형태 제시

○ 국내외 문헌 조사 및 관측자료 분석

○ 기상청 장기예보모델 예측성 분석

○ 이상기후 조기탐지경보시스템 예보요소 선정

○ 이상기후 발생현황조사를 통한 감시시스템 설계 및 구축

○ 이상기후 조기탐지‧경보 체계 설계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 이상기후 조기탐지 및 조기경보 시스템 개발

연구

목적

○ 우리나라 기후에 영향을 주는 전지구와 지역 이상기후 및 기후변동성 감시를 위한 이상기후 모니터링 등 이상기후 조기탐지 시스템 개발

연구

방법

○ 관측‧모델 자료 분석 및 결과표출 기법 개발

○ 기상청 장기예보 모델 예측성 향상 연구

연구

내용

○ 이상기후 조기탐지‧경보 시스템 개발

-  전지구 및 한반도 이상기후 발생 감시 시스템 구축

-  기후예측모델 결과를 이용한 이상기후 예측자료 표출 시스템 구축


○ 이상기후 합동분석 체계 개발

-  이상기후 현상에 대한 합동분석을 위한 외부전문가용 미러링 시스템 구축

-  이상기후 현상에 대한 합동분석을 위한 화상회의 시스템 구축


○ 이상기후 조기경보 예측변수 확장성 조사 및 예측성 향상기법 개발

-  강수량을 포함한 다양한 이상기후 지수에 대한 예측성 평가

-  광역변수 패턴을 이용한 이상기후 예측성 확보 방안 제시

- 98 -

45

260

A0499

기후협력서비스팀 전주기상대

전북지역 농업기상서비스지원 사전 조사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전라북도의 지역‧작물‧계절별 다양한 농업기상정보 활용실태 파악‧조사

○ 전북지역 농업기상서비스 지원체계 구축 방안 제시

○ 학‧연‧관, 분야별 전문가 등 농업관련기관과 기상협력체계 구축


(2) 과제내용

○ 전라북도의 지역별 대표 농산물의 농업기상정보 활용실태 조사

-  지역특산품 재배에 필요한 농업기상지수 분석 / 농업인, 연구자 등

○ 주요 작물별 필요 농업기상정보지수 조사

-  벼, 오디, 수박 인삼 등 전라북도 주요 농산물에 필요한 기상지수 파악

○ 계절별 영향에 따른 농업기상정보 활용도 조사

-  각 계절마다 이용되는 농업기상요소 빈도 분석

○ 시설농업 등 분야별 농업기상정보 이용 현황 조사

-  작물 재배에 활용되는 고가의 시설물 보호를 위한 위험기상요소 파악

○ 지자체, 농업기관 등의 재해정보 연구 현황과 자료의 활용도 조사

○ 전북지역 맞춤형 농업기상서비스 방안 제시 및 지원체계 설계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여부)

○ 전북지역 농업기상서비스 체계 구축 방안 마련 

○ 농작물의 지역‧작물‧계절별 다양한 농업기상정보 지원 방향 정립

○ 전라북도 시.군 주요 농작물별 기상정보 지원을 위한 기상지수 산출 가능

○ 기상대- 농업관련기관 협업 네트워크 구축에 따른 농업기상정보 지원체계 강화


(4)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100

1

1

2

2

3

11

계약 후 ∼11.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15~‘18년

(2) 총 사업비 : 800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전북지역 농업분야 기상지원

800

-

-

100

300

200

200



- 99 -

46

260

A0499

기후협력서비스팀

지역별 기후변화 상세 분석정보 생산III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저탄속 녹색성장 기본법에 따라 기초지자체의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이행 계획 수립이 의무화됨

※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시행령 제38조(‘12.12.27. 신설, ’15.1.1.발효)

○ 지자체 기후변화 적응대책 계획 수립을 지원하기 위한 상세(읍면동 단위) 기후변화 분석정보 제공 및 기후변화 분석정보에 대한 활용 제고 및 이해확산


(2) 과제내용

○ 67개 기초지자체 상세 기후변화 분석정보 제공 

-  지자체 선정: ‘15년 적응대책 계획 수립 대상 지자체(환경부(KEI), ‘13.11. 수요조사 결과) 및 기상청과 협의하여 기초지자체 선정

-  제공정보: 기상청 관측자료 및 기상청 남한상세(1km)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활용한 읍면동 단위의 관측기후 특성(2001∼2010)과 미래 기후변화 전망(2011∼2100) 정보(기온, 강수, 기후극한지수 등) 생산·제공

○ 기후변화 분석정보 활용제고 및 이해확산을 위한 자료집 제작

-  기후변화 시나리오 소개, 우리나라 기후변화 현황 및 전망, 기상청 기후변화 시나리오 및 응용정보 제공, 활용 방법 등 소개 


 
 
 

<2014년 발간 서울시 도봉구 기후변화 상세 분석보고서>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여부)

○ 읍면동 단위의 상세하고 일관성있는 기후변화 정보 제공을 통해 과학적 근거자료를 바탕으로 한 지자체의 일관성 있는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에 기여

○ 부처·지자체간 협업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능력 향상

(4) 사업진행순서

- 100 -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360

'14.12.

1

1

2

3

11

계약후 ~ 11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2013∼계속

(2) 총 사업비 : 1,215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

지역별 기후변화 상세 분석정보 생산III

1,215

85

320

360

450

-



















- 101 -

용역과제 차별성 검토보고서(제9조의2 관련)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1

지역별 기후변화 상세 분석정보 생산(2013)

(사)환경과문명

기초지자체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이행계획 수립 지원 및 기후변화 정보 이해 확산

남한상세 시나리오를 활용한읍면동 단위 기후변화 현황 및 미래 전망 분석보고서 제작

2012년 발간 한반도 기후변화전망보고서 영문번역

기후변화시나리오 소개 및 다양한 적응분야 활용사례집 제작

2013년 환경부 시범사업 대상 18개 지자체 기후변화 상세분석 정보 생산

한반도 기후변화 전망보고서 영문번역본 제작

기후변화 시나리오 이해 및 활용사례 리플릿 제작

2

지역별 기후변화 상세 분석정보 생산II(2014)

(사)환경과문명

기초지자체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이행계획 수립 지원 및 기후변화 정보 이해 확산

남한상세 시나리오를 활용한 읍면동 단위 기후변화 현황 및 미래 전망 분석보고서 제작

한반도 앙상블 기후변화 시나리오 전망 분석

우리나라 기후변화 현황 및 전망 요약, 부처 및 지자체 기후변화 적응대책 활용사례 등 사례집 제작

65개 지자체 기후변화 상세분석 정보 생산

온실가스 감축에 따른 한반도 기후변화 전망정보 생산

지역별 기후변화 분석정보의 이해확산을 위한 활용사례집 제작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 지역별 기후변화 상세 분석정보 생산III

연구

목적

○ 자체 기후변화 적응대책 계획 수립을 지원하기 위한 상세(읍면동 단위) 기후변화 분석정보 제공 및 기후변화 분석정보에 대한 활용 제고 및 이해확산

-  총 229개 지자체 대상 2014년까지 99개 지자체에 상세 기후변화 분석정보를 제공하였으며, 2015년에 67개 지자체 추가 제공

연구

방법

○ 남한상세 시나리오를 활용한 상세(읍면동 단위) 기후변화 현황 및 미래 전망 분석보고서 제작

○ 기후변화 시나리오 소개, 우리나라 기후변화 현황 및 전망, 기상청 기후변화 시나리오 및 응용정보 제공, 활용방법 등 자료집 제작

연구

내용

○ 67개 지자체 기후변화 상세분석 정보 생산

 기후변화 분석정보의 활용제고 및 이해확산을 위한 자료집 제작




- 102 -

47

260

A0499

기후협력서비스팀 지방기상청 기상대

지역 산업분야별 맞춤형 기후정보 생산 확대·서비스 운영

※ 본 과제는 기후협력서비스팀과 지방기상청 기후과, 특보기상대 등에서 추진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지역별 기후변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남에 따라, 지역특성에 맞는 모니터링 체계 및 기후정보 지원의 필요성이 증대

○ 지역산업에 미치는 주요 기후정보 개발을 통해, 고품질의 맞춤형 기후정보 제공 체계 마련

○ 지역산업과 지역경제에 미치는 주요 기상기후정보를 개발하고 제공함으로써 기후변화과학정보의 활용성 제고

(2) 과제내용

○ 지역별, 산업별 맞춤형 기후정보 개발

-  지역 맞춤형 농·축산업기후정보*, 해양기후정보, 응용기후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후정보 개발

* 강원 산림피해 경감을 위한 기후정보 및 양봉산업 지원을 위한 생물기후정보 등

○ 개발된 맞춤형 정보의 검증 및 정보사용자에 시범제공

-  지역 맞춤형 농·축산업기후정보*, 해양기후정보**, 응용기후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후정보 개발

* 충청지역의 약용작물, 생강 및 아로니아, 전라지역의 키위, 강원지역의 한우, 경기지역의 순무, 경상지역의 청도과수 산업 등

** 전라지역의 천일염 및 미꾸리 양식 산업 등

*** 부산항만 열환경정보, 제주지역 전력산업 등

○ 정보사용자의 수요분석을 통한 맞춤형 정보 제공 및 효율적 정보 활용방안 연구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여부)

○ 맞춤형 기후 및 기후변화 정보 생산·제공을 위한 기반조성

○ 지역 기후변화 적응산업 지원으로 지역경제 활성화 

○ 개발된 기술의 이전을 통한 기상청과 지자체와의 협업체계 구축



- 103 -

(4) 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980

1

1

2

2

3

11

계약후 ~ 11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2011년∼

(2) 총 사업비 : 9,018 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지역 산업분야별 맞춤형 기후정보 생산 확대·서비스 운영 

9,018

476

476

1,100

1,036

980

2,400

2,550


















- 104 -

용역과제 차별성 검토보고서(제9조의2 관련)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1

지역 기후변화 적응 지원 서비스

(2011)

부산대학교산학협력단 외 5곳

수요자 맞춤형 기후정보를 생산·제공하여 정보활용의 편리성 및 활용성 제고

맞춤형 기후정보 개발을 위한 자료조사 및 분석

개발된 맞춤형 정보의 검증 및 기술보완

○ 부산·경남 수산자원 기후변화예측 및 전남 갯벌 기후변화 영향지수 등 개발

○ 충남지역 특화작물및 제주도 감귤산업을위한 생물기후정보 개발

○ 강원영동지역의 관광산업 지원을 위한 기후정보시스템 구축

○ 지역기후변화정보의효율적 활용방안 연구

2

지역 기후변화 적응 지원 서비스

(2012)

㈜동녘 외 4곳

수요자 맞춤형 기후정보를 생산·제공하여 정보활용의 편리성 및 활용성 제고

맞춤형 기후정보 개발을 위한 자료조사 및 분석

개발된 맞춤형 정보의 검증 및 기술보완

○ 부산연안 미역양식 및 전남북 갯벌 등을 지원하기 위한 해양기후정보 개발

○ 시설재배 농가에 지역기후정보 제공 및 경제성 평가

○ 강원지역 동계 스포츠 및 레저지원 기후정보 개발

○ 감귤산업지원 생물기후정보 서비스 상세화 개발

3

지역 기후변화 적응 지원 서비스

(2013)

㈜ 동녘외 11곳

수요자 맞춤형 기후정보를 생산·제공하여 정보활용의 편리성 및 활용성 제고

맞춤형 기후정보 개발을 위한 자료조사 및 분석

개발된 맞춤형 정보의 검증 및 기술보완 기술보완

○ 서산생강, 제천황기, 강화순무, 강원 한우 및 씨감자의 기후정보 개발

○ 강원 지역축제, 제주감귤 등의 개발된 정보의 검증 및 보완 

○ 대구 태양광, 갯벌 기후변화 영향지수 및 전북지역 호우위험정보 등 서비스 고도화

4

지역 기후변화 적응 지원 서비스

(2014)

부산대학교산학협력단외 13곳

수요자 맞춤형 기후정보를 생산·제공하여 정보활용의 편리성 및 활용성 제고

맞춤형 기후정보 개발을 위한 자료조사 및 분석

개발된 맞춤형 정보의 검증 및 기술보완

○ 부산항만 열환경정보, 제주 전력지원 등 응용기후정보 개발

○ 전라 천일염, 키위, 미꾸리양식, 단양 아로니아, 대구 전략과수 등 지역산업 기후정보 개발

○ 서산생강, 제천황기, 강화순무, 강원 한우 및 씨감자의 기후정보 검증 및 보완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 지역 산업분야별 맞춤형 기후정보 생산 확대·서비스 운영

연구

목적

○ 지역별 기후변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남에 따라, 지역특성에 맞는 기후정보 지원의 필요성이 증대

○ 수요자 맞춤형 기후정보를 생산·제공하여 정보활용의 편리성 및 활용성 제고

연구

방법

○ 맞춤형 기후정보 개발을 위한 자료조사 및 분석

○ 개발된 맞춤형 정보의 검증 및 기술보완

연구

내용

○ 지역별, 산업별 맞춤형 기후정보 개발

○ 개발된 맞춤형 정보의 검증 및 정보사용자에 시범 제공

○ 정보사용자의 수요분석을 통한 맞춤형 정보 제공 및 효율적 정보 활용방안 연구





















- 105 -

48

260

A0499

기후협력서비스팀

지역별 계절기상 정보의 신뢰도 검증 및 개선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기후업무규정 제 4장 제22조 및 제 23조에 따라 봄꽃(개나리, 진달래, 벚꽃) 개화시기, 단풍 예상시기, 김장 예상시기를 발표 하고 있음

○ 계절기상정보 생산업무가 지방청과 특보기상대로 확대시행(‘10.5)됨에 따라 지역특색에 맞는 새로운 계절기상정보를 발굴하였음(’11.6)

○ 이에, 발굴된 지역 계절기상정보 생산기술을 연차별로 개발하고, 기존 전국단위로발표하는 정보를 지역별로 생산 가능하도록 개선하고, 예측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검증을 하고자 함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기존

계절기상정보

봄꽃 생태모형 도입

단풍 격자예측 개발

봄꽃, 단풍 검증 및 추가개선

봄꽃 생태모형 개선·검증

단풍 회귀식 개선·검증

신규

계절기상정보

(광주(청))

나주 배꽃

(부산(청)) 하동 코스모스

(강원·제주청, 인천기) 해수욕 

▪기술개발

(대구(기)) 청송 사과꽃

▪기술개선

(강원·제주(청), 인천(기)) 해수욕 

* 2012~2014년 개발된 신규계절기상정보의 개선 및검증을 통한 안정화 추진

계절기상

정보시스템

시스템 구축

신규 개발 기술 적용 및 개선

신규 개발 기술

적용 및 개선

시스템 안정화

(2) 과제내용

○ 계절기상정보 생산기술 개선 및 검증 

-  봄꽃 생태모형의 검증* 및 2015년 봄꽃 예보 시 적용 지원

* 이상기후의 개화반응 여부, 과거 기온 관측자료를 활용한 생태모형의 정확도 검증 등 

-  단풍 예상시기의 개선 회귀식*의 검증 및 2015년 단풍 예보 시 적용 지원

* 봄철 강수(식물의 수분 스트레스 관련)·계절별 일교차(최고·최저기온) 등과 단풍의 상관관계 반영

-  장기 확률예보에 따른 예측기온 산출방법 개선

-  중기예보가 제공되지 않는 지점과 제공되는 지점들에 대한 예측값의 일별·순별·월별 상관관계 분석 및 기술 개선

-  배꽃·코스모스·해수욕·사과꽃 예상시기의 개선 및 검증

○ 계절기상정보시스템 활용 확대 및 체계적 관리를 위한 시스템 안정화

-  COMIS- 4 및 한영 공동 계절예측시스템(GloSea5)를 통한 자료 수집의 안정화

-  기술개발 결과 및 검증 결과 계절기상정보시스템에 구현

-  계절기상정보시스템의 활용 확대를 위한 사용자 교육(지방청 및 특보기상대 포함)

○ 계절기상정보 자문 및 활용 지원 

-  봄꽃·단풍김장 적정시기 등 관련 분야 전문가의 자문 강화

- 106 -

-  계절기상정보의 추진현황·주요성과 등에 관한 홍보용 리플릿 발간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

○ 지역 특화산업의 발달과 야외 활동 증가에 따른 지역 맞춤형 기상정보 수요에 대응 가능

○ 계절기상정보시스템을 통한 계절기상정보 관리‧생산의 효율화

(4) 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100

1

1

2

2

3

11

계약후 ~ 11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2013~2016(4년)

(2) 총 사업비 : 385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지역별 계절기상정보 신뢰도 검증 및 개선

385

90

95

100

100

- 107 -

용역과제 차별성 검토보고서(제9조의2 관련)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1

지역 계절기상정보 생산기술 개발 Ⅰ

(2012)

(주)세이프

코리아

지역 특화산업의 발달과 야외 활동증가에 따른 지역 맞춤형 기상정보 수요에 대응

-  시스템 구축

-  예측기술 개발

- 계절기상정보시스템 구축

- 신규 배꽃 개화시기 예측기술 개발

2

지역 계절기상정보 생산기술 개발 Ⅱ

(2013)

-  시스템 개선

-  예측기술 개발·개선

- 단풍 예상시기 생산기술 개선

- 코스모스 개화시기 예측기술

- 해수욕 가능시기 기술 개발 연구

3

지역 계절기상정보 생산기술 개발 Ⅲ

(2014)

-  시스템 개선

-  예측기술 개발·개선

- 봄꽃 개화시기 예측기술 개선

- 청송 사과꽃 개화시기 기술 개발 연구

- 해수욕 가능시기 기술 개선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지역별 계절기상 정보의 신뢰도 검증 및 개선(지역 계절기상정보 생산기술 개발 Ⅳ)

연구

목적

기존 전국단위로 발표하는 정보를 지역별로 생산 가능토록 시스템 개선 및 예측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검증

연구

방법

○ 요소별 계절기상정보의 예측기술에 관한 검증 및 개선

○ 계절기상정보시스템의 활용확대를 위한 지원

연구

내용

계절기상정보 생산기술 개선 및 검증 

계절기상정보시스템 활용 확대 및 체계적 관리를 위한 시스템 안정화

계절기상정보의 대국민 홍보











- 108 -

49

260

A0499

기후예측과

장기예보 정확도 향상 요인 조사‧분석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장기예보 정확도를 결정하는 위한 핵심 요인 조사 및 분석 

○ 장기예보 개선 중장기 로드맵 수립 

(2) 과제내용

○ 기상청 장기예보역량 진단평가모델의 개발

-  장기예보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 발굴

※ 기후감시, 기후예측모델 성능, 장기예보관 역량 등

-  핵심 요인을 기반으로 장기예보역량 진단평가모델 개발

○ 요인별 장기예보역량 진단 및 평가

-  핵심 요인별 장기예보 정확도에 기여하는 중요도 평가

-  핵심 요인별 기상청 장기예보역량 진단

○ 장기예보 정확도 향상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 제시

-  기상청 장기예보역량 증진을 위한 우선순위 선정

-  기상청 장기예보역량 개발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 작성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여부)

○ 장기예보 업무 발전계획 수립에 기초 자료로 활용

○ 향후 추진되어야 할 핵심 사업 발굴 및 중점 투자를 통한 장기예보 정확도 향상

(4)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100

1

1

2

3

4

9

4 ~ 9

※ 사유 : 계약체결 예정일이 5월 이후에는 반드시 구체적인 사유 작성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2015년 〜 2015년

(2) 총 사업비 : 100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장기예보 정확도 향상 요인 조사‧분석

100

-

-

100

-

-

- 109 -

□ 연구용역 산업·응용분야( 7개)

50

260

A0499

기후예측과

수요자 중심의 수문기상정보 활용 연구

-  1·3개월 가뭄전망정보 시스템 구축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 피해의 최소화를 위해 기상청 장기예보를 이용하여 가뭄전망 정보를 생산하고자 함

○ 가뭄 관리 정부부처 및 유관기관 등 국가차원의 선제적 가뭄 방재대책 마련을 위한 신속하고 다양한 가뭄정보 생산·제공 연구

(2) 과제내용

○ 가뭄전망 생산기술 최적화 및 현업화 

-  기존 연구개발로 축적된 가뭄전망(예측) 기술의 현업화

-  효율적인 가뭄전망정보 생산을 위한 프로그램 병렬화 및 코드/쉘 최적화 

○ 1·3개월 가뭄전망정보 생산 및 표출

-  주단위 1개월 및 월 단위 3개월 가뭄전망정보 생산

-  가뭄전망정보 시스템 표출 구현

· 지점별, 지역별(행정구역별, 중부/남부 등) 표출

· 표준강수지수(SPI, 1,2,3개월), 파머가뭄지수(PDSI), 평균치비율(PN), 가뭄판단지수(DDI) 등의 이미지, 시계열, 과거 자료 검색 등

-  가뭄전망정보 생산 백업 시스템 구현(수동생산 기능 구현)

-  차세대 웹 표준안 준수

-  가뭄지수와 관측자료의 실시간 비교 분석 구현(시계열, 이미지 등)

○ 가뭄 종합 감시망 구축

-  정확한 가뭄현황 파악 및 감시를 위한 관측자료 표출

· 위성(토양수분량, 증발산량), 관측자료(토양수분, 지하수위, 저수지저수율) 등

-  관측기반 가뭄지수 실시간 표출 및 검색 기능 구현

· 표준강수지수(SPI, 1,2,3개월), 파머가뭄지수(PDSI), 평균지비율(PN), 가뭄판단지수(DDI) 등의 이미지, 시계열, 과거 자료 검색 등

-  가뭄 관측자료 DB화 기능 구현(다운로드 및 통계)

· 강수 및 가뭄 실시간 통계정보 산출

- 110 -


(3) 기대효과

○ 가뭄 관련 정부부처 및 유관기관의 가뭄 관련 방재 대책 활용도 극대화 

○ 국내 최초 가뭄전망정보 생산함으로써 기후변화에 대한 국가 차원의 선제적 방재 대응책 마련에 기여


(4)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60

2015.1

1

2

2

3

10

2~10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2014년 ∼ 2017년

(2) 총 사업비 : 390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1·3개월 가뭄전망정보 생산 시스템 구축

390

-

30

60

100

200











- 111 -

51

210- 13

A0501

응용기상연구과

수문기상모델링  개선을 위한 요소기술 개발 및 활용 연구(II)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전국 수문기상 분석 및 예측정보 산출기술 개선

○ 시범지역(낙동강) 수문기상관측망 운영기술 및 자료 분석기술 확보

○ 수문기상 분석 및 예측정보 활용기술 개발 기반 구축

(2) 과제내용

○ 다중 수문기상모델 기반 수문기상 분석 및 예측정보 산출체계 구축 및 활용

-  전국 수문기상정보 산출을 위한 다중 수문기상모델 최적화 

-  다중 수문기상모델 기반 수문기상 분석 및 예측정보 산출체계 구축

-  다중 수문기상모델 앙상블 분석 기술을 활용한 가뭄·홍수 사례 적용 연구

○ 낙동강 수문기상 관측 및 분석‧예측 자료 웹표출 개선

-  낙동강 수문기상 관측자료(7소) 감시 및 분석을 위한 웹표출 개선

-  GIS 기반의 다중 수문기상 모델 산출물 검증체계 개선 및 시뮬레이터 개발

○ 기상- 수문 결합 모델을 활용한 수문기상 분석 및 예측정보 활용기술 개발 기반 구축 

-  WRF- Hydro 모델 분석 및 국내 적용성 검토

-  기상모델 초기자료 개선을 위한 수문기상 분석 및 예측정보 활용 기반 구축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

○ 수문기상 관측망 효율적 관리 및 분석 기술 확보를 통한 모델검증 자료 확보

○ 고해상도 수문기상정보(토양수분, 플럭스 등) 산출기술 개선을 통한 수문기상정보 정확도 개선

○ 전국 자연하천에 대한 수문기상예측정보 제공을 통한 기상재해 피해 저감

○ 기상모델 예측성 향상을 위한 수문기상 분석 및 예측정보 활용기술 확보

(4) 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200

1- 2

1- 2

3

4- 5

5

11

5 ~ 11


- 112 -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2013∼2016년(4년)

(2) 총 사업비 : 1,107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2

해당연도- 1

해당년도

해당연도+1

해당연도+2

 수문기상모델 개선을 위한 요소기술 개발(III)

1,107

181

176

200

250

300

























- 113 -

용역과제 차별성 검토보고서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1

수문기상모델 개선을 위한 요소기술 개발(I) 

이경도

맞춤형 수문기상정보 산출을 위한 요소기술 개발

맞춤형 수문기상정보 산출을 위한 요소기술 개발

수문기상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지면모델기반 수문기상 분석 및 예측정보산출 시스템 개발 기반 구축

○지면모델링을 위한 토양속성정보 분석 및 토양수분 관측자료 품질관리 기법 개발

○시범유역에 대한 수문기상 예측정보 연구/검증용 웹표출 시스템 구축

2

수문기상모델 개선을 위한 요소기술 개발(II)

김광섭

수문기상 분석 및 예측정보 산출기술 개발 기반 구축

지면모델기반 수문기상 분석 및 예측정보산출 시스템 개선

수문기상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개선

○수문기상모델 앙상블 분석 및 예측기술 개발 기반 연구 

○지면모델 개선을 위한 맞춤형 토양속성정보 구축

○낙동강 수문기상 관측 및 분석·예측 자료 웹표출 개선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 수문기상모델 개선을 위한 요소기술 개발(III)

연구

목적

○ 1~2차년도와 동일

○ 수문기상 분석 및 예측정보 활용기술 개발 연구 추가 

연구

방법

○ 다중 수문기상모델 기반 수문기상 분석 및 예측시스템 개발

○ 기상- 수문 결합모델을 활용한 수문기상 분석 및 예측정보 활용기술 개발

연구

내용

○ 다중 수문기상모델 기반 수문기상 분석 및 예측정보 산출체계 기반 구축 및 적용 연구

○ 낙동강 수문기상 관측 및 분석/예측자료 웹표출 개선

기상모델 초기자료 개선을 위한 수문기상 분석 및 예측정보 활용기술 개발





- 114 -

52

210- 13

A0502

응용기상연구과

낙동강  기상연구관측망 자료 활용 및 수치모의 기술 개발(II)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배경)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에서는 수환경 변화에 따른 낙동강 국지기상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2010년부터 낙동강 강정고령보, 구미보, 칠곡보 유역을 대상으로 상시관측망 및 특별 기상 관측(고층, 수온)을 수행하고 있음

○ (배경) 현재 강정고령보(2013년), 칠곡보(2014년) 유역에 대한 국지기상영향분석을 수행함

○ (목적) 구미보를 대상으로 수환경 변화가 국지기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함

(2) 과제내용

○ 지상 및 원격 탐사자료 활용한 국지기상영향 분석

-  낙동강 구미보 유역 수환경 및 토지이용도 변화에 따른 국지기상영향 분석

-  위성자료를 활용한 낙동강 유역 수온변화 분석

○ 미규모 수치모델을 이용한 국지기상영향 분석

-  낙동강 구미보 유역을 대상으로 한 국지기상변동 수치모델링

-  국지기상영향 분석을 위한 미규모 수치모의 기술 개발

○ 에너지 플럭스 관측 자료를 활용한 국지기상영향 분석

-  낙동강 구미보 유역 에너지 플럭스 수지 분석

-  낙동강 유역 증발량 추정과 지표해석모형을 이용한 수치모델링 기술 개발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

○ 수환경 변화에 따른 낙동강 유역 국지기상영향 정량화(공개)

○ 국지기상영향 분석을 위한 미규모 수치모의 기술 고도화(공개)

○ 국지규모 에너지 순환 특성 파악 및 플럭스 관측자료 활용 기술 고도화(공개)


(4)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150

1- 2

1- 2

3

4- 5

5

11

5 ~ 11


- 115 -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2013~2016년(4년)

(2) 총 사업비 : 538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2

해당연도- 1

해당년도

해당연도+1

해당연도+2

낙동강 기상연구관측망 자료 활용 및 수치모의 기술 개발(II)

538

88

150

150

150

-























- 116 -

용역과제 차별성 검토보고서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1

국지기상영향 평가기술개발 연구

(2013)

김용준

(김해동)

국지기상영향평가를 위한 관측자료 분석기술 개발 및 강정고령보를 대상으로 한 국지기상영향 분석

-  강정보 기상관측자료를 활용한 국지갓영향 분석


-  미규모 수치모델들의 적용 가능성 조사 및 사례 실험 

-  강정고령보 국지기상관측망 기상요소(기온, 습도, 시정) 변동의 정량적 분석


-  강정고령보 주변 기상관측소 자료와 비교 분석 방법을 고려함 

-  미규모 모델(PALM, ENVI- Met, A2C, CALMET) 활용기반 구축


-  대상 모델의 특성을 조사 및 사례 실험을 통한 국내 적용 가능성을 분석함


-  강정고령보 기상관측자료를 사용한 모델 검증 수행 및 활용 방안 연구

2

낙동강 기상연구관측망 자료 활용 및 수치모의 기술 개발

(2014)

김해동

(김용준,

이순환,

이영희)

미기상관측, 미세 규모 수치모델링 기술 및 국지규모 에너지 순환 특성 파악을 통해 낙동강 유역 국지기상특성을 파악하고 기상영향평가 체계를 구축하고자 함

-  칠곡보 국지기상연구관측망 자료를 활용한 국지기상영향 분석

-  국지기상영향 분석을 위한 미규모 수치모의 기술 개발

-  플럭스 관측 자료를 활용한 국지기상영향 분석 기술 개선

-  칠곡보 국지기상관측망 자료 분석 및 국지기상영향 분석

-  LANDSAT 자료를 활용한 낙동강 수환경변화에 따른 국지기상영향 분석

-  칠곡보를 대상으로 미규모 수치모델을 이용한 국지기상영향 분석

‧A2C, ENVI- met 등을 이용한 국지기상영향 분석

-  플럭스 관측 자료를 활용한 국지기상영향 분석 기술 개선

‧낙동강(강정고령보, 칠곡보, 구미보) 증발산량 추정 및 변동 특성 파악

‧에너지 플럭스자료를 이용하여 지표해석모델(TOPLATS) 매개변수 재추정 등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낙동강 기상연구관측망 자료 활용 및 수치모의 기술 개발(II)

연구

목적

○구미보를 대상으로 수환경 변화가 국지기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함

연구

방법

○지상 및 원격탐사자료를 분석을 통한 국지기상영향 정량화

○미규모 수치모델을 이용한 구미보 국지기상변동 수치모델링

○에너지 플럭스 관측자료 분석과 지표해석 모형 개선

연구

내용

○ 지상 및 원격 탐사자료 활용한 국지기상영향 분석

-  낙동강 구미보 유역 수환경 및 토지이용도 변화에 따른 국지기상영향 분석

-  위성자료를 활용한 낙동강 유역 수온변화 분석

○ 미규모 수치모델을 이용한 국지기상영향 분석

-  낙동강 구미보 유역을 대상으로 한 국지기상변동 수치모델링

-  국지기상영향 분석을 위한 미규모 수치모의 기술 개발

○ 에너지 플럭스 관측 자료를 활용한 국지기상영향 분석

-  낙동강 구미보 유역 에너지 플럭스 수지 분석

-  낙동강 유역 증발량 추정과 지표해석모형을 이용한 수치모델링 기술 개발











- 117 -

53

210- 13

A0501

응용기상연구과

고해상도 기상자원 예측시스템 개발 연구(II)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기상청 현업용 국지모델 예측자료를 활용한 고해상도 풍력·태양광 기상자원예측정보 산출기술 개발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 미래 상세 풍력·태양광 기상자원정보 산출기술 개발

(2) 과제내용

○ 기상청 현업용 국지모델 예측자료를 활용한 고해상도 풍력- 기상자원예측정보 산출 및 검증

-  기상청 현업용 국지모델 상세화 모델(UKPP)을 활용한 한반도 지역 1km해상도 풍력- 기상자원 예측정보 산출 및 검증

-  지점 특화 가이던스 모델(SSPS) 및 후처리 보정작업을 통한 발전단지 맞춤형 풍력- 기상자원 예측정보 산출체계 구축

○ 기상청 현업용 국지모델 예측자료를 활용한 고해상도 태양광- 기상자원예측정보 산출체계 구축 및 검증

-  시범지역 대상 UKPP, SSPS 모델 기반 고해상도 태양광- 기상자원예측정보 산출 체계 구축 및 검증

○ 통계적 다운스케일링 방법을 이용한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 미래 상세 풍력- 기상자원정보 산출 및 분석 

-  PRISM 기법을 이용한 전국 1km 해상도 미래 상세 풍력- 기상자원지도 산출

-  미래 풍력- 기상자원 변동성 분석

○ 통계적 다운스케일링 방법을 이용한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 미래 상세 태양광

-  기상자원정보 산출체계 구축 및 검증 

-  PRISM 기법을 이용한 시범지역 대상 1km 해상도 미래 상세 태양광- 기상자원지도 산출체계 구축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

○ 발전단지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단기- 장기 풍력·태양광 기상자원 예측정보 산출 및 평가 체계 구축(공개)

○ 신재생에너지 산업 지원을 위한 기상청 현업 예측자료에 대한 활용 기술 확보(공개)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기후변화 시나리오 분석 기술 확보(공개)

(4) 사업진행순서

- 118 -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210

1- 2

1- 2

3

4- 5

5

11

5 ~ 11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2013∼2016년(4년)

(2) 총 사업비 : 641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2

해당연도- 1

해당년도

해당연도+1

해당연도+2

 고해상도 기상자원 예측시스템 개발 연구(II) 

641

97

134

210

200

-

















- 119 -

용역과제 차별성 검토보고서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1

고해상도 기상자원 예측시스템 개발

김철희

신재생에너지 사업 육성 및 지원 기술 확보를 위한 수치모델 기반 고해상도 풍력- 기상자원정보 예측시스템 개발

현업용 국지모델 예측자료를 활용한 고해상도 풍력- 예측시스템 기반 구축

○ 고해상도 풍력- 기상예측정보 산출 및 관측자료와 비교 분석

○ 해양- 대기 상호작용을 고려한 해상풍력 예측시스템 개발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 고해상도 기상자원정보 산출기술 개발 연구(II)

연구

목적

○ 1차년도와 동일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 미래 상세 기상자원정보 산출 기술 개발 추가

연구

방법

○ 1차년도와 동일

○ 통계적 다운스케일링 방법을 이용한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 미래 상세 풍력- 기상자원지도 산출 추가

연구

내용

○ 기상청 현업용 국지모델 예측자료를 활용한 고해상도 기상자원예측정보 생산기술 개발

-  1차년도 기상자원예측을 위한 현업용 국지모델 적용성 분석 및 고해상도 기상자원 예측시스템 개발 기반 구축

-  2차년도 전국 1km 해상도 풍력- 기상자원 예측정보 생산 및 태양광- 기상자원 예측시스템 개발 기반 구축

○ 통계적 다운스케일링 방법을 이용한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 미래 상세 풍력- 기상자원정보 산출 및 분석

-  1차년도 

-  2차년도 PRISM 기법을 적용한 전국 1km 해상도 미래 풍력- 기상자원지도 산출 및 미래 태양광- 기상자원지도 산출을 위한 기반 구축



- 120 -

54

210- 13

A0501

응용기상연구과

생명기상 응용모델개발(III)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배경)생명기상은 국민 생활과의 접점을 이루는 응용기상 분야로,

-  종관 기상의 영향을 받지만 빌딩과 식생 등 주변 환경과의 연계가 중요함

-  응용기상연구과에서 개발, 보유한 고해상도 기상관측, 분석 및 예측 기술은 생명기상 분야 적용을 위해 현장 적용과 검증이 필요함

-  특히 고해상도 생명기후분석시스템(BioCAS)이 사용가능한 모든 주변 환경을 통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 모델의 추가 연구가 필요함

○ (목적)생명기후분석시스템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구성 모델의 성능 개선과 꽃가루 알레르기 예보 개선을 위한 실험 연구

(2) 과제내용

○ 생명기후분석시스템 모델 개선

-  BioCAS의 구성 모델 개선

· 큰 키 식생(tall vegetation)에 의한 기온하강 집중관측 및 모델링

· 관측 자료를 이용한 SOLWEIG 모델 등의 비교

· 개선된 구성 모델의 시스템화된 평가(AWS 관측과 비교분석 등)

○ 꽃가루 알레르기 예보 개선 실험

-  꽃가루 농도와 환경요인의 복합적 알레르기 취약성 조사, 분석

· 꽃가루환자 알레르기 반응 자료를 이용한 위험도 모델 개선

-  수도권 알레르기 꽃가루 확산 예측모델 정밀화

· 참나무 순림 관측을 통한 생물계절 모델 개선 등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

○ 사용자 맞춤형 대국민 생명기상 서비스의 기반 강화(공개)

○ 보건기상분야 신규 서비스를 위한 기반모델 개선(공개)

(4)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150

1- 2

1- 2

3

4- 5

5

11

5 ~ 11

- 121 -

(5) 기타

○ 본 과제는 2014년 수행된 아래 3개 과제의 융합·개편 과제임(금액)

-  생명기상 응용모델개발(II) (240 백만원)

-  기후변화에 따른 극한기상 건강영향분석(II) (40 백만원)

-  한독공동 도시기후 시뮬레이터개발(II) (70 백만원)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2013~2016년(4년)

(2) 총 사업비 : 1,273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2

해당연도- 1

해당년도

해당연도+1

해당연도+2

생명기상 응용모델개발(III)

1,273

343*

350*

280

300

-

*‘생명기상 응용모델개발’, ‘기후변화에 따른 극한기상 건강영향분석’, ‘한독공동 도시기후 시뮬레이터개발’ 통합 금액

























- 122 -

용역과제 차별성 검토보고서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1

생명기상 응용모델개발

(2013)

강위수

(백원기,

오재원,

오인보)

다학제 실험연구를 통한 생명기상 응용모델 개발

-  축사내부 관측, 분석

-  CO2 농도별 알레르기 꽃가루 특성변화 조사

-  축산환경 지원을 위한 농업기상 응용모델 원형개발

-  기후변화 대응 꽃가루 알레르기 취약성 평가를 위한 생명기상모델 개발

2

생명기상 응용모델개발(II)

(2014)

백원기

(오재원,

오인보,

이승재,

한용규)

다학제 실험연구를 통한 생명기상 응용모델 개발

-  축사내 원형모델 검증 실험

-  꽃가루 알레르기 위험도 변화 모델개발

-  모 과제에서 개발한 원형모델 검증(집중관측), 개선

-  기후변화 대응 꽃가루 알레르기 취약성 평가를 위한 생명기상모델 개발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생명기상 응용모델개발(Ⅲ)

연구

목적

○생명기후분석시스템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구성 모델의 성능 개선과 꽃가루 알레르기 예보 개선을 위한 실험 연구

연구

방법

○생명기후분석시스템 모델 개선을 위한 식생관측과 수치실험

○꽃가루 알레르기 예보 개선을 위한 환자 분석 및 수치실험

연구

내용

○ 생명기후분석시스템 모델 개선

-  BioCAS의 구성 모델 개선

· 큰 키 식생(tall vegetation)에 의한 기온하강 집중관측 및 모델링

· 관측 자료를 이용한 SOLWEIG 모델 등의 비교

· 개선된 구성 모델의 시스템화된 평가(AWS 관측과 비교분석 등)

○ 꽃가루 알레르기 예보 개선 실험

-  꽃가루 농도와 환경요인의 복합적 알레르기 취약성 조사, 분석

· 꽃가루환자 알레르기 반응 자료를 이용한 위험도 모델 개선

-  수도권 알레르기 꽃가루 확산 예측모델 정밀화 관측 실험

· 참나무 순림 관측을 통한 생물계절 모델 개선 등









- 123 -

55

210- 13

A0506

응용기상연구과

인공증설 실험 수치모델링기술 개발 연구(III)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인공증설 항공실험 전략수립 및 사후검증 위한 수치모델링 기술개발 필요 

○ 기존의 인공증설 지상실험용 수치모듈을 개선하여 항공실험용 수치모듈 개발

○ 수치실험과 집중관측을 통한 구름- 에어러솔- 강수의 미세물리적 특성 이해

(2) 과제내용

○ 중규모 모델 기반의 인공증설 항공실험 수치모델링기술 개발

-  인공증설 항공실험을 위한 수치모듈 개발

-  인공증설 항공실험 실제사례의 수치실험 수행

-  구름물리 관측자료 분석을 통한 수치실험 검증기반 구축

○ 수치실험에 의한 구름시스템의 상호작용 분석기술 개발 

-  중규모시스템 내 구름- 에어러솔- 강수의 상호작용에 대한 수치실험 수행

-  국내외 지역 중규모시스템 내 구름- 에어러솔- 강수의 발달기작 비교

-  상세미세물리모형을 이용한 수치실험으로 최적 구름씨 살포조건 탐색

○ 집중관측에 의한 구름시스템의 미세물리적 특성 분석

-  영동지역 강설기간 동안 집중관측 수행 및 관측자료 분석

-  인공증설 실험기간 동안 구름물리 특성 관측 및 분석

-  관측과 단순모델 평가를 통한 에어러솔이 구름·강설에 미치는 영향 분석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

○ 인공증설 실험 전략수립 시 최적 구름과 대기조건 결정 및 사후검증에 활용

○ 국내 구름물리 연구 활성화에 기여

(4) 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200

1- 2

1- 2

3

4- 5

5

11

5 ~ 11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2013∼2017년(5년)

(2) 총 사업비 : 1,137백만원

- 124 -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2

해당연도- 1

해당년도

해당연도+1

해당연도+2

인공증설 실험 수치모델링기술 개발 연구(III)

1,137

159

178

200

300

300






























- 125 -

용역과제 차별성 검토보고서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1

인공증설 실험 수치모델링기술 개발 연구(I)(2013)

염성수

인공증설 야외실험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시

인공증설 수치실험 및 구름 특성자료 분석 기반 구축 

○WRF- LES 모델 기반의 인공증설 수치실험 기반 구축

○지형특성에 따른 에어러솔이 구름·강수에 미치는 영향 사례분석

2

인공증설 실험 수치모델링기술 개발 연구(II)(2014)

염성수

인공증설 지상실험 수치모델링기술 및 미세물리 특성분석 기술개발 

○WRF 모델 기반의 AgI 살포 모듈 개발 및 인공증설 지상실험 수치실험 수행

○영동지역 강설기간동안 집중관측 캠페인 수행 및 결과분석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인공증설 실험 수치모델링기술 개발 연구(III)

연구

목적

○1~2차년도와 동일

연구

방법

○인공증설 항공실험 수치모델링 기술 개발

○수치실험/집중관측에 의한 중규모 구름시스템의 상호작용 분석기술 개발

연구

내용

○WRF모델 기반의 인공증설 항공실험용 수치모듈 개발

○항공실험에 대한 야외실험과 수치실험과의 결과 비교

○수치실험/집중관측 수행으로 대기조건에 따른 에어러솔이 구름과 강수에 미치는 영향 분석








- 126 -

56

210- 13

A0601

응용기상연구과

응용기상관측장비 실용화 기술개발 연구(III)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수입장비를 대체하기 위한 기상청 보유의 기상장비 원천·핵심기술 개발 필요

○ 세계선도의 기상장비기술 실용화를 통한 국내 기상관측기술의 선진화 필요

○ 고품질의 구름특성과 기상요소를 생산하는 첨단기상장비 개발 및 검증

(2) 과제내용

○ 라이다 방식을 이용한 구름특성 관측시스템 개발

-  3파장, 1채널 송수신 광학계 제작

-  라만 채널에서 탄성산란신호의 억제가 최적화된 광학계 제작

-  배경신호 변화에 따른 탄성산란신호 특성 최적화 연구 수행

-  탄성산란신호와 라만신호의 동시관측을 통한 신호 특성 분석

○ 강수입자 부피·모양 측정기 개발

-  2차원 디스드로미터의 내구성 향상을 위한 송수신 시스템 최적화 방안 연구

-  낙하입자별 영상 복원 및 입자크기·낙하속도 추출 알고리즘 연구

-  야외에서의 관측을 통한 검·보정 기술 개발

-  야외에서의 관측을 통한 정확한 강수량, 강수형태 실시간 표출기술 개발

○ 꽃가루 자동관측시스템 개발 

-  라이다 방식 꽃가루 관측시스템 구조 변경을 위한 광학 시뮬레이션 수행

-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꽃가루 관측시스템 변경

-  라이다 방식 꽃가루 관측시스템의 중첩함수 산출기법 개발 및 적용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

○ 수입 의존 기상장비의 원천·핵심기술 확보 및 기상장비 국산화에 기여 

○ 예상되는 성과는 비공개하며 관련 기술 특허출원 이후 공개 예정

(4) 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240

1- 2

1- 2

3

4- 5

5

11

5 ~ 11



- 127 -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2013∼2016년(4년)

(2) 총 사업비 : 1,004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2

해당연도- 1

해당년도

해당연도+1

해당연도+2

응용기상관측장비 실용화 기술개발 연구(III)

1,004

166

248

240

350

-
























- 128 -

용역과제 차별성 검토보고서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1

응용기상관측장비 실용화 기술개발 연구(I)(2013)

최성철

기상청 보유 기상장비의 원천·특허기술의 실용화 기술개발

고품질의 구름특성과 기상요소 생산을 위한 기상연구장비 설계

○라이다 방식으로 관측할 수 있는 기상변수인자 조사 및 최적 알고리즘 연구

○강수입자 크기/모양/부피 측정을 위한 장치 설계·구축

○꽃가루 원격탐사 기술개발 현황 조사

2

응용기상관측장비 실용화 기술개발 연구(II)(2014)

최성철

고품질의 구름특성과 기상요소 생산을 위한 기상연구장비 제작 

○라이다 방식의 구름특성 관측시스템 시작품 개발 

○2차원 디스드로미터 시제품 개발

○꽃가루 자동관측시스템 개발을 위한 광학 시뮬레이션 수행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응용기상관측장비 실용화 기술개발 연구(III)

연구

목적

○1~2차년도와 동일

연구

방법

○고품질의 구름특성과 기상요소를 생산하는 기상연구장비 개선 및 성능평가 수행

연구

내용

○라이다 방식 구름특성 관측시스템 시작품 개선

○2차원 디스드로미터 시제품의 내구성 개선 및 성능검증

○꽃가루 자동관측시스템의 신호보정 기법 개발






- 129 -

□ 연구용역 지진분야( 6개)

57

260

A0703

지진정책과

지진조기분석통보시스템  통합구축(II)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기상청의 국가지진조기경보 서비스에 대한 정상적인 운영 지원

-  ‘15년 1월부터 재난관리책임기관 대상(19개 기관)으로 시범운영 실시

○ 지진조기분석 및 경보전달 체계의 성능개선을 통한 시스템 안정화

○ 지진조기분석 알고리즘의 성능검증을 통한 분석 환경설정 최적화

(2) 과제내용

○ 유관기관의 지진관측자료 품질검증을 통한 지진조기분석 알고리즘 적용

○ 지진 조기분석 정보(관측, 규모ㆍ진도, 위치)의 정확도 향상

○ Elarms 및 Presto 등 외국의 지진조기분석 알고리즘 최신버전 적용 및 최적화

○ 재난관리책임기관 대상 시범운영을 통한 수요자ㆍ운영자 요구수준 분석 및 개선

○ 유관기관의 신속대응 지원을 위한 지진조기경보 제공 내용의 다양화 및 성능개선 

○ 지진조기경보/지진통보 통보시스템의 일원화 및 사용자 편의성 개선

○ 지진조기분석 시뮬레이션 시스템 구축 및 전용통보시스템 이중화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여부)

○ 지진조기경보시스템의 성능개선을 통한 안정적인 운영기반 조성

○ 지진조기경보체계의 안정화를 통한 대국민 서비스 체계 구축

(4)사업진행순서(예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850

1

1

2

2

3

11

3 ~ 11

※ 사유 : 계약체결 예정일이 5월 이후에는 반드시 구체적인 사유 작성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2011년 ~ 2020년

(2) 총 사업비 : 3,903백만원(‘14년까지 기투자액)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지진조기분석ㆍ통보시스템 통합구축(II)

6,253

565

1,032

1,234

1,072

850

1,500


- 130 -

용역과제 차별성 검토보고서(제9조의2 관련)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1

국가 지진조기경보시스템 구축 설계 및 실시간 지진자료 공유기반 연구(출연금,200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조기경보시스템의 단계별 구축 계획 설정

○지진조기경보시스템 구축 운영을 위한 기반기술 설계

사례조사ㆍ분석

추진계획 설정

중점연구분야 제시

○국외 실용사례 조사 및 기술 협의

○단계별 구축계획 설정 및 최적의 시스템 개발 방안 도출

○실시간 지진자료 통합 관리기술 개발

2

국가지진조기경보시스템 개발연구- 지진통합관측망 개선을 통한 지진조기분석 알고리즘 개발(출연금,2010)

에이케이지씨

○지진감시체계 고도화를 위한 지진조기분석 기술 확보

○국외선진 기술의 구현을 통한 활용 가능성 평가

○알고리즘의 시스템화 제시

○지진조기분석 시험용 알고리즘 개발 및 코드화

○지진조기분석 알고리즘의 시스템화 방안 도출

○국가통합지진관측망의 자료공유 및 운영기술 개발

1

지진조기분석시스템개발(I)- (2011년)

- (용역)

KIT밸리

○지진 조기분석 기술의 실용화

최적의 지진조기분석 시스템 구축

○알고리즘 개발

○하드웨어 도입을 통한 시스템 구축

조기분석 알고리즘의 신뢰성 확보

○지진 조기분석 초기버전 알고리즘 개발

실시간 지진자료 처

하드웨어 요구수준 산출

최적의 시스템 구성방안 설계

시범용 지진조기분석 시스템 구축

2

지진조기분석시스템개발(II)- (2012년)

- (용역)

KIT밸리

○지진조기분석 알고리즘의 실시간 분석성능 개선

알고리즘 신뢰성분석 및 성능 개선

○알고리즘 보완 및 개선

기술 검증 및 전문가 진단

○분석알고리즘 통합모듈 개발

지진관측자료 통합분석 모듈 개발 및 적용

분석 오차범위 단축 기술 개발 

지진조기분석시스템 안정성 보강

3

지진조기분석시스템개발(III)- (2013년)

- (용역)

KIT밸리

○지진조기분석알고리즘의 성능개선

○지진분석 관리기능 최적화

○알고리즘 강화

시스템 안정화 및 성능검증

해외 조기분석 알고리즘 추가 적용

다중ㆍ지진이벤트 결정 알고리즘 적용

다중 알고리즘 운영소프트웨어 개발

다중 알고리즘 지원 모의훈련 소프트웨어 개발

4

지진조기경보 전용통보시스템 설계(2012년)

- (용역)

에이앤디엔지니어링

효율적인 통보기술 및 시스템 구축 규모 도출을 위한 BPR/ISP 마련

○사례 조사 및 분석

○최적기술 제시 및 구현방안 제시

지진정보의 대국민 서비스 기술 현황조사 및 개선분야 도출

○정보통신 및 방송 기술의 적용범위 조사

지진조기경보 장애요소 도출 및 해법 제시

대국민 정보제공기술 구현 방안 제시

기술개발 전략 및 시스템 규모 산출

5

지진조기경보 전용통보시스템 구축(I)- (2013년)

- (용역)

세이프코리아

○지진조기경보 신속전달기술 및 통보시스템 구축

전용통보시스템과유관기관 연동기반 조성

○정보전파 체계 구현

○유관기관 협의 및 의견수렴

지진조기경보 전파기술 개발

대국민 지진조기경보서비스를 위한 전용 통보시스템 구축

유관기관(방송통신위원회, 소방방재청 등) 재난경보시스템과의 연동체계 구축

6

지진조기분석ㆍ전용통보 통합시스템 구축(I)- (2014년)

- (용역)

KIT밸리

한국형조기분석알고리즘 개발 완료

조기분석과 전용통보 연계를 통한시험운영체계 구축

○운영단계의 시스템 개발

시스템 운영 최적화

지진관측자료 흐름 최적화

지진파 전파모델 기반 예측 진도분포도 작성 

○현업 시험운용 체계 구축

다중 알고리즘 적용 가중치 최적화

1차년도 구축 시스템 고도화

유관기관 시스템간 연계 확대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 지진조기분석ㆍ통보시스템 통합구축(II)

연구

목적

○ 지진조기경보 1단계 서비스의 안정화 및 성능 개선

○ 시범운영을 통한 운영 및 사용자 요구사항 도출 및 개선 

연구

방법

○ 기존 기술의 성능검증을 통한 알고리즘 및 시스템 최적화

○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의견수렴을 통한 개선

연구

내용

유관기관의 지진관측자료 품질검증을 통한 지진조기분석 알고리즘 적용

 지진 조기분석 정보(관측, 규모ㆍ진도, 위치)의 정확도 향상

 Elarms 및 Presto 등 외국의 지진조기분석 알고리즘 최신버전 적용 및 최적화

재난관리책임기관 대상 시범운영을 통한 수요자ㆍ운영자 요구수준 분석 및 개선

○ 유관기관의 신속대응 지원을 위한 지진조기경보 제공 내용의 다양화

지진조기경보/지진통보 통보시스템의 일원화 및 사용자 편의성 개선







- 131 -

58

210- 13

A0703

지구환경시스템연구과

실시간조기경보파라미터산출‧전송활용 기술개발(I)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2020년 2단계 지진조기경보체제 목표달성인 10초 이내 경보 발령을 위한 인프라 및 신기술 확보

○ 지진조기분석시스템의 지진자료 전송‧처리 속도 향상을 통한 지진조기경보 통보시간 단축

지진조기경보 관측변수 산출‧전송 장비(EPGen)의 활용 가능성 진단

* EPGen(조기경보 관측변수 추출 및 전송 모듈): ‘12년 기상청 연구용역 수행성과 개발품

(2) 과제내용

○ 관측환경에 따른 지진조기경보 관측변수 산출‧전송 장비 설치 및 운영 기술 개발

-  지진조기경보에 활용되는 국가지진관측망을 고려한 효율적인 EPGen 설치방안 연구

-  고정식 또는 이동식 지진계의 EPGen 설치 및 운용 지원

○ 지진조기경보 파라미터 산출‧전송 장비 시험운영 및 기술 개발

-  EPGen 적용을 위한 지진조기분석시스템의 시험운영 환경 구축

-  EPGen 데어터 연계 체계 구현 및 지진조기분석시스템의 지진자료 처리 알고리즘과의 연계방안 연구

○ 실시간 지진조기경보 파라미터 산출‧전송 장비의 성능 운영 효율성 검증

-  실시간 지진 원시자료와 파라미터 산출‧전송 시간 비교 및 평가

-  실시간 지진 원시자료 추출 파라미터와 EPGen 산출 파라미터의 비교 및 평가

-  실시간 지진 원시자료와 EPGen 산출 파라미터의 지진조기분석시스템 분석결과 비교

○ 지진조기경보 파라미터 산출‧전송 장비의 활용 적정성 평가

-  지진조기분석 시스템 적용 시 시간단축 수준 제시

-  조기경보 파라미터 산출‧전송 장비를 이용한 지진조기분석의 정확도 비교

(3)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대국민 지진조기경보서비스를 위한 최단시간 지진조기경보 전달체계 토대 마련

○ 지진조기경보체제 현업 수행을 위한 성공적인 운영기반 마련

(4)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180

‘14.12

1

2

2

3

11

3 ~ 11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15~`17(3년)

(2) 총 사업비 : 580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2

해당연도- 1

해당년도

해당연도+1

해당연도+2

실시간 조기경보 파라미터 산출‧전송 활용기술 개발(I)

580

-

-

180

200

200

- 132 -

59

210- 13

A0704

지구환경시스템연구과

인공지진 식별체계 자동화 및 분석시스템 구축(II)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효율적인 현업지원을 위한 인공지진 식별체계 자동화

○ 인공지진 분석 및 평가 근거 제공을 위한 분석 및 표출 기술 개발

(2) 과제내용

○ 인공지진 분석 결과 자동 산출 알고리즘 개선 및 식별능력 향상 방안 도출

-  지역/국지 지진의 특성을 고려한 인공지진 분석 알고리즘 적용

-  인공지진 식별 기술능력 향상을 위한 적정 주파수 대역 검출 및 적용

-  유사파형 표출을 위한 활용 가능 관측소 선정 및 적정 필터 개발 

○ 인공/자연 지진 특성 분석을 위한 인공지진 DB 확충 및 표출 알고리즘 개발

-  ‘00~’09년 기간에 수행된 국내 발파 자료 확보

-  인공지진 DB를 이용한 관측소별 유사파형 표출 기술 개발

○ 북한 핵실험 대응지원을 위한 인공지진 분석 기술개발

-  인공지진 DB를 이용한 폭발량 산출식 검증

(3)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북한 핵실험에 의한 인공지진 발생 시 신속한 분석결과 산출 및 대응 능력 향상

○ 한반도 발생 인공지진 특성 연구를 통한 자연‧인공지진 식별 기술 향상

(4)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100

‘14.12

1

2

2

3

11

3 ~ 11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14~`15(2년)

(2) 총 사업비 : 201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2

해당연도- 1

해당년도

해당연도+1

해당연도+2

인공지진 식별체계 자동화 및 분석시스템 구축(II)

201

-

101

100

-

-

- 133 -

용역과제 차별성 검토보고서(제9조의2 관련)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1

인공지진 식별체계 자동화 및 분석시스템 구축(2014)

고현우

(KIT밸리)

인공지진 분석 및 평가 근거 제공을 위한 분석 및 표출 기술 개발

◾인공지진 분석 결과 자동산출 알고리즘 개발


인공지진 식별 기술에 의한 결과 DB 구성



◾북한 핵실험 대응지원을 위한 인공지진 분석 기술개발

1)인공지진 식별 기술별 자동처리 루틴 개발

2)인공지진 식별 자동처리에 의한 분석결과 산출 기술 개발


1)인공/자연 지진 사례별 DB 구성(‘10년- ’13년)

2)인공지진 분석ㆍ평가 지원을 위한 현업활용 후처리 기술 구현


1)북한 핵실험 사례별 DB 구축 및 식별기술 적용

2)북한 핵실험의 실체파 규모 및 TNT 폭발량 산출 알고리즘 개발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 인공지진 식별 체계 자동화 및 분석시스템 구축(II)

연구

목적

○‘14년도 개발된 인공지진 식별 체계 자동화 시스템 활용 및 개선

○ 인공지진 분석 및 평가 근거 제공을 위한 분석 및 표출 기술 개발

연구

방법

○ 인공지진 분석 결과 자동 산출 알고리즘 개선 및 식별능력 향상 방안 도출

○ 인공/자연 지진 특성 분석을 위한 인공지진 DB 확충 및 표출 알고리즘 개발

○ 인공지진 DB를 이용한 폭발량 산출식 검증

연구

내용

○ 인공지진 분석 결과 자동 산출 알고리즘 개선 및 식별능력 향상 방안 도출

-  지역/국지 지진의 특성을 고려한 인공지진 분석 알고리즘 적용

-  인공지진 식별 기술능력 향상을 위한 적정 주파수 대역 검출 및 적용

-  유사파형 표출을 위한 활용 가능 관측소 선정 및 적정 필터 개발

○ 인공/자연 지진 특성 분석을 위한 인공지진 DB 확충 및 표출 알고리즘 개발

-  2000~2009년 기간에 수행된 국내 발파 자료 확보

-  인공지진 DB를 이용한 관측소별 유사파형 표출 기술 개발

○ 인공지진 DB를 이용한 폭발량 산출식 검증


- 134 -

60

210- 13

A0704

지구환경시스템연구과

대규모지진  실시간 분석 및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구축(III)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한반도 지진해일 예측을 위한 차세대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개발

○ 대규모지진 분석 알고리즘 및 가변격자를 이용한 한반도 지진해일 예측 정확도 향상


(2) 과제내용

○ 차세대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개발

-  전지구 가변격자 지진해일 예측모델 검증 및 고도화

-  한반도 지진해일 예측정확도 향상을 위한 단층 및 한반도 주변 수심격자 상세화

-  사례분석을 통한 수치모의 알고리즘의 안정성 검토

○ 대규모지진 및 지진해일 표출시스템 개선

-  사용자 편의성 강화를 통한 표출시스템 개선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여부)

○ 기상청 고유의 대규모 지진 및 지진해일 정보제공을 위한 기반 구축

○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의 현업 적용 및 활용 예정


(4)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170

‘14.12

1

2

2

3

11

3 ~ 11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13∼’15년(3년)

(2) 총 사업비 : 569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2

해당연도- 1

해당년도

해당연도+1

해당연도+2

대규모지진 실시간 분석 및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구축(III)

569

203

196

170

-

-


- 135 -

[별지 제1- 2호서식]

용역과제 차별성 검토보고서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1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을 위한 주요 지진발생 지역 단층에 관한 연구

(2012)

우승범

(인하대학교)

- 기상청 고유의 지진해일 수치모의 기법 개발

- 주요 단층정보 조사 및 지진해일 수치모의 프로그램 개발

- 전세계 과거 주요 지진해일 유발 단층 정보 목록 작성

- 광역 지진해일 수치모의 프로그램 개발

- 한반도 주변해역 지진해일 시나리오 DB 개선

- 시나리오 지진에 대한 지진해일 수치모의

- 한반도 주변 시나리오 지진에 대한 지진해일 수치모의 수행

2

대규모지진 실시간 분석 및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구축(I)

(2013)

우승범

(인하대학교)

- 전지구규모 지진 실시간 분석 및 지진해일 조기 예측시스템 개발

- 대규모지진 분석 및 지진해일 예측 시스템 개발

- 전세계 지진관측망 자료 수집 및 분석시스템 개선

-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개발

- 한반도 주변해역 지진해일 시나리오 DB 개선

- 시나리오 지진에 대한 지진해일 수치모의

- 한반도 주변 시나리오 지진에 대한 지진해일 수치모의 수행(미수행 규모에 대한 수치모의)

3

대규모지진 실시간 분석 및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구축(II)

(2014)

우승범

(인하대학교)

- 차세대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개발

- 대규모지진 분석결과를 적용한 전지구 가변격자 지진해일 예측모델 개발

- 전지구 가변격자 지진해일 예측모델 원형 구축

- 대규모지진 및 지진해일 표출시스템 개발

- 한반도 지진해일 시나리오 DB표출시스템 개선

- 지진해일 시나리오 DB 표출시스템 개선

- 구역별 예측정보 제공을 위한 지진해일 시나리오 DB 표출시스템 개선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대규모지진 실시간 분석 및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구축(III)

연구

목적

○한반도 지진해일 예측을 위한 차세대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개발

연구

방법

○대규모지진 분석 알고리즘 및 가변수심격자 적용

○차세대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개발

연구

내용

○전지구 가변격자 지진해일 예측모델 검증 및 고도화

○한반도 지진해일 예측정확도 향상을 위한 단층 및 한반도 주변 수심격자 상세화

○사례분석을 통한 수치모의 알고리즘의 안정성 검토


- 136 -

61

210- 13

A0704

지구환경시스템연구과

열적외선 위성을 활용한 백두산 화산 모니터링 기술 개발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백두산 화산의 화산활동 감시 및 피해 최소화를 위해 화산활동 감시가 가능한 열적외선 인공위성 영상의 국내·외 활용사례 조사 및 활용방안 도출

○ 백두산의 화산활동 양상 파악에 활용 가능한 열적외선 인공위성 자료 현황 조사

○ 열적외선 센서에 적합한 지표온도 추정 알고리즘 개발


(2) 과제내용

○ 국내·외의 열적외선 인공위성 영상의 화산활동 감시 활용사례분석 및 백두산 화산에 대한 활용방안 도출

-  다양한 열적외선영상을 활용한 화산활동 분석기법 개발 기반 구축

* 활용위성 : Landsat TM/ETM+/TIRS, ASTER, MODIS 등의 열적외선 탑재 위성

(향후 발사예정인 아리랑 3A호 활용의 극대화 추진)

○ 백두산 지역의 열적외선 인공위성 자료 현황 조사

○ 열적외선 센서에 적합한 지표온도추정 알고리즘 개발을 통한 백두산 지역의 온도분포분석 체계 구축

-  대기보정을 적용한 정규식생지수(NDVI)로부터 복사율(emissivity) 추정 알고리즘 개발

-  인공위성의 열적외선 센서에 적합한 지표온도추정 알고리즘 개발

* 지표온도 추정 기법 : Single- channel, split- window, day/night LST 등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여부)

○ 백두산의 화산활동에 의한 지표온도변화의 과학적 정보 제공

○ 화산 폭발 전·후 지표온도변화를 관측할 수 있는 열적외선 위성영상을 통한 화산감시 및 화산분화 재개 가능성 여부 판단

○ 백두산 화산의 온도변화 측정을 통한 화산활동 정량적 관측 및 분석 방법 제시


(4)사업진행순서(예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170

‘14.12

1

2

2

3

11

3 ~ 11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15~’17년 (3년)

(2) 총 사업비 : 400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당해연도- 2

당해연도- 1

당해년도

당해연도+1

당해연도+2

열적외선 위성영상을 활용한 백두산 화산모니터링 기술 개발

400

-

-

70

150

180

- 137 -

62

260

A0799

지진정책과

국가지진종합정보시스템 개선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국가 지진ㆍ지구물리 자료ㆍ정보의 통합관리 및 서비스 기반 구축

○ 유관기관과의 공동활용을 위한 실시간 자료 연계 확대

○ 지진 관측자료의 통합을 통한 지진조기경보의 활용 기반 구축

(2) 과제내용

○ KISS를 이용한 유관기관과의 자료 수집ㆍ분배의 표준화 및 안정화

-  소방방재청 등 지진관측기관협의회 참여기관 등과 KISS 연계 확대

○ 통합 지진 자료ㆍ정보를 활용한 빅데이터 플랫폼 시범 개발

○ NECIS 사용자 확대를 위한 멀티미디어ㆍ교육ㆍ훈련 콘텐츠 보강

○ NECIS 운영을 통한 통합관리 및 운영자ㆍ사용자 편의성 개선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여부)

○ 실시간 지진자료의 공유를 통한 체계적인 공동활용 기반 조성

○ NECIS와 KISS의 연계 및 기능의 효율화를 통한 상호 발전 기반 마련

(4)사업진행순서(예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450

2

2

3

4

5

11

5 ~ 11

※ 사유 : ‘14년도 국가지진종합정보시스템 3차 사업이 ’15년 4월 종료 예정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2011년 ~ 2020년

(2) 총 사업비 : 3,606백만원(‘14년까지 기투자액)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지진조기분석ㆍ통보시스템 통합구축(II)

10,759

-

800

1,756

1,050

450

500


- 138 -

용역과제 차별성 검토보고서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1

국가지진종합정보시스템 구축 방안 연구(출연금,2010)

대한지질학회

지진관측자료 및 분석ㆍ응용 자료의 체계적인 국가적 통합관리 및 공유체계 구축을 위한 기획연구

○사례 조사 및 분석

○국내 도입을 위한 최적방안 제시

○ 국가 종합지진정보시스템 구축필요성과 지진관측망 규모 산정

○ 국외 현황조사를 통한 벤치마킹 대상 제안

○ 국가 지진종합정보시스템 구축 규모 도출 및 설계 방향 제시

1

국가지진종합정보시스템 상세설계(2011년)- (용역)

대영유비텍

○범국가적 지진자료‧정보의 통합관리를 위한 ISP수립

시스템 구축 방안 구체화

○요구수준 

분석 및 제시

제공대상정보 조사분석

이해관계자별 정보시스템 기능 및 성능 요구사항 조사‧분석

○국가지진업무 수행에 필요한 기본 기능 개선 방안

○일반국민, 산업계 등 다양한 수요자에 대한 지진정보 서비스 방안

○유관기관에 대한 지진 방재업무 지원 방안 

연구개발에 필요한 지진자료 및 정보의 생산‧제공 방안

외국 유관기관과의 업무협력 및 자료교환 지원 방안

2

국가지진종합정보시스템 (I)- (2012년)- (용역)

대영유비텍

상세설계(11년)결과에 따른「국가지진종합정보시스템」1차년도 개발

시스템 기본 프레임 구축

○자료수집 기술개발

종합지진정보 서비스 개발 및 시스템 구축

유관기관의 실시간 자료 수집 기술 개발

자료 저장‧분배 기술개발 및 저장시스템 구축

3

국가지진종합정보시스템 (II)- (2013년)- (용역)

대영유비텍

1차년도 구축시스템의 고도화

국가 지진자료 공유체계 구축

자료공유기반구축

시스템 보강

지진자료 통합 공유체계 구축

○통합관리체계 구축

1차사업의 고도화 및 확장

4

국가지진종합정보시스템 (III)- (2014년)- (용역)

KIT밸리

○지진자료공유 효율성 개선 및 공동활용 기반조성

대국민 국가지진정보 제공 확대

○KISS기술 적용

웹서비스 보강

자료처리기술개발

○KISS기술적용을 통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연계

○지진조기분석시스템 연계

웹서비스ㆍ통합관리 기능강화

○범용소프트웨어개발

○빅데이터활용방안 설계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 국가지진종합정보시스템 개선

연구

목적

○ 국가 지진ㆍ지구물리 자료ㆍ정보의 통합관리 및 서비스 기반 구축

○ 유관기관과의 공동활용을 위한 실시간 자료 연계 확대

○ 지진 관측자료의 통합을 통한 지진조기경보의 활용 기반 구축

연구

방법

○ KISS 기술을 이용한 유관기관 자료공유 강화

○ 국가지진종합정보시스템 운영을 통한 성능개선

○ 사용자 만족도 향상을 위한 서비스 다양화

연구

내용

○ KISS를 이용한 유관기관과의 자료 수집ㆍ분배의 표준화 및 안정화

-  소방방재청, 지진관측기관협의회 참여기관 등과 KISS 연계

○ 통합 지진 자료ㆍ정보를 활용한 빅데이터 플랫폼 개발

○ NECIS 사용자 확대를 위한 멀티미디어ㆍ교육ㆍ훈련 콘텐츠 보강

○ NECIS 운영을 통한 통합관리 및 운영자ㆍ사용자 편의성 개선


- 139 -

□ 연구용역 기타분야(10개)

63

260

기타

관측정책과

다목적 기상항공기 도입사업 공정관리(Ⅲ)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항공기 도입 최종년도에 수행될 단계별 기술공정관리('15.11.6 납품예정)

○ '16년도 정상 운영을 위한 세부 계획 수립

(2) 과제내용

○ 다목적 기상항공기 도입 일정에 따른 단계별 '15년도 기술공정관리

○ 다목적 기상항공기 국내 인수 대비 세부 행정절차 마련 및 지원

○ 다목적 기상항공기 비행매뉴얼 및 탑재기상장비별 운영매뉴얼 작성

○ 다목적 기상항공기 위탁사업자 초기 관리 지원

○ 다목적 기상항공기 제작사 교육(조종사, 항공기 및 기상장비 정비사, 운영자) 지원

○ 항공기 도입 후 세부 운영 계획 수립(항공기 관리, 관측프로그램 등)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여부)

○ 다목적 기상항공기 납기일 준수 등 안정적 도입

○ 다목적 기상항공기 도입 초기 안정적 운영

(4)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290

'14.12

'14.12

1

1

1

12

1 ~ 12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13~'15

(2) 총 사업비 : 706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2013

2014

2015

2016

2017

다목적 기상항공기

도입 및 운영

706

164

252

290

-

-


- 140 -

용역과제 차별성 검토보고서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1

기상항공기 도입사업 공정관리(I)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안전관리 연구소



○ '13년도 사업위에 대하여기상항공기 도입사업 기술자문 및 공정관리

사례조사 및 기술자문




○'13년도 기술공정관리

○공정관리 로드맵

다목적 항공기 운영방안



2

다목적 기상항공기도입사업 공정관리(II)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안전관리 연구소



○다목적 기상항공기 도입사업과운영에 필요한 자료조사 및 기술공정관리


사례조사 및 기술자문

현지 제작사 방문 협의


○'14년도 기술공정관리

○항공기 국내인수 추진방안

○항공기 운영 방안

○항공기 활용방안

자료수집 및 분석방안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다목적 기상항공기 도입사업 공정관리(III)

연구

목적

항공기 도입 최종년도에 수행될 단계별 기술공정관리

('15.11.6 납품예정)

'16년도 정상 운영을 위한 세부 계획 수립

연구

방법

○국내 및 미국 현지 제작사 실사

○사례조사 및 기술자문

연구

내용

다목적 기상항공기 도입 일정에 따른 단계별 '15년도 기술공정관리

다목적 기상항공기 국내 인수 대비 세부 행정절차 마련 및 지원

다목적 기상항공기 비행매뉴얼 및 탑재기상장비별 운영매뉴얼 작성

다목적 기상항공기 위탁사업자 초기 관리 지원

다목적 기상항공기 제작사 교육(조종사, 항공기 및 기상장비 정비사, 운영자) 지원

항공기 도입 후 세부 운영 계획 수립(항공기 관리, 관측프로그램 등)






- 141 -

64

210- 13

기타

위성기획과

우주기상 분석 및 활용기술 개발(II)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다양한 가이던스 제공과 우주기상자료 처리‧분석 체계 개선을 통한 우주기상 서비스 지원체계 강화

○ 국내 우주기상 유관 부처 및 기관과의 우주기상 자료 공유 및 활용 방안 수립


(2) 과제내용

○ 극항로 항공기상 및 기상위성운영 업무를 지원하는 우주기상 가이던스 구축

○ 국토지리정보원의 통합 전지구위성항법시스템 자료 활용 극대화를 위한 자료처리 체계 구축

○ 기상청 우주기상 서비스 향상을 위한 성과분석 및 개선 방향 제시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여부)

○ 북극항로를 운항하는 항공기의 방사능 노출 등의 안전관련 의사결정을 지원

○ 세계기상기구와 국제민간항공기구에서 추진하는 우주기상의 항공분야 현업 지원 모델 제시

○ 기상위성 운영을 위한 우주기상가이던스를 제공하여 효율적 위성 운영 지원

○ 증가하고 있는 전지구위성항법시스템 자료 처리 및 분석체계를 개선하여 관련 산출물 품질 향상

○ 현재까지의 우주기상 예특보 체계를 개선을 통해 서비스 품질을 향상하여 고객 만족도 증진

○ 성과 일부 공개 : 보안 등의 사항을 포함한 자료 비공개


(4)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280

`15.1

`15.1

`15.2

`15.2

`15.3

`15.11

`15.3 ~ 11


- 142 -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2013년∼(계속)

(2) 총 사업비 : (2014년까지 투자액) 427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2

해당연도- 1

해당년도

해당연도+1

해당연도+2

우주기상 분석 및 활용 기술 개발(II)

1,007

200

227

280

300

-





























- 143 -

용역과제 차별성 검토보고서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1

우주기상 분석및 활용기술 개발

(2014)

천문연구원,

인스페이스

북극항로 우주방사선 모델 등 우주기상 예보 지원 모델 개발

용역

○ 극항로 우주방사선 모델  및 통신장애 분석 기술 개발

○ 미국 GOES위성 자료를 기반으로 하는 기상위성 운영 영향 분석기술 개발

○ 지도 등으로의 입체적 산출물 가시화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 우주기상 분석 및 활용기술 개발(II)

연구

목적

○ 다양한 가이던스 제공과 우주기상자료 처리‧분석 체계 개선을 통한 우주기상 서비스 지원체계 강화

○ 우주기상 유관부서에서 생산되는 자료의 효율적 공유‧활용 체계 구축

연구

방법

○ 조사연구

연구

내용

‘13년 개발한 극항로 항공기상 및 기상위성운영 업무를 지원하는 우주기상 가이던스 구축

국토지리정보원의 통합 전지구위성항법시스템 자료 활용 극대화를 위한 자료처리 체계 구축

○ 기상청 우주기상 서비스 향상을 위한 성과분석 및 개선 방향 제시







- 144 -

65

210- 13

기타

위성기획과

우주기상 통합예보시스템 구축(III)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국제적 우주기상 자료 공유 및 서비스 체계 고도화

○ 국내 우주기상 유관 부처 및 기관과의 우주기상 자료 공유 및 활용 방안 제시

○ 우주기상 관련 제도 정비 및 개선


(2) 과제내용

○ 국가기상위성센터 DCPC를 통한 우주기상 자료 및 산출물 공유·서비스 체계 구축

○ 미래창조과학부, 공군, 천문연구원 등의 국내 우주기상 유관 부처 및 기관과의 우주기상 자료‧산출물의 공유 및 공동 활용 방안

○ 기상청 우주기상 관련 제도를 분석하고, 현 시점에 적합하도록 관련 법 또는 규정 정비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

○ 국가기상위성센터의 우주기상자료의 세계적 공유 및 서비스 체계 구축

○ 국내 우주기상 자료의 공유 및 유관기관 협력을 통한 우주기상 서비스 품질 향상

○ 성과 일부 공개 : 보안 등의 사항을 포함한 자료 비공개


(4)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278

`15.1

`15.1

`15.2

`15.2

`15.3

`15.11

`15.3 ~ 11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2013년∼(계속)

(2) 총 사업비 : (2014년까지 투자액) 602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2

해당연도- 1

해당년도

해당연도+1

해당연도+2

우주기상 통합예보시스템 구축(III)

1,180

360

242

278

300

-

- 145 -

용역과제 차별성 검토보고서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1

우주기상 통합예보시스템 구축

(2013)

쎄트렉아이

우주기상 서비스 향상 및 업무 효율화를 위한 시스템 프레임워크 설계

용역

○ 현업운영을 위한 우주기상통합예보시스템 표준 프레임워크 설계 

-  운영 개념, 구조 및 요소, 인터페이스 정의

-  화면(디자인) 설계

-  테스트 방법 설계

2

우주기상 통합예보시스템 구축(II)

(2014)

인디시스템

2013년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하는 우주기상 통합예보시스템 구축

용역

○ 우주기상 통합예보시스템 구축

-  대국민 홈페이지 개선

-  현업 시스템 개선

-  우주기상 DB 개편

-  우주기상 시스템 재배치 및 효율화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 우주기상 통합예보시스템 구축(III) 

연구

목적

○ 국제적 우주기상 자료 공유 및 서비스 체계 고도화

○ 국내 우주기상 유관부처 및 기관과의 자료 공유 및 활용 방안 제시

연구

방법

○ 조사연구

연구

내용

국가기상위성센터 DCPC를 통한 우주기상 자료 및 산출물 공유·서비스 체계 구축

○ 미래창조과학부, 공군, 천문연구원 등의 국내 우주기상 유관 부처 및 기관과의 우주기상 자료‧산출물의 공유 및 공동 활용 방안 제시

기상청 우주기상 관련 제도를 분석하고, 현 시점에 적합하도록 관련 법 또는 규정 정비


- 146 -

66

210- 13

기타

위성기획과

기상위성 활용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훈련체계 구축(V)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독자위성 시대를 맞아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이론 및 실습 교재 개발

○ 기상위성분야 종사자의 전문성 제고 및 역량강화를 위한 체계적인 교육훈련 프로그램 구축


(2) 과제내용

○ 위성자료 응용분야 활용을 위한 표준교재 및 강의용 교육 자료 현행화

○ 과학 관련 교원 또는 관련기관 종사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위성분야 전공자 및 비전공자를 위한 계절캠프 프로그램 개발 운영

○ 국내‧외 위성관련 온라인 교육훈련 콘텐츠 개발

○「위성 사이버 교육훈련센터」 웹페이지 관리 및 운영


(3) 기대효과

○ 기상위성 분석 전문인력의 양성을 통한 천리안 위성의 안정적 운영과 서비스에 기여

○ 기상위성 관련 국제협력에서의 교육 역할 분담을 통한 독자위성 보유국으로서의 위상 강화

○ 기상위성 분석 교육기반 마련을 통한 기상위성 정보의 가치발굴을 위한 저변 확대

기상위성 관련 분야에 대한 기상위성 관련 정보 확산을 통해 천리안기상위성의 다양한 분야별 활용 확대 기반 마련

○ 기상위성 활용 확대의 국민적 지원체계 기반 마련 및 기후- 에너지 시대에 필요한 국민적 소양 함양


(4) 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사업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142.5

-

-

-

-

‘15. 1

‘15. 11

‘15. 1~11

- 147 -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2011년~ 2015년 (5개년 장기계속사업)

(2) 총 사업비 : 710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2

해당연도- 1

해당연도

해당연도+1

해당연도+2

기상위성 활용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훈련 체계 구축 

326

142

142

142





























- 148 -

용역과제 차별성 검토보고서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1

2013

㈜지인

컨설팅

위성분야 전문인력 양성과대국민 기상위성 지식확산

조사연구

○ 기상위성 표준교재  및 이론서 개발

-  중고등 학생용 및 위성기상학

○ 제3회 기상위성 여름캠프 개최

○ 기상위성 e- 러닝 콘텐츠 제작 등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 기상위성 활용 강화를 위한 교육훈련 체계 구축사업(Ⅳ)

연구

목적

○ 위성분야 전문인력 양성과 대국민 기상위성 지식확산

연구

방법

○ 조사연구

연구

내용

기상위성 영상 분석 표준교재 및 강의 교안 작성

-  초등학생용 및 마이크로웨이브 기술서 강의교안

○ 위성 이해를 위한 천리안 위성영상 화보집 발간 

○ 제4회 기상위성 여름캠프 개최

○ 사이버 교육훈련센터 서비스 실시

-  기상위성 교육 e- 러닝 콘텐츠 제작 및 교육 콘텐츠 DB 갱신












- 149 -

67

210- 13

기타

위성분석과

위성기반상세 정량강수산출 기술개발(I)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시·공간적으로 관측공백이 없는 고품질의 정량 강수자료 생산을 위한 산출기술 개발)

○ 천리안위성, 극궤도위성, 신규 위성자료를 통합적으로 활용하여 동아시아영역 상세 강수합성장 산출기술 개발

(2) 과제내용

○ 위성을 이용한 정량적 상세 강수 합성장 산출기술 개발(I)

-  국‧내외 위성 기반 강수 산출기술 동향 조사 및 개발 방안 수립

-  천리안 강수자료(강우강도, 대류운 강우강도) 검증 및 알고리즘 개선

-  직간접 수신 마이크로파 강수정보 상세화 기초 기술 개발

-  정지 및 마이크로파 강수자료 합성 원천기술 개발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여부)

○ 정확한 강수량 산출이 가능하여 예보정확도 향상에 기여, 단기예측모델의 

입력자료로 활용

○ 예상되는 성과 공개여부 

-  개발물에 대한 검증 후 현업화 과정을 거쳐 공개함이 타당함

(4) 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사업추진 타당성 

검토

과업

지시서 

작성

과업

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

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120

`15.1

`15.2

`15.3

`15.3

`15.4

`15.4

`15.12

`15.4 ~ 12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3년(장기계속계약)

(2) 총 사업비 : 520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2

해당연도- 1

해당년도

해당연도+1

해당연도+2

위성기반 상세 정량강수 산출기술 개발

520

-

-

120

200

200


- 150 -

68

210- 13

기타

위성운영과

정지궤도기상위성 지상국개발 감리용역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후속 기상위성 지상국 시스템 개발 품질 및 완성도 향상

○ 필요성, 기술현황 등 포함

(2) 과제내용

○ 기상 및 우주기상자료 수신처리시스템 개발‧구축 감리

○ 위성자료 관리 및 서비스시스템 개발‧구축 감리

○ 기상요소 및 우주기상요소 산출 알고리즘 개발 감리

○ 위성자료 예보 및 분석지원기술 개발 감리

○ 통합시험 및 운영 준비 감리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여부)

○ 안정적 사업추진 및 산출물 품질 제고

○ 지상국 인수 후 안정적 지상국 현업 운영 

(4)사업진행순서(예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287

-

-

-

-

1

12

1 ~ 12

(5) 기타

○ 6년 장기계속계약으로 (주)한국정보기술단에서 감리 수행 중

○ 총 사업비: 1,240백만원(`14년: 30백만원, `15년 287백만원, `16년: 255백만원, `17년: 261백만원, `18년: 274백만원, `19년 133백만원)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2014년 ~ 2019년(6년 장기계속 사업)

(2) 총 사업비 : 1,240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2

해당연도- 1

해당년도

해당연도+1

해당연도+2

정지궤도 기상위성 지상국 개발

833.2

-

30

287

254.9

261.3

- 151 -

69

210

기타

정책연구과

기상정보서비스 만족도 향상 방안 연구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기상정보서비스 만족도와 정확도 사이의 괴리를 파악함으로써 서비스 전파 및 대국민 홍보 전략 마련에 도움

○ 사용자들에게 기상정보 활용에 대한 효과를 제시함으로써 활용 확대 도모 및 기상정보를 효과적으로 언론(국민)에 전달, 서로 공감하고 소통할 수 있는 용어로 개선


(2) 과제내용

○ 기상정보서비스 만족도 기초 조사

-  기상정보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현황 조사

-  만족도 변화 분석(시기별, 지역별, 성별 등) 

○ 기상정보서비스 만족도 심층 분석

-  사용자들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 기상요인 분석

-  예보오류가 만족도 변화에 미친 영향 및 지연효과 분석

○ 기상정보서비스의 가치 제고 방안 마련

-  기상정보서비스 만족도 향상 방안 도출

○ 기상정보의 효과적 전달을 위한 예보용어 가이던스 개발

-  중기예보, 연무예보 등 새로운 예보 콘텐츠에 대한 용어선정/해설

-  대국민 예보용어 해설을 위한 가이던스 개발

-  인터넷, 모바일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한 예보전달 방법 분석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

○ 기상정보서비스의 정량적 분석을 통해 대국민 서비스의 정책 제안

○ 기상정보 만족도 제고를 통한 사용자 신뢰도 향상 및 인식 개선


(4) 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20

1

1

2

2

3

11

3 ~ 11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15년

(2) 총 사업비 : 20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2

해당연도- 1

해당년도

해당연도+1

해당연도+2

기상정보 서비스 만족도 향상 방안 연구

20

20

- 152 -

70

260

기타

레이더운영과

테스트베드 레이더 성능시험 및 운영기술 개발연구


1. 당해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기상레이더 부품의 국산화와 산업분야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전략 수립

○ 레이더 운영기술 및 원천기술 확보를 통한 국가경쟁력 확보

○ 국민이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는 레이더정보의 고품질화 및 다양한 정보 개발


(2) 과제내용

○ 국내외 기상레이더 기술개발 현황 및 발전 전망 

-  현재의 기술력 수준과 차세대 전략목표로 개발되는 기술력 분석

-  국내외 연구기관(전자통신, 기상기술, 레이더분야 등) 및 현업운영 실태조사 

○ 기상레이더 부품별 국산화 방안 및 실용화 절차에 대한 중장기 방안 

-  기상레이더에 사용되는 부품을 분류하고 국산화 대체‧개발에 대한 절차

○ 기상청 기상레이더관측소별 전파환경 분석 및 개선방안 제시

-  12개소 기상레이더에서 발사되는 전파의 질에 대한 조사‧분석

○ 진도레이더를 활용한 성능시험 및 기술개발 환경조성

-  교체를 위해 해체된 진도레이더를 용인테스트베드로 이동하여 실험환경 조성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여부)

○ 종료시 직‧간접 파급효과

-  기상레이더 부품 국산화를 위한 중장기 계획(안) 수립

-  기상레이더 부품 국산화 개발에 필요한 환경조성으로 산업육성에 기여

-  레이더 원천 기술 확보 및 고품질의 레이더정보 서비스

-  기상레이더 부품의 국산화로 예산절감 및 유지보수의 신속성 확보 

○ 예상되는 성과 공개여부

-  기상레이더 부품 국산화 추진 계획(안) 공개

-  기상레이더 기술개발 산‧학‧연 공동 세미나 개최

-  국가레이더 통합운영에 필요한 원천기술력 공유

- 153 -


(4) 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 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200

’14.12

’14.12

2

2

3

11

3~11월

※ 사유 : 계약체결 예정일이 5월 이후에는 반드시 구체적인 사유 작성


(5) 기타

○ 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2015년 ~ 2019년

(2) 총 사업비 : 2,000(단위 : 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당해연도- 2

당해연도- 1

당해년도

당해연도+1

당해연도+2

테스트베드레이더 성능시험

및 운영기술 개발연구

1,000

200

300

500

















- 154 -

71

260

기타

인력개발

담당관

학사관리시스템 구축 및 기상교육 이러닝콘텐츠 개발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학사관리시스템이 없어 교육신청, 이력관리 등 행정업무가 수기로 처리‧관리되고 있는 실정으로 체계적·효율적 기상교육행정을 위한 학사관리시스템 구축 

○ 기상과학에 대한 교육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학점은행제 운영 및 대국민 기상지식 보급을 위한 이러닝콘텐츠 개발 

(2) 과제내용

○ 학사관리시스템 구축

○ 이러닝 기상교육 이러닝콘텐츠 개발(대기역학 등 3과목)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여부)

○ 국내외 기상교육 수요 증가에 따른 온라인 교육시스템 및 체계적 학사 관리

○ 학점은행제 대기과학 전공과정 운영 및 사이버 기상교육운영 실적(공개)

(4) 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300

1~2

2

3

4

4

11

4 ~ 11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06~계속 

(2) 총 사업비 : 계속사업(‘14년까지 17.1억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당해연도- 2

당해연도- 1

당해년도

당해연도+1

당해연도+2

기상교육정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

1,610

110

150

300

550

500




- 155 -

용역과제 차별성 검토보고서(제9조의2 관련)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1

기상교육  e- 러닝 체제 구축

(2010년)

(주)메디오피아테크

온라인 기상교육 강화 및 기상 전문인력 양성

연구용역

기상교육 코스웨어 개발(3과목) : 기후변화 과학,기후변화 시나리오, 기후변화 국제적대응

2

기상교육 e- 러닝 체제 구축

(2011년)

(주)메디오피아테크

온라인 기상교육 강화 및 기상 전문인력 양성

연구용역

기상교육 코스웨어 개발(3과목) : 수치예보 및 실습, 위성기상학 및 실습, 대기대순환

3

기상교육 e- 러닝 체제 구축

(2012년)

(주)트리짓소프트웨어

온라인 기상교육 강화 및 기상 전문인력 양성

연구용역

기상교육 코스웨어 개발(3과목) : 해양기상학, 미기상학, 항공기상 기초과정

4

기상교육정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

(2013년)

(주)트리짓소프트웨어 

온라인 기상교육 강화 및 기상 전문인력 양성

연구용역

기상교육 코스웨어 개발(3과목) : 구름물리, 항공기상심화과정, 중규모 기상학

5

기상교육정보시스템(LMS) 개발

(2014년)

(주)포위드닷컴

온라인 기상교육 체계 구축

연구용역

학점은행제 대기과학 전공과정 운영을 위한 학사관리시스템 구축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 학사관리시스템 구축 및 기상교육 이러닝콘텐츠 개발

연구

목적

○ 기상교육행정을 위한 학사관리시스템 구축

○ 온라인 기상교육을 위한 이러닝콘텐츠 개발 

연구

방법

○ 체계적·효율적인 업무처리가 가능한 학사관리시스템 개발

○ 최신 온라인 교육 경향에 맞는 기상교육 이러닝콘텐츠 개발

연구

내용

○ 교육신청, 이력관리 등 기상교육행정업무 지원을 위한 학사관리시스템 개발

○ 학점은행제 대기과학 전공과정, 사이버 기상교육 등을 위한 이러닝콘텐츠 개발(대기역학 등)

- 156 -

72

260

기타

국제협력담당관

그린데탕트실현을 위한 기상분야 역할 및 추진방안 연구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남북 기상협력은 한반도 기상재해 경감을 위해 추진해야 할 남북 간 상생과 공영의 분야임


○ 이에, 정부의 대북정책인 ‘그린데탕트를 통한 한반도 환경공동체 구축(국정과제)’ 이행에 적극적 참여와 기여를 위한 기상분야의 역할과 추진방안 모색


(2) 과제내용


○ 유관기관과의 공조 방안

-  유관기관의 북한 관련 사업 현황 조사 및 구체적 공조 방안 연구

※ 예) 통일부-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 국토교통부- 남북 공유하천 관리, 환경부- 한반도 환경 인프라 구축, 환경보호센터 건립, 농림부- 신재생에너지 


○ 민간부문을 통한 남북기상교류 방안

-  공동 연구, 학술 교류 및 전문가 교류 방안

※ 예) 백두산 화산 공동 연구 


○ 국제사회를 통한 우회적 협력 방안

-  한반도 주변국, 북한과 우호적 외교 관계에 있는 국가를 통한 학술교류 방안 

-  UNDP, UNEP, WMO 등 국제기구를 통한 우회적 지원 방안 


(3) 성과공개 및 활용방안(기대효과/성과 공개여부)

○ 기상분야 남북협력을 토대로 한반도 그린데탕트 실현에 선도적 역할 기대

○ 한반도 재해경감 및 한반도 기후변화 대응역량 강화에 기여

○ 성과 비공개 : 남북 협력에 관한 사항으로 ‘대외 주의’ 자료로 부분 공개함 


(4) 사업진행순서

예산액

(백만원)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연구기간

비고

과업지시서 

작성

과업지시서 검토

조달청

입찰공고

입찰제안서 

평가

계약체결

예정

종료예정

30

1

2

2

3

4

6

4 ~ 6



- 157 -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사업기간 :

(2) 총 사업비 :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 백만원)

세부과제명

합계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해당연도- 2

해당연도- 1

해당년도

해당연도+1

해당연도+2

그린데탕트실현을 위한 기상분야 역할 및 추진방안 연구

30


- 158 -

[별지 제1- 2호서식]

용역과제 차별성 검토보고서(제9조의2 관련)

구  분

연구과제명

(연구연도)

연구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주요 연구내용

선행

연구

1

남북기상기술 협력 증진을 위한 비정부채널 개척 방안

(2006)

통일연구원

배정호 연구원

북한 대기과학기술 분야의 교류‧협력을 위한 비정부 단체의 채널 개척 방안 강

자료 수집

연구

‧남북한 기상 분야의 교류 현황과 기술 수준 및 인프라 비교

‧남북한 교류‧협력과 비정부 단체의 활동 실태 및 주요 사례분석

‧남북한 교류‧협력과 대기과학 기술분야의 비정부 단체의 채널 개척방안

2

3

4

5

본 연구

와의

차별성

과제명

○ 현 정부 대북정책인 그린데탕트 실현에 중점을 둔 기상분야 역할과 추진 방안 모색 

연구

목적

○ 기상분야 그린데탕트 실현을 위한 정부, 민간, 국제사회 등 다각적인 공조 방안과 채널 확보 방안 연구 

연구

방법

 자료 수집, 관련 유관기관, 학계 및 관련 국제기구와 협의

연구

내용

 통일부, 환경부 등 남북협력 유관기관과의 공조 방안 연구


간부문을 통한 공동 연구, 학술 및 전문가 교류 등 남북기상교류 방안 연구

국제사회를 통한 우회적 협력 방안 연구


- 15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