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도 연구개발 추진계획서 |
2018. 12. 31.
기 상 청
목차 |
Ⅰ. 총괄표1
Ⅱ. 자체 연구개발사업 추진 과제목록 및 요약2
Ⅲ. 자체 연구개발사업 추진계획서15
1. 기상업무지원기술개발연구(R&D)15
2. 기상관측장비 연구 및 실험시설 구축⦁운영(R&D)133
3. 수치예보·지진업무 지원 및 활용연구(R&D)139
4. 범부처 융합 이중편파레이더 활용기술개발(R&D)206
5. 기상위성자료현업지원기술개발(R&D) 228
6. 한국형수치예보모델 개발(R&D) (자체연구부분)263
Ⅳ. 출연 연구개발사업 추진 과제목록 및 요약273
Ⅴ. 출연 연구개발사업 추진계획서276
1. 정지궤도 기상위성 지상국 개발(R&D)276
2. 기상·지진 See- At 기술개발연구(R&D)281
3. 연직바람 관측장비 융합기술 개발(R&D)296
4. 한국형수치예보모델 개발(R&D) (출연연구부분)301
5. 한반도 지하 단층·속도구조 통합모델개발(R&D)309
6. 미래유망 민간기상서비스 성장기술개발(R&D)313
7. 자연재해 대응 영향예보 생산기술개발(R&D)321
Ⅰ. 총괄표 |
(백만원)
세부사업명 |
당당부서 |
‘19년 예산 |
||
주요 R&D |
자체 연구사업 |
① 기상업무지원기술개발연구 |
연구기획운영과 |
15,877 |
② 기상관측장비 연구 및 실험시설 구축·운영 |
연구기획운영과 |
4,023 |
||
③ 수치예보‧지진업무 지원 및 활용연구 |
수치모델개발과 |
7,203 |
||
④ 범부처 융합 이중편파레이더 활용기술개발 |
레이더분석과 |
3,468 |
||
⑤ 기상위성자료현업지원기술개발 |
위성기획과 |
4,875 |
||
출연연구사업 |
⑥ 정지궤도 기상위성 지상국 개발 |
위성운영과 |
8,890 |
|
⑦ 기상·지진 See- At 기술개발연구 |
연구개발담당관 |
18,567 |
||
⑧ 연직바람 관측장비 융합기술 개발 |
계측기술과 |
1,195 |
||
⑨ 한국형수치예보모델 개발 |
수치모델개발과 |
8,844 |
||
⑩ 한반도 지하 단층‧속도구조 통합모델 개발 |
지진화산연구과 |
4,405 |
||
⑪ 미래유망 민간기상서비스 성장기술개발 |
기상서비스정책과 |
3,802 |
||
⑫ 자연재해 대응 영향예보 생산기술개발 |
영향예보추진단 |
2,739 |
||
소 계 |
83,888 |
- 1 -
Ⅱ. 자체 연구개발사업 추진 과제 목록 및 요약 |
자체 연구개발사업 |
2019년도 추진 연구과제 목록 |
(단위: 백만원) |
||||||||||
순서 |
내역사업명 |
과제 번호 |
연구과제명 (세부과제- 세세부과제- 연구용역) |
‘18년 예산 |
‘19년 예산 |
신규/ 계속 |
과제수행부서 (과제활용부서) |
해당 쪽수 |
||
기상업무지원기술개발연구 |
14,866 |
15,877 |
계속 |
- |
||||||
1 |
예보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
1 |
위험기상에 대한 분석‧예보의 융합기술 고도화 |
1,722 |
1,724 |
계속 |
관측예보연구과 (예보기술과, 수치자료응용과, 관측정책과) |
44 |
||
2 |
1- 1 |
국지관측자료를 이용한 위험기상 분석 |
1,347 |
1,349 |
계속 |
관측예보연구과 (예보기술과, 수치자료응용과, 관측정책과) |
47 |
|||
3 |
1- 2 |
드론을 활용한 기상관측 기술개발 |
375 |
375 |
계속 |
관측예보연구과 (본청 관측정책과, 계측기술과) |
50 |
|||
4 |
관측기술지원및활용연구 |
2 |
표준기상관측및활용연구 |
360 |
360 |
계속 |
관측예보연구과 (관측정책과) |
55 |
||
5 |
2- 1 |
종합기상탑 활용기술개발 |
360 |
360 |
계속 |
관측예보연구과 (관측정책과) |
57 |
|||
6 |
3 |
재해기상 감시·분석·예측기술개발 및 활용연구 |
594 |
594 |
계속 |
관측예보연구과 (관측정책과) |
59 |
|||
7 |
3- 1 |
재해(위험)기상 추적‧목표 관측 체계 구축 및 활용연구 |
394 |
394 |
계속 |
관측예보연구과 (관측정책과) |
61 |
|||
8 |
3- 2 |
재해기상 메커니즘 분석 및 고해상도 수치모델시스템 실용화 연구 |
200 |
200 |
계속 |
관측예보연구과 (관측정책과) |
63 |
|||
9 |
4 |
기상항공기 활용기술개발 연구 |
1,949 |
1,669 |
계속 |
관측예보연구과 |
65 |
|||
10 |
4- 1 |
구름물리 등 항공관측 기반연구 |
1,229 |
889 |
계속 |
응용기상연구과 (수치자료응용과) |
69 |
|||
11 |
||||||||||
12 |
4- 2 |
위험기상 항공관측 및 관리체계 구축 |
320 |
278 |
계속 |
관측예보연구과 |
71 |
|||
13 |
4- 3 |
대기 상층 공기질 감시와 기후 영향 분석 |
300 |
337 |
계속 |
관측예보연구과 |
73 |
|||
14 |
4- 4 |
연직 이산화탄소와 메탄에 대한 항공위성‧모델의 종합 비교 분석 |
100 |
165 |
계속 |
기후연구과 (기후변화감시과) |
75 |
|||
15 |
기후변화예측기술지원및활용연구 |
5 |
AR6 기후변화시나리오 개발‧평가 |
3,714 |
3,257 |
계속 |
기후연구과 (기후정책과, 기후변화감시과) |
79 |
||
16 |
5- 1 |
지구시스템모델개발 평가 |
655 |
155 |
계속 |
기후연구과 (기후변화감시과) |
82 |
|||
17 |
5- 2 |
지구시스템모델탄소 순환 진단 및검증 체계 구축 |
642 |
400 |
계속 |
기후연구과 (기후변화감시과) |
84 |
|||
18 |
5- 3 |
전지구 및 지역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과 분석 |
2,417 |
2,702 |
계속 |
기후연구과 (기후정책과 기후변화감시과) |
86 |
|||
19 |
해양기상기술지원및활용연구 |
6 |
해양기상 감시 및 차세대 해양예측시스템 개발 |
1,023 |
1,030 |
계속 |
지구시스템연구과 (본청 기후국, 예보국) |
90 |
||
20 |
6- 1 |
해양변동성 감시 및 자료동화시스템개선 |
698 |
698 |
계속 |
지구시스템연구과 (본청 기후국, 예보국) |
94 |
|||
21 |
6- 2 |
기상청 현업 해양 기상모델개선 |
325 |
332 |
계속 |
지구시스템연구과 (본청 예보국, 기후국) |
97 |
|||
22 |
7 |
장기예측시스템 개발 |
1,330 |
2,322 |
계속 |
지구시스템연구과 (본청 기후국) |
100 |
|||
23 |
7- 1 |
장기예측시스템 운영·개선 및 활용기술개발 |
1,330 |
2,322 |
계속 |
지구시스템연구과 (본청 기후국) |
102 |
|||
24 |
황사연무기술지원및활용연구 |
8 |
황사·연무 감시 및 예보기술 개발 |
1,247 |
1,247 |
계속 |
환경기상연구과 (예보정책과) |
107 |
||
25 |
8- 1 |
동아시아 황사 종합 감시능력향상 |
997 |
995 |
계속 |
환경기상연구과 (관측정책과) |
110 |
|||
26 |
8- 2 |
황사·연무통합예측모델 및 예측기술개발 |
250 |
250 |
계속 |
환경기상연구과 (예보정책과) |
112 |
|||
27 |
9 |
한반도 대기조성물질 관측 및 분석기술 개발 |
- |
500 |
신규 |
환경기상연구과 (기후변화감시과) |
115 |
|||
28 |
9- 1 |
한반도 대기조성물질 장기변화특성 연구 |
- |
500 |
신규 |
환경기상연구과 (기후변화감시과) |
117 |
|||
29 |
응용기상기술지원및활용연구 |
10 |
생명·산업기상기술개발 |
2,277 |
2,874 |
계속 |
응용기상연구과 (기상융합서비스과,항행기상팀) |
121 |
||
30 |
10- 1 |
생명·농림기상 기술개발 |
1,027 |
1,734 |
계속 |
응용기상연구과 (기상융합서비스과) |
124 |
|||
31 |
10- 2 |
기상자원 기술개발 |
540 |
540 |
계속 |
응용기상연구과 (기상융합서비스과) |
127 |
|||
32 |
10- 3 |
항공기상지원 기술개발 |
710 |
600 |
계속 |
응용기상연구과 (항공청 항행기상팀) |
129 |
|||
33 |
11 |
기상정보 활용 및 가치 창출지원연구 |
400 |
300 |
계속 |
미래전략연구팀 (본청 전부서) |
131 |
|||
기상관측장비 연구 및 실험시설 구축‧운영 |
2,312 |
4,023 |
계속 |
- |
||||||
1 |
기상관측장비 연구 및 실험시설 구축 |
1 |
기상관측장비 연구 및 실험시설 신축 |
2,312 |
4,023 |
계속 |
연구기획운영과 |
137 |
||
수치예보·지진업무 지원 및 활용 연구 |
8,207 |
7,203 |
계속 |
- |
||||||
1 |
수치예보 지원 및 활용기술 개발 |
1 |
수치예보 및 자료응용 기술개발 |
3,717 |
3,023 |
계속 |
수치모델개발과 수치자료응용과 |
150 |
||
2 |
1- 1 |
이음새 없는 수치예보모델 기반기술개발 |
1,817 |
1,312 |
계속 |
수치모델개발과 수치자료응용과 (예보국) |
153 |
|||
3 |
1- 2 |
초단기 위험기상 예측기술 개발 |
400 |
400 |
계속 |
수치자료응용과 (예보국) |
159 |
|||
4 |
1- 3 |
집중호우(장마 등)심층분석 및 강우 예측성 향상 연구 |
450 |
600 |
계속 |
국립기상과학원 관측예보연구과 (예보국) |
161 |
|||
5 |
1- 4 |
한반도 집중관측자료를 활용한 수치모델 물리과정 개선 |
- |
711 |
신규 |
수치자료응용과 (예보국) |
163 |
|||
6 |
2 |
태풍 분석 및 예측기술개발 |
1,485 |
1,286 |
계속 |
국가태풍센터 |
164 |
|||
7 |
2- 1 |
태풍 단기 예측기술개발 |
761 |
742 |
계속 |
국가태풍센터 |
169 |
|||
8 |
2- 2 |
태풍 장기 예측기술개발 |
395 |
195 |
계속 |
국가태풍센터 |
172 |
|||
9 |
2- 3 |
태풍발생 감시와 관측자료분석기술 개발 |
329 |
154 |
계속 |
국가태풍센터 |
174 |
|||
10 |
2- 4 |
재해기상 대응 융합형 예측 기술 개발 |
- |
195 |
신규 |
국립기상과학원 관측예보연구과 |
176 |
|||
11 |
3 |
영향예보기술개발 |
1,815 |
1,565 |
계속 |
영향예보추진팀 |
178 |
|||
12 |
3- 1 |
지역특화 국지기상 예측기술개발 |
850 |
650 |
계속 |
영향예보추진팀 |
183 |
|||
13 |
3- 2 |
돌발 기상재해 분석기술 개발 |
220 |
420 |
계속 |
기후정책과 |
186 |
|||
14 |
3- 3 |
사회적 기상이슈 대응 기술개발 |
170 |
170 |
계속 |
연구개발담당관 |
188 |
|||
15 |
3- 4 |
지역별 위험기상 발생확률 생산기술 개발 |
375 |
325 |
계속 |
영향예보추진팀, |
190 |
|||
16 |
지진화산 업무 지원 및 활용 연구 |
4 |
지진‧지진해일‧화산감시 및 예측기술 개발 |
1,190 |
1,329 |
계속 |
지진화산연구과 |
195 |
||
17 |
4- 1 |
지진관측환경 표준화 및 지진정보 생산 개선 연구 |
513 |
762 |
계속 |
지진화산연구과 |
199 |
|||
18 |
4- 2 |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개발 및 개선연구 |
279 |
251 |
계속 |
지진화산연구과 |
202 |
|||
19 |
4- 3 |
화산활동 원격감시 및 한반도 지각활동 진단정보 생산 |
398 |
316 |
계속 |
지진화산연구과 |
204 |
|||
범부처 융합 이중편파레이더 활용기술 개발 |
3,446 |
3,468 |
계속 |
|||||||
1 |
이중편파 레이더 자료처리 기술 개발 |
1 |
레이더자료 품질관리 및 대기수상체분류 기술 개발 |
400 |
400 |
계속 |
레이더분석과 (예보국, 전부서) |
216 |
||
2 |
2 |
레이더강수실황예측 및 바람장 산출 기술 개발 |
350 |
350 |
계속 |
레이더분석과 (예보국, 전부서) |
219 |
|||
3 |
3 |
범부처 레이더 융합 활용기술 개발 |
870 |
870 |
계속 |
레이더분석과 (예보국, 국방부, 환경부) |
222 |
|||
4 |
4 |
연구용 레이더 신기술 선행연구 및 현업지원기술 개발 |
1,826 |
1,848 |
계속 |
레이더분석과 (예보국, 전부서) |
226 |
|||
기상위성자료 현업지원기술개발 |
4,849 |
4,875 |
계속 |
|||||||
1 |
기상위성자료 관리 및 서비스 지원체계 구축 |
1 |
위성자료 서비스 지원체계 기반구축 |
701 |
960 |
계속 |
위성운영과 (관측정책과) (정보통신기술과) |
241 |
||
2 |
2 |
위성운영 및 활용기술 개발 협력연구기관 운영 |
369 |
277 |
계속 |
위성기획과 |
243 |
|||
3 |
3 |
기상위성자료 영상품질유지 및 관리기술 개발 |
50 |
20 |
계속 |
위성운영과 (관측정책과) |
245 |
|||
4 |
기상위성자료 현업활용체계 구축 |
4 |
위성자료 예보분석기술 개발 |
466 |
493 |
계속 |
위성분석과 (예보정책과) (총괄예보관) |
250 |
||
5 |
5 |
위성자료 기후 및 융합기술 개발 |
506 |
519 |
계속 |
위성분석과 (예보정책과) (관측정책과) |
253 |
|||
6 |
6 |
전지구 환경변화 감시기술 및 강수관측활용기술 개발 |
1,038 |
1,000 |
계속 |
위성분석과 (예보정책과) (관측정책과) |
255 |
|||
7 |
7 |
위성자료 수치예보활용지원 기술 개발 |
760 |
1118 |
계속 |
차세대위성개발팀 (수치모델개발과) |
258 |
|||
8 |
8 |
국가 우주기상 공동활용기술 개발 |
459 |
488 |
계속 |
위성기획과 (관측정책과) |
261 |
|||
한국형수치예보모델 개발(자체연구부분) |
1,084 |
542 |
계속 |
|||||||
1 |
한국형수치예보모델 개발 |
1 |
한국형수치예보모델 현업화 지원 기술개발 |
1,084 |
542 |
계속 |
수치모델개발과 |
269 |
- 2 -
자체 연구개발사업 |
2019년도 추진 연구과제 요약 |
(단위: 백만원) |
|||||||||
순서 |
과제 번호 |
연구과제명 |
연구목표 |
주요연구내용 |
‘19년 예상성과 |
예산 |
분야별 기술코드 |
이슈별 기술코드 |
기술분류 코드 |
기상업무지원기술개발연구 |
|||||||||
1 |
1 |
위험기상에 대한 분석‧예보의 융합기술 고도화 |
집중호우 등 한반도 위험기상에 대한 예측성 향상을 위한 분석‧예보기술 고도화 |
국지관측자료 기반의 위험기상분석 등 예측성 향상을 위한 기술 개발 |
◦한반도 호우유형별 국지예보모델 활용 가이던스 개발 지원 ◦현업수치모델 기반의 단일기둥모델 활용을 통한 모수화 개선 연구결과 제공 ◦날씨유형 기반의 중기예측 가이던스 개발 지원 ◦집중관측자료를 이용한 행성경계층 개선 |
1,724 |
F6.4 O.1.1 |
A.1.3 |
F0302 O0106 |
2 |
1- 1 |
국지관측자료를 이용한 위험기상분석 |
한반도 발생 위험기상 특성에 따른 객관적 예측 특성 분석 및 예보 활용 방안 제공 |
◦한반도 호우유형별 국지예보모델 예보 활용 가이드라인 개발 ◦한반도 강수물리과정 진단체계 구축 ◦관측민감도 기술을 활용한 관측영향 평가 ◦예보구역별 호우 시 날씨유형 분류 및 주요기상요소 분석 ◦한반도 폭염 시 날씨유형 분류 및 특성 분석 |
◦한반도 호우유형별 국지예보모델 활용 가이던스 개발 지원 ◦현업수치모델 기반의 단일기둥모델 활용을 통한 모수화 개선 연구결과 제공 ◦날씨유형 기반의 중기예측 가이던스 개발 지원 |
1,349 |
F6.4 |
A.1.3 |
F0302 |
4 |
1- 2 |
드론을 활용한 기상관측 기술개발 |
◦드론 기반 대기하층 복잡지역 관측기술 개발 |
◦드론을 활용한 해안- 산악 지형에서의 입체적 관측 수행 및 분석 ◦드론 기체정보를 포함한 관측자료 처리기술 개발 |
◦드론을 활용한 현상별(안개, 해륙풍, 산곡풍 등) 매뉴얼 ◦보성 종합기상탑 등을 활용한 국내 개발 기상드론 성능 평가 및 활용 방안 도출 |
375 |
O.1.1 |
기타 |
O0106 |
5 |
2 |
표준기상관측 및 활용연구 |
◦표준기상관측소 관측자료를 활용한 중규모 위험기상 현상 감시 및 분석을 위한 관측체계 구축‧활용 |
◦종합기상탑 활용기술개발 ◦표준기상관측소 복합관측자료 활용기술 개발 |
◦수치모델 미세물리 및 경계층 모수화 개선 지원을 위한 한반도 대기경계층 내의 고품질 관측자료 확보 ◦보성 표준기상관측소의 첨단 관측자료에 대한 활용 증대 |
360 |
O.1.1 |
기타 |
O0106 |
6 |
2- 1 |
종합기상탑 활용기술개발 |
◦표준기상관측소 관측자료를 활용한 중규모 위험기상 현상 감시 및 분석을 위한 관측체계 구축‧활용 |
◦단일기둥모델용 구름물리과정 진단 자료 생산 ◦보성 표준기상관측자료를 활용한 수치모델 하부경계층 예측특성 진단 |
◦수치모델 미세물리 및 경계층 모수화 개선 지원을 위한 한반도 대기경계층 내의 고품질 관측자료 확보 |
360 |
O.1.1 |
기타 |
O0106 |
7 |
3 |
재해기상 감시‧분석‧예측기술 개발 및 활용연구 |
◦모방릴 기상관측 활용강화 및 초단기 예보 정보 생산기술 개발 |
◦모바일 기상관측차량의 위험기상 관측 운영 및 활용강화 ◦한반도 대설 메커니즘 분석 및 예측성 연구 ◦최적 융합된 초단기 예보 정보 생산 기술 개발 |
◦모바일 기상관측차량의 공동 활용기확대 ◦강설 예측성 향상을 위한 대기수상체 미세물리 특성 분석 ◦기상조건에 따른 강설유형 분류 및 눈밀 도 산출 기법 개선 ◦고해상도 모델 기반 초단기 예측시스템 초기모형 체계 구축 |
594 |
O.5.2 F.9.2 |
A.1.1 A.1.3 |
O0101 O0103 F0201 |
8 |
3- 1 |
재해(위험)기상 추적‧목표 관측 체계 구축 및 활용연구 |
◦모바일 기상관측망 기반 구축 및 이를 활용한 다양한 목표관측 |
◦모바일 기상관측차량의 위험기상 관측 운영 및 활용강화 ◦한반도 대설 메커니즘 분석 및 예측성 연구 |
◦모바일 기상관측차량의 공동 활용기확대 ◦강설 예측성 향상을 위한 대기수상체 미세물리 특성 분석 ◦기상조건에 따른 강설유형 분류 및 눈밀 도 산출 기법 개선 |
394 |
O.5.2 |
A.1.1 |
O0101 O0103 |
9 |
3- 2 |
재해기상 메커니즘 분석 및 고해상도 수치모델시스템 실용화 연구 |
◦초단기 예보 정보 생산 기술 개발 및 복잡지형에서의 위험기상 예측기술 개발 |
◦최적 융합된 초단기 예보 정보 생산 기술 개발 |
◦고해상도 모델 기반 초단기 예측시스템 초기모형 체계 구축 ◦초단기 예측 자료의 융합 활용 및 검증을 통한 개선점 공유 |
200 |
F.9.2 |
A.1.3 |
F0201 |
10 |
4 |
기상항공기 활용기술개발 연구 |
◦구름물리 등 항공관측 기반 연구 ◦위험기상 항공관측 및 관리체계 구축 ◦대기 상층 공기질 감시와 기후 영향 분석 ◦연직 이산화탄소와 메탄에 대한 항공·위성·모델의 종합 비교 분석 |
◦기상항공기를 이용한 계절별 위험기상(호우, 태풍, 대설) 선행관측 수행 및 관측 전략기술 개선방안 연구 ◦집중호우, 태풍사례에 대한 기상항공기 드롭존데 관측정보의 수치예보 영향 분석 ◦기상항공기 관측자료 공유를 위한 품질관리 기술 개선 및 보안·자료전송 기능 구축 ◦기상항공기 관측처리 데이터베이스 설계 ◦항공관측자료를 활용한 대기- 해양 상호작용이 대설에 미치는 영향 분석 I: 자료조사 |
◦집중호우, 태풍 사례에 대한 기상항공기 드롭존데 관측정보의 수치예측 개선 효과 평가 ◦기상항공기 운영 안정화 및 관측자료 수집·공유·활용체계 개선 및 보안성 향상 ◦대설현상의 대기- 해양 상호작용의 이해 및 대설현상 선행관측 전략 개선에 활용 |
1,669 |
O.1.4 C.20.1 |
A.4.3 A1.1 |
O0106 C0102 |
11 |
4- 1 |
구름물리 등 항공관측 기반연구 |
◦기상항공기를 이용한 구름 관측 및 활용(인공강우 등) 기술력 확보 |
◦기상항공기를 이용한 구름 관측 및 분석 ◦구름활용(인공강우 등) 항공실험 연구 강화 |
◦운형별(층운·적운) 구름·강수입자 크기분포 분석 ◦실시간 인공강우 예측· 시스템 개선 |
889 |
O.1.4 |
A.4.3 |
O0106 |
12 |
4- 2 |
위험기상 항공관측 및 관리체계 구축 |
◦기상항공기를 활용한 위험기상 선행관측 수행 및 관측전략 개선 ◦위험기상(호우, 태풍) 선행관측에 대한 수치모델 자료동화 효과분석 ◦기상항공기 운영 안정화 및 관측자료 활용체계 최적화 |
◦기상항공기를 이용한 계절별 위험기상(호우, 태풍, 대설) 선행관측 수행 및 관측 전략기술 개선방안 연구 ◦집중호우, 태풍사례에 대한 기상항공기 드롭존데 관측정보의 수치예보 영향 분석 ◦기상항공기 관측자료 공유를 위한 품질관리 기술 개선 및 보안·자료전송 기능 구축 |
◦집중호우, 태풍 사례에 대한 기상항공기 드롭존데 관측정보의 수치예측 개선 효과 평가 ◦기상항공기 운영 안정화 및 관측자료 수집·공유·활용체계 개선 및 보안성 향상 |
278 |
O.1.4 |
A1.1 |
O0106 |
13 |
4- 3 |
대기 상층 공기질 감시와 기후 영향 분석 |
◦ 대기 상층 공기질 감시 기술 개선 및 기후 영향 분석 |
◦에어로졸 및 반응가스 최적 항공관측기법 개발 ◦서해상 에어로졸 및 반응가스 특성 분석 |
◦장비 시스템개선 및 교정을 통한 신뢰도 확보 ◦관측공백지역인 서해 상공 대기질에 대한 정량적 농도 특성 확보 |
337 |
O.1.4 |
기타 |
O0106 |
14 |
4- 4 |
연직 이산화탄소와 메탄에 대한 항공위성‧모델의 종합 비교 분석 |
기상항공기 활용온실가스 관측 확대와 자료 신뢰도 제고 |
연직 관측 확대(안면도, 제주)를 통한 국내외 장거리 수송 영향 및 연직분포의 월변동성 분석 한반도 권역별 자연적, 인위적 탄소 배출 특성 분석 |
기상항공기 활용 온실가스 연직분포 관측ㆍ분석 정보 |
165 |
C.20.1 |
A.3.1 |
C0102 |
15 |
5 |
AR6 기후변화시나리오 개발‧평가 |
국가 기후변화 정책 지원과 IPCC AR6 기여를 위한 새로운 온실가스 농도 경로 기반 과학정보 산출 |
지구시스템모델 기반 신규 기후변화 시나리오 개발 분석 및 탄소 관측 감시 정보 산출 |
[국정] 전지구 기후변화 전망 분석보고서 [국정] 탄소 입체 관측 분석 정보 |
3,257 |
C.16.1 C.16.3 C.18.3 C.20.1 |
A.3.1 A.3.2 A.3.3 |
C0102 C0201 C0204 |
16 |
5- 1 |
지구시스템모델 개발 평가 |
지구시스템모델(K- ACE) 활용 시나리오 산출과 분석 |
K- ACE 기반 전지구 앙상블 실험 수행 |
전지구 기후변화 전망 분석 위한 신규 기후변화 시나리오 앙상블 자료 |
155 |
C.16.1 |
A.3.2 |
C0201 |
17 |
5- 2 |
지구시스템모델 탄소순환 진단 및검증 체계 구축 |
탄소 입체관측ㆍ감시정보 산출과 분석 |
위성- 항공- 지상 연계 탄소 관측 분석 |
동아시아 지역 위성- 항공- 지상 온실가스 통합 분석 정보 |
400 |
C.20.1 |
A.3.1 |
C0102 |
18 |
5- 3 |
전지구 및 지역기후변화시나리오 산출과 분석 |
지구시스템모델(UKESM) 및 지역기후모델 활용 시나리오 산출과 분석 |
UKESM 기반 전지구 과거- 미래 시나리오 산출 및 에어로졸- 기후과정 분석 신규 시나리오 기반의 전지구 기후변화 전망 분석보고서 발간 CMIP6 강제력 활용 지역기후 시나리오 산출과 분석 |
전지구/한반도 기후변화 전망 분석 위한 신규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 |
2,702 |
C.16.3 C.18.3 |
A.3.2 A.3.3 |
C0204 |
19 |
6 |
해양기상 감시 및 차세대 해양예측시스템 개발 |
○전지구 해양기상 예측기술 고도화를 통한 효율적인 해양환경 감시 |
○전지구 해양자료동화시스템 개선 및 해양변화 감시 ○기상청 현업 해양기상예측시스템 개선 |
○해양- 해빙모델/ 자료동화 개선으로 초기장 품질향상 ○차세대 지역 폭풍해일예측모델 현업화/ 해상예보 활용 |
1,030 |
C.19.2 F.10.2 |
A.2.3 A.2.5 |
C0203 F0305 |
20 |
6- 1 |
해양변동성감시및 자료동화시스템 개선 |
○고품질 해양- 해빙 초기장 생산을 통한 전지구 해양감시 및 장기예측능력 강화 |
○전지구 해양자료동화시스템 현업운영 및 개선 연구 ○지역해양 감시 및 변동성 분석 ○현업 기후예측시스템 해양- 해빙 평가 및 활용 연구 |
○현업 운영을 통한 해양- 해빙 초기장의 안정적 생산 ○해양- 해빙모델/ 자료동화 개선으로 초기장 품질향상 ○현업운영 체계 개선 ○해양 관측망 운영을 통한 해양감시 및 관측자료 품질 향상 ○기후예측시스템 기반 한반도 주변해 예측 서비스 자료 검증 |
698 |
C.19.2 |
A.2.3 |
C0203 |
21 |
6- 2 |
기상청 현업 해양 기상모델개선 |
○기상청 현업 해양기상 예측 기술 개선을 통한 해상예보 지원 강화 |
○현업 폭풍해일 예측시스템 개선 및 현업화 ○통합 국지연안 파랑 예측시스템 기반 구축 ○현업 해양기상 예측 시스템 예측시간 확대 및 평가 ○파랑자료동화 기술 개발 |
○차세대 지역 폭풍해일예측모델 현업화/ 해상예보 활용 ○통합 국지연안 예측시스템 개발로 예보영역 확대 및 효율성 제고 ○파랑자료동화기법 개발 및 현업체계 구축 |
332 |
F.10.2 |
A.2.5 |
F0305 |
22 |
7 |
장기예측시스템 개발 |
○장기예보 현업지원을 위한 기후예측시스템 현업 운영 및 개선 |
○장기예측 성능 개선을 위한 현업 기후예측시스템 운영기술 개선 ○기후예측시스템 예측자료 진단 및 분석과 활용기술 개발 ○수문기상요소 모의성능 향상을 위한 고해상도 지면모델링 기술개발 ○기후예측시스템의 공동 연구개발을 위한 모델링 개발 및 관리 체계 구축 ○기후예측시스템 개발 관리를 위한 전산 체계 도입 및 운영 |
○대기- 해양/해빙 결합모델기반 현업시스템 운영과 기상청 장기예보를 위한 앙상블 예측자료 생산 ○현업 장기예보 자료 정확도 향상을 위한 기후기간 연장, 앙상블 멤버 및 스프레드 방안 개선 ○현업시스템 해양 자료동화 체계 개선을 위한 해양- 해빙 모델 업그레이드 ○JULES 지면모델 특성 진단 및 고해상도 활용증대를 위한 지면모델 개선 |
2,322 |
C.14.1 C.14.2 C.14.4 C14.5 |
A.1.2 A.1.4 A.2.3 A.2.6 |
C0202 C0203 |
23 |
7- 1 |
장기예측시스템 운영·개선및활용기술개발 |
○현업 기후예측모델의 예측정확도 향상 |
○기후기간 연장, 앙상블 멤버확대 생산 및 분석 ○기후예측시스템의 해양- 해빙 초기화과정 개선 ○한·영 공동계절예측시스템 개선을 위한 국제협력(물리과정 등) ○고해상도 지면- 수문 결합모델 활용 홍수와 가뭄예측정보 산출 |
○기후예측시스템 현업 운영 및 장기예보 지원 ○기후예측시스템 지속 개선 및 신뢰도 향상 ○기후예측시스템 물순환 과정 이해 증진 및 활용도 제고 |
2,322 |
C.14.1 C.14.2 C.14.4 C14.5 |
A.1.2 A.1.4 A.2.3 A.2.6 |
C0202 C0203 |
24 |
8 |
황사·연무 감시 및 예보기술 개발 |
o 다양한 관측자료를 활용한 예측 및 활용기술 개선을 통한 예측성 향상 |
o 서해상 입체관측기술 기반확보 o 앙상블 예측결과를 활용한 자료동화 및 가이던스 개발 |
o 통계기법을 이용한 에어로졸 오염원별 시공간적 기여도 변화 분석 o 황사·연무 확률예측정보를 이용한 가이던스 개발 및 제공 |
1,247 |
F.12.1 F.12.2 |
A.1.2 A.1.3 |
F0303 |
25 |
8- 1 |
동아시아 황사 종합 감시능력향상 |
o 황사·연무 감시 및 분석역량 강화를 위한 서해상 항공/해상/지상 통합입체관측 기술 개발 |
o 입체관측 절차 체계성 확립을 통한 감시기술 기반확보 o 황사 등 장거리 이동성물질에 대한 연직 및 지상(해상) 통합관측 수행 및 관측결과 종합분석 |
o 항공/선박/지상 입체관측자료 종합표출체계 구축 및 감시기술 기반확보 o 통계기법을 이용한 에어로졸 오염원별 시공간적 기여도 변화 분석 |
997 |
F.12.1 |
A.1.2 |
F0303 |
26 |
8- 2 |
황사·연무통합예측모델 및 예측기술 개발 |
o 황사·연무 확률예측체계 운영 및 앙상블기반 자료동화 기법 적용 |
o 황사·연무 확률예측정보 실시간 생산 o 현업 황사·연무통합예측모델 초기장 개선을 위한 앙상블기반 자료동화 기법 적용 |
o 황사·연무 확률예측정보를 이용한 가이던스 개발 및 제공 o 앙상블 기반의 자료동화기법이 적용된 황사·연무 예측결과 시험제공 |
250 |
F.12.2 |
A.1.3 |
F0303 |
27 |
9 |
한반도 대기조성 물질 관측 및 분석기술 개발 |
o 한반도에 영향을 미치는 대기조성물질의 종합적인 이해 o 한반도 대기조성물질의 기원 추적연구를 위한 기반 마련 |
o 한반도 대기조성물질의 장기변화 특성 연구 및 관측자료 통합관리 체계 구축 o 대기조성물질의 고품질자료 생산을 위한 최신 기술 적용 |
o 고품질의 대기조성물질 관측자료 생산 및 제공 o 세계기상기구 온실가스 전문가회의 개최 |
500 |
C.20.2 |
A.3.1 |
C0102 |
28 |
9- 1 |
한반도 대기조성 물질장기변화특성 연구 |
o 한반도에 영향을 미치는 대기조성물질의 종합적인 이해 o 한반도 대기조성물질의 기원 추적연구를 위한 기반 마련 |
o 한반도 대기조성물질의 장기변화 특성 연구 및 관측자료 통합관리 체계 구축 o 대기조성물질의 고품질자료 생산을 위한 최신 기술 적용 |
o 고품질의 대기조성물질 관측자료 생산 및 제공 o 세계기상기구 온실가스 전문가회의 개최 |
500 |
C.20.2 |
A.3.1 |
C0102 |
29 |
10 |
생명·산업기상기술개발 |
◦현업모델 기반 생명·농림기상 통합 지원기술의 고도화 ◦관측과 모델을 이용한 상세하고 정확한 풍력‧태양광 기상자원 분석‧예측기술 개발 ◦중·소 공항 고해상도 기상예측정보 산출 기술 개발 |
◦보건기상 현업모델 유지관리(알레르기 유발 꽃가루 관측·검증 등) ◦수도권 도시기상관측망(지표에너지 등) 운영 및 자료생산 ◦수도권 도시기상관측망 기반 도시기상 특성 분석 ◦응용기상연구를 위한 관측장비 기술 개발 및 활용연구 ◦기상자원 관측 및 분석정보 산출기술 개발 ◦신재생에너지 기상자원 예측시스템 개선 및 고도화 ◦공항 위험기상 예‧경보 지원 기술개발 ◦공항운영 의사결정 지원연구 |
◦더위체감지수 알고리즘 개선 및 평가 결과 지원 ◦알레르기 유발 꽃가루 실측(관측)정보 제공 ◦도시기상관측망 연직관측자료로 수도권 하층대기 분석 및 자료 활용성 확대 ◦ 구름자동관측장비 상용화를 위한 특허기술개발 ◦빅데이터 플랫폼 서비스를 위한 풍력 기상자원 단기예측정보 실시간 생산 ◦고해상도(100m) 공항기상예측정보 산출 기술 개발 |
2,874 |
H.29.1 H.29.4 H.30.1 H.30.2 F.6.2 H.33.2 O.5.1 |
A.4.1 |
H0103 H0104 H0105 O0201 |
30 |
10- 1 |
생명·농림기상 기술개발 |
◦현업모델 기반 생명·농림기상 통합 지원기술의 고도화 |
◦보건기상 현업모델 유지관리(알레르기 유발 꽃가루 관측·검증 등) ◦수도권 도시기상관측망(지표에너지 등) 운영 및 자료생산 ◦수도권 도시기상관측망 기반 도시기상 특성 분석 ◦응용기상연구를 위한 관측장비 기술 개발 및 활용연구 |
◦더위체감지수 알고리즘 개선 및 평가 결과 지원 ◦알레르기 유발 꽃가루 실측(관측)정보 제공 ◦도시기상관측망 연직관측자료로 수도권 하층대기 분석 및 자료 활용성 확대 ◦ 구름자동관측장비 상용화를 위한 특허기술개발 |
1,734 |
H.29.1 H.30.2 F.6.2 H.33.2 O.5.1 |
A.4.1 |
H0103 H0104 O0201 |
31 |
10- 2 |
기상자원 기술개발 |
◦관측과 모델을 이용한 상세하고 정확한 풍력‧태양광 기상자원 분석‧예측기술 개발 |
◦기상자원 관측 및 분석정보 산출기술 개발 ◦신재생에너지 기상자원 예측시스템 개선 및 고도화 |
◦빅데이터 플랫폼 서비스를 위한 풍력 기상자원 단기예측정보 실시간 생산 |
540 |
H.29.1 |
A.4.1 |
H0105 |
32 |
10- 3 |
항공기상지원기술개발 |
◦중·소 공항 고해상도 기상예측정보 산출 기술 개발 |
◦공항 위험기상 예‧경보 지원 기술개발 ◦공항운영 의사결정 지원 기술개발 |
◦고해상도(100m) 공항기상예측정보 산출 기술 개발 |
600 |
H.30.2 |
A.4.1 |
H0105 |
33 |
11 |
기상정보 활용 및 가치 창출지원연구 |
선도적인 기상기후 연구성과 창출을 위한 정책전략 개발 및 기획 연구 |
◦기상기후 관련 국내외 정책, 기술, 연구동향의 조사 및 분석연구 ◦정책수립 및 성과관리에 필요한 기획연구 |
◦기상기후정보의 가치 확대를 위한 정책정보DB구축및 정책지 발간 ◦기상기후정보의 사회경제적 영향 및 편익 산출 ◦기상과 타 학문 간 융합 연구 강화 및 이를 통한 새로운 가치 창출 마련 ◦기상기후연구 패러다임 변화에 효율적 대응을 위한 정책전략 개발 |
300 |
H.34.4 |
기타 |
H0106 |
기상관측장비 연구 및 실험시설 구축·운영 |
|||||||||
1 |
1 |
기상관측장비 연구 및 실험시설 신축 |
첨단원격 자동기상관측장비의 선도적 기상관측 실험과 관측자료 분석을 위한 연구실험시설 구축‧운영을 통하여 기상재해 대응 능력제고 |
선도적 기상관측장비 연구 및 실험시설 신축 공정률 100% 추진 |
기상관측장비 연구 및 실험시설 신축 공정률 100% 달성 |
4,023 |
○.5.4 |
기타 |
00203 |
수치예보‧지진업무 지원 및 활용 연구 |
|||||||||
1 |
1 |
수치예보 및 자료응용 기술개발 |
◦수치예보시스템 개선 및 개발을 통한 국민 체감 예보정확도 개선 |
◦현업 수치예보시스템 개발 및 개선 ◦위험기상 대응을 위한 예측기법 개발 |
◦현업 수치예보시스템 예측정확도 개선 |
3,023 |
F6.2 |
A2.2 |
F0101 |
2 |
1- 1 |
이음새 없는 수치예보 모델 기반기술개발 |
◦이음새 없는 모델 운영체계 개발로 국지적 위험기상에서부터 종관 및 대규모 기상현상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연계된 예측결과 산출 |
◦전지구모델의 중기예측성 향상을 위한 기반기술 개발 ◦앙상블 모델 운영체계 개선 및 체계화 ◦지역모델을 위한 동아시아 및 한반도 지역 관측자료 활용 다변화 ◦인공지능과 수치예보 융합기술개발 |
◦현업 전지구예보모델의 계통적 오차분석과 중기예측성 진단 ◦영향예보와 수치예보시스템간의 효율적인 접목을 위한 기반기술 확립 ◦관측 오차공분산 개선 및 편차보정 기술 개발 ◦위성관측자료 및 동아시아지역 레이더 관측자료 활용 확대 ◦수치모델 변화 특성을 쉽게 반영할 수 있는 가이던스 개발 |
1,312 |
F6.2 F6.5 |
A2.2 |
F0101 F0103 F0104 |
3 |
1- 2 |
초단기 위험기상 예측기술 개발 |
◦다중규모 실황분석기법 개발 및 초단기 강수예측성능 개선 |
◦기상현상의 규모를 반영한 다중규모 실황분석시스템 개발 ◦초단기 강수예측성능 향상을 위한 구름 및 강수에 대한 초기화 기법 개선 |
◦다중관측자료(위성, 레이더, 낙뢰 등)를 이용한 3차원 구름 분석기법 개선 ◦수치모델기반 초단기 정량적 강수예측성능 개선 |
400 |
F.9.2 |
A.2.2 |
F0101 |
4 |
1- 3 |
집중호우(장마 등) 심층분석 및 강우 예측성 향상 연구 |
◦장마 메커니즘 및 장마철 집중호우 구조에 대한 심층이해를 바탕으로 정량강수 예보정확도 개선 |
◦장마전선 특징 및 메커니즘 분석 ◦장마철 집중호우 특성 분석 및 예측성 개선 ◦인공지능 기반 한반도 특화 강수 예측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장마전선 및 장마철 집중호우 메커니즘 분석을 통한 장마철 정량강수 예측정확도 개선에 활용 |
600 |
F.10.5 |
A.1.3 |
F0302 |
5 |
1- 4 |
한반도 집중관측자료를 활용한 수치모델 물리과정 개선 |
◦관측자료를 활용한 수치모델 강수 및 지면 물리과정 개선 |
◦집중 관측자료기반의 수치모델강수 및 지면 물리과정 비교‧진단 |
◦한반도 관측자료 기반 한국형수치모델의 통합 미세물리과정 개선 |
711 |
F.6.4 |
A.2.2 |
F0101 |
6 |
2 |
태풍 분석 및 예측기술개발 |
◦태풍 예측 정확도 향상을 통한 국민 생명‧재산 보호 |
◦태풍 진로 및 강도 예측 기술 개발 ◦관측자료를 활용한 분석기술 개발 |
◦태풍 강도 및 진로 예측 기술 개선과 분석 기법 개발 |
1,286 |
F.11.6 |
A.2.2 |
F0301 |
7 |
2- 1 |
태풍 단기 예측기술개발 |
◦태풍 진로 및 강도 예측 능력 향상을 위한 기술 개발 |
◦태풍강도 예측모델 현업 운영과 검증 ◦태풍진로 지향류 분석 기법 개발 ◦태풍 연구용 앙상블 예측시스템 구축 |
◦태풍강도 예측모델 정확도 향상 및 예보 지원 ◦상륙태풍 예측 정확도 향상 |
742 |
F.11.6 |
A.2.2 |
F0301 |
8 |
2- 2 |
태풍 장기 예측기술개발 |
◦태풍 장기 예측 기술 개선 |
◦여름철/가을철 태풍 계절예측결과 생산 ◦태풍 계절예측결과 검증 체계 구축 |
◦여름철/가을철 태풍 계절 전망 ◦검증을 통한 유의성 검토 |
195 |
F.11.4 |
A.2.2 |
F0301 |
9 |
2- 3 |
태풍발생 감시와 관측자료분석기술 개발 |
◦태풍 발생 감시 기술 개발 ◦관측자료를 활용한 태풍 분석능력 향상 |
◦기계학습 기반의 태풍 발생탐지 기법 개발 ◦태풍현업시스템 기능 및 콘텐츠 발굴 |
◦태풍 발생탐지 정확도 개선 ◦태풍 현업시스템 콘텐츠 개선 |
154 |
F.11.1 |
A.2.2 |
F0301 |
10 |
2- 4 |
재해기상 대응 융합형 예측 기술 개발 |
○지형특이성을 고려한 재해기상 융합형 예보 기술의 실용화 |
○실시간 관측네트워크 기반 지형특성(연구대상 : 산악지형, 해안지역)을 고려한 융합형 재해기상 예측시스템 개발 |
○산악/해안지역 입체 공동관측 네트워크 기반 초단기예측 성능평가 ○인공지능을 활용한 관측- 수치모델 블랜딩 기법 |
195 |
F.9.2 |
A.1.3 |
F0305 |
11 |
3 |
영향예보기술개발 |
◦영향예보 기반기술 개발 |
◦영향예보 국지 예측기술 개발 ◦위험기상 산정방법 연구 |
◦폭염영향예보 정규 및 한파 시범서비스에 연구결과 반영 |
1,565 |
F.10.3 F.10.4 |
A.4.3 |
F0204 |
12 |
3- 1 |
지역특화 국지기상 예측기술개발 |
◦지역특화 예보 기술 개발로 효율적인 지역중심 연구 추진 |
◦지역별 특성에 맞는 폭염 영향예보 서비스 개선 연구 ◦지역별 취약성과 노출도를 고려한 한파 영향예보 사전연구 |
◦폭염분야 지역 방재 의사결정 지원 ◦한파 영향예보 시범 운영 계획의 기술 지원 |
650 |
F.10.3 F.10.4 H.28.1 |
A.4.3 |
F0204 |
13 |
3- 2 |
돌발 기상재해 분석기술 개발 |
◦기상- 기후 분석으로 영향예보 및 장기예보 지원 |
◦기상- 기후 연계된 이상기상, 이상기후 분석 및 관련 정보 생산.제공기술 개발 |
◦기상- 기후 이슈 문석과 정보 활용을 통한 영향예보 및 장기예보 기술 지원 |
420 |
C.14.4 |
A.1.5 |
F0204 C0205 |
14 |
3- 3 |
사회적 기상이슈 대응 기술개발 |
◦수요자 니즈 변화와 기술적 발전에 부합하는 분야별.이슈별 기상연구 대응 전략 기술 개발 |
◦기상분야 이슈 및 트렌드 조사·분석 ◦기상분야 트렌드 반영 및 사회적 이슈 해결을 위한 연구개발 |
◦지역별 정책 현안 및 사회적 이슈해결을 위한 연구과제 발굴·지원 |
170 |
H.33.2 |
A.4.3 |
H0203 |
15 |
3- 4 |
지역별 위험기상 발생확률 생산기술 개발 |
◦재해기상 DB의 신뢰도 향상과 위험요소 선별 및 활용 기술 개발 ◦영향예보의 핵심기술 중 하나인 앙상블 운영기술 고도화로 영향예보의 안정적인 실용화 지원 |
◦확률병합방식의 다중모델 앙상블 초기버전 개발 ◦대설의 위험산정 기술 개발 ◦폭염예보 활용방안 연구 |
◦폭염분야 국민의 방재 의사결정 지원 ◦한파 영향예보 전국 시범 운영 계획의 기술 지원 |
325 |
F.10.3 F.10.4 H.28.1 |
A.4.3 |
F0204 |
16 |
4 |
지진‧지진해일‧화산감시 및 예측기술 개발 |
◦지진, 지진해일 및 화산활동의 정확한 감시‧예측 정보 생산 지원 강화 |
◦차세대 지진조기경보 알고리즘 기술 개발 ◦슈퍼컴퓨터 활용 고해상도 지진해일 모델링 수행 체계 구축 ◦남북 백두산 공동 연구를 위한 국외 화산관측소의 화산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 분석 |
◦기상청 지진조기경보시스템의 신속‧정확한 지진정보 전달 및 활용체계 구축 ◦슈퍼컴퓨터 활용 고해상도 지진해일 예측알고리즘 개발 ◦원격자료 및 지구물리 자료를 이용한 백두산 화산 활동 모니터링 및 한반도 지각 활동 추이 분석 |
1,329 |
E.24.1 E.24.3 E.25.2 |
A.5.1 A.5.2 A5.3 A.5.4 |
E0101 E0201 E0202 E0203 |
17 |
4- 1 |
지진관측환경 표준화 및 지진정보 생산 개선 연구 |
◦지진 분석자료를 활용한 지진정보 생산 및 지진관측환경 표준화 연구 |
◦차세대 지진조기경보 알고리즘 기술 개발 ◦차세대 한반도형 지반운동예측모델 개발 ◦한반도 발생 지진원 DB 시스템 구축 ◦한반도 발생 지진 진원분석 정확도 향상 |
◦기상청 지진조기경보시스템의 신속‧정확한 지진정보 전달 및 활용체계 구축 ◦관측소 응답이력 및 계기진도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DB 구축 가능 ◦한반도 주요지진, 지진원 DB 기반 한반도 지진 특성 정밀 분석 |
762 |
E.24.3 E.25.2 |
A.5.3 A.5.4 |
E0201 E0205 |
18 |
4- 2 |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개발 및 개선연구 |
◦한반도 주변해역 지진해일 예측 및 관측체계 고도화 |
◦슈퍼컴퓨터 활용 고해상도 지진해일 모델링 수행 체계 구축 ◦지진파에 의한 단층운동 분석결과를 적용한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개선 ◦지진해일 검출시스템 실시간 운영상태 검증 및 지진해일 관측자료 활용 분석 |
◦슈퍼컴퓨터 활용 고해상도 지진해일 예측알고리즘 개발 ◦지진해일 검출시스템을 이용한 계기관측 기반 구축 |
251 |
E.25.3 E.27.3 |
A.5.2 A.5.3 |
E0101 E0205 E0302 E0403 |
19 |
4- 3 |
화산활동 원격감시 및 한반도 지각활동 진단정보 생산 |
◦ 화산활동 원격감시 기술 및 지구물리자료 활용 고도화 |
◦원격자료를 이용한 백두산 화산활동(‘18년) 정기분석 ◦남북 백두산 공동 연구를 위한 국외 화산관측소의 화산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 분석 ◦한반도 지각활동 추이(~‘18년) 정기분석 ◦청양 지구자기 자료 처리 및 품질 관리(‘18년도 확정자료(Definitive data) 생산) |
◦원격자료 및 지구물리 자료를 이용한 백두산 화산 활동 모니터링 및 한반도 지각 활동 추이 분석 ◦청양 지구자기 관측소의 ‘18년도 확정 자료 |
316 |
E.24.1 E.24.3 |
A.5.2 A.5.3 |
E0102 E0203 E0303 E0404 |
범부처 융합 이중편파레이더 활용기술 개발(R&D) |
|||||||||
1 |
1 |
레이더자료 품질관리 및 대기수상체분류 기술 개발 |
‧레이더자료 품질향상, 대기수상체분류 기법 고도화 및 밝은띠 탐지를 통한 고품질 레이더자료의 산출 기술 개발 |
‧이중편파레이더 합성기반 보정오차 산출 기술 개발 ‧신규 이중편파레이더(강릉) 품질관리 및 대기수상체분류 현업제공 ‧이중편파레이더 기반 융해층 고도 및 특성정보 제공 |
‧신규 이중편파레이더(강릉) 품질관리 적용 및 현업제공 ‧신규 이중편파레이더(강릉) 대기수상체분류 현업제공 ‧이중편파레이더 기반 융해층 고도 및 특성정보 제공 |
400 |
O.4.1 |
A.1.1 |
O0105 |
2 |
2 |
레이더강수실황예측 및 바람장 산출 기술 개발 |
‧이중편파레이더자료의 예보지원을 위한 강수량 추정 합성 기술, 강수량 예측 및 바람장 산출 등의 활용기술 확보 |
‧강수유형별 이중편파레이더 강수량 추정 복합 관계식 적용 및 검증 ‧WISSDOM기반 범부처 레이더를 활용한 저층 바람장 개선 ‧다중 초기장을 활용한 레이더 강수 기반 앙상블 강수실황예측모델 개발 |
‧이중편파레이더 강수량 추정 정확도 향상 ‧WISSDOM기반 상세 바람장 산출 기술 개발 및 맞춤형(항공) 정보 제공 ‧레이더강수실황예측모델 성능 개선 |
350 |
O.4.2 |
A.1.3 |
O0105 |
3 |
3 |
범부처 레이더 합성 기술 개발 |
‧범부처 이중편파레이더의 활용성 증대를 위해서 품질분석, 강수량 추정 기술 개발 |
‧범부처 활용을 위한 한국형 우적크기분포 모델 개발 ‧범부처 이중편파레이더 강수량 합성장 산출 개선 및 검증 ‧레이더- 우량계 기반 격자강수량 개선 및 제공 ‧범부처 레이더 통합 활용기술 개발 |
‧한국형 우적크기분포모델 기술 확보 ‧범부처 이중편파레이더 강수량 합성장 산출 기술 확보 ‧레이더- 우량계 기반 격자강수량 제공 ‧범부처 레이더 통합 활용기술 확보 |
870 |
O.4.3 |
A.1.1 |
O0105 |
4 |
4 |
연구용소형기상레이더 관측망 구축 및 운영기술 개발 |
‧광역 기상레이더로 탐지가 어려운 국지규모의 위험기상 탐지 및 활용기술 개발 |
‧연구용소형기상레이더 관측망 기반 저층 관측공백 감시기술 개발 ‧소형기상레이더 품질관리 기술 개발 ‧소형기상레이더 대기수상체분류 기술 개발 및 제공 ‧소형기상레이더 고해상도 3차원 바람장 산출 기술 개발 |
‧연구용소형기상레이더 관측기술 확보 ‧소형기상레이더 품질관리 기술 확보 ‧소형기상레이더 대기수상체 분류 기술확보 및 현업제공 ‧소형기상레이더 3차원 바람장 산출 기술 확보 |
1,848 |
O.4.4 |
A.1.1 |
O0105 |
기상위성자료 현업지원 기술개발 |
|||||||||
1 |
1 |
위성자료 서비스 지원체계 기반구축 |
○ 위성영상 웹표출 개선 및 해외 위성 자료 서비스 지원 |
○ 위성영상 웹표출 개선 소프트웨어 개발 및 자료 관리체계 개선을 통한 위성서비스 강화 ○ 신규 해외 위성자료 처리 체계 운영 및 개선을 통한 대내외 서비스 확대 ○ 지상 GNSS 기반 가강수량 생산 체계 개선 및 현업화를 통한 수치지원 업무 강화 |
○ 천리안 기상위성 2A호 품질 상세 정보표출 웹페이지 기능 구현 ○ 신규 천리안 기상위성 2A호 시스템과 기존 외국위성 자료처리 체계와의 운영 및 서비스 연동 체계 구축 ○ 수치지원용 위성자료 처리, 표출 및 검증 도구 개발 ○ WMO 연계 연구활동 웹사이트 개선 요구사항 수렴 및 반영 |
960 |
O.3.2 |
O0104 |
|
2 |
2 |
위성운영 및 활용기술 개발 협력연구기관 운영 |
○ 우주기상이 기상위성운영 및 기상‧기후에 미치는 영향 연구를 통하여 기상위성의 안정적 운영 및 선진 기상기술력 확보 |
○ 우주기상이 기상‧기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지자기 교란 예측용 인공 신경망 모델 개발 ○ 우주기상 예・특보 통보 시스템 개선 등 |
우주기상 정보 서비스 기술 확보 |
277 |
O.3.3 |
O0104 |
|
3 |
3 |
기상위성자료 영상품질유지 및 관리기술 개발 |
○ 천리안 위성 노후화 대비 영상품질 유지 연구 및 현업 적용을 통한 지속적 고품질 자료 생산 |
○ 천리안 기상영상 품질 관리 및 개선 ○ 천리안위성 가시/적외 채널 검보정 및 상호검정 기술기반 구축 ○ 수치모델 지원 위성자료 품질 검증 및 개선 |
○ 천리안 기상영상 품질 관리 및 개선 ○ 천리안위성 2A호 가시채널 검정기술 적용과 성능분석 ○ 천리안위성 2A호 적외채널 자료품질 개선 ○ 수치모델 지원 위성자료 품질 검증 및 개선 |
20 |
O.3.2 |
O0104 |
|
4 |
4 |
위성자료 예보분석기술 개발 |
○ 다채널 고해상도 위성자료를 이용한 태풍 등 위험기상 대응기술 개선 ○ 위성기반 예보지원 확대 및 활용 증대를 위한 가이던스 개발 |
○ AMV기반 위성 외삽예측영상 생산기술 개발 및 시험운영 ○ 위성 및 수치모델자료를 이용한 종관장 분석기술 개발 ○ 다채널 고해상도 위성자료를 이용한 초단기 예보 지원기술 개선 |
○ 위성 관측과 수치모델 예측 영상과의 위상 오차 및 편차 정보 제공을 통한 객관적 예보지원 ○ 위험기상 전조탐지를 위한 임계값 도출 및 가이던스 개발 |
493 |
O.3.1 |
O0104 |
|
5 |
5 |
위성자료 기후 및 융합기술 개발 |
태풍 등 위험기상 대응기술 개선 |
○ 마이크로파 위성기반 동아시아 정량강수 생산체계 구축 ○ 다채널 고해상도 위성자료를 이용한 위험기상 감시기술 개발 ○ 다채널 고해상도 위성자료를 이용한 태풍분석정보 산출 기술 고도화 |
○ 정량강수 산출 시스템(’19년) 구축 및 직수신 저궤도 자료처리 완료 후 활용 ○ 컴퍼스 기법 도입 및 적용(‘19년)을 통한 한반도 부근 태풍에 대한 개선된 태풍 중심 분석 활용 |
519 |
O.3.1 |
O0104 |
|
6 |
6 |
전지구 환경변화 감시기술 및 강수관측활용기술 개발 |
○ 다채널 고해상도 위성자료를 이용한 태풍 등 위험기상 대응기술 개선 ○ 위성기반 예보지원 확대 및 활용 증대를 위한 가이던스 개발 |
○ 마이크로파 위성기반 동아시아 정량강수 생산체계 구축 ○ 다채널 고해상도 위성자료를 이용한 위험기상 감시기술 개발 ○ 다채널 고해상도 위성자료를 이용한 태풍분석정보 산출 기술 고도화 |
○ 기계학습기반 정지궤도위성 강수/비강수 구분 기술개발 ○ 영상기 총가강수량 자료를 활용한 위험기상 진단기술 개발 ○ 종관자료기반 태풍중심위치 정확도 향상을 위한 보정기술 개발 ○ 태풍발달 단계별 태풍 강도- 중심기압 상관관계 통계분석 |
1,000 |
O.3.1 |
O0104 |
|
7 |
7 |
위성자료 수치예보활용지원 기술 개발 |
•천리안위성 2A호 위성자료의 수치예보 활용지원을 위한 기술 개발 |
•천리안위성 2A호 자료 수치예보 활용 현업화 지원기술 개발 •수치예보 활용지원을 위한 위성자료 품질 개선 연구 |
•천리안위성 2A호 대기운동벡터, 청천복사휘도 수치예보 활용지원 •수치예보 활용지원을 위한 천리안위성 2A호 산출물 평가 |
1,118 |
O.3.2 |
O0104 |
|
8 |
8 |
국가 우주기상 공동활용기술 개발 |
우주기상이 보건 및 위성아노말리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보 서비스 기술 개발 |
○ 비행고도 상에서의 우주방사선 관측 및 모델 비교 연구 ○ 천리안위성 2A호 우주기상 탑재체 산출물 활용 연구 |
천리안위성 2A호 관측자료 검정 기술 확보 |
488 |
O.3.3 |
O0104 |
|
9 |
9 |
정지궤도기상위성 3호 개발을 위한 사전연구 |
○ 천리안위성 1호 활성 성과 분석을 통한 기상임무 연속성 확보와 최적의 성과 도출을 위한 센서 선정 및 국산화 개발 방안 마련 |
○ 최초 기상임무인 천리안위성 1호의 운영 및 활용 성과 분석 ○ 기상임무 연속성 확보 및 위성자료 활용 극대화를 위한 센서 조사 ○ 정지궤도 적외탐지 센서의 국산화 개발 방안 조사 ○ WMO 우주기반 비전 2040에 부합하는 센서 선정 |
○ 국가 위성기반 기상임무 장기 로드맵 수립 |
<50> |
O.3.3 |
O0104 |
|
10 |
10 |
저궤도기상위성 마이크로파 탑재체 개발(II) |
○ 저궤도기상위성 마이크로파 탑재체(마이크로파 탐측기 및 GNSS- RO 탑재체) 기본설계 심화연구 |
○ 저궤도기상위성 위성 시스템 및 탑재체 기본설계 심화연구 ○ GNSS- RO 탑재체 기본 설계 및 핵심기술 국산화 연구 |
○ 저궤도기상위성 탑재체 사용자 요구 사항 기준마련 ○ 마이크로파 탑재체 핵심기술 지상모델 제작 ○ GNSS- RO 탑재체 기본설계 확보(비공개) ○ 저궤도기상위성 탑재체 독자기술 개발 로드맵 도출 |
<200> |
O.3.2 |
O0104 |
|
한국형수치예보모델개발(자체연구부분) |
|||||||||
1 |
1 |
한국형수치예보모델 현업화 지원 기술 개발 |
- 한국형수치예보모델의 현업화를 위한 기반기술 개발 - 통합형수치예보기술개발을 위한 기획 지원 |
- 한국형수치예보모델의 현업운영을 위한 기반기술 및 환경 구축 - 전지구 모델 자료동화 성능 향상 및 관측자료 활용기술 개발 - 관측자료 활용 및 전처리, 수치모델자료 가시화 기술의 통합 시스템 설계 - 통합형수치예보기술개발 예타업무 지원 |
- 한국형수치예보모델 안정적인 현업화 기반 조성한국형수치예보모델 후속사업인 통합형수치예보기술의 체계적인 추진기반 마련 |
542 |
F |
A.2.1 A.2.2 A.2.4 A.2.5 A.2.6 |
F0101 F0102 F0103 F0104 F0105 F0106 |
- 3 -
Ⅲ. 자체 연구개발사업 추진계획서 |
1 |
기상업무지원기술개발 연구 |
[ 국립기상과학원 미래전략연구팀장 ]
사업 개요
구분 |
내용 |
총사업기간 |
‘05~계속 |
총사업비 |
해당사항 없음 |
지원근거 |
지원근거 ※아래 내용 참조 |
지원형태 |
전액 국고 |
시행주체 |
기상청(국립기상과학원) |
□ 지원근거(법령상 근거)
근거 법률 |
근거법률 내용 |
1.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
제38조 (기후변화대응의 기본원칙) 대규모 자연재해, 환경생태와 작물상황의 변화에 대비하는 등 그 위험 및 재난으로부터 국민의 안전과 재산을 보호 제40조 (기후변화대응기본계획) 제48조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대책의 추진) 기상정보관리체계 구축ㆍ운영, 감시ㆍ예측의 정확도 향상 및 기후변화 영향 조사ㆍ분석 등의 연구, 기술 개발 추진 |
2. 자연재해대책법 |
제3조 (책무) 국가 및 재난관리책임기관의 책무 등 제58조 (방재기술의 연구ㆍ개발 및 방재산업의 육성) |
3. 우주개발진흥법 |
제17조 (위성정보의 활용) |
4. 해양수산발전기본법 |
제17조 (해양과학조사 및 기술개발 등) |
5. 기상법 |
제5조 (기상업무에 관한 기본계획의 수립 등) 제13조 (일반인을 위한 예보 및 특보) 및 제14조 (선박 또는 항공기에 대한 예보 및 특보) 기상청장은 일반인과 선박의 안전운항에 필요한 예보 및 특보 실시 제15조 (특보의 통보) 기상청장은 예보와 특보정보를 일반인과 관계기관에 통보 제18조 (기상조절의 금지) 기상청은 기상조절의 독점(허가)권을 가지며, 기상조절은 국가가 직접 수행할 기술연구사업으로 정의 제20조 (기후감시 등을 위한 노력 의무) 제21조 (기후감시 및 영향조사 등) 제32조 (기상업무에 관한 연구개발사업의추진) 제33조 (국제기상협력의 추진) |
6. 기상산업진흥법 |
<2009년 6월 제정, 12월 발효> 제4조 (기상산업 진흥 기본계획의 수립) 제9조 (연구개발사업의 지원) 제11조 (기상장비의 국제적 신뢰성 획득 지원) |
7. 기상관측표준화법 |
제4조 (기상관측의 표준화 추진) 제13조 5항 (기상측기의 검정 등) 민간 기상사업자가 개발한 장비에 대한 현장시험관측 지원 |
8.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 |
<대통령령 제22224호, (타)타법개정 2010.6.28.> 제3조 (장거리이동대기오염물질피해방지 종합대책 수립 등) |
- 4 -
정책지원 근거 |
주요 정책 |
1. 대통령 지시 사항(‘08.9) |
풍력발전소 건설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풍력지도를 만들 것 |
2. 100대 국정과제 세부사업 확정(‘08.10) |
1- 4- 17 대기오염 예·경보제 확대 2- 7- 32 기상‧기후 산업의 육성 8 과학기술을 통한 창조경제 기반 조성 83- 2 유비쿼터스형 국민 중심 안전망 구축(스마트형 위험기상 및 지진조기경보 정보 제공) 추진 86 총체적인 국가재난관리체계 강화 90- 1 기후변화 감시‧예측능력 확보 및 이상기후대응 능력 강화 이행 지원 93 기상이변 등 기후변화 적응 |
3. 기상청 주관 국정과제 실천계획(‘08.11) |
“기상기후산업육성“ 및 ”대규모 국토개발 사업에 따른 기후학적 조사 및 영향평가“ |
4. 국무총리실 『기후변화대응 종합기본계획 및 세부이행과제』(‘08.12) |
“국민의 삶의 질 제고와 환경개선” 분야 - 기후변화 감시·예측의 과학화 |
5. 환경부『국가 기후변화 적응 종합계획』(‘08.12) |
기후변화 위험평가 체계 구축 |
6. 녹색성장위원회『저탄소 녹색성장 추진방안』확정(‘09.2) |
녹색성장의 추진방향 : 8. 기후변화 재해에 적극 대응, 기상산업의 육성 및 GIS 기반 기술 개발 |
7. 녹색성장 5개년 계획, 10대 정책과제 중 기상청 주관 사업 반영(‘09.6) |
3. “기후변화 적응 역량강화 및 기상산업의 육성”, “기후산업의 육성 및 풍력·태양에너지 등 기상자원지도 개발” |
8. 녹색기술연구종합대책(‘09.1) |
27대 중점 육성기술 1. 기후변화 예측 및 모델링 개발 기술 |
9. 기후변화협약 |
제5조 (연구 및 체계적 관측) 제10조 (당사자의 공약이행을 통한 활동) |
10. 국방과학기술진흥실행계획(‘13~’27) |
5. 민군기술협력 활성화 |
11.. 국가기상지진기술 중장기 이행계획 |
기상산업 발전, 자연재해 저감 |
12. 기상청 기후업무발전 종합계획('11.1) |
녹색성장 기반 구축을 위한 신성장 동력 개발 지원 강화(도시환경 모니터링 및 모델 기술 개발) |
13.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2011- 15) |
폭염 및 자외선 적응, 알레르기 적응, 기후변화 현상 감시, 예측자료 생산, 한국형 예측모델 개발 분야 |
14. 제2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
도시 생태공간 확충 및 네트워크 강화 등 |
15. 기상업무발전 기본계획(‘12~’16) |
1- 1 위험기상 대응역량 강화, 과제 2- 1 기후변화 적응 정책 지원 3- 2. 사회·경제적 의사결정 지원체계 강화, 과제 5- 2. 기상문화 확산 수행 |
16. 기상R&D 5개년 기본계획(‘13~’17) |
1- 1 위험기상 목표관측 및 초단기 예측기술 고도화 2- 1 기상정보의 가치확산을 위한 기술융합 수행 3- 1 미래수요대응 핵심 요소기술의 혁신 |
17. 제2차 기후업무발전 종합계획(‘15~’19) |
1- ②: 탄소추적시스템 운영과 탄소이동량 감시 기반 구축 2- ①: 지구시스템모델 및 기후변화 시나리오 개발 2- ② 기상자원정보 개발 및 기후변화 응용정보 생산 기술 2- ③ 기후변화 건강 영향 평가 기술 개발 3- ①: 기후정보서비스 및 국가 기후정책 지원 강화 3- ②: 이상기후 대응 장기예보 품질 향상 |
18. 제3차 기상업무발전 기본계획(‘17~’21) 2017년도 세부과제별 시행계획 |
2- 2- 1. 기상현상의 사회·경제적 영향을 고려한 영향예보서비스 실시 2- 2- 2. 국민 안전을 위한 분야별 수요자 맞춤형 서비스 확대 5- 1- 1. 미래 수요 선제적 대응을 위한 연구개발 활성화_ 기상항공기를 활용한 기상조절 실험체계 기반 구축 |
19. 100대 국정과제 실천과제(‘17~’22) |
56- 4. 재난 예·경보 시스템 구축 61- 3. 기후변화 적응능력 제고 |
- 5 -
정책 연계성
○ 제3차 기상업무발전 기본계획(‘17~’21)
1- 1 예보기술력 향상 및 예보시스템 개선
1- 2 핵심 기상관측망 구축 및 기상장비 관리 강화(1- 2- , 1- 2- )
2- 2. 의사결정 지원 공공기상서비스 확대 (2- 2- , 2- 2- , 2- 2- )
4- 1. 기후변화 원인·감시·분석 강화를 위한 체계 구축(4- 1- )
4- 1. 국내외 기후변화 대응전략 수립을 위한 과학정보 제공 확대(4- 1- )
4- 2. 선진 장기예보 생산체계 구축 및 개선 (4- 2- )
5- 1. 신기술 및 융합 R&D를 통한 기상업무 선진화 (5- 1- )
○ 기상R&D 중장기 로드맵(2016)의 전략기술명
1. 차세대 관측기술 개발
4. 수요자 맞춤형 기상·기후 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데이터 활용 기술 개발
5. 차세대 기상관측장비 핵심기술개발
10.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단·중기 예보향상 기술개발
12. 환경기상 감시·분석·조기경보 시스템 구축
14. 계절내 규모 예측 연구
15. 급격한 기후변화 및 비선형성 연구
16. 지구시스템모델 프레임워크 구축
20. 기후변화 원인 물질 관측‧분석 기술 고도화 및 통합활용 체계 구축
○ 법정계획
기상법 제18조(기상조절의 금지)
기상법 제20조(기후감시 등을 위한 노력 의무)
기상법 제21조 (기후감시 및 영향조사 등)
기상법 제32조(기상업무에 관한 연구개발사업의 추진)
해양수산발전 기본법 제17조(해양과학조사 및 기술개발 등)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제38조(기후변화대응의 기본원칙)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제40조(기후변화대응기본계획)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제48조(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대책의 추진)
- 6 -
사업 최종목표
○ 융합(관측, 분석, 자료동화, 모델, 예측, 응용 등)과 다학제(기상학, 기후학, 해양학, 수문학, 생지화학 등)적인 접근이 필요한 전략적 연구개발을 선도하여 기상업무의 효율적 지원과 미래사회 기상이슈 대응 기술 기반 마련
그동안 성과
2014 |
o [예보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 기계학습기법을 이용한 특보가이던스 개선 등 초단기, 단‧중기 예보능력 향상 - 라디오미터, 윈드프로파일러, GNSS 등 첨단관측장비의 수치활용을 위한 자료 특성 및 품질 개선 연구 수행 - 모바일 관측차량 운영 및 활용을 통한 지상, 존데 GNSS 가강수량 관측 - 모바일 기상관측차량을 활용한 모바일 관측의 실용성 제고 o [관측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 종합기상탑 활용 안정적 자료생산 및 연구 기반 구축 - 종합기상탑을 이용한 하부경계층 기상현상의 변화 특성 분석 - 성층권 장기체공기 탑재용 기상센서 상세설계 - 무인기 설계 기준 제공을 위한 기상자료 분석 o [기후변화 예측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 육상‧해양 탄소순환과정이 결합된 지구시스템 모델을 이용한 CO2배출량 산정 기반 기술 확보 - 대기‧해양‧육상 시스템 간 탄소교환에 따른 전지구 탄소 수지규명 - 전지구 미래 순일차생산량(RCP3종), 해양산성화전망(RCP2종)산출 - IPCC AR6 대응 차기 지역기후모델 성능 향상을 위한 방법론 확보, 신뢰성있는 21세기 지역기후변화 예측에 기여 - 차기 CORDEX- East Asia Phase- II를 위한 실험 디자인, 분석이슈결정등 국제워크샵 개최로 CORDEX- 동아시아 주도 - 12개월 예측시스템 기반 구축 및 웹기반 진단표출 시스템을 통한 기상청 장기예보 지원 - 고해상도 기후예측시스템을 이용한 동북아 주요국가의 물자원 예측자료 산출 - FTS 온실가스 산출 알고리즘 개선‧검증 및 GOSAT 위성 CO2 산출 알고리즘 원형 개발 o [해양기상 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 ARGO 관측 자료를 활용한 해양 자료동화시스템 검증 및 민감도 평가 - 앙상블 자료기반의 지역 폭풍해일 예측시스템 구축 - 전지구 해양- 해빙 초기장 산출체계 구축 o [황사·연무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 환경‧기상 통합예보실 구축을 위한 감시 및 예보지원 - 황사·연무통합모델의 7일 예보체계 구축 완료 및 준현업운영 - 웹기반 황사·연무 통합 전·후방 추적시스템 구축 o [응용기상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 WRF 모델 기반 풍력예측시스템 개발 및 준실시간 운용 - 수자원 활용을 위한 레이더기반 상세 강수지도 개발 - 수문기상정보 산출을 위한 지면모델링 기술 개발 - 인공증설 실험 현장 적용성 제고 위한 실험기술 개발 - 강원도 일대 기상조절 실험효과 검증을 위한 지상관측망 구축 및 운영 |
2015 |
o [예보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 구름레이더, 우적계를 이용한 한반도 구름 및 강수 물리과정의 특성 파악 - 고해상도 수치모델 적용을 위한 구름분석 고도화 기술의 특성 및 구조 분석 - 구름레이더 등 첨단 장비를 이용한 위험기상 집중관측과 분석 - GNSS와 현업 라디오미터 등 비종관 관측망 자료 특성 분석 - 재해기상 통합수치모델 구축을 위한 UM 및 응용 모델(CReSS, WRF, WRF- Fire 등) 활용성 테스트 - 강원국지예보시스템 개선을 통한 표출시간 단축 및 강설유형 분석 시스템 개발 o [관측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 종합기상탑 활용 안정적 자료생산 및 연구 기반 구축‧개선 - 종합기상탑을 이용한 하부경계층 기상현상의 변화 특성 분석 - 종합기상탑과 현업수치모델 비교시스템 구축 - 성층권 무인비행체 탑재용 기상센서 부품 시험 제작 - 비행체 운항시나리오에 따른 성층권 기상 분석체계 개선 o [기후변화 예측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 새로운 기후변화시나리오 대응을 위한 독자 지구시스템모델 개발 - 지구환경한계 대응정보(에어로졸, 해양산성화, 순일차생산량, 생물다양성, 오존 등) 산출기술 확보 - 지역기후모델(HadGEM3- RA) 해상도변경(50km→25km)실험 설계 및 시험적분 - 한영 공동 계절예측시스템 GloSea5- GC2 도입 및 대기초기장에 따른 민감도 평가, 현업 단기예보모델과 장기예측모델의 S2S기간 예측성 비교 - 탄소추적시스템의 버전 업그레이드 및 2000- 2013년 전지구 탄소 흡수, 배출량 산출 o [해양기상 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 지역해양기상 특성 및 해양변동성 조사·분석 - 위성 산출 해양 염분 변동성 및 강수와의 관련성 분석 - 차기 버전 파랑예측시스템 시험운영 및 검증 - 앙상블 자료기반의 지역 파랑예측시스템 구축 - 한영 기상청 공동연구 기반 해양- 해빙 모델 및 자료동화 기법 개선 - 전지구 해양자료동화시스템 검증 및 시험운영 o [황사·연무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 서해상 3차원 황사‧연무 입체 특별관측 - 황사·연무통합예측모델 현업화 - 대기- 환경 양방향 예측모델(AQUM) 도입 o [응용기상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 장기예측자료의 생명기상모델(인지온도 등) 구동체계 구축 - 지면모델 기반 한계강우량을 활용한 자연하천 돌발홍수예측기술 개발 - 구름물리 관측기술개발 기반연구 수행, 구름물리 관측자료 통합분석시스템 개발 - 첨단 구름·강수 관측장비 시제품 개발 및 현장 시험운영 |
2016 |
o [예보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 오토존데 성능 검증 등 현업운영 지원을통한 고층관측시스템 고도화 - 국내·외 최신 기상기술·정책 동향 조사 및 분석 - 선진 기상기술·정책 정보 공유를 위한 정책보고서 발간 - 피해기반 DB개선 및 재해기상 영향 예보 기본 틀 구축; 기상 및 사회기반요소 적용을 통한 지역별 특보차등화 - 기상조건별 피해자료 재분배 및 교통사고 및 산사태 자료 추가 - 웹기반 의사결정지원시스템 설계를 통한 기상‧재해정보의 융합 활용성 제고 o [관측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 종합기상탑 활용 기술 개발을 위한 안정적 자료생산 및 연구 기반 구축 - 종합기상탑을 이용한 하부경계층 기상현상의 변화 특성 분석 - 종합기상탑 관측자료와 현업수치모델 산출자료의 비교시스템 구축 및 개선 - 성층권 장기체공기 탑재체 부품 및 시스템 제작 - 무인비행체 항행 지원을 위한 성층권 예측체계 시험운영 o [기후변화 예측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 IPCC AR6 대응 독자적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체계 구축 - 안정적인 시나리오산출을 위한 독자 백업 및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다양한 기후과정의 모의성능 평가 및 모델 개발 환류를 위한 진단‧평가시스템 구축 - 지구환경한계 대응정보(화산, 해염, 오존, 바이오매스 등) 산출기술 확보 - 계절내 변동의 원격상관성 분석(북극해빙, MJO, 성층권 돌연승온 등) 을 통한 계절내 예측성 관련 요소 발굴 - 극한기후 현상(태풍, 몬순 등)의 계절내 예측 진단체계 구축 및 예측성 평가 - 지상(FTS)관측을 통한 한반도 지역 위성CO2지상검증 기술 세계 1위 유지 o [해양기상 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 ARGO 플로트 투하·운영을 통한 전지구 해양감시 - 한반도 근해 수온과 염분 집중 관측 - 서해 냉수대와 저염수 분포 및 계절적 특성 분석 - 차기 전지구/지역/국지연안 파랑예측시스템 현업운영 - 전지구 해양자료동화시스템 구축 및 운영 o [황사·연무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 한- 미 협력 국내 대기질 공동관측 캠페인(KORUS- AQ) 참여 및 자료 활용 - 에어로졸 및 강수 물리‧화학 종합분석기반 구축을 위한 인프라 개선 - 환경기상(황사‧연무+지구대기) 감시 및 자료관리 기반기술연구 - 에어로졸 관측자료를 이용한 자료동화 기반 체계 구축 o [응용기상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 생명기후영향분석시스템 식생 냉각효과 모델 개선 - 참나무 꽃가루 확산예측시스템(UM- CMAQ- Pollen) 개발 및 개선 - 농업기상 중기예보 활용을 위한 작황모델 모의기반 구축 - 통계적 다운스케일링을 적용한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 미래 상세 풍력기상자원지도 산출 - 현업모델 기반 고해상도 기상자원 예측시스템 구축 및 준 실시간 운영 - 공항 현업 국지기상(300m 해상도) 예측시스템 구축 - 공항 활주로 주변 상세바람(10m 해상도) 정보 산출 - 현업모델 기반 동아시아/전지구 수문기상정보 산출 및 가뭄 대응 활용기술 개발 - 현업 지면모델 JULES 기반 전국 수문기상정보 산출체계 기반 구축 - 한계강우량 기반 돌발홍수예측기술 전국유역 확대적용 및 검증 - 기상- 수문 결합모델을 활용한 수문기상정보 산출기술 개발 - 인공증설(우) 실험 확대 수행 및 검증 강화 |
2017 |
o [예보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 현업 연직바람관측장비 관측품질 정량화 - 드론을 활용한 기상관측 기반 조성 및 대기경계층 변화 특성 연구 - 국내·외 최신 기상기술·정책 동향 조사 및 분석 - 선진 기상기술·정책 정보 공유를 위한 정책보고서 발간 - 평창연구용장비(MRR, PARSIVEL, ORG, GNSS)를 활용한 강수특성 분석 - 강설사례 분석을 통한 강설유형 분석 및 눈 밀도를 산출 기법 개발 o [관측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 종합기상탑과 현업수치모델 비교시스템 구축‧개선 - 종합기상탑과 현업수치모델 비교검증 - 고고도 장기체공시범기 탑재용 초경량 저전력 기상센서 개발 - 다목적 기상항공기를 활용한 위험기상, 온실가스 등 항공관측 기반 구축 - 다목적 기상항공기 관측자료 표출시스템 구축 o [기후변화 예측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 지구시스템모델 기반 국제표준 규준실험(CMIP6 DECK) 수행 및 기후민감도 평가 - AR6 대응 기후변화 시나리오 관리 및 활용을 위한 대용량 스토리지 구축 - 기후모델자료를 활용한 한반도 기후변화(물순환, 해수면상승 등) 분석 - 재분석자료 강제력을 적용한 고분해(25 km) 지역기후모델의 기후모의 성능평가 - 장기예측시스템 예측장을 활용한 확률예보 신뢰도 산출 및 검증 - 동아시아 몬순 및 태풍 계절내 예측 진단체계 고도화 및 검증 - 장기예측시스템 해양/지면 초기화 과정 개선 및 예측성 진단을 위한 강제력별 표준 실험 체계 구축 - 항공관측 자료동화를 적용한 탄소추적시스템 구축 및 2000- 2016전지구 탄소 흡수‧배출량 산출 - FTS 자동화 및 항공관측고도 확대(5km→9km)를 통한 위성‧항공‧지상 CO2 분석 및 검증 o [해양기상 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 앙상블 파랑예측 체계 구축 및 개선 - NEMO 모델 기반 폭풍해일 예측시스템 기반 구축 - 파 처오름 예측을 위한 기반기술 개발 - 위성 관측자료 추가 적용을 통한 전지구 해양 초기장 개선 - 전지구 해양 초기 및 예측장에 대한 ARGO 자료 영향 평가 - 선박 관측자료 확대 수집 및 근해 해양 분석 o [황사·연무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 현업예측모델과 병행하는 영국기상청 대기화학모델 시험운영 실시 - 수도권 지역의 상세(수평해상도 1.5km) 황사·연무 예측정보 생산 시험운영 실시 - 현업예측모델 개선을 위한 에어로졸 원격관측자료 동화기법 적용 - 기상장과 배출량 자료를 이용한 황사·연무 확률예측정보 생산 - 황사·연무 등 국내 에어로졸에 의한 시정기여도 반응식 산출 - 에어로졸 관측자료 품질 안정화를 위한 국제기준 품질관리 기준 적용 o [응용기상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 서울 건물밀집도를 고려한 폭염- 건강위험도 지도 개발 - 심층신경망 기반 참나무 꽃가루 알레르기 예측모델 개발 및 현업화 - 현업국지예측시스템과 도시기상모델(MORUSES) 결합 및 실시간 운영 - 현업국지예보모델 기반 풍력자원 단기예측시스템 실시간 운영·검증 - 현업계절예측시스템 활용 풍력기상자원 계절 전망 산출 체계 구축 - 현업모델 예측자료를 활용한 수문기상정보 산출체계 구축 및 개선 - 장기예측시스템(GloSea5) 내 수문- 해양 결합 모듈 개선 및 영향 분석 - 인공증설·증우 실험지역 확대(평창→평창·경기·충청) - 기상조절 검증용 구름·강수 관측장비 성능평가 - UM 기반 공항 국지기상(300m 해상도) 실시간 운영체계 구축 - 현업 국지앙상블 예측시스템 기반 대기하층 기상정보 산출기술 개발 |
2018 |
o [예보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 한반도 호우 유형에 따른 현업 국지예보모델 집중호우 예측경향 분석 - 단일기둥모델을 활용한 한반도 행성경계층 민감도 검증체계 구축 - 재분석자료 기반 동아시아 대표 날씨유형 분류(30개) - 기상센서 탑재 드론을 활용한 보성 지역 대기하층 관측 및 국지기상 특성분석 - 기상정보활용 및 가치창출 지원 연구 - 다학제 융합기반 기술개발 - 정책전략 개발 및 기획연구 - 재해기상 감시‧분석‧예측 기술 개발 및 활용연구 - 재해(위험)기상 추적‧목표관측 체계 구축 및 활용연구 - 재해기상 메커니즘 분석 및 고해상도 수치모델시스템 실용화 연구 o [관측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 보성 표준기상관측소 내 ARM 사이트 관측 체계 구축 - 여름철 집중관측 수행을 통한 단일기둥모델 강제력 산출 및 진단용 관측자료 생산 - 집중관측 자료를 활용한 한반도에서 발생하는 하부 대기경계층 대표 유형 분류 - 기상항공기 활용기술 개발연구 - 구름물리 등 항공관측 기반연구 - 위험기상 항공관측 및 관리체계 구축 - 대기 상층 공기질 감시와 기후 영향 분석 - 연직 이산화탄소와 메탄에 대한 항공위성·모델의 종합 비교분석 o [기후변화 예측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 (국정)지구시스템모델(K- ACE) 기반 새로운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 - (국정)지상 FTS와 온실가스 위성(OCO- 2) 분석 확대(6개소→25개소) - 에어로졸 등 지구환경정보 산출 실험체계 구축 및 시나리오 진단·분석 체계 개선 - 관측자료 분석을 통한 「한반도 100년의 기후변화」발간 - CMIP6 강제력 활용 지역기후모델 인터페이스 개발과 CMIP5 강제력 지역 시나리오 산출 - CORDEX- EA 자료센터 홈페이지 개선 및 최신기술(ESGF) 적용 자료배포체계 연계 - 기후예측시스템 현업 운영·개선 및 활용기술 개발 o [해양기상 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 (국정)전지구 해양자료동화시스템 구축 및 현업 운영 - 앙상블 지역 파랑예측시스템 현업화 o [황사·연무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 서해상에서의 환경기상 항공/해상/지상 통합관측 수행 - 통계기법을 이용한 고농도 에어로졸의 발생원인 추적 - 황사·연무 및 기후변화감시 등 환경기상관측자료 DB화 체계 개선 - 에어로졸, 반응가스, 온실가스 등 환경기상 관측자료 품질관리기술 개선 - 위성관측 AOD 자료동화 기법이 적용된 황사·연무예측모델 운영 - 현업 황사·연무통합예측모델 예측성 평가를 통한 황사발원 알고리즘 진단 및 개선 - 동아시아 황사발원 알고리즘이 적용된 UM 전구모델 예측성 평가 - 다양한 확산예측모델을 이용한 앙상블 예측체계 구축 o [응용기상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 한국형 인지온도 기반 전국 지역별 인체 열 스트레스 평가 - 수도권 도시기상모델 해상도 상세화(300m) 구축 및 도시정보 개선 - 고해상도(100m) 풍력‧태양광 기상자원지도 생산 및 분석 - 실시간 한반도 기상자원 예측정보 개선 - 현업 국지앙상블 예측시스템(LENS) 기반 공항 윈드시어 확률예측 정보 산출 - 다학제 융합연구 추진을 통한 미래전략 기상기술의 가치 제고 - 응용기상연구를 위한 관측장비(구름자동관측장비 등) 개선 |
- 7 -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구분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ㅇ 기상업무지원기술개발연구 |
17,339 |
14,866 |
15,877 |
21,167 |
22,698 |
내·외부 지적사항
ㅇ 심상정의원 보도자료(2015.9.14.) - 현업 기술개발 외에도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기초연구 필요 ㅇ 국정감사(2015) - 고령인구 등을 고려한 폭염피해 증가 모델링을 전국으로 확대 시행하고 관련 보고서를 관계기관과 공유할 것. 폭염 시 실외작업 노동자가 휴식할 수 있도록 폭염특보 정보를 사업장 관리자에게 제공 등 필요(장하나 위원) -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자까지 고려한 맞춤형 지수 개발 필요(민현주 위원) ㅇ 국정감사(2017) 국내 최초로 국산화한 파랑수치예보모델에서 관측자료를 활용하지 못함(김삼화의원) 황사예측모델에 환경부 관측자료를 활용하고, 한국형수치예보모델과 연계함으로써 정확도를 제고할 것(김삼화의원) ㅇ 국정감사(2018) - 꽃가루 알레르기 정보 세분화, 예측정보 향상 및 서비스강화 필요(송옥주 위원) ㅇ 감사원 지적(2017) 해상예보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해양기상 관측자료를 활용하기 위한 자료동화 기법을 파랑수치예보모델에 적용하는 방안을 마련(2017년) ㅇ 문제점 지적에 대한 후속조치 파랑자료동화 기술개발에 관한 계획수립(2017.9.20.) 파랑 자료동화 기술 개발 및 파랑 자료동화 기법 개선 및 현업체계 구축 추진 환경부 대기오염관측자료 및 원격관측자료 활용 체계 구축 추진 ㅇ ‘14년도 미래창조과학부의 자체사업 중간평가에 대한 상위평가 결과 - 예보기술지원 및 활용연구(보통) - 기후변화 예측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보통) - 관측‧지진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보통) ㅇ ‘16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상위평가보고서 결과 - 고고도장기체공시범기 기상센서탑재 및 활용기술개발(보통) - 응용기상기술개발연구(보통) |
- 8 -
※ 청·차장 지적사항
구분 |
내용 |
담당부서 |
청장 |
∙본청 정책과 연계된 과학원 업무추진 방향 설정 필요 - 2019년 주요업무에 대한 전체적 프레임 제시 - 2019년 주요 선결과제 제시 |
미래전략연구팀 |
∙현업 지원 연구 강화 필요 - 나열식 연구업무 제시를 지양하고, 현업(예보, 관측, 기후, 서비스) 지원 중심의 연구 강화에 촛점 ※ ➀ 한국형 기상기후 지수 개발(예보 최종목표, 기후 엘리뇨 지수) ➁ 한국 아열대 기후화 관련 과학적 기초정보 제공 역할 확대 ➂ 관측장비 개발 등 관측업무 지원 확대 ➃ 상세 기상예측모델에서의 한국형 모수화 개발 등 |
관측예보연구과 기후연구과 지구시스템연구과 환경기상연구과 응용기상연구과 |
|
∙APCC 업무이관 관련 과학원 대책 수립 필요 - APCC 예산, 인력에 대한 후속조치 마련 - APCC 연구성과 활용 방안 마련 |
기후연구과 지구시스템연구과 |
|
∙특이기상연구센터와의 협업방안 마련 필요 - 연구성과 관리 및 활용 방안 마련 |
관측예보연구과 지구시스템연구과 미래전략연구팀 |
|
∙기상항공기 활용 미세먼지 저감대책 지원 방안 마련 필요 |
응용기상연구과 환경기상연구과 |
|
∙드론운항에 대한 효율적 기상지원 연구 필요 |
관측예보연구과 응용기상연구과 |
|
∙우수 연구인력 확보 방안 수립 필요 |
연구기획운영과 |
|
∙도시농림사업단 기상 관측장비 후속 활용 대책 수립 필요 |
응용기상연구과 |
|
차장 |
∙과학원 업무 방향 개선 필요 - 예보, 관측 현업 중심으로 사업부서별 연계 강화 - 과학원 대표 연구사업 발굴 추진 및 실질적 성과관리 필요 |
미래전략연구팀 |
∙APCC 업무이관 관련 과학원 대책 수립 필요 |
기후연구과 지구시스템연구과 |
|
∙응용기상정보 지원 개선 필요 - 기 개발된 기술(꽃가루 예측 등) 민간 이양 추진 - 더위체감지수 등을 통합할 수 있는 폭염지수 개발 지원 |
응용기상연구과 |
|
∙첨단 기상관측 장비 운용 개선 - 항공기, 기상관측선을 사전에 능동적으로 운용 필요 ※ ➀ 태풍 유입시 기상항공기 관측 ➁ 기상1호 활용 표류부이 관측 지원 등 |
관측예보연구과 지구시스템연구과 |
|
지적 사항 반영 |
∙ 지적사항을 주요업무계획에 반영 |
|
- (예보국)현업화 사업조기 완료(‘19년 여름 이전), 세부사항 업무 조정 필요, 대설 관련 연구 추진 제고(낮은 중요도) |
관측예보연구과 |
|
- (기후과학국) 장기예보 정확도 관련 모델 연구 과학원 추진, 모델 분석 추가 지원 요청, 기후변화 AR6 대응 공동 준비 |
기후연구과 지구시스템연구과 |
|
- (수치모델링센터) 집중호우 모수화 개선 요청, 국지모델 용어 통일(→지역모델), S2S ICO 사업 관리 개선 |
관측예보연구과 지구시스템연구과 |
|
- (기상서비스진흥국) 생활기상지수 서비스 만족도 공동 제고 |
응용기상연구과 |
|
- (관측기반국) 본청 관측망 추가, 관측자동화, 도농장비 활용. 항공기·선박 운용, 표준기상관측소 장비 개발, 모바일 관측차량, 기존장비 효용성 등 관측업무 관련 연구 지원 확대, 과학원 실험동 고층(존데) 현업관측 지원 필요 |
관측예보연구과 |
|
- (기획조정관) 강풍특보 관련 고도별 바람 예측정보 생산기법 개발 필요(태풍시 철탑, 고층빌딩 등 위험정보 지원) |
관측예보연구과 응용기상연구과 |
|
∙기상청 연구개발 총괄 기능 과학원 이전 방안 마련 - 특이기상센터, 학계와의 협력 방안 - 예보에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큰 틀에서 기상청 연구개발 사업 운영방안 마련 |
미래전략연구팀 관측예보연구과 지구시스템연구과 |
|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한 수의계약 자제 ∙출장 관련 문제점 해결 방안 마련(기획조정관실 주관) |
연구기획운영과 |
- 9 -
2018년도 추진 실적
1. 2018년도 대표 성과
○ 기상항공기를 활용한 학·연 공동 입체관측 및 관측자료 활용 기반 구축
- 서해상 학·연 공동 환경기상 항공/해상/지상 통합관측 수행(4∼6월)
※ 고농도 미세먼지 사례(4.18, 4.20)에 대한 에어로졸의 기원 추정 및 물리화학 특성의 공간적 분포 제시(12월 언론홍보 추진 예정)
- 기상항공기 관측자료의 온라인 처리 및 품질관리 시스템 개발(11월)
※ 위험기상·구름물리 등 4개 임무별 관측장비 제작사 점검 및 검‧보정 실시(4회 수행)
※ 관측자료 준실시간 활용을 위해 웹기반의 자료수집·처리·품질관리 기능 개발·적용
○ 표준기상관측소의 안정적 운영과 하부경계층 감시·활용능력 강화
- 한반도에서 발생하는 하부 대기경계층 대표 유형 분류(6, 9월)
※ 집중관측 자료를 활용한 대기경계층 유형 분류(모델결과 → 관측자료 기반 분류)
※ 관측장비 5종 활용: 라디오존데, 플럭스, 구름레이더, 운고계, 윈드라이다
※ (총 85회)1유형: 20, 2유형: 25, 3유형: 19, 4유형: 13, 5유형: 2, 6유형: 6, 7유형: 0
○ 드론, 시정현천계의 관측 및 활용성 연구 강화
- 보성 지역 대기하층 특성분석을 위한 기상 드론 관측(9월)
※ 해안- 산악 지형에서 입체적 관측 수행(포인트 관측 → 입체관측)
※ 3 지점(해안가, 산기슭, 산중턱), 5개 고도(10, 60, 140, 220, 300m), 총 153회
- 시정현천계 현천 비교 관측 및 분석을 통한 품질 개선(12월)
※ AWS(습도, 강수량) 활용 시 시정현천계 현천(연무, 박무, 안개) 정확도가 개선됨을
확인(CSI 기준 Haze 68.4%, Mist 79.2%, Fog 74.8%)
○ 모바일 관측차량을 이용한 재해기상 관측·분석 기술 연구
- 평창 동계올림픽 WMO RDP 대응을 위한 집중관측과 분석 및 올림픽 파견 예보관 지원(’17.12월)
※ 관측 및 기상 지원 ; 기간: 4개월(’17.12∼’18.3), 지점: 5지점(속초, 면온, 대관령, 보광, 정선)
※ 관측기간 강설사례 선정 및 사례분석서 작성(4개 사례)
- 10 -
○ 기후변화 대응 관련 온실가스 입체관측·감시 정보 지원
- 위성관측(OCO- 2) CO2의 시공간 특성 분석 및 정보 제공(6월)
※ 국정과제 61- 3 관련, 분석정보의 기후정보포털- 종합기후변화감시정보시스템 표출 지원
○ 환경기상 감시 및 분석 역량 강화
- 에어로졸 세계표준센터 적합성 평가를 통한 관측환경 개선(3월)
※ 유입공기 제습상태 감시(온습도 센서 설치) 및 수농도 측정장비 검정(표준입자 도입)체계 운영
○ 국지예보모델 현업 활용성 제고를 위한 한반도 특화 강수물리 모수화 개발 추진
- 한반도 호우 유형별 국지예보모델 집중호우 예측경향 분석(12월)
※ 여름철(JJA 2016- 2018) 호우 유형별 국지예보모델 강수예측성 평가(CSI)
→ 한랭형호우(169건) : 46.2%, 온난형호우(204건) : 33.1%
- 단일기둥모델을 활용한 한반도 행성경계층 민감도 검증체계 구축(12월)
※ 2018년 하계 집중관측자료 기반의 단일기둥모델 고해상도(3시간) 강제력자료 생산(10월)
※ 모델예측/관측진단 변수 비교‧검증 체계 구축(12월)
○ 한반도 위험기상 발생 메커니즘 규명으로 진단적 예측기술 연구
- 현업 중기예보 정확도 향상을 위한 동아시아 주요 날씨유형 분류(6월)
※ 재분석자료 기반 동아시아 지역 대표 날씨유형 선정(30개)
- 예보국의 중기예보가이던스 시험운영 웹페이지 적용(9월)
※ 정량적 정성적 성능 평가를 통해 현업 적용 여부
○ 현업 해양기상 예측기술 개발 및 개선
- 앙상블 지역 파랑 예측시스템 개발 및 현업화(10월)
※ 단일모델보다 앙상블평균 예측치가 48- 72시간의 경우 RMSE 9- 17% 감소
○ 현업 황사·연무 예측체계 개선
- 식생지수 최신화 및 환경부 관측자료 확대(1시간 간격 자료동화) 적용(6월)
※ 국내 PM10 농도 RMSE 25.9% 감소(평가기간: 2017.3.∼4.)
- 위험물질(화산재, 방사성 물질 등) 비상대응을 위한 웹기반 확산예측체계 확대 운영(8월)
※ (현행) HYSPLIT(미국), NAME(영국) → FLEXPART(노르웨이 기상연구소 확산모델) 추가
※ 고양 유류저장고 화재 시 확산예측결과 지원
- 11 -
○ 관측자료의 수치예보 영향평가체계 구축 및 활용
- 드롭존데 관측정보의 수치예보 영향평가 연구(11월)
※ VDAPS 모델 내 드롭존데 활용 시 3∼6시간 예측 결과 하층(1000∼700 hPa)에서 0.5∼1.0 m/s 개선
○ 장기예보 현업모델 개선
- 장기예보 정확도 향상을 위한 기후예측시스템 지면, 해양 초기화 개선(10월)
※ 지면초기화: (기존) 기후값 → (개선) 준실시간 재분석자료 기반 지면분석자료
※ 해양초기화: (기존) 영국기상청 → (개선) 자체 자료동화 기반 해양분석자료
- 이상기후 진단능력 강화를 위한 기후 강제력별 표준 실험체계 구축(12월)
※ 기후강제력 4종(대기, 해양, 지면, 해빙)에 대한 표준 실험체계 구축
○ 기후예측시스템을 활용한 물순환의 이해와 가뭄 분석기술 개발
- 고해상도 하천유출모델(전지구 15km 해상도) 적용을 통한 기후예측시스템 수문기상요소 모의성능 향상(9월)
○ 국제표준 기후실험체계(CMIP6)에 따른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
- 지구시스템모델 기반 국제표준 전지구 기후변화 시나리오 4종(탄소배증, 과거기후, 미래전망 2종) 생산(12월)
※ 국정과제 61- 3의 2019년 주요성과인 “전지구 기후변화 전망 보고서” 작성 위한 원천자료 확보
- 관측자료를 활용한 한반도 기후변화 추세 분석(9월)
※ “한반도 100년의 기후변화” 보고서 발간 및 언론인 기상강좌('18.8.16.) 등 홍보 수행
○ 기상자원(풍력, 태양광) 정보 산출 및 항공기상 예측기술 개발
- 고해상도(100m) 태양광 기상자원 단기예측정보 실시간 산출 및 빅데이터플랫폼 서비스(기상서비스진흥국) 지원(12월)
- 공항 저층윈드시어(LLWS) 예측시스템 개발 및 기술 이전(항공기상청)(해상도 300m, 1월)
○ 구름관측자동관측 장비 기술 개선 및 소형화 (12월)
- 기존 구름자동관측장비의 정확도 및 소형화 개선을 통한 상용화 가능한 자동운량/운고관측 기술확보
- 12 -
○ 한국인 폭염건강 영향모델 기반 폭염영향예보 지원
- 생명기후분석시스템(BioCAS) 폭염- 건강위험 평가지도 개선
※ 서울시 10m 해상도 지도: 기온(‘17) → 인지온도(’18, 기온·습도·일사·풍속 종합화)
- 전국 및 서울시 폭염- 건강영향예보 시스템 시범 운영
※ 현업 앙상블 예측(LENS) 기반 인지온도 및 건강위험도 생산
2. 2018년도 실적 자체 평가
(예보기술지원및활용연구)
○ 2018년도 목표 및 달성정도
- (목표) 연구결과의 예보국 현업지원을 위해 현업정책 기여도 평가점수 77 및 논문 영향력지수 1을 목표로 함
· 날씨유형 기반 중기예측 가이던스 개발 지원 (예보국)
· 한반도 집중호우 유형별 국지예보모델의 수치편차 제공 (예보국)
- (달성정도) 현업정책 기여도 평가점수 80, 논문영향력 지수 9 달성
· 날씨유형 기반 중기예측 가이던스는 현재 선진예보시스템에 적용되어 있으며 ‘19년 1월 시험운영을 거쳐 3월부터 현업운영 예정
· 한반도 집중호우 유형별 국지예보모델 수치편차 분석 결과 제공
○ 개선 보완사항
- 「날씨유형 가이던스」 현업화(2019년 예정)를 위하여 예보구역별 호우 시 날씨유형 분류 및 주요기상인자 분석을 통한 상세정보 제공이 필요함.
(관측기술지원및활용연구)
○ 2018년도 목표 및 달성정도
- 보성 표준기상관측소를 기반으로 한 집중관측 체계를 구축하고, 집중관측을 수행함으로써 단일기둥모델의 강제력 및 진단용 관측자료 생산
○ 개선 보완사항
- 해당 사항 없음
- 13 -
(기후변화예측기술지원및활용연구)
○ 2018년도 목표 및 달성정도
- AR6 기후변화 시나리오 개발‧평가 및 장기예측시스템개발
- 성과목표 달성도
성과지표 |
지표가중치 |
목표치 |
달성치 |
달성률 |
기후변화시나리오 계획대비 생성률 |
50% |
4건 |
4건 |
100% |
논문 영향력 지수 |
50% |
10.3점 |
15점 |
145% |
○ 연구 성과에 대한 자체평가
- 자체개발 지구시스템모델(K- ACE) 기반의 새로운 온실가스경로(RCP- SSP)에 의한 기후변화 시나리오 생산 ⇒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 국제 프로젝트(CMIP6)의 수혜국에서 기여국이 되었음. ⇒“제3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정책”등 새로운 국가 정책 수립을 위한 과학적 원천 자료 확보 - 한영협력을 통한 기후모델(UKESM) 기반의 CMIP6 공동실험체계 구축 ⇒ 세계적 수준의 기후변화 예측기술 확보,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다원화로 예측 불확실성 평가 가능 - 「한반도 100년의 기후변화」보고서 발간 및 홍보 ⇒ 현재 진행되고 있는 한반도 기후변화 정보의 제공으로 정책 대응 및 국민의 알권리 충족 - 온실가스 위성- 지상(FTS) 검증 확대 및 기술 고도화 추진 ⇒ 온실가스 위성(OCO- 2) 분석의 기후정보포털 표출에 따른 한반도 온실가스 정보 다양화 기여 ⇒ FTS 장비 개선으로 관측 정확도(99.99%) 확보 및 탄소관측기술 국제특허 확보(영,불,독) ⇒ 안면도 FTS 관측사이트 자료 분석에 관한 우수 논문 게재(인용 800건 이상,`18.3.~11.) 등 과학적 성과 |
○ 개선 보완사항
- 해당사항 없음
(해양기상기술지원및활용연구)
○ 2018년도 목표 및 달성정도
- 현업 파랑예측 모델의 예측성 제고를 위하여 전구 파랑모델의 개선연구를 수행하여 현업대비 유의파고 RMSE가 약 8% 감소하는 등 성과목표를 달성함. 또한 기후예측시스템 예측정확도 개선율은 3.2%로 개선율 목표치 1%에 대비하여 100% 달성하였으며, 초기화기법 개선 등을 통해 기후예측시스템 자체 운영기술 기반을 확보함.
- 14 -
○ 개선 보완사항
- 기후예측 신뢰도 향상을 위한 기후예측시스템 및 전지구 해양자료동화시스템 지속 개선과 국내 연구개발 결과의 현업화를 위한 협업체계가 필요함.
(황사연무기술지원및활용연구)
○ 2018년도 내역사업별 목표 및 달성정도
- (황사·연무 기술지원 및 활용연구) 황사·연무 예측모델의 예측성 제고를 위해 기상청 관측지점에 대한 예측성 평가 시 기존 현업예측모델 대비 RMSE가 30%정도 감소하는 성과를 달성하였으며, 학연공동으로 서해상 입체관측(항공/선박/지상) 수행을 통해 고농도 미세먼지 사례에 대한 관측 및 분석 기반을 마련함.
○ 개선 보완사항
- 서해상 입체관측을 위한 기반이 마련되어 향후에는 장거리 이동물질의 특성 규명을 위한 참여기관 확대 등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함.
(응용기상기술지원및활용연구)
○ 2018년도 목표 및 달성정도
- 가치 지향의 응용기상 정보 산출
성과지표 |
지표가중치 |
목표치 |
달성치 |
달성률 |
논문 영향력지수(점) |
0.5 |
14 |
18 |
129% |
응용기상업무지원기술 개선 및 활용도(점) |
0.5 |
3.5 |
3.67 |
105% |
○ 개선 보완사항
- 응용기상기술지원및활용연구
‧현재 서비스 중인 응용 기상기후 정보들은 대국민 수요분석 부족과 지속적 평가 환류 체계 미비로 인해 활용도가 낮음
‧국민 체감형 응용생활기상지수 개발 추진 필요함
- 15 -
2019년도 추진 계획
(예보기술지원및활용연구)
1. 2019년도 목표
○ 국지관측자료를 이용한 위험기상 분석
○ 현업 관측장비 활용성 증대 및 첨단 관측 기술개발
2. 2019년도 주요 추진내용
○ 한반도 위험기상 예측기술 고도화
- 한반도 호우유형별 국지예보모델 예보 활용 가이드라인 개발
- 한반도 폭염 시 날씨유형 분류 및 특성 분석
- 예보구역별 호우 시 날씨유형 분류 및 주요기상요소 분석
- 한반도 강수물리과정 진단체계 구축
○ 현업 관측장비 활용성 증대 및 첨단 관측 기술개발
- 수치모델 개선 기반자료 생산을 위한 보성 표준기상관측소 집중관측 수행
- 집중관측 기반 한반도 발생 하부 대기경계층 유형 분석
- 시정현천계 현천별 정확도 개선 및 현천 관측 자동화 추진 방안 검토
○ 드론을 활용한 기상관측기술 개발
- 드론을 활용한 해안- 산악지형에서의 입체적 관측 수행 및 분석
- 드론 기체정보를 포함한 관측자료처리기술 개발
(관측기술지원및활용연구)
1. 2019년도 목표
○ 표준기상관측소 관측자료를 활용한 중규모 위험기상 현상 감시 및 분석을 위한 관측체계 구축‧활용
○ 최적 융합된 초단기 예보 정보 생산 기술 개발
○ 한반도 대설 메커니즘 분석 및 예측성 연구
○ 위험기상 추적·목표관측체계 운영 및 활용
○ 기상항공기를 활용한 국내 운형별 연직 구름입자 특성 산출 및 실시간 인공증우(설) 수치모델링 기술 개선
2. 2019년도 주요 추진내용
○ 수치모델 개선 기반 자료 생산을 위한 보성 표준기상관측소 집중관측 수행
○ 집중관측 기반 한반도 발생 하부 대기경계층 유형 분석
○ 고해상도 모델 기반 초단기 예측시스템 초기모형(Proto- type) 체계 구축
○ 모바일기상관측차량 기반 집중관측자료 생산ㆍ분석 체계 구축
○ 위험기상 및 응용특화(도로기상)기상 특별관측자료의 활용 강화
- 16 -
○ 기상조건에 따른 강설유형 분류 및 눈 밀도 산출 기법 개선
○ 강설 예측성 향상을 위한 대기수상체 미세물리 특성 분석
○ 계절별 구름 (층운, 적운 등)관측을 통한 구름입자관측 특성 분석
항공관측자료와 레이더, 위성, 지상관측자료 등의 비교를 통한 운형별 구름의 입체적 특성 분석
○ 실시간 인공증우(설) 예측시스템 개선 및 기상항공기, 지상관측자료 등과의 비교를 통한 수치모델 검증
(기후변화예측기술지원및활용연구)
1. 2019년도 목표
○ 기후변화예측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AR6 기후변화시나리오 개발‧평가)
- 새로운 온실가스 농도경로 기반 신규 시나리오 및 지상- 항공- 위성 기반 온실가스 관측 등 국가 정책 지원 및 IPCC 기여를 위한 과학정보 산출
2. 2019년도 주요 추진내용
○ 기후변화예측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AR6 기후변화시나리오 개발‧평가)
- 지구시스템모델 개발‧평가
•지구시스템모델(K- ACE) 활용, RCP- SSP 기반 전지구 앙상블 시나리오 생산 및 분석
- 지구시스템모델 탄소순환 진단 및 검증체계 구축
•위성- 항공- 지상 연계 탄소 입체 감시정보 산출
- 전지구 및 동아시아 지역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ㆍ분석
•영국기상청 기후모델(UKESM) 활용한 RCP- SSP 기반의 전지구 앙상블 시나리오 생산 및 국제표준 실험에 근거한 에어로졸- 기후과정의 분석
•신규 시나리오 기반의 『전지구 기후변화 전망 보고서』 발간
•CMIP6 강제력 활용 동아시아 지역기후 시나리오 생산 및 CORDEX- EA 자료센터 운영
- 성과목표
성과지표 |
지표가중치 |
목표치 |
비고 |
기후변화시나리오 계획대비 생성률 |
50% |
6건 |
|
논문 영향력 지수 |
50% |
10.6점 |
- 17 -
- 연구개발 추진 전략 및 방법
세부과제명 |
- AR6 기후변화 시나리오 개발 및 평가 |
추진전략 |
- 새로운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생산‧평가‧환류 체계 강화 |
추진방법 |
- (생산)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체계 기능 개선 및 강화 ※ 모델수행 모니터링 및 장애 대응, DB 연계 후처리과정 및 진단 매트릭스 보완 ※ 연도별 시나리오 생산(4건(`18), 6건(`19), 2건(`20), 2건(`21)) - (평가) AR6 대응 미래 전망 분석‧평가 및 기후변화정보 다원화 ※ 온난화 추세 및 극한기후 평가, 에어러솔, 해수면상승 등 영향 분석 - (환류) 다원화된 기후변화 정보의 전달체계 구축 ※ 학계, 유관기관 사용자를 위한 협의체 구성 및 포럼, 워크숍 개최 ※ 시나리오 표출시스템, 자료센터 개선ㆍ운영 통한 자료 활용성 및 접근성 향상 |
(해양기상기술지원및활용연구)
1. 2019년도 목표
○ 전지구 해양기상 예측기술 고도화를 통한 효율적인 해양환경 감시
○ 장기예보 규모 예측기술 개발과 과학기반 정보 산출
○ 현업 기후예측시스템 개선 및 최적앙상블 구성 적용
○ 고해상도 지면- 수문 결합을 통한 기후예측시스템 물순환 과정 진단 및 개선
○ 학계, 특이기상연구센터, APCC와 공동 연구개발을 위한 협업체계 구성
2. 2019년도 주요 추진내용
○ 전지구 해양자료동화시스템의 현업운영 및 핵심모델과 자료동화 기술 개선
○ 차세대 지역 폭풍해일 예측시스템의 현업화와 통합 국지연안 파랑예측
시스템 기반 구축
○ 장기예측 성능 개선을 위한 현업 기후예측시스템 기후기간 연장, 앙상블
멤버 수 및 스프레드 방안 개선
○ 고해상도 지면- 수문 결합모델 활용 홍수와 가뭄 예측정보 산출
○ 기후예측모델 개선을 위한 외부개발자(APCC, 학계 등)와 공동개발운영 프레임 기반 구축
(황사연무기술지원및활용연구)
1. 2019년도 목표
○ 황사·연무 감시 및 분석역량 강화를 위한 서해상 항공/해상/지상 통합입체관측 기술 개발
- 18 -
○ 황사·연무 확률예측체계 운영 및 앙상블기반의 자료동화 기법 적용
○ 한반도 대기조성물질 관측자료의 고품질 자료 생산 기술 개발
2. 2019년도 주요 추진내용
○ 항공/선박/지상 종합관측 절차 체계성 확립을 통한 감시기술 기반확보
○ 황사 등 장거리 이동성물질에 대한 연직 및 지상(해상) 통합관측 수행 및 관측결과 종합분석 기술 연구
○ 황사·연무 확률예측정보 실시간 생산
○ 현업 황사·연무통합예측모델 초기장 개선을 위한 앙상블기반 자료동화 기법 적용
○ 한반도 대기조성물질 관측자료의 통합관리 체계 구축 및 고품질 자료 생산
(응용기상기술지원및활용연구)
1. 2019년도 목표
○ 국민 체감만족도 향상을 위한 응용기상정보 산출 기술 개선
2. 2019년도 주요 추진내용
○ 더위체감지수 알고리즘 개선 및 평가 결과 지원
○ 알레르기 유발 꽃가루 실측(관측)정보 제공
○ 도시기상관측망 연직관측자료로 수도권 하층대기 분석 프로세스 개발을 통한 자료 활용성 확대
○ 빅데이터플랫폼 서비스를 위한 풍력 기상자원 단기예측정보 실시간 생산
○ 고해상도(100m) 공항기상예측정보 산출 기술 개발 및 항공청 이전
○ 응용기상연구를 위한 관측장비 (구름자동관측장비 등) 상용화를 위한 특허 기술개발
- 19 -
(1) 2018년 추진내용과의 비교(예산 증/감액 또는 전년동일 사유)
구 분 |
2018년 |
2019년 |
증감 사유 |
□기상업무지원기술개발연구 |
14,866백만원 |
15,877백만원 |
- |
▪ 예보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
2,716 ▪위험기상에 대한 분석·예보의 융합기술 고도화(1,722) - 국지관측자료를 이용한 위험기상 분석(1,347) - 드론을 활용한 기상관측 기술개발(375) ▪기상정보활용 및 가치창출 지원연구(400) - 다학제 융합기반 기술개발(200) - 정책전략 개발 및 기획연구(200) ▪재해기상 감시‧분석‧예측기술 개발 및 활용연구(594) - 재해(위험)기상 추적‧목표관측체계 구축 및 활용연구(394) - 재해기상 메커니즘 분석 및 고해상도 수치모델시스템 실용화 연구(200) |
1,724 ▪ 위험기상에 대한 분석·예보의 융합기술 고도화(1,724) - 국지관측자료를 이용한 위험기상 분석(1,349) - 드론을 활용한 기상관측 기술개발(375) |
△992 ·기상정보활용 및 재해기상 내역사업 변경에 따른 감소 |
▪ 관측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
2,309 ▪표준기상관측 및 활용연구(360) - 종합기상탑 활용기술개발(360) ▪다목적 기상항공기 활용기술개발연구(1,949) - 구름물리 등 항공관측 기반연구(1,229) - 위험기상 항공관측 및 관리체계 구축(320) - 대기 상층 공기질 감시와 기후 영향 분석(300) - 연직 이산화탄소와 메탄에 대한 항공위성‧모델의 종합 비교 분석(100) |
2,623 ▪표준기상관측 및 활용연구(360) - 종합기상탑 활용기술개발(360) ▪ 재해기상 감시‧분석‧예측기술 개발 및 활용연구(594) - 재해(위험)기상 추적‧목표 관측 체계 구축 및 활용연구(394) - 재해기상 메커니즘 분석 및 고해상도 수치모델시스템 실용화 연구(200) ▪ 기상항공기 활용기술개발 연구 (1,669) - 구름물리 등 항공관측 기반연구(889) - 위험기상 항공관측 및 관리체계 구축(278) - 대기 상층 공기질 감시와 기후 영향 분석(337) - 연직 이산화탄소와 메탄에 대한 항공위성‧모델의 종합 비교 분석(165) |
314 ·재해기상 내역사업 변경에 따른 증가 +594백만원 ·항공기 사업내용 변경에 따른 감소 - 280백만원 |
- 20 -
구 분 |
2018년 |
2019년 |
증감 사유 |
▪ 기후변화 예측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
5,044 ▪AR6 기후변화시나리오개발‧평가(3,714) - 지구시스템모델개발‧평가(655) - 지구시스템모델 탄소순환 진단 및 검증 체계 구축(642) - 전지구 및 지역 기후변화시나리오 산출과 분석(2,417) ▪장기예측시스템 개발(1,330) - 장기예측시스템 운영·개선 및 활용기술 개발(1,330) |
3,257 ▪ AR6 기후변화시나리오 개발‧평가(3,257) - 지구시스템모델개발 평가 (155) - 지구시스템모델탄소 순환 진단 및검증 체계 구축 (400) - 전지구 및 지역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과 분석(2,702) |
△1,787 ·스토리지 유지보수비 +285백만원 ·장기예측시스템 개발 △2,072백만원 |
▪ 해양기상 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
1,023 ▪해양기상 감시 및 차세대 해양예측시스템개발(1,023) - 해양변동성 감시 및 자료동화시스템 개선(698) - 기상청 현업 해양기상모델 개선(325) |
3,352 ▪ 해양기상 감시 및 차세대 해양예측시스템 개발(1,030) - 해양변동성 감시 및 자료동화시스템개선 (698) - 기상청 현업 해양 기상모델개선(332) ▪장기예측시스템 개발 (2,322) - 장기예측시스템 운영·개선 및 활용 기술개발 (2,322) |
2,329 ·‘장기예측시스템 개발’ 이관(+1,330백만원) 및 연구개발심의위원회(2018.12.17.)심의결과에 따라 +992백만원 재배정 ·‘기상청 현업 해양기상모델개선’ 7백만원 자체배정(332백만원) |
▪ 황사·연무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
1,497 ▪황사·연무 감시 및 예보기술개발(1,497) - 동아시아 황사 종합감시능력 향상(997) - 황사·연무통합예측모델 및 예측기술 개발(500) |
1,747 ▪ 황사·연무 감시 및 예보기술 개발(1,245) - 동아시아 황사 종합 감시능력향상(997) - 황사·연무통합예측모델 및예측기술개발(250) ▪ 한반도 대기조성물질 관측 및 분석기술 개발(500) - 한반도 대기조성물질 장기변화특성 연구(500) |
250 ·미세먼지 대응 강화를 위한 「한반도 대기조성물질 관측 및 분석기술 개발」 과제 추진 +500백만원 ·장기예보지원강화 △250백만원 |
- 21 -
구 분 |
2018년 |
2019년 |
증감 사유 |
▪ 응용기상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
2,277 ▪생명·산업기상기술개발(2,277) - 생명‧농림기상 기술개발(1,027) - 기상자원 기술개발(540) - 항공기상 지원 기술 개발(710) |
3,174 ▪ 생명·산업기상기술개발 (2,874) - 생명·농림기상 기술개발 (1,734) - 기상자원 기술개발(540) - 항공기상지원 기술개발 (600) ▪ 기상정보 활용 및 가치 창출지원연구(300) - 다학제 융합기반기술 개발(200) - 정책전략 개발 및 기획 연구(100) |
897 ·생명·산업기상기술개발 연구 +597백만원(도시기상관측망 등) ·기상정보 활용 및 가치 창출지원연구 내역사업 이관 +300백만원 |
(2) 장비 도입 계획
○ 기상청 기상기자재 도입 심의여부(○,×) ※ 3천만원 이상 장비
○ 과기정통부 연구장비예산 심의여부(○,×) ※ 1억원 이상 장비
(단위: 백만원) |
||||||||
장비명 |
구축연도 |
구축 비용 |
기상기자재도입 심의 |
연구장비예산 심의 |
관련연구 과제번호 |
|||
시작 |
종료 |
타당성 판정 결과 |
비고 |
타당성 판정 결과 |
비고 |
|||
계 |
- |
- |
- |
- |
- |
|||
항공용광학입자계수기 |
2019 |
2019 |
40 |
심의예정 |
- |
- |
- |
4- 3 |
연직강우레이더 |
2019 |
2019 |
75 |
심의예정 |
4- 1 |
|||
스카이라디오미터(1조) |
2019 |
2019 |
80 |
○ |
계측기술과- 3311(2018.12.17.) |
- |
- |
8- 1 |
광흡수계수측정기(1조) |
2019 |
2019 |
50 |
○ |
″ |
- |
- |
8- 1 |
(3) 2019년 내역사업별 예상 대표성과
(가) 예보기술지원및활용연구
○ 한반도 위험기상 예측기술 고도화
- 한반도 호우 유형별(한랭형/온난형) 국지예보모델 활용 가이드라인 개발
※ 방재기간(JJA 2019) 집중호우 유형에 따른 국지예보모델 강수예측성 평가 수행
- 집중관측을 활용한 한반도 강수 유발 행성경계층 특성 분석
- 날씨유형 기반의 중기예측 가이던스 개발 지원
- 22 -
○ 현업 관측장비 활용성 증대 및 첨단 관측 기술개발
- 시정현천계 현철별 정확도 개선 및 검증 연구를 통한 현천 관측자동화 정책에 필요한 기술 이전 실시(‘19년)
- 창원 자동비양관측장비 활용성과 분석 및 도입 추진에 대한 과학적 근거 제공
○ 국내 개발 기상드론 성능 평가 및 활용 방안 도출
(나) 관측기술지원및활용연구
○ 수치모델 미세물리 및 경계층 모수화 개선 지원을 위한 한반도 대기경계층 내의 고품질 관측자료 확보
○ 최적관측망 구축을 통한 모바일 기상관측자료의 실시간 예보지원
○ 관측자료기반 눈밀도 산출을 통한 적설 예측 지원
○ 부서간 협업을 통한 초단기 예보 정보 생산 기술개발
(다) 기후변화예측기술지원및활용연구
○ AR6 기후변화시나리오 개발‧평가
- (국정) AR6 대응 신규 기후변화 시나리오 생산에 따른 『전지구 기후변화 전망 분석보고서』발간
- (국정) 지상- 항공- 위성 기반 탄소 입체관측 분석 정보
(라) 해양기상기술지원및활용연구
○ 전지구 해양 자료동화시스템의 핵심모델 및 자료동화 기법 개선으로 해양- 해빙 초기장 품질향상
○ 차세대 지역 폭풍해일예측시스템 현업화로 기상청 해상예보 지원
○ 대기- 해양- 해빙 결합모델 현업운영과 기상청 장기예보 지원을 위한 앙상블 예측자료 생산
○ 기후모의 기간 연장, 앙상블멤버 및 스프레드 개선으로 기후예측시스템 신뢰도 향상
○ 지면모델(JULES) 특성 진단 및 고해상도 지면모델 개선으로 기후예측시스템 활용성 증대
○ 기후예측모델 개선을 위한 외부개발자(APCC, 학계 등)와 공동 개발·운영 프레임 기반구축
- 23 -
(마) 황사연무기술지원및활용연구
○ 항공/선박/지상 입체관측자료 종합표출체계 구축 및 감시기술 기반확보
○ 통계기법을 이용한 에어로졸 오염원별 시공간적 기여도 변화 분석
○ 황사·연무 확률예측정보를 이용한 가이던스 개발 및 제공
○ 앙상블 기반의 자료동화기법이 적용된 황사·연무 예측결과 시험제공
○ 한반도 대기조성물질 관측자료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및 고품질 감시자료 제공
(바) 응용기상기술지원및활용연구
○ 개선된 보건기상 현업모델(알레르기 유발 꽃가루 관측, 모델 검증·개선)
○ 기계학습이 적용된 농업기상정보 산출 기술 (해상도 향상 및 특화모델)
○ 수도권 도시기상관측망 관측자료 표출시스템
○ 고해상도(100m) 풍력‧태양광 기상자원 단기예측정보 실시간 생산 기술
○ 현업 수치자료 기반 공항 윈드시어 경보 정보 산출 기술
○ 기상기후정보의 가치 확대를 위한 정책정보노트 및 정책지 발간
○ 응용기상연구를 위한 관측장비(구름자동관측장비 등) 상용화를 위한 특허출원
- 24 -
별첨1 |
내역사업별 추진계획 |
1. 예보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가. 목적
○ 한반도 위험기상 예측기술 고도화
○ 현업 관측장비 활용성 증대 및 첨단 관측 기술개발
○ 드론을 활용한 기상관측 기술개발
나.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
○ 한반도 위험기상 예측기술 고도화
- 한반도 호우 유형별 국지예보모델 집중호우 예측경향 분석(‘18)
- 단일기둥모델을 활용한 한반도 행성경계층 민감도 검증체계 구축(‘18)
- 객관적 군집분석을 이용한 동아시아 지역 대표 날씨유형 분류 및 특성 분석(’18)
○ 현업 관측장비 활용성 증대 및 첨단 관측 기술개발
- 시정현천계 현천 비교 관측 및 분석을 통한 품질 개선(‘18)
- 한반도에서 발생하는 하부 대기경계층 대표 유형 분류(‘18)
- 라디오미터 모의 자료 산출 기법 원형 개발 및 관측자료 비교(‘18)
○ 드론을 활용한 기상관측 기술개발
- 드론을 활용한 기상관측 기반 조성 및 대기경계층 변화 특성 연구(‘17)
- 기상센서 탑재 드론을 활용한 보성 지역 대기하층 관측 및 국지기상 특성분석(`18)
다. 투자현황
(단위: 백만원) |
||||||
내역사업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예보기술 지원 및 활용기술개발 |
14,355 |
3,267 |
2,716 |
1,724 |
3,324 |
3,324 |
라. 2019년 추진 연구과제 목록
(단위: 백만원) |
||||||
과제 번호 |
연구과제명 |
연구 (용역)비 |
연구기간 |
수행부서 |
중복성 검토 |
용역필요성 및 직접수행과의 차별성 |
1 |
위험기상에 대한 분석·예보의 융합기술 고도화 |
1,724 |
'19.1.~'19.12. |
관측예보연구과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1- 1 |
국지관측자료를 이용한 위험기상 분석 |
1,349 |
'19.1.~'19.12. |
관측예보연구과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1- 2 |
드론을 활용한 기상관측 기술개발 |
375 |
'19.1.~'19.12. |
관측예보연구과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25 -
마. 과제담당관 및 참여연구원 현황
연구과제명 |
소속기관 및 부서 |
참여연구원 수 |
위험기상에 대한 분석·예보의 융합기술 고도화 |
국립기상과학원 관측예보연구과 |
(정직)15 + (연구원)6 |
국지관측자료를 이용한 위험기상 분석 |
국립기상과학원 관측예보연구과 |
(정직)13 + (연구원)5 |
드론을 활용한 기상관측 기술개발 |
국립기상과학원 관측예보연구과 |
(정직)2+(연구원)1 |
- 26 -
바. 연구과제별 추진계획
1 |
위험기상에 대한 분석·예보의 융합기술 고도화 |
관측예보연구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한반도 위험기상 예측기술 고도화
○ 현업 관측장비 활용성 증대 및 첨단 관측 기술개발
○ 드론을 활용한 기상관측 기술개발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한반도 위험기상 예측기술 고도화
- 라디오미터, 윈드프로파일러, GNSS 등 첨단관측장비 수치활용을 위한 자료 특성 및 품질개선 연구수행(’11)
- 기계학습기법을 이용한 특보가이던스 개선 등 초단기, 단·중기 예보능력 향상(’14)
- 고해상도 수치모델 적용을 위한 구름분석 고도화 기술의 특성 및 구조 분석(’15)
- 한반도 집중호우 유형별(한랭형/온난형) 국지예보모델 수치편차 제공(’18)
- 객관적 군집분석을 이용한 동아시아 지역 대표 날씨유형 분류 및 특성 분석(’18)
○ 현업 관측장비 활용성 증대 및 첨단 관측 기술개발
- 구름레이더, 우적계를 이용한 한반도 구름 및 강수 물리과정의 특성 파악(’15)
- 오토존데 성능 검증 등 현업운영 지원을 통한 고층관측시스템 고도화 추진(’16)
- 현업 연직바람관측장비 관측품질 정량화(’17)
- 성층권 장비체공 무인기 탑재용 기상센서 개발 사업 수행(‘13~’17)
- 라디오미터 모의 자료 산출 기법 원형 개발 및 관측자료 비교(‘18)
○ 드론을 활용한 기상관측 기술개발
- 드론을 활용한 기상관측 기반 조성 및 대기경계층 변화 특성 연구(‘17)
- 기상센서 탑재 드론을 활용한 보성 지역 대기하층 관측 및 국지기상 특성분석(`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 라디오존데 고층관측 자동화를 위한 창원 오토존데 현업화(관측정책과, ‘16)
- 날씨유형 기반 중기예측 가이던스 개발 지원(예보기술과, ’18)
- 드론활용 기상관측기술 개발(관측기반국, `18)
- 27 -
○ 예보기여도
활용분야 |
활용내용 |
예보 |
◦[중기예보] 날씨유형 기반 중기예측 가이던스 개발 지원(’18) - 재분석자료 기반 동아시아 대표 날씨유형 분류(30개) 및 물리적 특징 분석 정보 제공(’18) - 선진예보시스템을 통해「날씨유형 가이던스」 현업화 예정(’19) ※ 현재 선진예보시스템에 적용(http://172.29.110.64/~hunter3789/Weather_test/)되어 있으며 ’19년 1월 시험운영을 거쳐 3월부터 현업운영 예정 ◦[예보] 한반도 집중호우 유형별 국지예보모델 수치편차 제공(’18) |
예보 지원 |
◦[관측] 드론관측 플랫폼 구축 지원(`18)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한반도 위험기상 예측기술 고도화
- 한반도 호우유형별 국지예보모델 예보 활용 가이드라인 개발
- 예보구역별 호우 시 날씨유형 분류 및 주요기상요소 분석
- 한반도 폭염 시 날씨유형 분류 및 특성 분석
- 국내 집중관측 자료 기반 개념모델 구축 및 강수물리 진단용 관측자료 생산
- 한반도 강수물리과정 진단체계 구축
○ 현업 관측장비 활용성 증대 및 첨단 관측 기술개발
- 지상 라디오미터 장비특성 연구 통한 관측 정확도 개선
- 시정현천계 현천별 정확도 개선 및 검증
- 창원 라디오존데 자동비양관측장비 활용성과 분석
○ 드론을 활용한 기상관측 기술개발
- 드론을 활용한 해안- 산악지형에서의 입체적 관측 수행 및 분석
- 보성 종합기상탑 등을 활용한 드론 기상관측 정확도 분석
- 드론 기체정보를 포함한 관측자료 처리 기술 개발
<연구비산정 기준>
- 위험기상에 대한 분석·예보의 융합기술 고도화(1,724백만원)
(인건비) 41백만원 × 13인 = 533백만원
(시험연구비) 652백만원, (자산취득비) 69백만원
(일반용역비) 150백만원, (연구용역비) 320백만원
- 현업 관측장비 활용성 증대 및 첨단 관측 기술개발(1,349백만원)
(인건비) 41백만원 × 11인 = 451백만원
(시험연구비) 389백만원, (자산취득비) 39백만원
(일반용역비) 150백만원, (연구용역비) 320백만원
- 드론을 활용한 기상관측 기술개발(375백만원)
(인건비) 41백만원 × 2인 = 82백만원
(시험연구비) 263백만원, (자산취득비) 30백만원
- 28 -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한반도 호우유형별 국지예보모델 활용 가이던스 개발 지원(예보기술과)
- 활용계획 : 기술이전(‘19년) 실시 및 활용부서의 국지예보모델 활용 가이던스 시스템 구축 완료(’20년) 후 시험운영을 거쳐 활용 예정
○ 단일기둥모델 기반 한반도 강수물리모수화 개선(안) (수치자료응용과)
- 활용계획 : 활용부서의 한국형 국지예보모델 개발 계획 수립 지원(‘19)
○ 시정현천계 현철별 정확도 개선 및 검증 연구
- 활용계획 : 현천 관측자동화 정책에 필요한 기술 이전 실시(‘19년)
○ 창원 자동비양관측장비 활용성과 분석을 통한 도입 추진에 대한 과학적 근거 제시
- 활용계획 : 즉시활용(‘19년)
○ 국내 개발 기상드론 성능 평가 및 활용 방안 도출(관측정책과, 계측기술과)
- 활용계획 : 국내 개발 기상드론 관측정확도 평가(`19)로 즉시 활용
○ 선진예보시스템 예보가이던스 개발에 활용(예보국)
- 활용계획: 한반도 위험기상(호우, 폭염)을 지배하는 대표 날씨유형 분류 결과의 예보 가이던스 반영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
중간성과 점검 |
최종성과 평가 |
연구비결산 |
연구보고서 작성 |
|||
1,724 |
1월 |
6월 |
11월 |
12월 |
12월 |
1월~12월 |
(7) 기타
○ 해당사항 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09~계속
(2) 총 연구과제비: 해당사항 없음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위험기상에 대한 분석·예보의 융합기술 고도화 |
11,816 |
1,722 |
1,722 |
1,724 |
3,324 |
3,324 |
※ 2020년 이후 수치모델링센터(집중호우(장마 등) 심층분석 및 수치모델의 강우예측성 향상 연구 600백만원) 이관됨.
- 29 -
1- 1 |
위험기상에 대한 분석·예보의 융합기술 고도화 - 국지관측자료를 이용한 위험기상 분석 |
관측예보연구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한반도 위험기상 예측기술 고도화
○ 현업 관측장비 활용성 증대 및 첨단 관측 기술개발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한반도 위험기상 예측기술 고도화
- 라디오미터, 윈드프로파일러, GNSS 등 첨단관측장비 수치활용을 위한 자료 특성 및 품질개선 연구수행(’11)
- 기계학습기법을 이용한 특보가이던스 개선 등 초단기, 단·중기 예보능력 향상(’14)
- 고해상도 수치모델 적용을 위한 구름분석 고도화 기술의 특성 및 구조 분석(’15)
- 한반도 호우유형별(한랭형/온난형) 지역예보모델 활용 가이드 제시(’18)
- 객관적 군집분석을 이용한 동아시아 지역 대표 날씨유형 분류 및 특성 분석(’18)
○ 현업 관측장비 활용성 증대 및 첨단 관측 기술개발
- 구름레이더, 우적계를 이용한 한반도 구름 및 강수 물리과정의 특성 파악(’15)
- 오토존데 성능 검증 등 현업운영 지원을 통한 고층관측시스템 고도화 추진(’16)
- 현업 연직바람관측장비 관측품질 정량화(’17)
- 성층권 장비체공 무인기 탑재용 기상센서 개발 사업 수행(‘13~’17)
- 라디오미터 모의 자료 산출 기법 원형 개발 및 관측자료 비교(‘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 라디오존데 고층관측 자동화를 위한 창원 오토존데 현업화(관측정책과, ‘16)
- 한반도 한랭형/온난형 호우 유형별 국지예보모델 수치편차 분석결과 제공(예보기술과, 예보분석과, ’18)
- 날씨유형 기반 중기예측 가이던스 개발 지원(예보기술과, ’18)
○ 예보기여도
활용분야 |
활용내용 |
예보 |
◦[중기예보] 날씨유형 기반 중기예측 가이던스 개발 지원(’18) - 재분석자료 기반 동아시아 대표 날씨유형 분류(30개) 및 물리적 특징 분석 정보 제공(’18) - 선진예보시스템을 통해「날씨유형 가이던스」 현업화 예정(’19) ※ 현재 선진예보시스템에 적용(http://172.29.110.64/~hunter3789/Weather_test/)되어 있으며 ’19년 1월 시험운영을 거쳐 3월부터 현업운영 예정 ◦[예보] 한반도 집중호우 유형별 국지예보모델 수치편차 제공(’18) |
- 30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한반도 위험기상 예측기술 고도화
- 한반도 호우유형별 국지예보모델 예보 활용 가이드라인 개발
- 예보구역별 호우 시 날씨유형 분류 및 주요기상요소 분석
- 한반도 폭염 시 날씨유형 분류 및 특성 분석
- 국내 집중관측 자료 기반 개념모델 구축 및 강수물리 진단용 관측자료 생산
- 한반도 강수물리과정 진단체계 구축
○ 현업 관측장비 활용성 증대 및 첨단 관측 기술개발
- 지상 라디오미터 장비특성 연구 통한 관측 정확도 개선
- 시정현천계 현천별 정확도 개선 및 검증
- 창원 라디오존데 자동비양관측장비 활용성과 분석
<연구비산정 기준>
- 현업 관측장비 활용성 증대 및 첨단 관측 기술개발(1,349백만원)
(인건비) 41백만원 × 11인 = 451백만원
(시험연구비) 389백만원, (자산취득비) 39백만원
(일반용역비) 150백만원, (연구용역비) 320백만원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한반도 호우유형별 국지예보모델 활용 가이던스 개발 지원(예보기술과)
- 활용계획 : 기술이전(‘19년) 실시 및 활용부서의 국지예보모델 활용 가이던스 시스템 구축 완료(’20년) 후 시험운영을 거쳐 활용 예정
○ 단일기둥모델 기반 한반도 강수물리모수화 개선(안) (수치자료응용과)
- 활용계획 : 활용부서의 한국형 국지예보모델 개발 계획 수립 지원(‘19)
○ 시정현천계 현철별 정확도 개선 및 검증 연구
- 활용계획 : 현천 관측자동화 정책에 필요한 기술 이전 실시(‘19년)
○ 창원 자동비양관측장비 활용성과 분석을 통한 도입 추진에 대한 과학적 근거 제시
- 활용계획 : 즉시활용(‘19년)
○ 선진예보시스템 예보가이던스 개발에 활용(예보국)
- 활용계획: 한반도 위험기상(호우, 폭염)을 지배하는 대표 날씨유형 분류 결과의 예보 가이던스 반영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
중간성과 점검 |
최종성과 평가 |
연구비 결산 |
연구보고서 작성 |
|||
1,349 |
1월 |
6월 |
11월 |
12월 |
12월 |
1월~12월 |
- 31 -
(7) 기타
○ 해당사항 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09~계속
(2) 총 연구과제비: 해당사항 없음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국지관측자료를 이용한 위험기상 분석 |
6,741 |
1,347 |
1,347 |
1,349 |
1,349 |
1,349 |
- 32 -
1- 2 |
드론을 활용한 기상관측 기술개발 |
관측예보연구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드론을 활용한 기상관측 기술개발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
○ 드론을 활용한 기상관측 기반 조성 및 대기경계층 변화 특성 연구(‘17)
○ 기상센서 탑재 드론을 활용한 보성 지역 대기하층 관측 및 국지기상 특성분석(`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 드론활용 기상관측기술 개발(관측기반국, `18)
○ 예보기여도
활용분야 |
활용내용 |
예보 지원 |
◦[관측] 드론관측 플랫폼 구축 지원(`18)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보성 종합기상탑 등을 활용한 드론 기상관측 정확도 분석
- 드론을 활용한 해안- 산악지형에서의 입체적 관측 수행 및 분석
- 보성 종합기상탑 등을 활용한 드론 기상관측 정확도 분석
- 드론 기체정보를 포함한 관측자료 처리 기술 개발
<연구비산정 기준>
- 드론을 활용한 기상관측 기술개발(375백만원)
(인건비) 41백만원 × 2인 = 82백만원
(시험연구비) 263백만원, (자산취득비) 30백만원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국내 개발 기상드론 성능 평가 및 활용 방안 도출(관측정책과, 계측기술과)
- 활용계획 : 국내 개발 기상드론 관측정확도 평가(`19)로 즉시 활용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
중간성과 점검 |
최종성과 평가 |
연구비 결산 |
연구보고서 작성 |
|||
375 |
1월 |
6월 |
12월 |
12월 |
12월 |
1월~12월 |
- 33 -
(7) 기타
○ 해당사항 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17~계속
(2) 총 연구과제비: 해당사항 없음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드론을 활용한 기상관측 기술개발 |
1,875 |
375 |
375 |
375 |
375 |
375 |
- 34 -
2. 관측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가. 목적
○ 표준기상관측 및 활용 연구
○ 기상항공기를 활용한 구름‧강수 활용력(인공강우 등) 확보
- 기상항공기를 이용한 구름 및 강수의 관측능력 향상 및 인공증우(설) 기술확보
나.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
○ 표준기상관측 및 활용 연구
- 종합기상탑 활용 기술 개발을 위한 안정적 자료생산 및 연구 기반 구축‧개선(‘14- ‘17)
- 종합기상탑을 이용한 하부경계층 기상현상의 변화 특성 분석(‘14- ‘17)
- 종합기상탑 관측자료와 현업수치모델 산출자료의 비교시스템 구축‧개선(‘15- ‘17) 및 비교검증(‘16- ‘17)
- 보성 표준기상관측소를 기반으로 한 집중관측 체계 구축, 집중관측 수행을 통한 단일기둥모델의 강제력 및 진단용 관측자료 생산(‘18)
- 집중관측 자료를 활용한 한반도에서 발생하는 하부 대기경계층 대표 유형 분류(‘18)
○ 재해기상 감시·분석·예측기술 개발 및 활용연구
- 예비특보지역 목표관측 수행, 하계 장마기간 집중관측수행(‘17- ‘18)
- 고층관측자료(강원 영동폭우, 태풍 솔릭 및 콩레이) 분석 및 활용연구 (‘18)
- 평창동계올림픽, WMO RDP 대응을 위한 집중관측과 분석 지원 (‘17- ‘18)
- 모바일 기상관측차량 자료 QC 프로그램 개발 및 수행(‘17)
- 강설유형 분석 및 눈 밀도 산출 기법 개발 (‘17- ‘18)
- 모바일 기상관측차량을 활용한 지상관측과 폭염관측 (‘18)
- 강설사례 분석을 통한 강설유형 분석 및 눈 밀도 산출 기법 개발 (‘17)
- 강원국지예보시스템 산출변수 다양화 및 모니터링 시스템 개선 (‘17)
- 재해기상사례 분석을 통한 수치모델 활용연구 및 사례분류를 통한 예측성 평가 (‘17- ‘18)
○ 기상항공기 활용기술개발 연구
- 한반도 배경지역 온실가스 프로파일 관측(12회/년) 수행(`16~17)
- 온실가스 항공관측자료를 사용한 FTS 및 위성과의 비교분석 및 검증(`16)
- 항공관측용 응결입자계수기, 에어로졸입자계수기를 사용한 서해안, 서울, 강릉지역의 배경대기 에어로졸 항공관측 수행(‘16)
- 드롭존데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낙하지점 추정 알고리즘 개발(‘16)
- 연구용 기상항공기 관측자료 표출시스템 구축(‘17)
- 기상항공기 관측자료 품질관리 수행 및 분석기술 개발(‘17)
- 35 -
- 위험기상 최적 관측전략 개발(‘17)
- 항공 관측자료 표준형식 체계 구축(‘17)
- 항공기 관측 자료를 활용한 해상에서의 통합모델 자료 검증(‘18)
- G- band 라디오미터(GVR)를 이용한 상층 대기 가강수량 산출(‘18)
- 기상항공기 관측자료 처리체계, 품질관리 수행 및 분석기술 개선(‘18)
- 항공 관측자료 표준형식 체계 및 마이크로파 라디오미터 관측기술 개선(‘18)
- 에어로졸 항공관측 최근 동향 조사 및 분석(’16)
- 한반도 주변 배경대기 에어로졸 조성특성 규명을 위한 해상에서의 에어로졸 화학성분 특성 산출(’17)
- 국내 상공 에어로졸 입자크기분포 및 반응가스 항공관측을 위한 항공기 시험운영(‘17)
- 연직별 에어로졸입자의 화학성분(블랙카본)의 혼합상태 및 크기분포 특성을 위한 시험 항공관측 수행(‘17)
- 항공관측자료와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FTS) 및 위성 CO2의 검증(‘17)
- 제한된 프로파일 관측자료를 이용한 CO2 연직자료 산출 모듈 개발(‘17)
- 기상항공기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및 메탄 연직 관측자료 확보(‘18)
- 항공관측자료의 정확도 평가 및 WMO 권고 오차범위 내 일치성 검증(‘18)
- 검교정 정확도 및 불확도 개선 등 자료 품질 향상을 위한 검교정 키트 설계‧제작(‘18)
다. 투자현황
(단위: 백만원) |
||||||
내역사업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관측기술지원 및 활용연구 |
17,867 |
4,495 |
2,309 |
2,623 |
4,170 |
4,270 |
라. 2019년 추진 연구과제 목록
과제 번호 |
연구과제명 |
연구비 |
연구기간 |
수행부서 |
중복성 검토 |
용역필요성 및 직접수행과의 차별성 |
2 |
표준기상관측 및 활용연구 |
360 |
‘19.1.~’19.12. |
관측예보연구과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
2- 1 |
종합기상탑 활용기술개발 |
360 |
‘19.1.~’19.12. |
관측예보연구과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
3 |
재해기상 감시‧분석‧예측기술 개발 및 활용연구 |
594 |
‘19.1.~’19.12. |
관측예보연구과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
3- 1 |
재해(위험)기상 추적‧목표 관측 체계 구축 및 활용연구 |
394 |
‘19.1.~’19.12. |
관측예보연구과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
- 36 -
(단위: 백만원) |
||||||
과제 번호 |
연구(용역)과제명 |
연구비 |
연구기간 |
수행부서 |
중복성 검토 |
용역필요성 및 직접수행과의 차별성 |
3- 2 |
재해기상 메커니즘 분석 및 고해상도 수치모델시스템 실용화 연구 |
200 |
‘19.1.~’19.12. |
관측예보연구과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4 |
기상항공기 활용기술개발 연구 |
1,669 |
‘19.1.~’19.12. |
관측예보연구과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
4- 1 |
구름물리 등 항공관측 기반연구 |
889 |
‘19.1.~’19.12. |
응용기상연구과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4- 2 |
위험기상 항공관측 및 관리체계 구축 |
278 |
‘19.1.~’19.12. |
관측예보연구과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4- 3 |
대기 상층 공기질 감시와 기후 영향 분석 |
337 |
‘19.1.~’19.12. |
환경기상연구과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4- 4 |
연직 이산화탄소와 메탄에 대한 항공위성‧모델의 종합 비교 분석 |
165 |
‘19.1.~’19.12. |
기후연구과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마. 과제담당관 및 참여연구원 현황
연구과제명 |
소속기관 및 부서 |
참여연구원 수 |
종합기상탑 활용기술개발 |
국립기상과학원 관측예보연구과 |
(정직)5+(연구원)4 |
재해기상 감시‧분석‧예측기술 개발 및 활용연구 |
국립기상과학원 관측예보연구과 |
(정직)6+(연구원)10 |
구름물리 등 항공관측 기반연구 |
국립기상과학원 응용기상연구과 |
(정직)2+연구원9 |
위험기상 항공관측 및 관리체계 구축 |
국립기상과학원 관측예보연구과 |
(정직)4+연구원4 |
대기 상층 공기질 감시와 기후 영향 분석 |
국립기상과학원 환경기상연구과 |
(정직)3+연구원4 |
연직 이산화탄소와 메탄에 대한 항공위성‧모델의 종합 비교 분석 |
국립기상과학원 기후연구과 |
(정직)2+연구원1 |
- 37 -
바. 연구과제별 추진계획
2 |
표준기상관측 및 활용연구 |
관측예보연구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표준기상관측소 관측자료를 활용한 중규모 위험기상 현상 감시 및 분석을 위한 관측체계 구축‧활용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종합기상탑 활용 기술 개발을 위한 안정적 자료생산 및 연구 기반 구축‧개선(‘14~‘17)
○ 종합기상탑을 이용한 하부경계층 기상현상의 변화 특성 분석(‘14~‘17)
○ 종합기상탑 관측자료와 현업수치모델 산출자료의 비교시스템 구축‧개선(‘15~‘17) 및 비교검증(‘16~‘17)
○ 보성 표준기상관측소를 기반으로 한 집중관측 체계 구축, 집중관측 수행을 통한 단일기둥모델의 강제력 및 진단용 관측자료 생산(`18)
○ 집중관측 자료를 활용한 한반도에서 발생하는 하부 대기경계층 대표 유형 분류(`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 기상드론 개발 지원을 위한 드론 관측자료 검증용 종합기상탑 연직 기상관측자료 생산 및 제공(관측기반국, `18)
○ 예보기여도
활용분야 |
활용내용 |
예보 |
◦[초·단·중기예보] 국내 관측자료 기반 수치모델 물리모수화 과정 개선 지원(`16- `18) |
예보 지원 |
◦[관측] 관측자료 처리 및 검증 기술 개발을 통한 고품질 관측자료 확보 지원 ※ 라디오존데 센서 2종 비교관측 실험 및 기압 재산출 기술 개발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종합기상탑 활용기술개발
○ 표준기상관측소 복합관측자료 활용기술 개발
<연구비산정 기준>
- 종합기상탑 활용기술 개발(360백만원)
(인건비) 41백만원 × 5인 = 205백만원
(시험연구비) 45백만원, (연구용역비) 80백만원, (자산취득비) 30백만원
- 38 -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수치모델 미세물리 및 경계층 모수화 개선 지원을 위한 한반도 대기경계층 내의 고품질 관측자료 확보(수치자료응용과)
- 활용계획 : ‘고품질의 집중관측자료 생산(’18년)으로 즉시 활용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
중간성과 점검 |
최종성과 평가 |
연구비 결산 |
연구보고서 작성 |
|||
360 |
1월 |
6월 |
12월 |
12월 |
12월 |
1월~12월 |
(7) 기타
○ 해당사항 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14년~계속
(2) 총 연구과제비: 해당 사항 없음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표준기상관측 및 활용연구 |
2,200 |
360 |
360 |
360 |
560 |
560 |
- 39 -
2- 1 |
표준기상관측 및 활용연구 - 종합기상탑 활용기술개발 |
관측예보연구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표준기상관측소 관측자료를 활용한 중규모 위험기상 현상 감시 및 분석을 위한 관측체계 구축‧활용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종합기상탑 활용 기술 개발을 위한 안정적 자료생산 및 연구 기반 구축‧개선(‘14~‘17)
○ 종합기상탑을 이용한 하부경계층 기상현상의 변화 특성 분석(‘14~‘17)
○ 종합기상탑 관측자료와 현업수치모델 산출자료의 비교시스템 구축‧개선(‘15~‘17) 및 비교검증(‘16~‘17)
○ 보성 표준기상관측소를 기반으로 한 집중관측 체계 구축, 집중관측 수행을 통한 단일기둥모델의 강제력 및 진단용 관측자료 생산(`18)
○ 집중관측 자료를 활용한 한반도에서 발생하는 하부 대기경계층 대표 유형 분류(`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 기상드론 개발 지원을 위한 드론 관측자료 검증용 종합기상탑 연직 기상관측자료 생산 및 제공(관측기반국, `18)
○ 예보기여도
활용분야 |
활용내용 |
예보 |
◦[초·단·중기예보] 국내 관측자료 기반 수치모델 물리모수화 과정 개선 지원(`16- `18) |
예보 지원 |
◦[관측] 관측자료 처리 및 검증 기술 개발을 통한 고품질 관측자료 확보 지원 ※ 라디오존데 센서 2종 비교관측 실험 및 기압 재산출 기술 개발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단일기둥모델용 구름물리과정 진단 자료 생산
- 수치모델 개선 기반 자료 생산을 위한 보성 표준기상관측소 집중관측 수행
○ 보성 표준기상관측자료를 활용한 수치모델 하부경계층 예측특성 진단
- 집중관측 기반 한반도 발생 하부 대기경계층 유형 분석
<연구비산정 기준>
- 종합기상탑 활용기술 개발(360백만원)
(인건비) 41백만원 × 5인 = 205백만원
(시험연구비) 45백만원, (연구용역비) 80백만원, (자산취득비) 30백만원
- 40 -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수치모델 미세물리 및 경계층 모수화 개선 지원을 위한 한반도 대기경계층 내의 고품질 관측자료 확보(수치자료응용과)
- 활용계획 : ‘고품질의 집중관측자료 생산(’18년)으로 즉시 활용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
중간성과 점검 |
최종성과 평가 |
연구비 결산 |
연구보고서 작성 |
|||
360 |
1월 |
6월 |
12월 |
12월 |
12월 |
1월~12월 |
(7) 기타
○ 해당사항 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14~계속
(2) 총 연구과제비: 해당사항 없음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종합기상탑 활용기술 개발 |
2,200 |
360 |
360 |
360 |
560 |
560 |
- 41 -
3 |
재해기상 감시‧분석‧예측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
관측예보연구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모바일 기상관측 활용강화 및 초단기 예보정보 생산기술 개발
○ 한반도 대설 메커니즘 분석 및 예측성 연구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재해(위험)기상 추적·목표관측체계 구축 및 활용 연구
- 예비특보지역 목표관측 수행, 하계 장마기간 집중관측수행(‘17~‘18)
- 고층관측자료(강원 영동폭우, 태풍 솔릭 및 콩레이) 분석 및 활용연구 (‘18)
- 평창동계올림픽, WMO RDP 대응을 위한 집중관측과 분석”지원 (‘17~‘18)
- 모바일 기상관측차량 자료 QC 프로그램 개발 및 수행(‘17)
- 강설유형 분석 및 눈 밀도를 산출 기법 개발 (‘17~‘18)
- 모바일 기상관측차량을 활용한 지상관측과 폭염관측 (‘18)
○ 재해기상 메커니즘 분석 및 고해상도 수치모델 시스템 실용화연구
- 강설사례 분석을 통한 강설유형 분석 및 눈 밀도를 산출 기법 개발 (‘17)
- 강원국지예보시스템 산출변수 다양화 및 모니터링 시스템 개선 (‘17)
- 재해기상사례 분석을 통한 수치모델 활용연구 및 사례분류를 통한 예측성 평가 (‘17~‘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해당사항 없음.
○ 예보기여도
활용분야 |
활용내용 |
예보기술 |
◦(초·단·중기) 강원국지예보시스템을 통한 강원지역 상세 예측장 산출 |
◦(초·단·중기) 평창동계 올림픽기간 고층관측자료 표출 및 수치모델 자료동화 활용 |
|
예보현업 |
◦(기상관측) 평창동계 올림픽 모바일관측차량을 이용한 실시간 관측자료 제공 |
◦(초·단기)관측공백지역 고층기상관측자료의 단열선도 제공을 통한 현업예보관 지원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모바일 기상관측차량의 위험기상 관측 운영 및 활용 강화
- 모바일 기상관측차량의 공동 활용기관 확대
- 모바일 기상관측차량의 위험기상 및 응용특화(도로)기상 특별관측 활용 확대
- 42 -
○ 한반도 대설 메커니즘 분석 및 예측성 연구
- 강설 예측성 향상을 위한 대기수상체 미세물리 특성 분석
- 기상조건에 따른 강설유형 분류 및 눈 밀도 산출 기법 개선
○ 재해기상 사례분석을 통한 수치모델 예측성 향상 연구
- 고해상도 수치모델(UM) 기반 복잡지형 강설 예측기술 개발
○ 고해상도 재해기상 예보·분석시스템 개발 및 운영
- 강원 영동지역(산악, 해안)의 집중호우 강도분류 및 진단 가이던스 개발
<연구비산정 기준>
- 재해(위험)기상 추적‧목표 관측 체계 구축 및 활용연구 (394백만원)
(인건비) 41백만원 × 5인 = 205백만원
(시험연구비) 109백만원, (연구용역비) 70백만원, (자산취득비) 10백만원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현업 모델 검증을 통한 겨울철 기상재해 예측 능력제고 (예보국)
- 활용계획 : 관측자료 비교분석을 통한 수치모델 물리과정 개선점 공유
○ 최적관측망 구축을 통한 모바일 기상관측자료의 실시간 예보 지원 (예보현업)
- 활용계획
‧모바일 기상관측자료 처리 및 표출 기술 개선을 통한 실시간 활용
‧모바일 기상관측차량의 공동 활용확대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
중간성과 점검 |
최종성과 평가 |
연구비 결산 |
연구보고서 작성 |
|||
360 |
1월 |
6월 |
12월 |
12월 |
12월 |
1월~12월 |
(7) 기타
○ 해당사항 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17 ~ 계속
(2) 총 연구과제비: 해당사항 없음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재해기상 감시‧분석‧예측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
5,088 |
900 |
594 |
594 |
1,500 |
1,500 |
- 43 -
3- 1 |
재해기상 감시‧분석‧예측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 재해(위험)기상 추적‧목표 관측 체계 구축 및 활용연구 |
관측예보연구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모바일 기상관측망 기반 구축 및 이를 활용한 다양한 목표관측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재해(위험)기상 추적·목표관측체계 구축 및 활용 연구
- 예비특보지역 목표관측 수행, 하계 장마기간 집중관측수행(‘17~‘18)
- 고층관측자료(강원 영동폭우, 태풍 솔릭 및 콩레이) 분석 및 활용연구 (‘18)
- 평창동계올림픽, WMO RDP 대응을 위한 집중관측과 분석”지원 (‘17~‘18)
- 모바일 기상관측차량 자료 QC 프로그램 개발 및 수행(‘17)
- 강설유형 분석 및 눈 밀도를 산출 기법 개발 (‘17~‘18)
- 모바일 기상관측차량을 활용한 지상관측과 폭염관측 (‘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 해당사항 없음
○ 예보기여도
활용분야 |
활용내용 |
예보기술 |
◦(초·단·중기) 평창동계 올림픽기간 고층관측자료 표출 및 수치모델 자료동화 활용 |
예보현업 |
◦(기상관측) 평창동계 올림픽 모바일관측차량을 이용한 실시간 관측자료 제공 |
◦(초·단기)관측공백지역 고층기상관측자료의 단열선도 제공을 통한 현업예보관 지원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재해(위험)기상 추적‧목표 관측 체계 구축 및 활용연구
- 모바일 기상관측차량의 위험기상 관측 운영 및 활용 강화
‧ 모바일 기상관측차량의 위험기상 및 응용특화 특별관측 활용 확대
- 한반도 대설 메커니즘 분석 및 예측성 연구
‧ 강설 예측성 향상을 위한 대기수상체 미세물리 특성 분석
<연구비산정 기준>
- 재해(위험)기상 추적‧목표 관측 체계 구축 및 활용연구 (394백만원)
(인건비) 41백만원 × 5인 = 328백만원
(시험연구비) 109백만원, (연구용역비) 70백만원, (자산취득비) 10백만원
- 44 -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모바일 기상관측자료의 실시간 지원 및 현업 관측장비 활용성 증대 (예보국,관측국)
- 활용계획 : 모바일 기상관측자료 처리 및 표출 기술 개선을 통한 실시간 활용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
중간성과 점검 |
최종성과 평가 |
연구비 결산 |
연구보고서 작성 |
|||
360 |
1월 |
6월 |
12월 |
12월 |
12월 |
1월~12월 |
(7) 기타
○ 해당 사항 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17 ~ 계속
(2) 총 연구과제비: 해당사항 없음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재해(위험)기상 추적‧목표 관측 체계 구축 및 활용연구 |
3,038 |
650 |
394 |
394 |
594 |
600 |
- 45 -
3- 2 |
재해기상 감시‧분석‧예측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 재해기상 메커니즘 분석 및 고해상도 수치모델시스템 실용화 연구 |
관측예보연구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고해상도 모델을 활용한 복잡지형에서의 위험기상 예측기술 개발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재해기상 메커니즘 분석 및 고해상도 수치모델 시스템 실용화연구
- 강설사례 분석을 통한 강설유형 분석 및 눈 밀도를 산출 기법 개발 (‘17)
- 강원국지예보시스템 산출변수 다양화 및 모니터링 시스템 개선 (‘17)
- 재해기상사례 분석을 통한 수치모델 활용연구 및 사례분류를 통한 예측성 평가 (‘17~‘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 해당사항 없음
○ 예보기여도
활용분야 |
활용내용 |
예보기술 |
◦(초·단·중기) 강원국지예보시스템을 통한 강원지역 상세 예측장 산출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재해기상 사례분석을 통한 수치모델 예측성 향상 연구
- 고해상도 수치모델(UM) 기반 복잡지형 강설 예측기술 개발
○ 고해상도 재해기상 예보·분석시스템 개발 및 운영
- 강원 영동지역(산악, 해안)의 집중호우 강도분류 및 진단 가이던스 개발
<연구비산정 기준>
- 재해(위험)기상 추적‧목표 관측 체계 구축 및 활용연구 (200백만원)
(인건비) 41백만원 × 3인 = 123백만원
(시험연구비) 77백만원,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현업 모델 검증을 통한 겨울철 기상재해 예측 능력제고 (예보국)
- 활용계획 : 관측자료 비교분석을 통한 수치모델 물리과정 개선점 공유
- 46 -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
중간성과 점검 |
최종성과 평가 |
연구비 결산 |
연구보고서 작성 |
|||
360 |
1월 |
6월 |
12월 |
12월 |
12월 |
1월~12월 |
(7) 기타
○ 해당사항 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11~계속
(2) 총 연구과제비: 해당사항 없음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재해기상 메커니즘 분석 및 고해상도 수치모델시스템 실용화 연구 |
1,550 |
250 |
200 |
200 |
906 |
900 |
- 47 -
4 |
기상항공기 활용기술개발 연구 |
관측예보연구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구름물리 등 항공관측 기반 연구
○ 위험기상 항공관측 및 관리체계 구축
○ 대기 상층 공기질 감시와 기후 영향 분석
○ 연직 이산화탄소와 메탄에 대한 항공·위성·모델의 종합 비교 분석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구름물리 등 항공관측 기반연구
- 한반도 배경지역 온실가스 프로파일 관측(12회/년) 수행(`16~17)
- 온실가스 항공관측자료를 사용한 FTS 및 위성과의 비교분석 및 검증(`16)
- 항공관측용 응결입자계수기, 에어로졸입자계수기를 사용한 서해안, 서울, 강릉지역의 배경대기 에어로졸 항공관측 수행(‘16)
- 드롭존데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낙하지점 추정 알고리즘 개발(‘16)
○ 위험기상 항공관측 및 관리체계 구축
- 연구용 기상항공기 관측자료 표출시스템 구축(‘17)
- 기상항공기 관측자료 품질관리 수행 및 분석기술 개발(‘17)
- 위험기상 최적 관측전략 개발(‘17)
- 항공 관측자료 표준형식 체계 구축(‘17)
- 항공기 관측 자료를 활용한 해상에서의 통합모델 자료 검증(‘18)
- G- band 라디오미터(GVR)를 이용한 상층 대기 가강수량 산출(‘18)
- 기상항공기 관측자료 처리체계, 품질관리 수행 및 분석기술 개선(‘18)
- 항공 관측자료 표준형식 체계 및 마이크로파 라디오미터 관측기술 개선(‘18)
○ 대기 상층 공기질 감시와 기후 영향 분석
- 에어로졸 항공관측 최근 동향 조사 및 분석(’16)
- 한반도 주변 배경대기 에어로졸 조성특성 규명을 위한 해상에서의 에어로졸 화학성분 특성 산출(’17)
- 국내 상공 에어로졸 입자크기분포 및 반응가스 항공관측을 위한 항공기 시험운영(‘17)
- 연직별 에어로졸입자의 화학성분(블랙카본)의 혼합상태 및 크기분포 특성을 위한 시험 항공관측 수행(‘17)
○ 연직 이산화탄소와 메탄에 대한 항공위성·모델의 종합 비교 분석
- 항공관측자료와 고분해 태양흡수분광간섭계(FTS) 및 위성 CO2의 검증(`17)
- 제한된 프로파일 관측자료를 이용한 CO2 연직자료 산출 모듈 개발(`17)
- 48 -
- 기상항공기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및 메탄 연직 관측자료 확보(‘18)
- 항공관측자료의 정확도 평가 및 WMO 권고 오차범위 내 일치성 검증(‘18)
- 검교정 정확도 및 불확도 개선 등 자료 품질 향상을 위한 검교정 키트 설계‧제작(‘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 해당사항 없음
○ 예보기여도
- 해당사항 없음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구름물리 등 항공관측 기반 연구
• 기상항공기를 이용한 운형별 구름특성 분석
- 계절별 구름 (층운, 적운 등)관측을 통한 구름입자관측 특성 분석
- 항공관측자료와 레이더, 위성, 지상관측자료 등의 비교를 통한 운형별 구름의 입체적 특성 분석
• 실시간 인공증우(설) 예측시스템 개선
- 2018년 인공증우(설) 사례 재분석을 통한 모델의 미세물리요소별 특성 파악
- 신규 인공증우(설) 통합 예측모델 특성 분석 및 사례연구
- 항공관측 및 지상관측자료 등 관측자료와 인공증우(설) 모델자료와 비교를 통한 모델특성 분석
○ 위험기상 항공관측 및 관리체계 구축
- 기상항공기를 이용한 계절별 위험기상(호우, 태풍, 대설) 선행관측 수행 및 관측
전략기술 개선방안 연구
- 집중호우, 태풍사례에 대한 드롭존데 관측정보의 수치예보 영향 분석
- 항공관측자료 공유를 위한 품질관리 기술 개선 및 보안·자료전송 기능 구축
○ 대기 상층 공기질 감시와 기후 영향 분석
- 에어로졸 및 반응가스 최적 항공관측 기법 개발
- 서해상 대기관측을 통한 에어로졸 및 반응가스 관측자료 검증
○ 연직 이산화탄소와 메탄에 대한 항공·위성·모델의 종합 비교 분석
• 연직 관측 확대를 통한 국내외 장거리 수송 영향 및 연직분포의 월변동성 분석
- 온실가스 프로파일 관측영역 확대(안면도, 제주)를 통한 장기관측 자료 확보
- 서해 및 남해안 연직분포 특성 및 계절 변동성 분석
• 한반도의 권역별 관측을 통한 자연적, 인위적 탄소배출 특성 분석
- 수평관측 확대(김포↔제주, 김포↔김해)를 통한 관측자료 및 영역 다양화
- 저고도 관측을 통한 지표면의 자연적, 인위적 배출 특성 분석
- 49 -
<연구비산정 기준>
- 구름물리 등 항공관측 기반연구(889백만원)
(인건비) 35.3백만원 × 9명 = 318백만원
(시험연구비) 141백만원, (연구용역비) 180백만원, 일반용역비(150백만원)
- 위험기상 항공관측 및 관리체계 구축(278백만원)
(인건비) 41.0백만원 × 4인 = 164백만원
(시험연구비) 4백만원, (연구용역비) 100백만원, (자산취득비) 10백만원
- 대기 상층 공기질 감시와 기후 영향 분석
(인건비) 38.25백만원 × 4인 = 153백만원
(시험연구비) 4백만원, (연구용역비) 140백만원, (자산취득비)40백만원
- 연직 이산화탄소와 메탄에 대한 항공위성‧모델의 종합 비교 분석
(인건비) 41백만원 × 1명 = 41백만원
(시험연구비) 54백만원 (용역비) 70백만원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구름물리 등 항공관측 기반 연구
- 국내 운형별 구름입자특성 분포 자료 산출(공개)
- 국내 구름의 항공관측자료와 레이더, 위성, 지상관측자료의 비교분석(공개)
- 실시간 인공증우(설) 수치모델 개선에 따른 인공증우(설) 실험 효율성 제고에 활용
○ 위험기상 항공관측 및 관리체계 구축
- 집중호우, 태풍 사례에 대한 드롭존데 관측정보의 수치예측 개선 효과 평가
- 기상항공기 운영 안정화 및 관측자료 수집·공유·활용체계 개선 및 보안성 향상
○ 대기 상층 공기질 감시와 기후 영향 분석
- 서해상 에어로졸의 물리광학적 특성 및 생성·이동·소멸 메카니즘 연구 및 장거리
이동 오염물질의 특성 분석
- 황사·연무 예측모델의 정확도 검증 및 위성 산출물 검증
○ 연직 이산화탄소와 메탄에 대한 항공·위성·모델의 종합 비교 분석
- 기상항공기 활용 한반도 온실가스 연직분포 분석 정보 확대
- 지상 및 온실가스 위성 관측과의 비교 분석을 위한 검증자료 활용
- 기상청 기후정보포털 등 정보 제공으로 기후변화 감시 관련 대국민 홍보 활용
- 지상- 항공- 위성의 입체관측 정보 생산으로 국정과제 등 국가 탄소관리 정책 지원 활용
- 50 -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
중간성과 점검 |
최종성과 평가 |
연구비 결산 |
연구보고서 작성 |
|||
1,669 |
1월 |
6월 |
10월 |
11월 |
12월 |
1월~12월 |
(7) 기타
○ 해당사항 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16~계속
(2) 총 연구과제비: 해당사항 없음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기상항공기 활용기술개발연구 |
9,138 |
1,200 |
1,949 |
1,669 |
2,110 |
2,210 |
- 51 -
4- 1 |
기상항공기 활용기술개발 연구 - 구름물리 등 항공관측 기반연구 |
응용기상연구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기상항공기를 이용한 구름·강수 활용(인공강우 등) 기술력 확보
○ 기상항공기를 활용한 구름물리 등 항공관측 기반연구
○ 기상항공기를 활용한 응결핵 및 구름입자 항공관측 및 분석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인공증설(우) 실험횟수(기존 3→10회)(‘16) 및 실험지역(평창→평창·경기) 확대(‘17)
고해상도 인공증설(‘13~‘15) 및 인공증우(‘16~‘17) 수치모델링기술 개발
○ 기상항공기를 이용한 구름·강수 활용(인공강우 등) 기술력 확보
중상층구름 인공증우(설) 실험 및 검증 (’18)
인공증우(설) 효과 검증용 관측망 운영(’18)
경기·평창 인공강우 실시간 예측시스템 개발 (’18)
○ 중부지역(서해~서울 등) 응결핵 및 구름입자 항공관측 및 분석
연직 응결핵·구름입자 수농도 분포 항공관측 및 분석(’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 해당없음
○ 예보기여도 : 해당없음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기상항공기를 이용한 운형별 구름특성 분석
계절별 구름 (층운, 적운 등)관측을 통한 구름입자관측 특성 분석
항공관측자료와 레이더, 위성, 지상관측자료 등의 비교를 통한 운형별 구름의 입체적 특성 분석
○ 실시간 인공증우(설) 예측시스템 개선
2018년 인공증우(설) 사례 재분석을 통한 모델의 미세물리요소별 특성 파악
신규 인공증우(설) 통합 예측모델 특성 분석 및 사례연구
항공관측 및 지상관측자료 등 관측자료와 인공증우(설) 모델자료와 비교를 통한 모델특성 분석
<연구비산정 기준>
기상항공기를 이용한 구름·강수 활용(인공강우 등) 기술력 확보(889백만원)
(인건비) 35.3백만원 × 9명 = 318백만원
(시험연구비) 141백만원, (연구용역비) 180백만원, 일반용역비(150백만원)
(자산취득비) 100백만원
- 52 -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국내 운형별 구름입자특성 분포 자료 산출(공개)
○ 국내 구름의 항공관측자료와 레이더, 위성, 지상관측자료의 비교분석(공개)
○ 실시간 인공증우(설) 수치모델 개선에 따른 인공증우(설) 실험 효율성 제고에 활용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
중간성과 점검 |
최종성과 평가 |
연구비 결산 |
연구보고서 작성 |
|||
889 |
1월 |
6월 |
12월 |
12월 |
12월 |
1월~12월 |
(7) 기타
○ 해당 사항 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16~계속
(2) 총 연구과제비: 해당사항 없음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구름물리 등 항공관측 기반연구 |
4,927 |
280 |
1,229 |
889 |
1,229 |
1,300 |
- 53 -
4- 2 |
기상항공기 활용기술개발연구 - 위험기상 항공관측 및 관리체계 구축 |
관측예보연구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기상항공기를 활용한 계절별 위험기상 선행관측 수행 및 관측전략 개선
○ 위험기상(호우, 태풍) 선행관측에 대한 수치모델 자료동화 효과분석
○ 기상항공기 운영 안정화 및 관측자료 활용체계 최적화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드롭존데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낙하지점 추정 알고리즘 개발(‘16)
○ G- band 라디오미터(GVR) 장비 활용방안 분석(‘16)
○ 드롭존데 기반 관측전략 수립을 위한 운영전략 조사(‘16)
○ 연구용 기상항공기 관측자료 표출시스템 구축(‘17)
○ 기상항공기 관측자료 품질관리 수행 및 분석기술 개발(‘17)
○ 위험기상 최적 관측전략 개발(‘17)
○ 항공 관측자료 표준형식 체계 구축(‘17)
○ 항공기 관측 자료를 활용한 해상에서의 통합모델 자료 검증(‘18)
○ G- band 라디오미터(GVR)를 이용한 상층 대기 가강수량 산출(‘18)
○ 기상항공기 관측자료 처리체계, 품질관리 수행 및 분석기술 개선(‘18)
○ 항공 관측자료 표준형식 체계 및 마이크로파 라디오미터 관측기술 개선(‘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 해당없음
○ 예보기여도 : 해당없음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기상항공기를 이용한 계절별 위험기상(호우, 태풍, 대설) 선행관측 수행 및 관측 전략기술 개선방안 연구
○ 집중호우, 태풍사례에 대한 기상항공기 드롭존데 관측정보의 수치예보 영향 분석
○ 기상항공기 관측자료 공유를 위한 품질관리 기술 개선 및 보안·자료전송 기능 구축
<연구비산정 기준>
- 위험기상 항공관측 및 관리체계 구축(278백만원)
(인건비) 41.0백만원 × 4인 = 164백만원
(시험연구비) 4백만원, (연구용역비) 100백만원, (자산취득비) 10백만원
- 54 -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집중호우, 태풍 사례에 대한 기상항공기 드롭존데 관측정보의 수치예측 개선 효과 평가
○ 기상항공기 운영 안정화 및 관측자료 수집·공유·활용체계 개선 및 보안성 향상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
중간성과 점검 |
최종성과 평가 |
연구비 결산 |
연구보고서 작성 |
|||
278 |
1월 |
6월 |
10월 |
11월 |
12월 |
1월~12월 |
(7) 기타
○ 해당사항 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16~계속
(2) 총 연구과제비: 해당사항 없음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위험기상항공관측및관리체계 구축 |
1,633 |
395 |
320 |
278 |
379 |
380 |
- 55 -
4- 3 |
기상항공기 활용기술개발연구 - 대기 상층 공기질 감시와 기후 영향 분석 |
환경기상연구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기상항공기를 활용한 관측자료 신뢰도 향상 및 한반도 대기 상층의 공기질 분석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에어로졸 항공관측 최근 동향 조사 및 분석(’16)
○ 한반도 주변 배경대기 에어로졸 조성특성 규명을 위한 해상에서의 에어로졸 화학성분 특성 산출(’17)
○ 국내 상공 에어로졸 입자크기분포 및 반응가스 항공관측을 위한 항공기 시험운영(‘17)
○ 연직별 에어로졸입자의 화학성분(블랙카본)의 혼합상태 및 크기분포 특성을 위한 시험 항공관측 수행(‘17)
○ 서해상 에어로졸, 반응가스 항공관측기법 개발 및 관측자료 수집체계 구축(‘18)
○ 한반도 상공 연직 에어로졸 및 반응가스에 대한 정량적 농도특성 확보(‘18)
○ 고농도 미세먼지 사례에 대한 에어로졸의 기원 추정 및 물리·화학 특성의 공간적 분포 제시(‘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 해당없음
○ 예보기여도 : 해당없음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에어로졸 및 반응가스 최적 항공관측 기법 개발
○ 서해상 대기관측을 통한 에어로졸 및 반응가스 관측자료 검증
<연구비산정 기준>
- 대기 상층 공기질 감시와 기후 영향 분석(337백만원)
(인건비) 38.25백만원 × 4인 = 153백만원
(시험연구비) 4백만원, (연구용역비) 140백만원, (자산취득비)40백만원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서해상 에어로졸의 물리광학적 특성 및 생성·이동·소멸 메카니즘 연구 및 장거리 이동 오염물질의 특성 분석
○ 황사·연무 예측모델의 정확도 검증 및 위성 산출물 검증
- 56 -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
중간성과 점검 |
최종성과 평가 |
연구비 결산 |
연구보고서 작성 |
|||
337 |
1월 |
7월 |
10월 |
11월 |
12월 |
1월~12월 |
(7) 기타
○ 해당사항 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16~계속
(2) 총 연구과제비: 해당사항 없음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대기 상층 공기질 감시와 기후 영향분석 |
1,686 |
375 |
300 |
337 |
337 |
337 |
- 57 -
4- 4 |
기상항공기 활용기술개발 연구 - 연직 이산화탄소와 메탄에 대한 항공위성‧모델의 종합 비교 분석 |
기후연구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기상항공기 활용 온실가스 관측 확대와 자료 신뢰도 제고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
○ 기상항공기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및 메탄 연직 관측자료 확보(‘18)
○ 항공관측자료의 정확도 평가 및 WMO 권고 오차범위 내 일치성 검증(‘18)
○ 검교정 정확도 및 불확도 개선 등 자료 품질 향상을 위한 검교정 키트 설계‧제작(‘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예보기여도
활용분야 |
활용내용 |
기후변화 정책 지원 |
◦ 항공관측자료 확보 및 품질향상을 통한 기후변화 감시정보 확대로 지상관측및 위성 온실가스 관측자료 비교 분석 활용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연직 관측 확대를 통한 국내외 장거리 수송 영향 및 연직분포의 월변동성 분석
- 온실가스 프로파일 관측영역 확대(안면도, 제주)를 통한 장기관측 자료 확보
- 서해 및 남해안 연직분포 특성 및 계절 변동성 분석
○ 한반도의 권역별 관측을 통한 자연적, 인위적 탄소배출 특성 분석
- 수평관측 확대(김포↔제주, 김포↔김해)를 통한 관측자료 및 영역 다양화
- 저고도 관측을 통한 지표면의 자연적, 인위적 배출 특성 분석
<연구비산정 기준>
(인건비) 41백만원 × 1명 = 41백만원
(시험연구비) 54백만원 (용역비) 70백만원
- 58 -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예상성과) 기상항공기 활용 한반도 온실가스 연직분포 분석 정보 확대
○ (활용계획)
- 지상 및 온실가스 위성 관측과의 비교 분석을 위한 검증자료 활용
- 기상청 기후정보포털 등 정보 제공으로 기후변화 감시 관련 대국민 홍보 활용
- 지상- 항공- 위성의 입체관측 정보 생산으로 국정과제 등 국가 탄소관리 정책 지원 활용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
중간성과 점검 |
최종성과 점검 |
연구보고서 발간 |
|||
165 |
1월 |
6월 |
11월 |
12월 |
1월~12월 |
(7) 기타
○ 해당사항 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17~계속
(2) 총 연구과제비: 해당사항 없음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연직 이산화탄소와 메탄에 대한 항공위성‧모델의 종합 비교 분석 |
723 |
100 |
100 |
165 |
165 |
193 |
- 59 -
3. 기후변화 예측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가. 목적
○ 새로운 온실가스 농도경로 기반 신규 시나리오 및 지상- 항공- 위성 기반 온실가스 관측 등 국가 정책 지원과 IPCC 기여를 위한 과학정보 산출
나.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
○ IPCC 4차(‘07) 및 5차(’13) 평가보고서 대응 시나리오 생산과 분석(~‘16)
○ 지구환경한계 대응정보(에어로졸, 해양산성화, 화산 등 10종) 산출기술 확보(`14~‘16)
○ IPCC 6차 평가보고서 대응 독자 지구시스템모델 개발(~‘17)과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체계 구축(~‘17)
○ 기후과정 모의성능 평가 및 모델개발 환류를 위한 진단‧평가시스템 구축(~‘17)
○ 지구시스템모델(K- ACE) 활용, AR6 대응 국제표준 기후실험체계(CMIP6)를 따르는 규준실험(DECK) 수행과 산업화 이전 시기 강제력에 의한 규준 시나리오 1종 산출(’17)
○ FTS 관측기술 개선에 따른 세계 Top 수준의 FTS 관측 정확도(99.9%) 유지(~`17)와 국내ㆍ외(미국,영국,프랑스,독일) 특허 등록(`17~`18)
○ 탄소추적시스템 기반 동아시아 탄소 변동 정보 산출 및 탄소순환 감시자료(위성, 항공, 지상 FTS 등) 통합 표출시스템 구축ㆍ개선(`17~`18)
○ 지구시스템모델(K- ACE) 기반 CMIP6 국제표준에 의거한 신규 시나리오(탄소배증, 과거기후, 미래전망 2종) 산출과 평가(‘18)
다. 투자현황
(단위: 백만원) |
||||||
내역사업명 (세부과제)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기후변화예측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
21,395 |
2,950 |
5,044 |
3,257 |
3,257 |
3,257 |
- 60 -
라. 2019년 추진 연구과제 목록
(단위: 백만원) |
||||||
과제 번호 |
연구과제명 |
연구비 |
연구기간 |
수행부서 |
중복성 검토 |
용역필요성 및 직접수행과의 차별성 |
5 |
AR6 기후변화 시나리오 개발‧평가 |
3,257 |
‘18.1.~’18.12. (12개월) |
기후연구과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
5- 1 |
지구시스템모델 개발·평가 |
155 |
‘18.1.~’18.12. (12개월) |
기후연구과 |
①검토방법: NTIS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
5- 2 |
지구시스템모델 탄소순환 진단 및 검증 체계 구축 |
400 |
‘18.1.~’18.12. (12개월) |
기후연구과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
5- 3 |
전지구 및 지역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과 분석 |
2,702 |
‘18.1.~’18.12. (12개월) |
기후연구과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
마. 과제담당관 및 참여연구원 현황
연구과제명 |
소속기관 및 부서 |
참여연구원 수 |
지구시스템모델 개발‧평가 |
국립기상과학원 기후연구과 |
(정직)2 +(연구원)2 |
지구시스템모델 탄소순환 진단 및 검증 체계 구축 |
국립기상과학원 기후연구과 |
(정직)2 +(연구원)5 |
전지구 및 지역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과 분석 |
국립기상과학원 기후연구과 |
(정직)5 +(연구원)12 |
- 61 -
바. 연구과제별 추진계획
5 |
AR6 기후변화 시나리오 개발 및 평가 |
기후연구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국가 기후변화 정책 지원과 IPCC AR6 기여를 위한 새로운 온실가스 농도경로 기반의 신규 시나리오 개발ㆍ평가
○ 신기후체제 대비 온실가스 감축 이행 관련 국가 탄소관리 정책 지원을 위한 온실가스 관측ㆍ감시 정보 산출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IPCC 4차(‘07) 및 5차(’13) 평가보고서 대응 시나리오 생산과 분석(~‘16)
○ 지구환경한계 대응정보(에어로졸, 해양산성화, 화산 등 10종) 산출기술 확보(`14~‘16)
○ IPCC 6차 평가보고서 대응 독자 지구시스템모델 개발과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체계 구축(~‘17)
○ 기후과정 모의성능 평가 및 모델개발 환류를 위한 진단‧평가시스템 구축(~‘17)
○ 지구시스템모델(K- ACE) 활용, AR6 대응 국제표준 기후실험체계(CMIP6)를 따르는 규준실험(DECK) 수행과 산업화 이전 시기 강제력에 의한 규준 시나리오 1종 산출(’17)
○ FTS 관측기술 개선에 따른 세계 Top 수준의 FTS 관측 정확도(99.9%) 유지(~`17)와 국내ㆍ외(미국,영국,프랑스,독일) 특허 등록(`17~`18)
○ 탄소추적시스템 기반 동아시아 탄소 변동 정보 산출 및 탄소순환 감시자료(위성, 항공, 지상 FTS 등) 통합 표출시스템 구축ㆍ개선(`17~`18)
○ 지구시스템모델(K- ACE) 기반 CMIP6 국제표준에 의거한 신규 시나리오(탄소배증, 과거기후, 미래전망 2종) 산출과 평가(‘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예보기여도
활용분야 |
활용내용 |
기후변화 정책 지원 |
◦ 기후변화 시나리오 표출시스템 운영*, 「한반도 100년의 기후변화」발간 및 온난화에 따른 폭염 미래 전망의 언론 홍보** 등을 통한 기후변화 정보 제공 *‘18년 1월∼10월 현재 49개국 19,920명 접속 ** 언론인 기상강좌(8.16), 폭염포럼(7.30) 등 언론 홍보(‘18년 53건) 수행 |
◦ 유관기관의 정책연구협의회, 포럼 등 참여를 통한 기후변화 대응 정책 지원 ※ 기후변화 적응 부문별 전문가 포럼 등 ‘18년 18건 |
|
◦ 전지구 시나리오, 탄소관측자료 등 전문 사용자를 위한 자료 지원 ※ ‘14~’18년 간 2,702건(‘18년 74건) |
- 62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지구시스템모델 개발ㆍ평가
- 지구시스템모델(K- ACE) 활용, RCP- SSP 기반 전지구 앙상블 시나리오 산출 및 분석
○ 지구시스템모델 탄소순환 진단 및 검증체계 구축
- 위성- 항공- 지상 연계 탄소 입체 감시정보 산출
○ 전지구 및 동아시아 지역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ㆍ분석
- 영국기상청 기후모델(UKESM) 활용한 RCP- SSP 기반의 전지구 앙상블 시나리오 생산 및 국제표준 실험에 근거한 에어로졸- 기후과정의 분석
- 신규 시나리오 기반의 『전지구 기후변화 전망 보고서』 발간
- CMIP6 강제력 활용 동아시아 지역 과거기후 시나리오 생산 및 CORDEX- EA 자료센터 운영
<연구비산정 기준>
(인건비) 41백만원 × 19명 = 779백만원
(시험연구비) 2,143백만원(임차료 및 시설장비 유지비:1,812백만원 포함)
(연구용역비) 320백만원 (자산취득비) 15백만원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예상성과) 신규 시나리오 기반 전지구 기후변화 전망 분석보고서, 탄소 입체관측ㆍ감시 정보
- 신규 온실가스 농도경로에 따른 「전지구 기후변화 전망 보고서」 발간
- CORDEX 국제워크숍 개최 및 협의를 통한 동아시아 지역 기후변화 시나리오 전문 사용자용 자료 제공 확대 추진
- 기상항공기 활용 온실가스 연직분포 관측ㆍ분석
○ (활용계획)
- “제3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정책(2021~2025)” 수립 등 국가 정책 과학적 근거로 활용
- 연구포럼/워크숍 및 학회 특별세션 개최 등을 통한 학계, 유관기관 전문사용자의 시나리오 자료 활용도 확대 및 정보 개선 의견 수렴
- 국립기상과학원 홈페이지, 기상청 기후정보포털 등 연구정보 게재를 통한 대국민 홍보 활용
- CMIP6, CORDEX- EA 자료 제공으로 IPCC AR6 모델참여국 등재 등 국제 기여와 국격 제고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
중간성과 점검 |
최종성과 점검 |
연구보고서 발간 |
|||
3,999 |
1월 |
6월 |
11월 |
12월 |
1월~12월 |
- 63 -
(7) 기타
○ 해당사항 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12년~계속
(2) 총 연구과제비: 31,238 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AR6 기후변화 시나리오 개발‧평가 |
15,946 |
2,461 |
3,714 |
3,257 |
3,257 |
3,257 |
- 64 -
5- 1 |
AR6 기후변화시나리오 개발 및 평가 - 지구시스템모델 개발·평가 |
기후연구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국가 기후변화 정책 지원과 IPCC AR6 기여를 위한 신규 온실가스 농도경로를 따르는 지구시스템모델(K- ACE) 기반 앙상블 시나리오 산출 및 분석
○ IPCC AR7 대비를 위한 차기 시나리오 산출체계 구축 착수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지구시스템모델(K- ACE)의 대기- 해양 결합모델 개발 및 개선(~‘14)
○ 에어러졸, 지면식생 등 지구시스템모델 기후과정 개선 및 영향 분석(~’15)
○ K- ACE 미세조정 및 운영환경 개선을 통한 IPCC 6차 평가보고서(AR6) 대응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체계 구축(~‘17)
○ AR6 대응 국제표준 기후실험체계(CMIP6)를 따르는 후처리과정 개발과 모델자료 DB 구축, 개선(‘16~’18)
○ 지구시스템모델(K- ACE) 기반의 CMIP6 규준실험(DECK) 체계 구축과 산업화 이전 시기 강제력에 의한 규준 시나리오 1종 산출(’17)
○ 지구시스템모델(K- ACE) 기반 CMIP6 국제표준에 의거한 신규 시나리오(탄소배증, 과거기후, 미래전망 2종) 산출과 평가(‘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예보기여도
활용분야 |
활용내용 |
기후변화 정책 지원 |
◦ 기후변화 시나리오 표출시스템(Viz- ESM) 구축ㆍ운영을 통한 기후변화 정보 제공 *‘18년 1월∼10월 현재 49개국 19,920명 접속 |
◦ 자체개발 지구시스템모델(K- ACE)의 IPCC AR6 연계 국제 프로젝트(CMIP6) 참여모델 등록에 의한 국가 위상 제고 * 세계기후연구프로그램(WCRP) 산하 CMIP6의 참여모델로서 국립기상과학원의 K- ACE 등재(http://www.wcrp- climate.org/wgcm- cmip/wgcm- cmip6)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지구시스템모델(K- ACE) 활용 전지구 앙상블 시나리오 생산 및 분석
- 국제표준 기후실험체계(CMIP6)를 따르는 K- ACE 앙상블 시나리오 산출ㆍ분석
- 신규 시나리오 자료의 후처리를 통한 국제표준형식 변환 및 CMIP6 제출
- 65 -
<연구비산정 기준>
- 지구시스템모델 개발·평가(155백만원)
(인건비) 41백만원 × 2인 = 82백만원
(시험연구비) 73백만원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예상성과) 전지구 기후변화 전망 분석보고서 발간 원천자료인 K- ACE 앙상블 시나리오 확보
○ (활용계획)
- 국정과제 61- 3 주요성과인 “전지구 기후변화 전망 분석보고서” 발간 활용
- 학계, 유관기관 전문사용자의 시나리오 자료 활용도 확대를 위한 자료 제공
- 기후변화 시나리오 표출시스템(Viz- ESM) 적용을 통한 대국민 홍보 활용
- CMIP6 자료 제공으로 IPCC AR6 모델참여국 등재 등 국제 기여와 국격 제고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
중간성과 점검 |
최종성과 점검 |
연구보고서 발간 |
|||
655 |
1월 |
6월 |
11월 |
12월 |
1월~12월 |
(7) 기타
○ 해당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2012~계속
(2) 총 연구과제비: 4,262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지구시스템모델 개발·평가 |
1,460 |
650 |
655 |
155 |
- |
- |
- 66 -
5- 2 |
AR6 기후변화시나리오 개발 및 평가 - 지구시스템모델개발 탄소순환 진단 및 검증체계 구축 |
기후연구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온실가스 감축 등 국가 탄소관리 정책 지원을 위한 한반도 주변 온실가스 관측ㆍ감시 기술 개발 및 정보 산출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탄소순환 진단ㆍ검증을 위한 탄소추적시스템 기반 동아시아 탄소 변동 정보 산출
- 일본 민항 항공관측자료 이용 자료동화체계 구축과 영향 분석(`17~`18)
- 탄소추적시스템 연산모듈 및 입력자료(인벤토리, 관측, 기상장 등) 업데이트(~`18)
○ FTS 지상검증 및 위성 온실가스 산출 알고리즘 개발
- 세계 Top 수준의 FTS 관측 정확도(99.9%) 유지(~`17)
- FTS 관측기술 국내 특허 및 국제(미국,영국,프랑스,독일) 특허 등록(`17~`18)
- 탄소순환 감시자료(위성, 항공, 지상 FTS 등) 통합표출시스템 구축ㆍ개선(`17~`18)
- FTS와 위성 온실가스 관측 비교 분석 정보의 기후정보포털 제공(‘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예보기여도
활용분야 |
활용내용 |
기후변화 정책 지원 |
◦ 대국민 홍보 등 정보 지원을 위한 온실가스 위성(OCO- 2) 관측과 지상검증(FTS) 자료 비교 분석 정보의 기상청 기후정보포털 제공 * 기후정보포털(www.climate.go.kr) 종합기후변화감시정보시스템 표줄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위성- 항공- 지상 연계 탄소 입체 감시정보 산출
- FTS CO2 산출 결과의 지역적, 환경적 영향에 따른 오차 특성 분석
- 기상항공기 온실가스 프로파일을 이용한 FTS CO2 산출 효과 분석
- 고층 타워를 이용한 온실가스 관측 및 위성‧항공관측 검증체계 구축
<연구비산정 기준>
(인건비) 41백만원×4명(12개월)+41백만원×1명(10.5개월) = 200백만원
(연구용역비) 200백만원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예상성과) 업데이트된 지상- 항공- 위성 통합 기후변화 감시 정보
- 67 -
○ (활용계획)
- 기상청 ‘기후정보포털’의 종합기후변화감시정보시스템 표출을 통한 대국민 정보 제공
- 국정과제 61- 3 주요 성과인 지상- 항공- 위성 연계 통합 온실가스 정보 산출 기반 마련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
중간성과 점검 |
최종성과 점검 |
연구보고서 발간 |
|||
642 |
1월 |
6월 |
11월 |
12월 |
1월~12월 |
(7) 기타
○ 해당사항 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12~계속
(2) 총 연구과제비: 해당사항 없음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지구시스템모델개발 탄소순환 진단 및 검증체계 구축 |
2,537 |
695 |
642 |
400 |
400 |
400 |
- 68 -
5- 3 |
AR6 기후변화시나리오 개발‧평가 - 전지구 및 지역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과 분석 |
기후연구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국가 기후변화 정책 지원과 IPCC AR6 기여를 위한 신규 온실가스 농도경로를 따르는 지구시스템모델(UKESM) 및 지역기후모델 기반 앙상블 시나리오 산출ㆍ분석
○ 신규 시나리오 기반의 전지구 기후변화 전망 분석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IPCC 4차(‘07) 및 5차(’13) 평가보고서 대응 시나리오 생산과 분석(~‘16)
- 기후변화적응정책 수립을 위해 정부, 산업계 등 시나리오 2,702건 제공(‘14~‘18)
- RCP 4종 기반 동아시아(50 km) 및 한반도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14)
○ 지구환경한계 대응정보(에어로졸, 해양산성화, 화산 등 10종) 산출기술 확보(`14~‘16)
○ 기후과정 모의성능 평가 및 모델개발 환류를 위한 진단‧평가시스템 구축(‘15~‘17) 및 모델 모의성능 진단(’17~‘18)
○ 지역기후 상세화 국제 프로젝트(CORDEX) 프로토콜에 의한 고해상도(25km) 지역기후모델 구축과 CMIP5 강제력 활용 시나리오 산출(‘15~’18)
○ CORDEX- EA 자료센터 이관에 따른 홈페이지 개선 및 최신기술(ESGF) 적용 자료배포체계 연계(‘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예보기여도
활용분야 |
활용내용 |
기후변화 정책 지원 |
◦ 유관기관의 정책연구협의회, 포럼 등 참여를 통한 기후변화 대응 정책 지원 ※ 기후변화 적응 부문별 전문가 포럼 등 2018년 18건 |
◦ 학계, 유관기관 등 전지구 및 지역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 제공 ※ ‘14~’18년 2,702건 (‘18년 74건) |
|
◦「한반도 100년의 기후변화」발간 및 온난화에 따른 폭염 미래 전망 등 홍보 지원 ※ 언론인 기상강좌(8.16), 폭염포럼(7.30) 등 언론 홍보(‘18년 53건) 수행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영국기상청 기후모델(UKESM) 활용 전지구 앙상블 시나리오 산출 및 분석
- 국제표준 기후실험체계(CMIP6)를 따르는 UKESM 앙상블 시나리오 산출ㆍ분석
- 기후변화 정보 다원화를 위한 CMIP6 국제표준 실험(AerChemMIP) 기반의 에어로졸- 기후과정의 분석
- 69 -
○ 신규 시나리오 기반의 기후변화 전망 분석 및 『전지구 기후변화 전망 보고서』 발간
○ CMIP6 강제력 활용 동아시아 지역기후 시나리오 산출ㆍ분석
- 고해상도(25km) 지역기후모델 활용, CMIP6 강제력 기반의 과거기후 시나리오 산출
- COREDX- EA 자료센터 운영 및 동아시아 지역 시나리오 사용자 활용성 증대를 위한 한중일 자료 확대 추진
<연구비산정 기준>
- 기후변화시나리오 산출과 분석(2,702백만원)
(인건비) 41백만원 × 12인 = 492백만원
(시험연구비) 2,075백만원, (연구용역비) 120백만원, (자산취득비) 15백만원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예상성과) 전지구 전망 분석 원천자료인 UKESM 앙상블 시나리오 확보와 국정과제 주요성과인 “전지구 기후변화 전망 분석보고서” 발간
○ (활용계획)
- “제3차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21- ’25)” 수립 시 “전지구 기후변화 전망 분석보고서” 활용
- 학계, 유관기관 전문사용자의 시나리오 자료 활용도 확대를 위한 자료 제공
- 기후변화 시나리오 표출시스템(Viz- ESM) 적용을 통한 대국민 홍보 활용
- CORDEX- EA 자료센터 운영으로 국제 기여와 국격 제고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
중간성과 점검 |
최종성과 점검 |
연구보고서 발간 |
|||
2,702 |
1월 |
6월 |
11월 |
12월 |
1월~12월 |
(7) 기타 : 해당사항 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2012년 ~ 계속
(2) 총 연구과제비: 해당사항 없음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전지구 및 지역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과 분석 |
11,939 |
1,116 |
2,417 |
2,702 |
2,857 |
2,857 |
- 70 -
4. 해양기상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가. 목적
○ 전지구 해양기상 예측기술 고도화를 통한 효율적인 해양환경 감시
○ 장기예보 규모 예측기술 개발과 과학기반 정보 산출
○ 현업 기후예측시스템 개선 및 최적앙상블 구성 적용
○ 고해상도 지면- 수문 결합을 통한 기후예측시스템 물순환 과정 진단 및 개선
나.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
○ 해양변동성 감시 및 자료동화시스템 개선
- Argo 플로트 투하·운영(국제공동연구)을 통한 전지구 해양감시(`12~)
- 한반도 근해 수온·염분 정기 정선관측(`16~) 및 해양변동성 분석(`12~)
- 전지구 해양자료동화시스템 구축 및 현업 운영(`18~)
- 관측자료 확대 및 품질관리 기술 개선을 통한 해양초기장 품질향상(`15~)
- 기후예측시스템의 해양 예측성 평가 및 대기- 해양, 대기- 해빙 상호작용 특성 분석(`17~`18)
○ 기상청 현업 해양기상모델 개선
- 지방청 관할 해역 해양기상(파랑/폭풍해일)예측시스템 현업화 (`13)
- 앙상블 자료기반의 지역 폭풍해일 예측시스템 구축(`14)
- 차기 버전 파랑예측시스템 시험운영 및 검증(`15)
- 개선된 전지구/지역/국지연안 파랑예측시스템 현업화(‘16)
- 고해상도 전지구 파랑예측시스템 구축 및 개선(‘17)
- NEMO 기반 지역 폭풍해일 예측시스템 구축 및 검증(‘18)
- 앙상블 지역 파랑예측시스템 현업화(`18)
○ 장기예측시스템 운영·개선 및 활용기술 개발
- 결합모델 기반 기후예측시스템(GloSea4, GloSea5) 도입·구축 및 현업화 지원(~‘18)
- 동아시아 원격상관 진단 및 극한(몬순‧태풍 등) 예측정보 산출체계 구축(‘15~’18)
- 기후예측시스템의 수문기상요소 모의 성능 향상을 위한 수문- 해양 결합 모듈 개선 및 영향 분석(`16~`18)
- 기후예측시스템의 계절내 규모(S2S) 예측성 진단 및 평가(~‘18)
다. 투자현황
(단위: 백만원) |
||||||
내역사업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해양기상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
14,313 |
1,070 |
1,023 |
3,352 |
4,345 |
4,523 |
- 71 -
마. 과제담당관 및 참여연구원 현황
연구과제명 |
소속기관 및 부서 |
참여연구원 수 |
해양변동성 감시 및 자료동화시스템 개선 |
국립기상과학원 지구시스템연구과 |
(정직)2 +(연구원)3 |
기상청 현업 해양기상 모델 개선 |
국립기상과학원 지구시스템연구과 |
(정직)2 +(연구원)2 |
장기예측시스템 운영·개선 및 활용기술 개발 |
국립기상과학원 지구시스템연구과 |
(정직)4 +(연구원)18 |
- 72 -
바. 연구과제별 추진계획
6 |
해양기상 감시 및 차세대 해양예측시스템 개발 |
지구시스템연구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전지구 해양기상 예측기술 고도화를 통한 효율적인 해양환경 감시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해양변동성 감시 및 자료동화시스템 개선
- 전지구 해양자료동화시스템 구축 및 현업 운영(`18)
- 관측자료 확대 및 품질관리 기술 개선을 통한 해양초기장 품질향상(~`18)
- 기후예측시스템의 해양 예측성 평가 및 대기- 해양, 대기- 해빙 상호작용 특성 분석(`17~18)
- Argo 플로트 투하·운영을 통한 전지구 해양감시(`01~`18)
- 한반도 근해 수온·염분 정기 정선관측 및 해양변동성 분석(`16~)
○ 기상청 현업 해양기상모델 개선
- 지방청 관할 해역 해양기상(파랑/폭풍해일)예측시스템 현업화 (`13)
- 앙상블 자료기반의 지역 폭풍해일 예측시스템 구축(`14)
- 차기 버전 파랑예측시스템 시험운영 및 검증(`15)
- 개선된 전지구/지역/국지연안 파랑예측시스템 현업화(‘16)
- 고해상도 전지구 파랑예측시스템 구축 및 개선(‘17)
- NEMO 기반 지역 폭풍해일 예측시스템 구축 및 검증(‘18)
- 앙상블 지역 파랑예측시스템 현업화(`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 현업 전지구/지역/국지연안 파랑예측시스템(예보국,지방청,기후국, `16)
- 앙상블 지역파랑예측시스템의 개발 및 현업화(예보국,지방청,기후국, `18)
- 전지구 해양자료동화시스템의 독자적 운영체계 구축 및 현업화(기후국, `18)
- 73 -
○ 예보기여도
활용분야 |
활용내용 |
예보 |
◦[단·중기예보] 현업 파랑예측시스템과 폭풍해일 예측시스템 개선으로 기상청 해상 예·특보에 직접 활용 - 개선된 전지구/지역/국지연안 파랑예측시스템 현업화(`16) ※ 파랑모델 버전업그레이드와 풍파/너울성분 분리 표출 ※ 기존 현업대비 예측성능 약 8%향상 |
◦[장기예보] 현업 기후예측시스템의 해양- 해빙 초기입력 자료 생산(`18) |
|
◦[단·중기예보] 파랑확률정보 현업생산으로 해양기상 예보에 활용 - 앙상블 지역 파랑예측시스템(`18) |
|
◦[초·단기예보] 현업 파랑실황도 개선(`18) - 해양기상 계류부이 관측자료 확대(8→16개 지점) |
|
◦선진예보 시스템 해구별 해상 예특보 자료 제공(`17~) - ECMWF 기반 지역 폭풍해일 예측시스템 운영 및 자료제공(2회/일) - 앙상블 지역 폭풍해일 예측시스템 운영 및 자료제공(2회/일) - 해양순환예측모델 기반 해수면 온도 예측자료 제공(1회/일)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해양변동성 감시 및 전지구 해양자료동화시스템 운영 및 개선
- 전지구 해양자료동화시스템 현업 운영 및 핵심모델·자료동화 개선 연구
- 운영·관리의 효율화를 위한 현업 운영체계 개선 및 시험적용
- 수온구조 및 열용량 감시를 위한 Argo 플로트 투하(6기) 및 서해 정선 관측 수행
- 전지구 해양초기장의 기상·기후 활용기술 개발
- 현업 기후예측시스템 기반 상세 해수면온도 및 해양순환 정보 서비스 자료 생산
○ 기상청 현업 해양기상 모델 개선
- 지역 폭풍해일 예측시스템 개선 및 현업화(`19)
※ 기본모델교체(POM→NEMO) 및 예측시간 확대(87 → 120시간) 등
- 통합 국지연안 파랑예측시스템 기반 구축
※ 5개 해상예보구역에 대한 모델을 통합하여 영역확장 및 활용성 증대
- 현업해양기상시스템의 예측시간 확대로 해상 초·단·중기 예보 활용
※ 단일 및 앙상블 지역 파랑예측시스템(87→120시간), 파랑실황도(3시간→30분)
- 전지구 파랑자료동화 기법 개선 및 현업운영 체계 구축(`20년 현업반영)
<연구비산정 기준>
○ 해양 변동성 감시 및 자료동화시스템 개선(698백만원)
- (인건비) 5명, 205백만원
- (시험연구비) 153백만원
- (연구용역비) 340백만원, (일반용역비) 22백만원
- 74 -
(단위: 백만원) |
||||||
과제 번호 |
연구과제명 |
연구비 |
연구기간 |
수행부서 |
중복성 검토 |
용역필요성 및 직접수행과의 차별성 |
6 |
해양기상 감시 및 차세대 해양예측시스템 개발 |
1,030 |
‘19.1.∼.’19.12. (12개월) |
지구시스템연구과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없다(○) |
- |
6- 1 |
해양변동성 감시 및 자료동화시스템 개선 |
698 |
‘19.1.∼.’19.12. (12개월) |
지구시스템연구과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없다(○) |
- |
6- 2 |
기상청 현업 해양기상 모델 개선 |
332 |
‘19.1.∼.’19.12. (12개월) |
지구시스템연구과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없다(○) |
- |
7 |
장기예측시스템 개발 |
2,322 |
‘19.1.∼.’19.12. (12개월) |
지구시스템연구과 (현유경)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
7- 1 |
장기예측시스템 운영·개선 및 활용기술 개발 |
2,322 |
‘19.1.∼.’19.12. (12개월) |
지구시스템연구과 (현유경)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
○ 기상청 현업 해양기상모델 개선(332백만원)
- (인건비) 4명, 164백만원
- (시험연구비) 158백만원
- (자산취득비) 10백만원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전지구 해양- 해빙 초기장 생산(기후국 기후예측과)
- 활용계획 : 전지구 해양자료동화시스템의 현업운영으로 ‘기후예측시스템의 해양- 해빙 초기 입력장 생산(`19년), 즉시 활용’
○ 전지구 해양자료동화시스템 개선(기후국 기후예측과)
- 활용계획 : 전지구 해양자료동화시스템의 핵심모델, 동화기술, 운영체계 개선(`19) 및 평가(`20)결과 현업적용(`21)‘
○ 기후예측시스템 기반 북서태평양 해양예측정보 생산(기후국 해양기상과)
- 활용계획 : 해구별 고해상도 해수면 온도자료 제공/선진예보시스템 활용(`19), 3차원 해양정보 제공/기상청 홈페이지(`19), 해수면 온도, 해빙농도 정보 제공/기상청 해양기상방송(WE- FAX)(`19)
○ 차세대 해양모델(NEMO) 기반 지역 폭풍해일 예측시스템 (예보국 총괄예보관실)
- 활용계획 : 지역 폭풍해일 예측시스템의 현업화(‘19)로 해상예보에 즉시 활용
○ 앙상블 지역 파랑예측시스템 (예보국 총괄예보관실, 지방청 예보과)
- 활용계획 : 앙상블 지역 파랑예측시스템 개선·현업적용(‘19)으로 해상예보에 즉시 활용
○ 통합 국지연안 파랑예측시스템 기반 구축 (예보국 총괄예보관실, 지방청 예보과)
- 활용계획 : 통합 시스템 기반구축(‘19), 개선과 현업체계 구축(’20), 현업화(‘21)로 해상예보에 활용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
중간성과 점검 |
최종성과 점검 |
연구보고서 작성 및 발간 |
점검결과의 차년도 계획 반영 |
|||
1,030 |
1월 |
6월 |
11월 |
12월 |
12월 |
1월~12월 |
(7) 기타
○ 해당사항 없음
- 75 -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12~계속
(2) 총 연구과제비: 해당사항 없음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해양기상감시 및 차세대 해양예측시스템 개발 |
6,169 |
1,070 |
1,023 |
1,030 |
1,523 |
1,523 |
- 76 -
6- 1 |
해양기상 감시 및 차세대 해양예측시스템 개발 - 해양변동성 감시 및 자료동화시스템 개선 |
지구시스템연구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고품질 해양- 해빙 초기장 생산을 통한 전지구 해양감시 및 장기예측 능력 강화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현업적용을 위한 해양관측자료 수집 체계 및 품질관리 기술 개발(`13)
○ 관측자료 확대를 통한 초기장 개선 및 해양자료동화시스템 민감도 평가(`14~`17)
○ 한영 기상청 공동연구 기반 해양- 해빙 모델 및 자료동화 기법 개선(`15)
○ 전지구 해양자료동화시스템 구축, 검증 및 시험운영(`16)
○ 전지구 해양자료동화시스템 현업운영 및 기후예측시스템 초기입력자료 생산(`18)
○ 기후예측시스템의 해양- 해빙 예측성 평가 및 대기와의 상호작용 특성 분석(`17~`18)
○ 동해연안 폭설발생과 관련한 대기- 해양 상호작용 분석(`18)
○ Argo 플로트 투하 및 지역자료센터 운영을 통한 한반도 근해 감시(`01~)
○ 기상1호를 활용한 서해- 동중국해 북부 해역의 정기 정선관측(`16~)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 전지구 해양자료동화시스템 현업운영(기후국/기후예측과, `18)
○ 예보기여도
활용분야 |
활용내용 |
예보 |
◦[장기예보] 현업 기후예측시스템의 해양- 해빙 초기입력 자료 생산(`18) |
◦선진예보 시스템 해구별 해상 예특보 시스템 표출자료 제공(`17~) - 해양순환예측모델 기반 해수면 온도 예측자료 제공(1회/일)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전지구 해양자료동화시스템 현업 운영
※매일 1회 운영을 통한 전지구 해양- 해빙 초기장 생산
○ 해양- 해빙 모델 및 자료동화기술 개선
- 비선형 자유 해수면을 채택으로 해양- 해빙 결합과정 개선
- 열역학 다중 레이어 기법을 적용하여 해빙모델의 열역학과정 개선
- 해수면 온도와 해수면 고도의 바이어스 보정 기법 개선
- 신규 위성 관측자료(SLSTR)의 자료동화 적용 및 효과분석
- 77 -
○ 운영·관리의 효율화를 위한 현업 운영체계 개선 및 테스트
※ 쉘 스크립트 기반 → Rose/Cylc 기반의 운영체계(`20 준현업, `21 현업화)
○ 지역 해양환경 변화 감시 및 변동성 분석
- 국제 공동 해양관측사업(Argo) 참여로 서해와 동해에 플로트 투하(6기) 및 활용
- 기상1호를 활용한 서해- 동중국해 북부 정기 정선 관측 수행(격월)
※ 수온구조 및 열용량 감시, 기상청 제2, 3 해양기지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
○ 현업 기후예측시스템 기반 지역해양 해수면 온도와 예측정보 생산 및 검증
※ 해구별 서비스를 위한 3시간 간격 해수면 온도 자료/ 대국민 서비스를 위한 해양순환 예측정보(3차원 수온, 염분, 해류의 72시간 예측자료) 생산
<연구비산정 기준>
○ 해양 변동성 감시 및 자료동화시스템 개선(698백만원)
- (인건비) 5명, 205백만원
- (시험연구비) 153백만원
- (연구용역비) 340백만원
- (일반용역비) 22백만원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전지구 해양- 해빙 초기장 생산(기후국/기후예측과)
- 활용계획 : 전지구 해양자료동화시스템의 현업운영을 통해 ‘현업 기후예측시스템의 해양- 해빙 초기 입력자료 생산(`19)‘, 즉시 활용
○ 전지구 해양자료동화시스템 개선(기후국/기후예측과)
- 활용계획 : 전지구 해양자료동화시스템의 핵심모델, 동화기술, 운영체계 개선(`19) 및 평가(`20)결과 현업적용(`21)‘
○ 기후예측시스템 기반 북서태평양 해양예측정보 생산(기후국/해양기상과)
- 활용계획 : 해구별 고해상도 해수면 온도자료 제공/선진예보시스템 활용(`19), 3차원 해양정보 제공/기상청 홈페이지(`19), 해수면 온도, 해빙농도 정보 제공/기상청 해양기상방송(WE- FAX)(`19)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
중간성과 점검 |
최종성과 점검 |
연구보고서 작성 및 발간 |
점검결과의 차년도 계획 반영 |
|||
698 |
1월 |
6월 |
11월 |
12월 |
12월 |
1월~12월 |
- 78 -
(7) 기타
○ 해당사항 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12~계속
(2) 총 연구과제비: 해당사항 없음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해양 변동성 감시 및 자료동화시스템 개선 |
4,148 |
712 |
698 |
698 |
1,020 |
1,020 |
- 79 -
6- 2 |
해양기상 감시 및 차세대 해양예측시스템 개발 - 기상청 현업 해양기상모델 개선 |
지구시스템연구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기상청 현업 해양기상 예측기술 개선을 통한 해상예보 지원 강화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지방청 관할 해역 해양기상(파랑/폭풍해일)예측시스템 현업화 (`13)
○ 앙상블 자료기반의 지역 폭풍해일 예측시스템 구축(`14)
○ 차기 버전 파랑예측시스템 시험운영 및 검증(`15)
○ 개선된 전지구/지역/국지연안 파랑예측시스템 현업화(‘16)
○ 고해상도 전지구 파랑예측시스템 구축 및 개선(‘17)
○ NEMO 기반 지역 폭풍해일 예측시스템 구축 및 검증(‘18)
○ 앙상블 지역 파랑예측시스템 현업화(`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 전지구/지역/국지연안 파랑예측시스템(예보국 총괄예보관실, 지방청 예보과, 기후국 해양기상과, ‘16)
- 앙상블 지역 파랑예측시스템(예보국 총괄예보관실, 지방청 예보과, 기후국 해양기상과, ‘18)
○ 예보기여도
활용분야 |
활용내용 |
예보 (해상) |
◦[단·중기예보] 현업 파랑 및 폭풍해일 예측시스템 개선으로 기상청 해상 예·특보에 직접 활용 - 개선된 전지구/지역/국지연안 파랑예측시스템 현업화(`16) ※ 파랑모델 버전업그레이드와 풍파/너울성분 분리 표출 ※ 기존 현업대비 예측성능 약 8%향상 |
◦[초·단기예보] 해구별 해상예특보 정보(`17) - 파랑 및 폭풍해일 확률예측정보 제공(선진예보시스템) |
|
◦[단·중기예보] 파랑확률정보 현업생산을 통한 예보 활용 - 앙상블 지역 파랑예측시스템(`18)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현업 파랑 예측기술 개발 및 개선
- 통합 국지연안 파랑예측시스템 기반 구축
- 80 -
- 예측모델의 영역확대를 위한 민감도 실험(수행시간, 해상도 등)
※ (기존)5개 해상예보구역 → (개선)1개의 통합 국지연안 파랑예측시스템 구축
○ 현업 지역 폭풍해일 예측시스템 개발
- 차세대 해양모델(NEMO) 기반 지역 폭풍해일 예측시스템 현업화
- 현업 국지연안 폭풍해일 예측시스템과 연계 및 검증
※ 기본모델교체(POM→NEMO) 및 예측시간 확대(87 → 120시간)
○ 현업시스템의 예측시간 확대를 통한 해상 초·단·중기 예보 활용
- 단일 및 앙상블 지역 파랑예측시스템 예측시간 확대(87 → 120시간)
- 파랑실황도 산출시간 상세화(3시간 → 30분)
<연구비산정 기준>
○ 기상청 현업 해양기상모델 개선(332백만원)
- (인건비) 4명, 164백만원
- (시험연구비) 158백만원
- (자산취득비) 10백만원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차세대 해양모델(NEMO) 기반 지역 폭풍해일 예측시스템 (예보국 총괄예보관실, 지방청 예보과)
- 활용계획 : 지역 폭풍해일 예측시스템의 현업화(‘19)로 해상예보에 즉시 활용
○ 앙상블 지역 파랑예측시스템 (예보국 총괄예보관실, 지방청 예보과)
- 활용계획 : 앙상블 지역 파랑예측시스템 개선·현업적용(‘19)으로 해상예보에 활용
○ 통합 국지연안 파랑예측시스템 기반 구축 (예보국 총괄예보관실, 지방청 예보과)
- 활용계획 : 통합 시스템 기반구축(‘19), 개선과 현업체계 구축(’20), 현업화(‘21)로
해상예보에 활용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
중간성과 점검 |
최종성과 점검 |
연구보고서 작성 및 발간 |
점검결과의 차년도 계획 반영 |
|||
332 |
1월 |
6월 |
11월 |
12월 |
12월 |
1월~12월 |
(7) 기타
○ 해당사항 없음
- 81 -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12년~계속
(2) 총 연구과제비: 해당사항 없음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기상청 현업 해양기상모델 개선 |
2,021 |
358 |
325 |
332 |
503 |
503 |
- 82 -
7 |
장기예측시스템 개발 |
지구시스템연구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장기예보 현업 지원을 위한 기후예측시스템 현업 운영 및 개선
- 국가 재난재해 및 물 식량 등의 전략적 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계절내 예측(수주~계절) 중요성 증대
- 기후변화로 인한 폭염, 가뭄 등 이상 현상에 대한 대응기술 확보를 위해 대기- 해양
- 지면(수문) 연계 기술을 강화를 통한 기후예측시스템 개선과 한반도 주변의 물순환 수지 진단 기법 필요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결합모델 기반 기후예측시스템(GloSea4, GloSea5) 도입·구축 및 현업화 지원(~‘18)
○ 동아시아 원격상관 진단 및 극한(몬순‧태풍 등) 예측정보 산출체계 구축(‘15~’18)
○ 기후예측시스템의 수문기상요소 모의 성능 향상을 위한 수문- 해양 결합 모듈 개선 및 영향 분석(`16~`18)
○ 기후예측시스템의 계절내 규모(S2S) 예측성 진단 및 평가(~‘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 기후예측시스템(GloSea5- GC2) 구축 및 현업운영 지원(기후국/기후예측과, ‘16)
- 기후예측시스템 초기화 과정 개선을 위한 현업 운영체계 개선(기후국/기후예측과, ‘17)
- 기후예측시스템 해양- 해빙, 지면초기장 및 하천유출 출구정보 개선(기후국/기후예측과, ‘18)
○ 예보기여도
활용분야 |
활용내용 |
예보 |
◦[장기예보] 현업 장기예측자료 지원(∼‘18) |
예보 지원 |
◦[기후감시] 기후예측시스템 강수자료 제공을 통한 기상가뭄예보 지원(‘18)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장기예측 성능 개선을 위한 현업 기후예측시스템 운영기술 개선
○ 기후예측시스템 예측자료 진단 및 분석과 활용기술 개발
○ 수문기상요소 모의성능 향상을 위한 고해상도 지면모델링 기술개발
○ 기후예측시스템의 공동 연구개발을 위한 모델링 및 협업체계 구축
○ 기후예측시스템 개발 및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시스템 도입 및 운영
- 83 -
<연구비산정 기준>
○ 장기예측시스템 개발(2,322백만원)
- (인건비) 22명, 902백만원, (시험연구비) 276백만원
- (연구용역비) 1,065백만원, (일반용역비) 20백만원
- (자산취득비) 59백만원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대기- 해양- 해빙 결합모델기반 현업시스템 운영과 기상청 장기예보를 위한 앙상블 예측자료 생산(기후국 기후예측과)
- 활용계획 : 기후예측시스템 현업 운영 및 장기예보 지원 즉시 활용
○ 현업 장기예보 자료 정확도 향상을 위한 기후모의기간 연장, 앙상블 멤버 및 스프레드 개선(기후국 기후예측과)
- 활용계획 : 기후예측시스템 현업 운영 및 장기예보 지원 즉시 활용
○ 현업시스템 해양자료동화 체계 개선을 위한 해양- 해빙 모델 업그레이드(기후국 기후예측과, 해양기상과)
- 활용계획 : 현업 기후예측시스템 성능 향상 시험 운영 테스트 후 현업화
○ 지면모델(JULES) 특성 진단과 고해상도 정보생산 및 활용성 증대를 위한 모델링 기법 개선(기후국 이상기후팀)
- 활용계획 : JULES 수문기상예측정보 생산체계 구축(‘20년)후 유관기관 서비스 및현업화에 활용
○ 기후예측시스템 개선을 위한 외부전문가 그룹(APCC, 학계 등)과의 공동 개발 및운영체계 기반 구축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
중간성과 점검 |
최종성과 점검 |
연구보고서 작성 및 발간 |
|||
2,322 |
1월 |
6월 |
11월 |
12월 |
1월~12월 |
(7) 기타
○ 해당사항 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12년~계속
(2) 총 연구과제비: 해당사항 없음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장기예측시스템 개발 |
10,159 |
685 |
1,330 |
2,322 |
2,822 |
3,000 |
- 84 -
7- 1 |
장기예측시스템 개발 - 장기예측시스템 운영·개선 및 활용기술 개발 |
지구시스템연구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장기예보 현업 지원을 위한 기후예측시스템 현업 운영 및 개선
- 국가 재난재해 및 물 식량 등의 전략적 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계절내 예측(수주~계절) 중요성 증대
- 기후변화로 인한 폭염, 가뭄 등 이상기후 현상에 대한 대응기술 확보를 위해 대기- 해양- 지면(수문) 연계 기술을 강화를 통한 기후예측시스템 개선과 한반도 주변의 물순환 수지 진단 기법 필요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결합모델 기반 기후예측시스템(GloSea4, GloSea5) 도입·구축 및 현업화 지원(~‘18)
○ 동아시아 원격상관 진단 및 극한(몬순‧태풍 등) 예측정보 산출체계 구축(‘15~’18)
- 현업 기후예측시스템과 S2S DB를 활용한 동아시아 몬순 강수 및 시종 예측성 검증
- 현업 기후예측시스템을 활용한 북반구 태풍 예측성능 검증
○ 기후예측시스템의 수문기상요소 모의 성능 향상을 위한 수문- 해양 결합 모듈 개선 및 영향 분석(`16~`18)
- Offline JULES- TRIP을 이용한 고해상도(0.125°) 수문기상예측정보 산출기술 개발
○ 기후예측시스템의 계절내 규모(S2S) 예측성 진단 및 평가(~‘18)
- 현업 기후예측시스템과 S2S DB를 활용한 북극해빙 예측성능 검증
- 기후 강제력별 기후예측시스템 예측성 진단을 위한 표준실험체계 구축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 기후예측시스템(GloSea5- GC2) 구축 및 현업운영 지원(기후국/기후예측과, ‘16)
- 기후예측시스템 초기화 과정 개선을 위한 현업 운영체계 개선(기후국/기후예측과, ‘17)
- 기후예측시스템 해양- 해빙, 지면초기장 및 하천유출 출구정보 개선(기후국/기후예측과, ‘18)
○ 예보기여도
활용분야 |
활용내용 |
예보 |
◦[초·단·중기예보] - |
◦[장기예보] 현업 장기예측자료 지원(∼‘18) |
|
예보 지원 |
◦[기상관측] - |
◦[기후감시] 기후예측시스템 강수자료 제공을 통한 기상가뭄예보 지원(‘18) |
- 85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장기예측 성능 개선을 위한 현업 기후예측시스템 운영기술 개선
- 기후모의기간 연장(20→25년), 앙상블 멤버 확대 생산에 따른 예측성 영향 분석 및 최적앙상블 생산 기법 개발
- 기후예측시스템의 해양- 해빙 초기화 과정 개선을 위한 해양- 해빙 모델 업그레이드
- 한영 공동 계절예측시스템 물리과정 개선과 검증 결과 논의로 국제협력
○ 기후예측시스템 예측자료 진단 및 분석과 활용기술 개발
- 기후예측시스템 수문기상예측정보 모의 특성 분석
- 원격상관(북중태평양)에 의한 동아시아/한반도 S2S 예측진단 지수 생산
- 기후예측자료 기반 고해상도 지면- 수문 결합모델을 활용한 홍수/가뭄정보 산출기술 개발
○ 수문기상요소 모의성능 향상을 위한 고해상도 지면모델링 기술개발
- 지면모델(JULES) 특성진단과 고해상도 정보생산 및 활용성 증대를 위한 모델 개선
○ 기후예측시스템의 공동 연구개발을 위한 모델링 개발 및 관리 체계 구축
- 가시화, 분석 유틸리티의 표준화 등 모델개발 협력체계 운영을 위한 인프라 개발
- 응용, 실용화 단계의 R&D 사업 수행을 위한 모델 버전 관리 체계 개발
- 현업 기후예측시스템 R&D 성과 집적을 위한 진단·분석 고도화 및 효과적 자원관리 기술 개발
○ 기후예측시스템 개발 관리를 위한 전산체계 도입 및 운영
- 기후예측시스템 테스트베드 운영을 위한 전산 전문인력 확충 및 양성
- 기후예측시스템 개선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입 및 설계
- 모델링 운영 및 개선 업무 지원을 위한 연구개발 환경 구축
<연구비산정 기준>
○ 장기예측시스템 개발(2,322백만원)
- (인건비) 22명, 902백만원, (시험연구비) 276백만원
- (연구용역비) 1,065백만원, (일반용역비) 20백만원
- (자산취득비) 59백만원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대기- 해양- 해빙 결합모델기반 현업시스템 운영과 기상청 장기예보를 위한 앙상블 예측자료 생산(기후예측과)
- 활용계획 : 기후예측시스템 현업 운영 및 장기예보 지원 즉시 활용
○ 현업 장기예보 자료 정확도 향상을 위한 기후 모의기간 연장, 앙상블 멤버 및 스프레드 개선(기후예측과)
- 활용계획 : 기후예측시스템 현업 운영 및 장기예보 지원 즉시 활용
- 86 -
○ 현업시스템 해양 자료동화 체계 개선을 위한 해양- 해빙 모델 업그레이드(기후예측과, 해양기상과)
- 활용계획 : 기후예측시스템 시험 운영 후 현업화
○ 지면모델(JULES) 특성진단과 고해상도 정보생산 및 활용성 증대를 위한 모델 개선(이상기후팀)
- 활용계획 : 고해상도 JULES 지면모델 수문기상예측정보 생산체계 구축 후 예측정보 유관기관 제공 현업화에 활용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
중간성과 점검 |
최종성과 점검 |
연구보고서 작성 및 발간 |
|||
2,322 |
1월 |
6월 |
11월 |
12월 |
1월~12월 |
(7) 기타
○ 해당사항 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12년~계속
(2) 총 연구과제비: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장기예측시스템 운영·개선 및 활용기술 개발 |
10,159 |
685 |
1,330 |
2,322 |
2,822 |
3,000 |
- 87 -
5. 황사연무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가. 목적
○ 황사·연무 감시자료를 이용한 자료분석 및 활용기술 개선
○ 황사·연무 예측모델 개발 및 개선을 통한 예측성 제고
나.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
○ 동아시아 황사 종합감시능력 향상
- 발원지(몽골, 중국)「황사감시기상탑」운영(’12~)
- 환경기상 통합예보실 구축을 위한 감시 및 예보지원(’14)
- 연구용 광산란 입자계수기 장비 신뢰도 확보와 활용 가이드라인 작성 (’15)
- 한- 미 협력 국내 대기질 공동관측 캠페인(KORUS- AQ8)) 참여 및 자료 활용(’16)
- 국내 고농도 에어로졸 사례에 대한 발생기원 추적 기술 기반연구(’17)
- 서해상 항공/해상/지상 관측 수행을 통한 입체관측 기반 확보(’18)
- 고품질 환경기상관측자료 생산을 위한 환경개선(’18)
○ 황사·연무통합예측모델 및 예측기술 개발
- 황사예측모델 일4회 현업화 및 5일예보를 위한 시험운영체계 개발(’13)
- 웹기반 화산재 확산모델 개발(’13)
- 황사·연무통합모델의 7일 예보체계 구축 완료 및 준현업운영(’14)
- 황사·연무통합예측모델 현업화(’15)
- 지상 PM10 관측자료를 이용한 자료동화기술 현업예측모델에 적용(’16)
- AQUM 시험운영 기반구축(’16)
- 위성관측 AOD를 이용한 자료동화 적용기술 개발(’17)
- 환경부 PM 관측자료, 위성 AOD 및 1시간 간격의 자료동화체계 현업 운영(’18)
- 최신 식생지수 및 기상모델 풍속 편차를 고려하는 황사 발원알고리즘 개선(’18)
다. 투자현황
(단위: 백만원) |
||||||
내역사업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황사·연무 기술지원 및 활용연구 |
8,630 |
1,389 |
1,497 |
1,747 |
1,747 |
2,250 |
- 88 -
라. 2019년 추진 연구과제 목록
(단위: 백만원) |
||||||
과제 번호 |
연구과제명 |
연구비 |
연구기간 |
수행부서 |
중복성 검토 |
용역필요성 및 직접수행과의 차별성 |
8 |
황사·연무 감시 및 예보기술개발 |
1,245 |
‘19.1∼’19.12. |
환경기상연구과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8- 1 |
동아시아 황사 종합감시능력 향상 |
995 |
‘19.1∼’19.12. |
환경기상연구과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8- 2 |
황사·연무통합예측모델 및 예측기술 개발 |
250 |
‘19.1∼’19.12. |
환경기상연구과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9 |
한반도 대기조성물질 관측 및 분석기술 개발 |
500 |
‘19.1∼’19.12. |
환경기상연구과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9- 1 |
한반도 대기조성물질 장기변화 특성연구 |
500 |
‘19.1∼’19.12. |
환경기상연구과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마. 과제담당관 및 참여연구원 현황
연구과제명 |
소속기관 및 부서 |
참여연구원 수 |
동아시아 황사 종합감시능력 향상 |
국립기상과학원 환경기상연구과 |
14 |
황사·연무통합예측모델 및 예측기술 개발 |
국립기상과학원 환경기상연구과 |
7 |
한반도 대기조성물질 관측 및 분석기술 개발 |
국립기상과학원 환경기상연구과 |
6 |
- 89 -
바. 연구과제별 추진계획
8 |
황사·연무 감시 및 예보기술 개발 |
환경기상연구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황사·연무 감시 및 분석역량 강화를 위한 서해상 항공/해상/지상 통합입체관측 기술 개발
○ 황사·연무 확률예측체계 운영 및 앙상블기반의 자료동화 기법 적용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동아시아 황사 종합감시능력 향상
- 발원지(몽골, 중국)「황사감시기상탑」운영(’12~)
- 환경기상 통합예보실 구축을 위한 감시 및 예보지원(’14)
- 연구용 광산란 입자계수기 장비 신뢰도 확보와 활용 가이드라인 작성 (’15)
- 한- 미 협력 국내 대기질 공동관측 캠페인(KORUS- AQ8)) 참여 및 자료 활용(’16)
- 국내 고농도 에어로졸 사례에 대한 발생기원 추적 기술 기반연구(’17)
- 서해상 항공/해상/지상 관측 수행을 통한 입체관측 기반 확보(’18)
- 고품질 환경기상관측자료 생산을 위한 환경개선(’18)
○ 황사·연무통합예측모델 및 예측기술 개발
- 황사예측모델 일4회 현업화 및 5일예보를 위한 시험운영체계 개발(’13)
- 웹기반 화산재 확산모델 개발(’13)
- 황사·연무통합모델의 7일 예보체계 구축 완료 및 준현업운영(’14)
- 황사·연무통합예측모델 현업화(’15)
- 지상 PM10 관측자료를 이용한 자료동화기술 현업예측모델에 적용(’16)
- AQUM 시험운영 기반구축(’16)
- 위성관측 AOD를 이용한 자료동화 적용기술 개발(’17)
- 환경부 PM 관측자료, 위성 AOD 및 1시간 간격의 자료동화체계 현업 운영(’18)
- 최신 식생지수 및 기상모델 풍속 편차를 고려하는 황사 발원알고리즘 개선(’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 지상 PM10 관측자료 동화기술 현업예측모델에 적용(총괄예보관, ’16)
- 위험물질(화산재, 방사성 물질 등) 확산예측모델 웹기반 활용체계 구축(총괄예보관, ’17)
- 환경부 대기오염관측망 관측자료 동화체계 적용(총괄예보관, ’18)
- 현업 황사연무통합예측모델의 1시간 자료동화체계 운영(총괄예보관, ’18)
- 황사 발원 알고리즘에서의 식생지수(NDVI) 적용체계 개선(총괄예보관, ’18)
- 90 -
- 현업 기상예측모델에서의 편차를 고려한 황사 발원 시 풍속 보정체계 적용(총괄예보관, ’18)
- 위성관측 AOD 자료를 이용한 자료동화체계 적용(총괄예보관, ’18)
- 웹기반으로 운영되는 다양한 확산예측모델 예측체계 구축(총괄예보관, ’18)
○ 예보기여도
활용분야 |
활용내용 |
예보 |
◦[단기예보] 황사‧연무예측모델의 위성관측 AOD 자료동화체계 및 황사발원알고리즘의 개선 등을 통한 예측모델의 예측성 향상 ('18) |
◦[단기예보] 관측현황 분석 등 황사예보지원을 위한 황사분석서를 작성하여 예보관에게 제공 |
|
◦[장기예보] 역학기반의 계절예측결과를 활용한 황사계절전망 기준치 산출을 통한 역학기반의 황사계절전망 체계 확보(‘18) |
|
예보 지원 |
◦[기상관측] 황사 발원지(몽골 및 한‧중 황사공동관측망 등)에서의 황사감시체계 지속적 관리를 통해 우리나라에 대한 황사 영향여부 모니터링체계 유지(‘18) |
◦[기상관측] 광학입자계수기 황사관측망 현업활용 가능성 분석(‘16)을 통한 관측망 현업전환(’17) |
|
◦[기상관측] KORUS- AQ 참여를 통해 항공기/선박을 활용한 관측기술 습득으로 장비활용성 증대(‘16) |
|
◦[기후감시] 국제평가를 통한 관측환경개선, 세계기상기구 지침서에 따른 품질관리 및 실시간 모니터링 체계 구축 등 고품질의 환경기상관측자료 생산 체계 확보(‘18) |
|
◦[확산 비상대응] 웹기반의 위험물질 확산예측체계를 확대 구축하여 신속한 대응체계마련 (고양 유류저장고 화재 시 확산예측결과 신속 지원)(‘18)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황사‧연무의 발생 기원 규명을 위한 에어로졸특성 분석기술연구
○ 항공/선박/지상 종합관측 절차 체계성 확립을 통한 감시기술 기반확보
○ 황사 등 장거리 이동성물질에 대한 연직 및 지상(해상) 통합관측 수행 및 관측결과 종합분석 기술 연구
○ 통계기법을 이용한 에어로졸 오염원별 시공간적 기여도 변화 분석
○ 황사·연무 확률예측정보 실시간 생산
○ 현업 황사·연무통합예측모델 초기장 개선을 위한 앙상블기반 자료동화 기법 적용
○ 황사·연무 감시 및 자료동화를 위한 다양한 원격관측자료 활용 기반기술 개발
○ 대기- 환경 양방향예측모델(AQUM)의 기상예측변수 및 황사·연무 예측성 평가
○ 황사예측모델의 한국형수치예보모델과 연동을 위한 기반구축
○ 한반도 대기조성물질의 장기변화 특성 연구 및 관측자료 통합관리 체계 구축
○ 대기조성물질의 고품질자료 생산을 위한 최신 기술 적용
<연구비산정 기준>
- 동북아 황사·연무 종합감시능력 향상 (997 백만원)
- 황사·연무 통합예측모델 및 예측기술개발 (250 백만원)
- 91 -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황사의 단기 예측 능력 향상(총괄예보관)
- 활용계획 : 몽골 및 중국의 황사발원지 관측과 서해상 입체관측을 통한 현업 황사·연무 예측결과 정확도 향상에 기여
○ 황사·연무 확률예측정보 지원(총괄예보관)
- 활용계획 : 종합기상정보시스템의 황사예보지원시스템을 통해 ‘19년 개발 완료 즉시 황사·연무 확률예측정보를 이용한 가이던스 개발 및 제공
○ 앙상블 기반의 자료동화기법이 적용된 황사·연무 예측결과 시험제공 (총괄예보관)
- 활용계획 : 종합기상정보시스템의 황사예보지원시스템을 통해 현업 예보관들이 기존의 황사·연무 예측결과와 비교·평가할 수 있도록 제공
○ 고품질의 대기조성물질 관측자료 생산 및 지원(기후변화감시과)
- 활용계획 : 한반도 대기조성물질 관측자료 통합관리 시스템을 통해 ‘19년 개발 완료 즉시 고품질 자료 제공
○ 세계기상기구 온실가스 전문가회의 개최(기후변화감시과, 기후정책과)
- 활용계획 : 세계기상기구 최대규모의 온실가스 전문가회의를 개최함으로써 최신 온실가스 정책을 반영한 기후변화감시 정책 수립에 활용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
중간성과 점검 |
최종성과 점검 |
연구보고서 발간 |
|||
1,497 |
1월 |
6월 |
11월 |
12월 |
1월~12월 |
(7) 기타
○ 해당사항 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계속과제
(2) 총 연구과제비: 해당사항 없음(계속과제)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황사·연무 감시 및 예보기술 개발 |
7,130 |
1,389 |
1,497 |
1,247 |
1,247 |
1,750 |
- 92 -
8- 1 |
황사·연무 감시 및 예보기술 개발 - 동아시아 황사 종합 감시능력 향상 |
환경기상연구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황사·연무 감시 및 분석역량 강화를 위한 서해상 항공/해상/지상 통합입체관측 기술 개발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발원지(몽골, 중국)「황사감시기상탑」운영(’12~)
○ 환경기상 통합예보실 구축을 위한 감시 및 예보지원(’14)
○ 연구용 광산란 입자계수기 장비 신뢰도 확보와 활용 가이드라인 작성 (’15)
○ 한- 미 협력 국내 대기질 공동관측 캠페인(KORUS- AQ8)) 참여 및 자료 활용(’16)
○ 국내 고농도 에어로졸 사례에 대한 발생기원 추적 기술 기반연구(’17)
○ 서해상 항공/해상/지상 관측 수행을 통한 입체관측 기반 확보(’18)
○ 고품질 환경기상관측자료 생산을 위한 환경개선(’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 광학입자계수기 황사관측망 현업활용 가능성 분석을 통한 관측망 현업전환(관측정책과, ’16)
○ 예보기여도
활용분야 |
활용내용 |
예보 |
◦[단기예보] 관측현황 분석 등 황사예보지원을 위한 황사분석서를 작성하여 예보관에게 제공 |
예보 지원 |
◦[기상관측] 황사 발원지(몽골 및 한‧중 황사공동관측망 등)에서의 황사감시체계 지속적 관리를 통해 우리나라에 대한 황사 영향여부 모니터링체계 유지(‘18) |
◦[기상관측] KORUS- AQ 참여를 통해 항공기/선박을 활용한 관측기술 습득으로 장비활용성 증대(‘16) |
|
◦[기후감시] 국제평가를 통한 관측환경개선, 세계기상기구 지침서에 따른 품질관리 및 실시간 모니터링 체계 구축 등 고품질의 환경기상관측자료 생산 체계 확보(‘18)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황사‧연무의 발생 기원 규명을 위한 에어로졸특성 분석기술연구
- 고농도 에어로졸 사례의 기류분석, 군집분석 및 잠재적발원지기여함수(PSCF) 적용
- 잠재적발원지기여함수(PSCF)를 적용한 성분별 발원지
○ 항공/선박/지상 종합관측 절차 체계성 확립을 통한 감시기술 기반확보
- 학연 공동 종합관측 및 자료 공유(에어로졸 및 반응가스)
- 항공/선박/지상 관측자료의 종합표출시스템 구축
- 93 -
○ 황사 등 장거리 이동성물질에 대한 연직 및 지상(해상) 통합관측 수행 및 관측결과 종합분석 기술 연구
- 에어로졸 및 반응가스 자료를 이용한 장거리 이동여부 확인
- 지상/해상/상공 동시 측정자료 상호 비교, 연직 분포 분석
○ 통계기법을 이용한 에어로졸 오염원별 시공간적 기여도 변화 분석
- 우리나라 배경지역에 유입되는 대기오염물질의 오염원을 추정하기 위한 수용모델링 기법 활용
<연구비산정 기준>
- 동북아 황사·연무 종합감시능력 향상 (997 백만원)
(인건비) 369백만원(9인), (시험연구비) 103백만원
(일반용역비) 150백만원, (연구용역비) 245백만원
(자산취득비) 130백만원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2019년도 항공/선박/지상 입체관측자료 종합보고서 발간
○ 3개 지점(안면도, 고산, 선박(서해상))에서 3년간의 에어로졸 오염원 기여도 산출
○ 황사의 단기 예측 능력 향상(총괄예보관)
- 활용계획 : 몽골 및 중국의 황사발원지 관측과 서해상 입체관측을 통한 현업 황사·연무 예측결과 정확도 향상에 기여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
중간성과 점검 |
최종성과 점검 |
연구보고서 발간 |
|||
997 |
1월 |
6월 |
11월 |
12월 |
1월~12월 |
(7) 기타
○ 해당사항 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계속과제
(2) 총 연구과제비: 해당사항 없음(계속과제)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동북아 황사·연무 종합감시능력 향상 |
5,180 |
989 |
997 |
997 |
997 |
1,200 |
- 94 -
8- 2 |
황사·연무 감시 및 예보기술 개발 - 황사·연무통합예측모델 및 예측기술 개발 |
환경기상연구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황사·연무 확률예측체계 운영 및 앙상블기반 자료동화 기법 적용
○ 현업 황사·연무예측모델 개선을 통한 예측성 제고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황사예측모델 일4회 현업화 및 5일예보를 위한 시험운영체계 개발(’13)
○ 웹기반 화산재 확산모델 개발(’13)
○ 황사·연무통합모델의 7일 예보체계 구축 완료 및 준현업운영(’14)
○ 황사·연무통합예측모델 현업화(’15)
○ 지상 PM10 관측자료를 이용한 자료동화기술 현업예측모델에 적용(’16)
○ AQUM 시험운영 기반구축(’16)
○ 위성관측 AOD를 이용한 자료동화 적용기술 개발(’17)
○ 환경부 PM 관측자료, 위성 AOD 및 1시간 간격의 자료동화체계 현업 운영(’18)
○ 최신 식생지수 및 기상모델 풍속 편차를 고려하는 황사 발원알고리즘 개선(’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 지상 PM10 관측자료 동화기술 현업예측모델에 적용(총괄예보관, ’16)
- 위험물질(화산재, 방사성 물질 등) 확산예측모델 웹기반 활용체계 구축(총괄예보관, ’17)
- 현업 예측모델 자료동화 체계 개선(총괄예보관, ’18)
‧환경부 대기오염관측망 관측자료 및 위성관측 AOD 자료동화
‧1시간 간격으로 자료동화체계 변경(6시간→1시간)
- 황사 발원 알고리즘 개선에서의 체계 개선(총괄예보관, ’18)
‧최신 식생지수(NDVI) 및 기상예측모델 풍속 보정체계 적용
- 웹기반으로 운영되는 다양한 확산예측모델 예측체계 구축(총괄예보관, ’18)
○ 예보기여도
활용분야 |
활용내용 |
예보 |
◦[단기예보] 황사‧연무예측모델의 위성관측 AOD 자료동화체계 및 황사발원알고리즘의 개선 등을 통한 예측모델의 예측성 향상 ('18) |
◦[장기예보] 역학기반의 계절예측결과를 활용한 황사계절전망 기준치 산출을 통한 역학기반의 황사계절전망 체계 확보(‘18) |
|
예보 지원 |
◦[확산 비상대응] 웹기반의 위험물질 확산예측체계를 확대 구축하여 신속한 대응체계마련 (고양 유류저장고 화재 시 지원)(‘18) |
- 95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황사·연무 확률예측정보 실시간 생산
- 일 2회 30개 이상의 앙상블 멤버를 활용한 황사·연무 확률예측정보 생산
- 종합기상정보시스템을 통해 확률예측정보 기반의 가이던스 제공
○ 현업 황사·연무통합예측모델 초기장 개선을 위한 앙상블기반 자료동화 기법 적용
- 앙상블 기반의 변분자료동화가 적용된 황사·연무통합예측모델 시험운영 실시
- 확률예측정보 생산체계의 앙상블 정보를 활용하는 연동체계 구축
○ 황사·연무 예측모델의 황사‧미세먼지 성분 전환률 과정 개선
- 황사‧미세먼지 성분 전환률 민감도 실험 및 예측성 평가
○ 대기- 환경 양방향예측모델(AQUM)의 기상예측변수 및 황사·연무 예측성 평가
- 대기- 환경양방향예측모델(AQUM)을 통한 기상변수 예측성 평가
- 에어로졸 영향에 따른 강수, 기온 등 기상변수의 변동 특성 및 현업 적용 가능성 평가
○ 황사예측모델의 한국형수치예보모델과 연동을 위한 기반구축
- 한국형수치예보모델의 기상예측결과를 활용하는 황사·연무예측체계 개발
- 황사·연무 예측을 위한 인터페이스 개발 및 필요 기상변수 추출
<연구비산정 기준>
- 황사·연무통합예측모델 및 예측기술 개발 (250 백만원)
(인건비) 123백만원(3인)
(시험연구비) 107백만원
(자산취득비) 20백만원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황사·연무 확률예측정보 지원(총괄예보관)
- 활용계획 : 종합기상정보시스템의 황사예보지원시스템을 통해 ‘19년 개발 완료 즉시 황사·연무 확률예측정보를 이용한 가이던스 개발 및 제공(30개 앙상블멤버 활용)
○ 앙상블 기반의 자료동화기법이 적용된 황사·연무 예측결과 시험제공 (총괄예보관)
- 활용계획 : 종합기상정보시스템의 황사예보지원시스템을 통해 현업 예보관들이 기존의 황사·연무 예측결과와 비교·평가할 수 있도록 제공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
중간성과 점검 |
최종성과 점검 |
연구보고서 발간 |
|||
500 |
1월 |
6월 |
11월 |
12월 |
1월~12월 |
- 96 -
(7) 기타
○ 해당사항 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계속과제
(2) 총 연구과제비: 해당사항 없음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황사·연무통합예측모델 및 예측기술 개발 |
1,950 |
400 |
500 |
250 |
250 |
550 |
- 97 -
9 |
한반도 대기조성물질 관측 및 분석기술 개발 |
환경기상연구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한반도에 영향을 미치는 대기조성물질의 종합적인 이해
○ 한반도 대기조성물질의 기원 추적연구를 위한 기반 마련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해당 없음(신규 과제)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해당 없음(신규 과제)
- 기술명(활용부서, 성과연도)
○ 예보기여도: 해당 없음(신규 과제)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한반도 대기조성물질의 장기변화 특성 연구
- 고품질 대기조성물질(에어로졸, 온실가스, 반응가스 등)의 성분별 장기변화 특성 연구
- 한반도 대기조성물질 관측자료 통합관리 체계 구축
○ 한반도 대기조성물질 최적 관측기술 개발
- 고품질자료 생산을 위한 인프라 구축 및 최신 기술 습득
- 세계기상기구 온실가스 전문가회의 개최
<연구비산정 기준>
- 한반도 대기조성물질 장기변화특성 연구(500 백만원)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고품질의 대기조성물질 관측자료 생산 및 지원(기후변화감시과)
- 활용계획 : 한반도 대기조성물질 관측자료 통합관리 시스템을 통해 ‘19년 개발 완료 즉시 고품질 자료 제공
○ 세계기상기구 온실가스 전문가회의 개최(기후변화감시과, 기후정책과)
- 활용계획 : 세계기상기구 최대규모의 온실가스 전문가회의를 개최함으로써 최신 온실가스 정책을 반영한 기후변화감시 정책 수립에 활용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
중간성과 점검 |
최종성과 점검 |
연구보고서 발간 |
|||
500 |
1월 |
6월 |
11월 |
12월 |
1월~12월 |
- 98 -
(7) 기타
○ 해당사항 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19년~계속
(2) 총 연구과제비: 해당사항 없음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한반도 대기조성물질 관측 및 분서기술 개발 |
1,500 |
- |
- |
500 |
500 |
500 |
- 99 -
9- 1 |
한반도 대기조성물질 관측 및 분석기술 개발 - 한반도 대기조성물질 장기변화특성 연구 |
환경기상연구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한반도에 영향을 미치는 대기조성물질의 종합적인 이해
- 기후변화감시자료의 장기변화 특성 연구의 부족으로 인한 한반도에 영향을 미치는 대기조성물질의 종합적인 이해도 미흡
- 기후변화 감시자료의 품질 향상을 위한 국외의 최신 기술 적용 및 국내 관측환경의 최적화 필요
○ 한반도 대기조성물질의 기원 추적연구를 위한 기반 마련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해당 없음(신규 과제)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해당 없음(신규 과제)
- 기술명(활용부서, 성과연도)
○ 예보기여도: 해당 없음(신규 과제)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한반도 대기조성물질의 장기변화 특성 연구
- 고품질 대기조성물질(에어로졸, 온실가스, 반응가스 등)의 성분별 장기변화 특성 연구
- 한반도 대기조성물질 관측자료 통합관리 체계 구축
○ 한반도 대기조성물질 최적 관측기술 개발
- 고품질자료 생산을 위한 인프라 구축 및 최신 기술 습득
- 세계기상기구 온실가스 전문가회의 개최
<연구비산정 기준>
- 한반도 대기조성물질 장기변화특성 연구(500 백만원)
(시험연구비) 250백만원
(일반용역비) 150백만원
(연구용역비) 100백만원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고품질의 대기조성물질 관측자료 생산 및 제공(기후변화감시과)
- 활용계획 : 한반도 대기조성물질 관측자료 통합관리 시스템을 통해 ‘19년 개발 완료 즉시 고품질 자료 제공
- 100 -
○ 세계기상기구 온실가스 전문가회의 개최(기후변화감시과, 기후정책과)
- 활용계획 : 세계기상기구 최대규모의 온실가스 전문가회의를 개최함으로써 최신 온실가스 정책을 반영한 기후변화감시 정책 수립에 활용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
중간성과 점검 |
최종성과 점검 |
연구보고서 발간 |
|||
500 |
1월 |
6월 |
11월 |
12월 |
1월~12월 |
(7) 기타
○ 해당사항 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19년~계속
(2) 총 연구과제비: 해당사항 없음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한반도 대기조성물질 장기변화 특성 연구 |
1,500 |
- |
- |
500 |
500 |
500 |
- 101 -
6. 응용기상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가. 목적
○ 생명·산업기상 기술개발
기상청 현업모델 기반의 고해상도 생명기상(도시, 꽃가루, 농업), 산업기상(항공, 신재생에너지) 자료 산출 기술 및 활용 기술 개발
○ 기상정보활용 및 가치창출지원연구
선도적인 기상기후 연구성과 창출을 위한 정책전략 개발 및 기획 연구
나.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
○ 생명·산업기상 기술개발
폭염 건강지수 및 분석시스템 개발(도시고온건강지수, 인지온도모델, BioCAS 등)
현업 국지앙상블 예측시스템(LENS)을 이용한 폭염 건강영향예보 체계 개선
인공지능 기반 꽃가루 알레르기 위험도 예보모델 및 현업 서비스 개발
중규모모델 기반 농업기상 단기 분석·예측 시스템(100m 해상도) 개발
풍력발전단지 진단체계 기반 구축
고해상도(100m) 풍력‧태양광 기상자원지도 생산 및 분석
수도권 도시기상모델 해상도 상세화(300m) 구축 및 도시정보 개선
전산유체역학 모델 개발과 도시 기류 모의
도시기후시뮬레이터 개발과 환경변화에 따른 도시기후 분석
서울 도시기상 관측망 구축 및 녹지효과 분석
현업국지예측시스템과 도시캐노피모델 결합
UM 기반 공항 국지기상(300m 해상도) 예측시스템 개발 및 실시간 운영
현업 국지앙상블 예측시스템(LENS) 기반 공항 윈드시어 확률예측 정보 산출
응용기상연구를 위한 관측장비(구름자동관측장비 등)의 기술 개선
○ 기상정보활용 및 가치창출지원연구
다학제 융합연구 추진을 통한 미래전략 기상기술의 가치 제고
다. 투자현황
(단위: 백만원) |
||||||
내역사업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응용기상기술 지원 및 활용연구 |
19,053 |
4,218 |
2,277 |
3,174 |
4,324 |
5,074 |
- 102 -
라. 2019년 추진 연구과제 목록
(단위: 백만원) |
||||||
과제 번호 |
연구과제명 |
연구비 |
연구기간 |
수행부서 |
중복성 검토 |
용역필요성 및 직접수행과의 차별성 |
10 |
생명·산업기상기술개발 |
3,174 |
‘19.1. 〜’19.12. |
응용기상연구과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
10- 1 |
생명‧농림기상 기술개발 |
1,734 |
‘19.1. 〜’19.12. |
응용기상연구과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
10- 2 |
기상자원 기술개발 |
540 |
‘19.1. 〜’19.12. |
응용기상연구과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
10- 3 |
항공기상 지원 기술개발 |
600 |
‘19.1. 〜’19.12. |
응용기상연구과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
11 |
기상정보 활용 및 가치 창출지원연구 |
300 |
‘19.1. 〜’19.12. |
미래전략연구팀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마. 과제담당관 및 참여연구원 현황
연구과제명 |
소속기관 및 부서 |
참여연구원 수 |
생명·농림기상 기술개발 |
국립기상과학원 응용기상연구과 |
연구관(사)8+연구원13 |
기상자원 기술개발 |
국립기상과학원 응용기상연구과 |
연구관(사)2+연구원3 |
항공기상 지원 기술개발 |
국립기상과학원 응용기상연구과 |
연구관(사)2+연구원6 |
기상정보활용및가치창출지원연구 |
국립기상과학원 미래전략연구팀 |
연구관(사)2+연구원4 |
- 103 -
바. 연구과제별 추진계획
10 |
생명·산업기상 기술개발 |
응용기상연구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기상청 현업모델 기반의 고해상도 생명기상(도시, 꽃가루, 농업), 산업기상(항공, 신재생에너지) 자료 산출 기술 및 활용 기술 개발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보건기상 폭염의 건강영향평가 및 꽃가루 알레르기 현업서비스를 위한 모델 개발(‘13~‘16)
○ 심층신경망 및 국지앙상블 예측시스템을 이용한 보건기상 정보 개선(‘17~’18)
○ 풍력 기상자원 관측사이트 운영(‘16~)
○ UM 기반 공항 국지기상(300m 해상도) 예측시스템 개발 및 실시간 운영(‘17)
○ 현업국지예측시스템과 도시캐노피모델 결합(‘17)
○ 풍력·태양광 기상자원지도 및 현업모델 기반 단기예측시스템 개발, 실시간 운영 및 개선(‘17~‘18)
○ 수도권 도시기상모델 해상도 상세화(300m) 구축 및 도시정보 개선(‘18)
○ 고해상도(100m) 풍력‧태양광 기상자원지도 생산 및 분석(‘18)
○ 현업 국지앙상블 예측시스템(LENS) 기반 공항 윈드시어 확률예측 정보 산출(‘18)
○ 응용기상연구을 위한 구름자동관측장비 등의 개선 및 소형화 기술개발(‘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 온열지수 검증 및 열지수 비교분석 (기상융합서비스과, ‘16)
- 심층신경망 기반 꽃가루 알레르기 위험도 현업화(기상융합서비스과, ‘17)
- 태양광 기상자원 예측정보 기상청 빅데이터 플랫폼 서비스 지원(기상융합서비스과, ’18)
- 대국민서비스 (www.greenmap.go.kr) 풍력·태양광 기상자원지도 자료 제공(‘16~’18 : 194건)
- 공항 국지기상 예측시스템(항공기상청, ‘18)
○ 예보기여도
활용분야 |
활용내용 |
예보 지원 |
◦[생활기상] 꽃가루 농도 위험지수 개발 및 현업화(‘17) |
◦[기상자원] 풍력‧태양광 기상자원 실시간 단기예측기술 개발 및 개선(‘17~’18) |
|
◦[항공기상] 현업 국지앙상블 기반 공항 윈드시어 확률예측체계 구축(‘18) |
- 104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국민 체감만족도 향상을 위한 응용기상정보 산출 기술 개선
더위체감지수 알고리즘 개선 및 평가 결과 지원
알레르기 유발 꽃가루 실측(관측)정보 제공
도시기상관측망 연직관측자료로 수도권 하층대기 분석 프로세스 개발을 통한 자료 활용성 확대
빅데이터플랫폼 서비스를 위한 풍력 기상자원 단기예측정보 실시간 생산
고해상도(100m) 공항기상예측정보 산출 기술 개발 및 항공청 이전
응용기상연구를 위한 관측장비 (구름자동관측장비 등) 상용화를 위한 특허기술 개발
<연구비산정 기준>
생명·농림기상 기술개발 (1,734백만원)
(인건비) 41백만원 × 13인 = 533백만원
(시험연구비) 259백만원, (연구용역비) 510백만원, (일반용역) 390백만원,
(자산취득비) 42백만원
기상자원 기술개발 (540백만원)
(인건비) 41백만원 × 4인 = 164백만원
(시험연구비) 76백만원, (연구용역비) 200백만원, (일반용역비) 50백만원,
(자산취득비) 50백만원
항공기상 지원 기술개발 (600백만원)
(인건비) 41백만원 × 6인 = 246백만원
(시험연구비) 86백만원, (연구용역비) 170백만원, (일반용역비) 39백만원,
(자산취득비) 59백만원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보건기상 꽃가루 알레르기 관측·진단·예측 기술 개선(기상융합서비스과)
- 활용계획 : 꽃가루 알레르기 관측자료 분석 및 예측모델 검토·개선으로 실측정보제공 및 예측기간 확대에 즉시 활용
○ 공항 저층윈드시어 확률예측시스템(항공기상청 항행기상팀)
- 활용계획 : 공항 저층윈드시어 확률예측 시스템 기술이전(’19년) 실시 후 『공항별
윈드시어 발생 확률 예측정보 생산 및 예보 서비스』사업에 활용
○ 고해상도(100m) 풍력‧태양광 기상자원 단기예측정보 실시간 생산 (기상융합서비스과)
- 활용계획 : 빅데이터플랫폼 서비스에 고해상도 풍력·태양광 기상자원 단기예측 시스템의 산출정보 지원
○ 응용기상연구를 위한 관측장비 기술개발 및 활용연구 (관측정책과)
- 활용계획 : 운량·운고 관측의 정확도 및 객관성을 향상하기 위한 다른 구름물리관측자료(위성, 운고계, 목측) 비교 및 평가를 통한 기상청 구름정보 산출기술 개선에 활용
- 105 -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
추진실적 결과보고 |
중간성과 점검 |
연구용역 성과도출 |
최종성과 점검 |
연구보고서 작성 |
|||
2,874 |
1월 |
6월 |
6월 |
11월 |
11월 |
12월 |
1월~12월 |
(7) 기타
○ 해당사항 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2013년 ~ 계속
(2) 총 연구과제비: 해당없음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생명·산업기상기술개발 |
15,925 |
2,140 |
2,277 |
2,874 |
3,024 |
3,574 |
- 106 -
10- 1 |
생명·산업기상 기술개발 생명·농림기상 기술개발 |
응용기상연구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통합모델 기반 생명·농림기상 통합 지원기술의 고도화
○ 수도권 도시기상관측망 운영과 분석기술 개발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꽃가루 위험지수 통계모델 개발 및 현업서비스: 6대도시(~‘13), 전국(’14~)
○ 인지온도 모델을 활용한 고해상도 생명기후영향분석시스템 개발(‘13~’14)
○ 생명기후영향분석시스템 식생 냉각효과 모델 개선(‘15~’16)
○ 장기예측자료의 생명기상모델(인지온도 등) 구동체계 구축(‘14~’15)
○ 참나무 꽃가루 확산예측시스템(UM- CMAQ- Pollen) 개발(‘15) 및 개선(’16)
○ 농업기상 중기예보 활용을 위한 작황모델 모의기반 구축(‘16)
○ 서울 건물밀집도를 고려한 폭염- 건강위험도 지도 개발(‘17)
○ 심층신경망 기반 참나무 꽃가루 알레르기 예측모델 개발 및 현업화(‘17)
○ 전국 및 서울시 폭염- 건강영향예보 시범서비스 개발(‘17), 개선 및 운영(’18~)
○ 상세 농업기상정보 산출을 위한 인공지능기법 적용 이슬지속시간 모델 개발(‘18)
○ 현업국지예측시스템과 도시기상모델 결합 및 실시간 운영 체계 구축(‘17)
○ 수도권 도시정보(건물과 인공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도시기상모델 상세화(‘18)
○ 응용기상연구을 위한 구름자동관측장비 등의 개선 및 소형화 기술개발(‘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 온열지수 검증 및 열지수 비교분석 (기상융합서비스과, ‘16)
- 심층신경망 기반 꽃가루 알레르기 위험도 현업화(기상융합서비스과, ‘17)
○ 예보기여도
활용분야 |
활용내용 |
예보 지원 |
◦[생활기상] 꽃가루 농도 위험지수 개발 및 현업화(‘17)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생명기상) 한국형 온열질환- 건강 진단모델 평가·개선
- 최적화된 한국인 인체 열 스트레스 모델 평가 및 수도권 위험도 평가
- 보건기상 현업모델 검증·개선(꽃가루 관측망 운영 및 자료 진단, 모델 평가 등)
- 107 -
○ (농림기상·기상연구장비) 농업기상 분야 인공지능기법 시범기술 개발
- 농업지역 지형정보 및 AWS 자료를 이용한 중장기예측자료 활용기술 개발
- 농업 생산 작업 판단을 지원하기 위한 농업기상모델- 이슬지속시간 개선(전국)
- 응용기상연구를 위한 관측장비 (구름자동관측장비 등) 상용화를 위한 특허기술 개발
○ (도시기상) 수도권 도시기상관측망 운영, 자료생산 및 도시기상 특성 분석
- 도시기상관측망(지표에너지 등) 운영, 유지보수
- 도시기상관측 자료 표출시스템 구축
- 관측자료를 이용한 도시 지표특성(알베도 등) 산출 기술 개발
- 현업 수치모델 도시기상 예측과의 비교를 위한 기반 구축
<연구비산정 기준>
o 생명·산업기상기술개발: 생명·농림기상 기술개발(1,734백만원)
- 생명·농림기상 기술개발 646백만원 + 응용기상관측지원 241백만원
(인건비) 410백만원(연구원 (10인) ×41백만원), (자산취득비) 22백만원
(시험연구비) 105백만원, (연구용역비) 350(250+100)백만원
- 도시기상 기술개발 847백만원
(인건비) 123백만원(연구원 (3인) ×41백만원), (자산취득비) 20백만원
(시험연구비) 154백만원, (연구용역비) 160백만원, (일반용역비) 390백만원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보건기상 꽃가루 알레르기 관측·진단·예측 기술 개선(기상융합서비스과)
- 활용계획 : 꽃가루 알레르기 관측자료 재분석 및 예측모델 검토·개선으로 실측정보제공 및 예측기간 확대에 즉시 활용
○ 응용기상연구를 위한 관측장비 기술개발 및 활용연구 (관측정책과)
- 활용계획 : 운량·운고 관측의 정확도 및 객관성을 향상하기 위한 다른 구름물리관측자료(위성, 운고계, 목측) 비교 및 평가를 통한 기상청 구름정보 산출기술 개선에 활용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
중간성과 점검 |
연구용역 성과도출 |
최종성과 점검 |
연구보고서 작성 |
|||
1,734 |
1월 |
6월 |
11월 |
11월 |
12월 |
1월~12월 |
(7) 기타
○ 해당사항 없음
- 108 -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2013년 ~ 계속
(2) 총 연구과제비: 해당사항 없음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생명·산업기상 기술개발: 생명·농림기상 기술개발 |
6,705 |
890 |
1,027 |
1,734 |
1,884 |
2,384 |
- 109 -
10- 2 |
생명·산업기상 기술개발 기상자원 기술개발 |
응용기상연구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기상자원(풍력‧태양광) 예측정보 산출기술 개발 및 개선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수치모델/위성자료 기반 1km 해상도 풍력/태양광 기상자원지도 개발 및 서비스(‘14)
○ 기후변화시나리오 기반의 미래 풍력‧태양광 기상자원지도 산출(‘15)
○ 풍력 기상자원 관측사이트 운영(‘16)
○ 고해상도 풍력 및 태양광 기상자원 예측‧표출체계 개발(‘16)
○ 풍력‧태양광 기상자원 실시간 단기예측기술 개발 및 개선(‘17~’18)
○ 태양광 기상자원 예측정보 기상청 빅데이터 플랫폼 서비스 지원(’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 제주 탄소제로섬 조성 지원을 위한 풍력기상관측사이트 운영 및 분석
· 고창(‘13.11~’17.12), 제주 봉개(‘16.09~), 동복·북촌(’15.11~‘18.10), 행원(’18.11~)
지점의 풍력기상 관측사이트 운영
· 풍력발전 진단체계 구축
- 기후변화 대응 및 신재생에너지 발전단지 진단을 위한 과학적 근거 정보 제공
연도 |
2016 |
2017 |
2018 |
제공 건수 |
107 |
69 |
19 |
주요제공 기관 |
산림청, 제주대학교, 에너지공단, 부산대학교, 민간기업 등 |
제주에너지공사, 한국전력공사, 완도군청, 민간기업 등 |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한국국토정보공사,강릉시청, 민간기업 등 |
* 2018년부터 공문으로 자료 요청시에만 제공
- 태양광 기상자원 예측정보 기상청 빅데이터 플랫폼 서비스 지원(기상융합서비스과, ’18)
· 산출 변수/횟수 : 일사량, 기온, 풍속/일 2회(00, 18 UTC)
· 공간해상도/예측기간 : 100m (격자개수 6900(E- W)×6750(N- S))/36시간(1시간 간격)
○ 예보기여도
활용분야 |
활용내용 |
예보 지원 |
◦풍력‧태양광 기상자원 실시간 단기예측기술 개발 및 개선(‘17~’18) |
- 110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기상자원 관측 및 분석정보 산출기술 개발
- 풍력‧태양광 기상자원 관측 및 분석
- 고해상도(100m) 풍력‧태양광 기상자원지도 개발, 검증, 개선
○ 기상자원 예측정보 산출기술 개발 및 개선
- 고해상도(100m) 실시간 풍력‧태양광 기상자원 예측‧검증시스템 운영 및 개선
- 풍력‧태양광 기상자원 예측정보의 규모상세화 기술 개선
<연구비산정 기준>
o 생명·산업기상기술개발: 기상자원 기술개발(540백만원)
(인건비) 164백만원(연구원 (4인) ×41백만원), (자산취득비) 50백만원
(시험연구비) 76백만원, (연구용역비) 200백만원, (일반용역비) 50백만원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기술명(활용부서)
○ 고해상도(100m) 풍력‧태양광 기상자원 단기예측정보 실시간 생산 및 웹서비스(기상융합서비스과, 전력거래소)
- 활용계획 : 빅데이터플랫폼 서비스에 고해상도 풍력·태양광 기상자원 단기예측 시스템의 산출정보 지원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
중간성과 점검 |
연구용역 성과도출 |
최종성과 점검 |
연구보고서 작성 |
|||
540 |
1월 |
6월 |
11월 |
11월 |
12월 |
1월~12월 |
(7) 기타
○ 해당사항 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2013년 ~ 계속
(2) 총 연구과제비: -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생명·산업기상 기술개발: 기상자원 기술개발 |
2,700 |
540 |
540 |
540 |
540 |
540 |
- 111 -
10- 3 |
생명·산업기상 기술개발 - 항공기상 지원 기술개발 |
응용기상연구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기상청 현업 예측체계 기반 공항 위험기상 예측기술 고도화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UM 기반 공항 국지기상(300m해상도) 예측시스템 개발(‘16) 및 실시간 운영(‘17)
※ 항공기상청에 공항 국지기상 예측시스템 기술이전(관측예보과- 1897, 2017.8.30.)
○ 현업 앙상블 예측체계(LENS) 기반 저층 윈드시어(LLWS) 확률 예측시스템 개발(’17~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 공항 국지기상 예측시스템(항공기상청, 제주공항기상대, ‘18)
○ 예보기여도
활용분야 |
활용내용 |
예보 지원 |
◦[항공기상] 현업 국지앙상블 기반 공항 윈드시어 확률예측체계 구축 (‘18)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공항 위험기상 예·경보 지원 기술개발
- 기상청 현업 예측체계 기반 중·소 공항 고해상도(100m) 기상예측정보 산출 기술 개발
○ 공항운영 의사결정 지원 기술개발
- 현업 국지 확률예측시스템(LENS) 기반 공항 저층 윈드시어 확률예측 시스템 구축
및 실시간 운영
- 공항 윈드시어 경보 예측정보 산출 체계 구축
<연구비산정 기준>
o 생명·산업기상기술개발: 항공기상 지원 기술 개발(600백만원)
(인건비) 246백만원(연구원 (6인) ×41백만원), (자산취득비) 59백만원
(시험연구비) 86백만원, (연구용역비) 170백만원, (일반용역비) 39백만원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공항 저층윈드시어 확률예측시스템(항공기상청 항행기상팀)
- 활용계획 : 공항 저층윈드시어 확률예측 시스템 기술이전(’19년) 실시 후 『공항별
윈드시어 발생 확률 예측정보 생산 및 영향예보 서비스』사업에 활용
- 112 -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
중간성과 점검 |
연구용역 성과도출 |
최종성과 점검 |
연구보고서 작성 |
|||
600 |
1월 |
6월 |
11월 |
11월 |
12월 |
1월~12월 |
(7) 기타
○ 해당사항 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2016년 ~ 계속
(2) 총 연구과제비: 해당사항 없음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생명·산업기상 기술개발: 항공기상 지원 기술개발 |
3,320 |
710 |
710 |
600 |
600 |
650 |
- 113 -
11 |
기상정보활용 및 가치창출 지원 연구 |
미래전략연구팀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적
○ 선도적인 기상기후 연구성과 창출을 위한 정책전략 개발 및 기획 연구
(2) 현재까지 주요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선진 기상기술·정책 정보 공유를 위한 정책보고서 발간(‘14~‘17)
○ 지역 기상기후 사회적 협동조합을 마련하기 위한 기획연구(‘14)
○ 기상정보의 효과적 전달을 위한 용어정립연구(‘14~‘15)
○ 기상기술력 평가를 위한 조사·분석 연구(‘15)
○ 국립기상과학원 조직 발전방안 연구(‘16)
○ 국립기상과학원 책임운영 성과관리 체계 구축(‘17)
○ 기상기후정보의 가치 확대를 위한 정책정보DB구축 및 정책지 발간(’18)
(3) 현재까지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 기상정보의 효과적 전달을 위한 용어 정립
- 예보용어 인식 및 이해도 제고(본청 전부서, 2016년~2018년)
○ 예보기여도 : 대국민 기상정보 제공을 위한 예보용어 인식 및 이해도 조사
활용분야 |
활용내용 |
예보 전달 |
◦(대국민 예보서비스) 기상청과 국민이 공감하고 소통할 수 있는 용어로 개선 |
◦예보문의 어법, 문장 구조 등에 대한 분석 및 소통 방법 개선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기상기후 관련 국내외 정책, 기술, 연구동향 조사 및 분석
- 급변하는 환경변화에 능동적 대응을 위한 단기·중장기 기상기후정책, 기술, 연구동향 조사 및 분석
- 선진 기상기술·정책 정보 공유를 위한 정책정보DB구축 및 기상기술정책지 발간
○ 책임운영기관 성과확대를 위한 정책수립 및 성과관리에 필요한 기획연구
- 기상기후 연구패러다임 변화에 효율적 대응을 위한 기획연구
- 기상정책 비전과 전략방향 도출을 위한 성과관리 및 평가체계 고도화 연구
< 연구비 산정기준>
- 기상정보활용 및 가치창출 지원 연구(300백만원)
(인건비) 41백만원 × 4인 = 164백만원
(시험연구비) 36백만원, (일반용역비) 60백만원, (연구용역비) 20백만원
(자산취득비) 20백만원
- 114 -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기상기후정보의 가치 확대를 위한 정책정보DB구축 및 정책지 발간
○ 기상기후정보의 사회경제적 영향 및 편익 산출
○ 기상과 타 학문 간 융합 연구 강화 및 이를 통한 새로운 가치 창출 마련
○ 기상기후연구 패러다임 변화에 효율적 대응을 위한 정책전략 개발
○ 기술명(활용부서: 본청 전부서)
- 활용계획: 계절별·부문별 영향과 대응방안의 공유 및 지식 확산, 기상정책·기술동향 정보(매 2주 간격) 제공으로 특이 기상·기후 현상의 선제적 대응 마련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
중간성과 점검 |
최종성과 평가 |
연구비 결산 |
연구보고서 작성 |
|||
300 |
1월 |
6월 |
12월 |
12월 |
12월 |
1월~12월 |
(7) 기타
○ 해당사항 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12~계속
(2) 총 연구과제비: 해당사항 없음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세부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기상정보활용 및 가치창출 지원 연구 |
1,820 |
520 |
400 |
300 |
300 |
300 |
- 115 -
2 |
기상관측장비 연구 및 실험시설 구축‧운영 |
[ 국립기상과학원 연구기획운영과 ]
사업 개요
구분 |
내용 |
총사업기간 |
2017년~2020년(4년간) |
총사업비 |
8,551백만원 |
지원근거 |
기상법 제5조, 기상산업진흥법 제4조, 과학기술기본법 제28조 |
지원형태 |
직접수행 |
시행주체 |
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 |
정책 연계성
○ 기상업무발전 기본계획(‘17~’21) : 기상예보 기술과 관측 인프라 고도화(1- 2 핵심 기상관측망 구축 및 기상 장비 관리 강화)
○ 기상R&D 중장기 추진전략 핵심기술명: 해당사항 없음
○ 기타 법정계획 등
관측업무발전 기본계획(‘17~’21) : 5- 4 사회적 수요대응 관측연구 선도(첨단원격 자동기상관측장비 연구 및 실험시설 구축‧운영)
2차 조직개편에 따른 관측업무 조정 계획 알림(‘15.7.10./관측정책과) : 52개 지상기상관측소 중 30개소 무인관서화
사업 최종목표
○ 첨단원격 자동기상관측장비의 최적관측 운영조건 선정과 성능시험 등 선도적 기상관측 실험과 관측자료 분석을 위한 연구실험 시설 구축‧운영을 통하여 위험기상 대응능력 제고
- 116 -
그동안 성과
○ 기상관측장비 연구 및 실험시설 신축을 위한 부지 확보(2016년)
○ 기상관측장비 연구 및 실험시설 설계 완료(2017년)
○ 기상관측장비 연구 및 실험시설 신축 착공(2018년 8월)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구분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ㅇ 기상관측장비 연구 및 실험시설 구축‧운영 |
258 |
2,312 |
4,023 |
1,922 |
0 |
내·외부 지적사항
○ 국정감사(2015년, 환경노동위원회)
기상장비 국산화를 위한 대책 마련 필요, 장비 도입 및 유지보수 체계 개선 필요, 기상장비 잦은 고장에 대한 대책 필요
2018년도 추진 실적
1. 2018년도 대표 성과
○ 기상관측장비 연구 및 실험시설 신축 공정률 40% 달성
2. 2018년도 실적 자체 평가
○ 2018년도 목표 및 달성정도
- 기상관측장비 연구 및 실험시설 신축 공정률 40%
2019년도 추진 계획
1. 2019년도 목표
○ 기상관측장비 연구 및 실험시설 신축공사 공정률 100% 달성
2. 2019년도 주요 추진내용
○ 기상관측장비 연구 및 실험시설 신축
위치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서호동 1614번지
- 117 -
규모 : 대지면적 19,497㎡/ 건물 1,960㎡(지상 3층)
예산 : 총 4,023백만원(공사비 3,957백만원/ 감리비 57백만원/ 시설부대비 9백만원)
(1) 2018년 추진내용과의 비교
(단위: 백만원) |
||
구분 |
2018년 |
2019년 |
□ 기상관측장비 연구 및 실험시설 구축‧운영 |
예산액 |
예산액 |
기상관측장비 연구 및 실험시설 구축 |
2,312 ·기상관측장비 연구 및 실험시설 신축(2,312) |
4,023 ·기상관측장비 연구 및 실험시설 신축(4,023) |
○ 예산 증/감액 또는 전년동일 사유
2018년: 기상관측장비 연구 및 실험시설 신축비(40% / 2,312백만원)
2019년: 기상관측장비 연구 및 실험시설 신축비(60% / 4,023백만원)
(2) 장비 도입 계획
○ 기상청 기상기자재 도입 심의여부(×)
○ 과기정통부 연구장비예산 심의여부(×)
(단위: 백만원) |
||||||||
장비명 |
구축연도 |
구축 비용 |
기상기자재도입 심의 |
연구장비예산 심의 |
관련연구 과제번호 |
|||
시작 |
종료 |
타당성 판정 결과 |
비고 |
타당성 판정 결과 |
비고 |
|||
계 |
- |
- |
- |
- |
- |
|||
해당사항 |
없음 |
|||||||
(3) 2019년 예상 대표성과
○ 기상관측장비 연구 및 실험시설 신축 공정률 100% 달성
- 118 -
별첨1 |
내역사업별 추진계획 |
1. 기상관측장비 연구 및 실험시설 구축
가. 목적
○ 첨단원격 자동기상관측장비의 최적관측 운영조건 선정과 성능시험을 할 수 있는 기상관측장비 연구 및 실험시설 신축
나.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
○ 기상관측장비 연구 및 실험시설 신축부지에 대한 국유재산 사용승인(’16.9.)
○ 기상관측장비 연구 및 실험시설 구축‧운영을 위한 기획연구 완료(’16.12.)
○ 기상관측장비 연구 및 실험시설 설계 완료(’17.12.)
○ 기상관측장비 연구 및 실험시설 신축 착공(’18.8.)
다. 투자현황
(단위: 백만원) |
||||||
내역사업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기상관측장비 연구 및 실험시설 구축 |
8,515 |
258 |
2,312 |
4,023 |
1,922 |
0 |
라. 2019년 추진 연구과제 목록
(단위: 백만원) |
|||||||||||||
과제 번호 |
연구과제명 |
연구비 |
연구기간 |
수행부서 |
중복성 검토 |
용역필요성 및 직접수행과의 차별성 |
|||||||
1 |
기상관측장비 연구 및 실험시설 신축 |
4,023 |
’19.1~’19.12 |
연구기획운영과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없다(○) |
직접 수행 |
마. 과제담당관 및 참여연구원 현황
연구과제명 |
소속기관 및 부서 |
참여연구원 수 |
기상관측장비 연구 및 실험시설 신축 |
국립기상과학원 연구기획운영과 |
- |
- 119 -
바. 연구과제별 추진계획
1 |
기상관측장비 연구 및 실험시설 신축 |
연구기획운영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첨단원격 자동기상관측장비의 최적관측 운영조건 선정과 성능시험을 할 수 있는 기상관측장비 연구 및 실험시설 신축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기상관측장비 연구 및 실험시설 구축을 위한 기본‧실시설계 완료('17)
○ 기상관측장비 연구 및 실험시설 신축 공정률 40% 달성('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해당사항 없음
○ 예보기여도: 해당사항 없음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기상관측장비 연구 및 실험시설 신축 : 4,023백만원
<연구비산정 기준>
- 공사비(3,410백만원): 2.9백만원×1,960㎡×60%
※ 계획 공정율: ‘18년: 40%, ‘19년: 60%
- 법정 공사비(547백만원): 0.11백만원×4,974㎡
- 감리비(57백만원): 3,965백만원×1.45%
- 시설부대비(9백만원): 3,965백만원×0.24%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기상관측장비 연구 및 실험시설 준공(‘19.8.) 및 2020년 실험시스템 구축으로 2019년도 활용계획 없음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계약체결 (2차분) |
신축공사 |
준공 |
실험시스템 자료 조사 및 분석 |
실험시스템 구축 계획 수립 |
|||
4,023 |
1월 |
2월~8월 |
8월 |
9월~11월 |
12월 |
1월~12월 |
- 120 -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2017년~2020년
(2) 총 연구과제비: 8,551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기상관측장비 연구 및 실험시설 신축 |
8,515 |
258 |
2,312 |
4,023 |
1,922 |
0 |
- 121 -
3 |
수치예보·지진업무 지원 및 활용 연구 |
[ 수치모델링센터 수치모델개발과 기상사무관 ]
사업 개요
구분 |
내용 |
총사업기간 |
‧’05∼계속 |
총사업비 |
‧총 52,451백만원 |
지원근거 |
‧자연재해대책법 제58조(자연재해예방 등을 위한 연구개발사업의 육성) ‧지진‧지진해일‧화산의 관측 및 경보에 관한 법률 제21조(지진‧지진해일‧화산의 관측 및 경보에 관한 연구개발사업의 추진) ‧기상법 제32조(기상업무에 관한 연구개발사업의 추진) ‧기상법 제13조2항(기상영향에 관한 예보) |
지원형태 |
‧직접수행/전액국고지원 |
시행주체 |
‧기상청 수치모델링센터 |
정책 연계성
○ 제3차 기상업무발전 기본계획(‘17~’21)
- 1- 1 예보기술력 향상 및 예보시스템 개선
- 1- 2 핵심 기상관측망 구축 및 기상장비 관리 강화
- 2- 1 지진‧지진해일‧화산 감시 및 대응 강화
100대 국정과제 중 55- 지진으로부터 국민안전 확보
100대 국정과제 중 55- 맞춤형 스마트 기상정보 제공
○ 4차 과학기술기본계획 : 17.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안전한 사회 구현
○ 기상R&D 중장기 추진전략 핵심기술명
(분야별 추진전략)
이음새 없는 고해상도 수치예보 시스템 구축
인공지능(AI) 기반 최적화 기법을 적용한 현업 수치예보모델 고도화
실황·초단기예측 기술 고도화
장마철 강수예보 향상 기술
한국형 물리과정 모수화 방안 개발
- 122 -
극한기상이 사회, 경제에 끼치는 영향 평가 기술 개발과 현업화
여러 시간 규모에서 태풍 활동의 변동성 분석
태풍 전용 예측 모델의 도입과 기술 자립화
태풍 발생 감시 시스템 구축과 고도화
지진·지진해일·화산 관측 기술 개발
맞춤형 집중관측을 위한 다중복합 관측 장비 운영 기술개발
지진‧지진해일‧화산 관측 자료 분석 기술
(이슈별 추진전략)
날씨와 기후예측 위한 수치모델링 연구
한반도 지진발생원 분석 및 조기경보 고도화 연구
○ 기타 법정계획 등
자연재해대책법 제58조(자연재해예방 등을 위한 연구개발사업의 육성)
지진‧지진해일‧화산의 관측 및 경보에 관한 법률 제21조(지진‧지진해일‧화산의 관측 및 경보에 관한 연구개발사업의 추진)
기상법 제32조(기상업무에 관한 연구개발사업의 추진)
사업 최종목표
○ 위험기상, 태풍, 지진, 지진해일, 화산활동에 대한 정확한 감시 및 예측 정보 생산을 위한 감시·분석·예측·수치예보시스템 개발 및 개선
그동안 성과
○ 수치예보 지원 및 활용기술 개발
고해상도(3km) 지역확률예측시스템(’15) 및 32km 전지구 확률예측시스템 개발(’16)
영역확장(한반도 → 동아시아) 국지예측시스템 개발(’16)
수치예측자료 품질과 중기예측성능향상을 위한 전지구예보시스템 개선(’17)
위험기상 대응을 위한 통합모델 기반 초단기 수치예보시스템 개선 및 현업화(’17)
국지예보시스템 영역확장 및 역학과정 변경에 따른 개선 결과 현업화(’17)
현업 국지예보시스템의 강수물리과정 개선 및 국내 가용 관측자료동화(GNSS, AMSU- B) 증대(’18)
- 123 -
평창 동계올림픽 지원 국제 기상연구프로그램 수행을 통한 테스트이벤트(’17) 및 평창동계 올림픽 기상지원(’18)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위험기상(호우, 폭염 등) 예측기법 연구
기상현상의 사회·경제적 기상영향 자료 수집 및 권역별 위험수준 산정 방안 연구
기상기후분야 트렌드 반영 및 사회적 이슈 해결을 위한 연구과제 개발
통계역학적 태풍강도 예측모델(STIPS) 실시간 운영 구축(’17)
태풍 발생단계에서 TY급 이상 발달 가능성 예측 기법 개발(’18)
앙상블 역학모델 기반 상륙태풍의 강수‧바람 특성 분석 기법 개발(’18)
앙상블 역학모델 기반 태풍 진로 확률 예측 기술 개발(’18)
○ 지진화산업무 지원 및 활용연구
지진관측환경 표준화 및 지진정보 생산 개선 연구
· 한반도 표준 배경잡음 모델 개선(내륙 지역) 및 가속도센서 관측자료 분석 연구(’16)
· 한반도 발생 지진 규모 및 위치 정확도 향상 기술 개발(’17)
· 한반도 발생 특이지진의 지진원 특성 분석 연구(’17)
· 한반도 주요 지진활동 및 지진발생 메카니즘 분석(’18)
· 한반도 주요지진을 이용한 진도등급 분류 기준 마련(’18)
· 국외 관측자료 활용 인공지진 정밀 분석기술 개발(’18)
· 진원오차 개선을 위한 분석변수에 따른 미소지진 진원분석(’18)
· 주요 지진정보이력 DB구축 및 지반정보를 활용한 진도 산출(’18)
· 국가 인공지진 대응체계 개선을 위한 효율적인 공중 음파 관측소 설치 방안 마련(’18)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개발 및 개선 연구
·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실시간 운영상태 검증(’17)
· 지진해일 검출시스템 성능검증 및 현업화 기반 구축(’17)
· 동해·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개선 및 지진발생 깊이에 따른 지진해일 대응 가이던스 마련(’18)
화산활동 원격감시 및 한반도 지각활동 진단정보 생산
· 화산활동 원격감시를 위한 아리랑위성자료 활용체계 구축(’16)
- 124 -
· 연도별(’04~’15년) 한반도 지각변동 속도 및 방향 분석 결과 산출(’16)
· 백두산지역 상대지표온도변화 산출시스템 개발(’17)
· GNSS를 이용한 한반도 지각변동 정기산출 및 ’04~’16년 응력변형률 산출(’17)
· 지구자기, 중력 등 지구물리관측자료를 활용한 지진‧화산활동 검출기술 활용연구(’17)
· 지표변위와 상대지표온도를 이용한 백두산 화산활동 모니터링 결과 산출(’18)
· 지진에 의한 지구물리변동 분석 기술 개발(’18)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구분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ㅇ 수치예보·지진업무 지원 및 활용 연구 |
6,721 |
8,207 |
7,203 |
10,643 |
11,315 |
내·외부 지적사항
○ 심상정의원 보도자료(2015.9.14.)
태풍진로에 비해 강도와 크기에 대한 기술 개발 필요
현업 기술개발 외에도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기초연구 필요
○ 국정감사(2015년)
고령인구 등을 고려한 폭염피해 증가 모델링을 전국으로 확대 시행하고 관련 보고서를 관계기관과 공유할 것(장하나 위원)
폭염 시 실외작업 노동자가 휴식할 수 있도록 폭염특보 정보를 사업장 관리자에게 제공 등 필요(장하나 위원)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자까지 고려한 맞춤형 지수 개발 필요(민현주 위원)
태풍 예보능력향상을 위한 제도개선과 예산확보노력 필요(주영순, 심상정 의원)
○ 국정감사(2017년)
천리안 2호 관측자료 등이 수치모델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고, 수치모델 업그레이드 및 운영을 위한 인력을 확보할 것(김삼화 의원)
- 125 -
국민들에게 직접적인 도움이 되는 영향예보를 위해, 영향예보 질적 발전 및 인력 확보 등 공격적 계획 잡아야 할 것(하태경 의원)
○ 2019년 주요업무 계획(2018년)
ICE- POP 2018의 성공사례가 이어지도록 유지·관리 필요
2018년도 추진 실적
1. 2018년도 대표 성과
○ 수치예보지원 및 활용기술개발
고해상도(10km) 전지구예보시스템 운영체계 구축 및 현업운영
국지앙상블모델의 해상도(3→2.2km) 및 물리과정 개선을 통한 국지규모 확률예측 지원
통합모델 기반 3차원 입체 실황분석시스템 개선을 통한 실황 분석 지원 강화와 수치예보모델의 이음새 개선
집중호우(장마 등) 특성 및 메커니즘 분석·이해를 기반으로 수치모델의 문제점을 진단 및 집중호우 예측성능 개선
평창 동계올림픽 지원을 위한 국제공동 수치모델 및 집중관측 수행(1∼3월) ※ 12개국 29개기관 참여 국제공동연구 수행
제4차 ICE- POP2018 국제워크숍 개최(11.27~30)
태풍강도 예측모델 실시간 운영 체계 구축을 통한 현업 활용 및 검증
태풍지역통합모델 개선과 실시간 운영을 통한 태풍 예보 지원
태풍 발생단계에서 TY급 이상으로 발달 가능성 예측을 위한 통계 기법 개발
○ 지진화산업무 지원 및 활용연구
한반도에 적합한 진도 등급 구간값 설정
· 지진계 관측값에 기반한 진도 산출을 위해 미국 연구결과에 의한 진도 등급별 최대지반운동 구간값을 사용하였으나, 미국과 상이한 한반도 지진발생환경에 적합한 진도 정보를 산출하기 위해 한반도 주요 지진을 이용한 진도 등급 구간값을 설정하였으며, 기상청 진도 서비스
- 126 -
(’18.11.28)를 위해 적용하여 진도 정보 제공에 활용함
- 지진발생 지역 및 깊이에 따른 지진해일 대응 체계 세분화
· 지진해일 시나리오 DB를 활용 가능한 지역 및 깊이와 지진해일 예측 알고리즘 사용이 필요한 지역 및 깊이를 분류하였으며, 지진발생 깊이별 지진해일 대응 가이던스를 마련하여 현업 활용 중임
2. 2018년도 실적 자체 평가
○ 2018년도 목표 및 달성정도
- 10km 고해상도 통합모델 기반의 전지구예보시스템 개선과 현업운영으로 수치예측자료 품질과 중기예측성능 향상에 기여
- 국지앙상블 모델의 수평해상도(3km → 2.2km) 및 물리과정 개선으로 국지적 기상현상에 대한 확률예보 개선
- 한반도 기상현상을 적절하게 반영하도록 경계층물리과정을 최적화하고 국지규모에서의 관측자료 활용효과를 높임으로써 단기 강수예보 정확도 향상을 위한 기반 연구 수행
- 초단기예보시스템의 실황분석 및 레이더 강우강도 관측자료 초기화 기법 개선으로 정량적 강수예측 정확도 향상을 위한 기반 마련
평창 동계올림픽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12개국 29개 기관이 참석하여 집중관측과 참가국 수치예보모델 지원을 통해 올림픽 기상예보 생산 지원
- 장마철 강수특성 분석과 물리과정 개선으로 한반도 여름철 대표 기상현상에 대한 과학적 이해 증진 및 강수 예측 성능 개선 기반 마련
- 태풍 단장기 예측방법과 진로‧강도예측 능력 향상을 위한 기술 개선을 통한 목표 달성
- 한반도 주요지진을 이용한 진도등급 분류 기준 마련으로 국내 지진에 대한 진도등급 산출 결과에 신뢰도 향상
- 2018년도 미소지진 정밀분석은 진원오차 개선을 위한 진원분석 정확도 향상에 기여
- 주요 지진정보이력 DB구축 방안은 한반도 지진이력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지속적인 연구 자료로 활용성 향상
- 북한의 핵실험, 발파 등의 감시 목적으로 인공지진 분석기술 개발하고 기준을 마련함으로써 분석 결과의 신뢰성을 향상
- 127 -
- 지진 발생 깊이에 따른 지진해일 대응 가이던스를 마련하여 지진해일 대응 역량 강화에 기여
- 서해, 남해, 동해의 파도 특성에 따라 지진해일 관측 기준을 마련하여 목측 관측에 의존하는 지진해일 관측체계를 계기에 의한 정량관측체계로 전환하기 위한 기반 구축
-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니는 열적외선 자료와 영상레이더 자료를 이용하여 백두산에 대한 주기적 화산활동 모니터링 체계를 마련하고 결과를 산출
- GNSS 자료를 이용하여 핵실험에 의한 전리층 변동을 분석하였으며 지구물리 자료 활용성 향상
○ 개선 보완사항
- 진원오차 개선을 위해 계획상 관측소의 지점 증가와 환경개선 등으로 미소지진 정밀분석과 함께 발생 지역별에 대한 분류 및 지각속도구조 연구필요
- 지진해일 수치모의 알고리즘 개발과 함께 지진해일 수치모의 연산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슈퍼컴퓨터를 활용한 지진해일 모델링 수행 필요
- 화산재 주의보/경보 등 화산특보 발령을 위한 세부기준을 마련하였으나, 인체 등에 대한 영향 평가나 대응을 위한 기준 등이 명확하지 않아, 한반도에 대한 영향 예측에 기반한 화산특보 발령에 필요한 정량적 기준 마련 필요
2019년도 추진 계획
1. 2019년도 목표
○ 수치예보지원 및 활용기술개발
전지구모델 계통오차 분석과 원인진단 및 한수예모델 적용 기반 연구
다중예측모델을 이용한 단·중기 확률예측시스템의 고도화
동아시아 지역 관측자료 활용기법의 다변화를 통한 단기모델 개선
다중규모 실황분석기법 개발 및 초단기 정량적 강수예측성능 개선
장마 메커니즘 및 장마철 집중호우 구조에 대한 심층이해를 바탕으로 정량강수 예보정확도 개선
한반도 집중관측자료를 활용한 현업수치모델 물리과정 개선
태풍 진로 및 강도 예보 정확도 향상을 위한 분석 및 예측 기술 개발
- 128 -
○ 지진화산업무 지원 및 활용연구
- 차세대 지진조기경보 알고리즘 기술 개발
- 차세대 한반도형 지반운동예측모델 개발
- 한반도 발생 지진원 DB 시스템 구축
- 한반도 발생 지진 진원분석 정확도 향상
- 지진해일 수치모의 시간 단축 및 지진해일 정보 고도화
- 지진해일 계기관측체계 기반 구축
- 화산지역 원격감시정보 정기 산출을 위한 체계화
2. 2019년도 주요 추진내용
○ 수치예보지원 및 활용기술개발
중기예보지원을 위한 전지구 및 앙상블예측시스템 구축 및 진단개선
· 현업 전지구예보모델의 중기예측성 진단
· 한수예모델적용 기반구축을 위한 지면자료동화과정 개발
· 한국형수치예보모델기반 전지구 앙상블 예측 시스템 기반기술 개발
다중모델 앙상블 초기버전 개발을 위한 기반 기술 구축
위성 관측자료 및 동아시아 레이더 관측자료의 활용 확대
초단기모델의 구름 분석과정과 초기화 기법 개선 및 강수 예측성능 개선
장마 시종기간 결정 주요인자 선정, 2017~2018년도 장마철 호우사례 특성 분석 및 집중호우 개념모델 개발
집중관측자료를 이용한 한국형 통합 미세물리과정의 진단 및 개선
지상 집중관측자료를 활용한 한국형 통합 눈- 지면 물리과정 진단 및 개선
태풍진로 지향류 분석 기법 개발과 태풍 발생탐지 기법 개선
○ 지진・화산업무 지원 및 활용연구
- 최신 지진조기경보 알고리즘 분석을 통한 현행 시스템 개선방향 수립
- 현장경보(On- site Alarm) 기술과 이동통신 기기 센서 기반의 지진 조기분석의 활용 가능성 분석
- 지진기록 정보이력 생성 시스템 개발 및 과거(`00~`18) 지진정보 DB구축
- 한반도 지진기록 기반의 관측소별 표준응답모델 개발
- 129 -
- 국내지진·미소지진 통합DB 구축
- TDMT 역산 및 초동분석법을 적용한 분석체계 구축
- 과거 주요지진의 지진원과 단층면해 DB 구축
- 진원오차 개선을 위한 진원분석 알고리즘 및 지각속도모델 비교분석
- 슈퍼컴퓨터 활용 고해상도 지진해일 모델링 수행 체계 구축
- 지진파에 의한 단층운동 분석결과를 적용한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개선
- 지진발생 깊이별 지진해일 시나리오 DB 생산 및 활용
- 지진해일 검출시스템 실시간 운영상태 검증 및 지진해일 관측자료 활용 분석
- 실시간 관측자료를 이용한 관측소별 지진해일 판단 기준값 검증
- 원격자료를 이용한 백두산 화산활동(‘18년) 정기분석
- 남북 백두산 공동 연구를 위한 국외 화산관측소의 화산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 분석
- 한반도 지각활동 추이(~‘18년) 정기분석
- 청양 지구자기 자료 처리 및 품질 관리(‘18년도 확정자료(Definitive data) 생산)
- 지구물리현상의 지진・화산 연관성 해석 연구
- (용역) 스마트폰 가속도센서 활용 지진조기경보 고도화 연구사업
- (용역) 지진 이벤트의 관측소별 계기진도, 응답이력 정보 산출
- (용역) 지진발생 깊이별 지진해일 시나리오 DB 산출
- (용역) 화산재 특보기준 설정을 위한 화산재 피해 지수 생성 연구
- 130 -
(1) 2018년 추진내용과의 비교
(단위: 백만원) |
||
구분 |
2018년 |
2019년 |
□ 수치예보·지진업무 지원 및 활용 연구 |
8,207 |
7,203 |
수치예보 지원 및 활용기술 개발 |
7,017 ·수치예보 및 자료응용 기술개발(3,717) - 이음새 없는 수치예보모델 기반기술개발(1,817) - 초단기 위험기상 예측기술 개발(400) - 평창동계올림픽지원 국제 기상연구프로그램 수행(1,050) - 집중호우(장마 등) 심층분석 및 수치모델의 강우 예측성 향상 연구(450) |
5,874 ·수치예보 및 자료응용 기술개발(3,023) - 이음새 없는 수치예보모델 기반기술개발(1,312) - 초단기 위험기상 예측기술 개발(400) - 한반도 집중관측자료를 활용한 수치모델 물리과정 개선(711) - 집중호우(장마 등) 심층분석 및 강우 예측성 향상 연구(600) |
·태풍 분석 및 예측기술개발(1,485) - 태풍 단기예측기술개발(761) - 태풍 장기 예측기술개발(395) - 태풍 발생감시와 분석기술 개발(329) |
·태풍 분석 및 예측기술개발(1,286) - 태풍 단기예측기술개발(742) - 태풍 장기 예측기술개발(195) - 태풍 발생감시와 분석기술 개발(154) - 재해기상 대응 융합형 예측 기술 개발(195) |
|
·영향예보기술개발(1,815) - 지역특화 국지기상 예측기술개발(850) - 돌발 기상재해 분석기술 개발(420) - 사회적 기상이슈 대응 기술개발(170) - 지역별 위험기상 발생확률 생산기술 개발(375) |
·영향예보기술개발(1,565) - 지역특화 국지기상 예측기술개발(650) - 돌발 기상재해 분석기술 개발(420) - 사회적 기상이슈 대응 기술개발(170) - 지역별 위험기상 발생확률 생산기술 개발(325) |
|
지진‧화산업무 지원 및 활용연구 |
1,190 ·지진·지진해일·화산감시 및 예측기술 개발(1,190) - 지진관측환경 표준화 및 지진정보 생산 개선 연구(513) -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개발 및 개선연구(279) - 화산활동 원격감시 및 한반도 지각활동 진단정보 생산(398) |
1,329 ·지진·지진해일·화산감시 및 예측기술 개발(1,329) - 지진관측환경 표준화 및 지진정보 생산 개선 연구(762) -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개발 및 개선연구(251) - 화산활동 원격감시 및 한반도 지각활동 진단정보 생산(316) |
○ 예산 증/감액 또는 전년동일 사유
수치예보 지원 및 활용기술개발 전년대비 16.2% 감액 (7,017백만원→5,874백만원)
‧ 시험연구비 등 감액(△804)
‧ 18년 ‘평창동계올림픽 국제기상연구’ 과제 종료 반영에 따른 감액(△1,050)
‧ 19년 ‘한반도집중관측 수치모델물리과정개선’ 신규 과제 반영에 따른 증액(711)
지진‧화산업무 지원 및 활용연구 전년대비 11.7% 증액 (1,190백만원→1,329백만원)
‧ 지진 검정기술개발을 위한 비교관측체계 구축에 따른 증액 (139)
- 131 -
(2) 2019년 예상 대표성과
○ 수치예보 지원 및 활용기술개발
중기예보지원을 위한 전지구 및 앙상블예측시스템 구축 및 진단개선
· 현업 전지구예보모델의 중기예측성 진단
· 한수예모델적용 기반구축을 위한 지면자료동화과정 개발
· 한국형수치예보모델기반 전지구 앙상블 예측 시스템 기반기술 개발
다중모델 앙상블 초기버전 개발을 위한 기반 기술 구축
이음새 없는 통합예측체계 구축을 위한 기술 개발
· 동아시아지역 관측자료 활용 다변화를 통한 단기모델 예측성능 개선
· 초단기모델의 구름 분석 및 초기화기법 개선으로 강수예측성능 개선
장마전선 및 장마철 집중호우 메커니즘 분석을 통한 장마철 정량강수 예측 정확도 개선
한반도 집중관측자료(ICE- POP 2018)를 활용한 수치모델 미세물리과정 개선
태풍진로 지향류 분석 기법 개발
○ 지진・화산업무 지원 및 활용연구
기상청 지진조기경보시스템의 신속‧정확한 지진정보 전달 및 활용체계 구축
관측소 응답이력 및 계기진도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DB 구축 가능
한반도 주요지진, 지진원 DB 기반 한반도 지진 특성 정밀 분석
지진발생 깊이별 지진해일 시나리오 DB
화산재 특보기준 설정
- 132 -
별첨1 |
내역사업별 추진계획 |
1. 수치예보지원 및 활용기술개발
가. 목적
○ 현업 수치예측시스템의 성능개선을 통한 국민 체감 예보 정확도 향상
○ 태풍 예측성 향상을 위한 분석 및 예측 기술 개발
○ 날씨로 인한 사회⋅경제적 기상영향과 위험기상발생 가능성에 대한 예측 기술 개발 및 이를 통한 영향예보 기술 기반 강화
나.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
○ 수치예보 및 자료응용 기술개발
- 통합모델(UM)에 새로운 구름물리과정(WSM) 적용하여 강수 정확도 개선(‘09)
- 지역통합모델(UM)의 물리과정 최적화를 통한 강수예측성 10∼15% 향상 구현(’10)
- 통합모델의 모수최적화 체계구축 및 초단기예보 지원시스템 현업 운영(’11)
- 대기- 파랑 접합모델 및 한반도 합성 강수량 산출기법 개발(’12)
- 최적화 기법을 이용한 기상특보 가이던스 개발(’13)
- 기계학습기법을 이용한 특보가이던스 개선 등 초단기, 단‧중기 예보능력 향상(‘14) - 낙뢰 자료를 추가한 기계학습 기반의 호우특보 가이던스 개선(‘15)
- 고해상도 수치모델 적용을 위한 구름분석 고도화 기술의 특성 및 구조 분석(‘15)
- 국지예보모델의 예측 영역 확장을 통한 단기 예보 일관성 향상(‘16)
- 통합모델 기반의 초단기모델 개발을 위한 자료동화 구성의 최적화(‘16)
- 통합모델 기반의 초단기수치예보시스템(1시간 주기, 1.5km 해상도) 현업화(‘17)
- 통합모델 기반의 현업 전지구예보모델의 계통적 오차 분석 및 중기예측성 평가(‘17)
- 통합모델기반 고해상도(10km)전지구예보모델의 구축 운영과 예측성평가(’18)
- 국지앙상블모델의 해상도 개선(3km→2.2km) 및 중위도에 맞는 물리과정 도입(‘18)
- 한반도 기상환경에 최적화된 물리과정을 기반으로 단기강수예보 정확도 개선(‘18)
- 인공지능기술을 이용한 불확실성이 높은 수치모델 지표특성자료 최적화와 강수예측에 대한 위상 및 강도 보정기술 개발(‘18)
- 통합모델 기반 실황분석시스템 및 강수자료에 대한 초기화기법 개선(’18)
- 2017년 장마철 호우사례에 대한 재분석기술개발(1시간 간격, 1.5km 해상도)(’18)
- 장마 관련 정의 재정립 및 2017년 장마철 주요사례별 개념모델 개발(’18)
- 국지예보모델의 물리과정 개선 및 ICEPOP2018을 통한 평창동계올림픽 기상지원(’18)
○ 태풍 분석 및 예측기술 개발
- 통계- 역학 융합기반 태풍계절예측모델 개발(`14)
- 133 -
- 객관적 태풍 재분석 알고리즘 개발과 재분석시스템 구축(`14)
- 역학모델 기반의 태풍초기화 기법 개발과 활용(`15)
- 역학모델과 통계모델을 융합한 태풍 계절 전망 기술개발(`16)
- 선택과 가중방법을 결합한 다중모델앙상블 태풍예측기술 개발과 운영(`16)
- 수치모델을 활용한 강풍반경 산정기법 개발(`17)
- 태풍진로예보 실시간 확률반경 산출 알고리즘 개발(`17)
- 통계역학적 태풍강도 예측모델(STIPS) 실시간 운영 구축(`17)
- 태풍 발생단계에서 TY급 이상 발달 가능성 예측 기법 개발(`18)
- 앙상블 역학모델 기반 상륙태풍의 강수‧바람 특성 분석 기법 개발(`18)
- 앙상블 역학모델 기반 태풍 진로 확률 예측 기술 개발(`18)
다. 투자현황
(단위: 백만원) |
||||||
내역사업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수치예보 지원 및 활용 기술개발 |
34,698 |
5,691 |
7,017 |
5,874 |
7,701 |
8,415 |
라. 2019년 추진 연구과제 목록
(단위: 백만원) |
||||||
과제 번호 |
연구과제명 |
연구비 |
연구기간 |
수행부서 |
중복성 검토 |
용역필요성 및 직접수행과의 차별성 |
1 |
수치예보 및 자료응용기술개발 |
3,023 |
‘19.1.~’19.12 |
수치모델개발과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
1- 1 |
이음새 없는 수치예보 기반기술개발 |
1,312 |
‘19.1.~’19.12 |
수치모델개발과 수치자료응용과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
1- 2 |
초단기 위험기상 예측기술 개발 |
400 |
‘19.1.~’19.12 |
수치자료응용과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
1- 3 |
집중호우(장마 등) 심층분석 및 강우 예측성 향상 연구 |
600 |
‘19.1.~’19.12 |
국립기상과학원 관측예보연구과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
1- 4 |
한반도 집중관측자료를 활용한 수치모델 물리과정 개선 |
711 |
‘19.1.~’19.12 |
수치자료응용과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
2 |
태풍 분석 및 예측기술개발 |
1286 |
‘19.1.~’19.12. |
국가태풍센터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
2- 1 |
태풍 단기 예측기술개발 |
742 |
‘19.1.~’19.12. |
국가태풍센터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
2- 2 |
태풍 장기 예측기술개발 |
195 |
‘19.1.~’19.12. |
국가태풍센터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
2- 3 |
태풍발생 감시와 관측자료분석기술 개발 |
154 |
’19.1.~’19.12. |
국가태풍센터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
2- 4 |
재해기상 대응 융합형 예측 기술 개발 |
195 |
‘19.1.~’19.12. |
재해기상연구센터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
3 |
영향예보기술개발 |
1,565 |
’19.1.~’19.12. |
영향예보추진팀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
3- 1 |
지역특화 국지기상 예측기술개발 |
650 |
’19.1.~’19.12. |
영향예보추진팀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
3- 2 |
돌발 기상재해 분석기술 개발 |
420 |
’19.1.~’19.12. |
기후정책과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
3- 3 |
사회적 기상이슈 대응 기술개발 |
170 |
’19.1.~’19.12. |
연구개발담당관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
3- 4 |
지역별 위험기상 발생확률 생산기술 개발 |
325 |
’19.1.~’19.12.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
- 134 -
마. 과제담당관 및 참여연구원 현황
연구과제명 |
소속기관 및 부서 |
참여연구원 수 |
이음새 없는 수치예보모델 기반기술개발 |
수치모델개발과 수치자료응용과 |
68 |
초단기 위험기상 예측기술 개발 |
수치모델링센터 수치자료응용과 |
|
집중호우(장마 등) 심층분석 및 강우 예측성 향상 연구 |
국립기상과학원 관측예보연구과 |
|
한반도 집중관측 자료를 활용한 수치모델 물리과정 개선 |
수치모델링센터 수치자료응용과 |
|
태풍 단기 예측기술개발 |
국가태풍센터 |
28 |
태풍 장기 예측기술개발 |
국가태풍센터 |
|
태풍발생 감시와 관측자료분석기술 개발 |
국가태풍센터 |
|
재해기상 대응 융합형 초단기예측 기술 개발 |
국립기상과학원 재해기상연구센터 |
|
지역특화 국지기상 예측기술개발 |
영향예보추진팀 지방(지)청, 항공청 |
29 |
돌발 기상재해 분석기술 개발 |
기후정책과 |
5 |
사회적 기상이슈 대응 기술개발 |
연구개발담당관 |
9 |
지역별 위험기상 발생확률 생산기술 개발 |
영향예보추진팀 재해기상연구센터 |
12 |
- 135 -
바. 연구과제별 추진계획
1 |
수치예보 및 자료응용 기술개발 |
수치모델개발과 수치자료응용과 관측예보연구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초단기에서 중기까지 이음새 없는 상세하고 정확한 위험기상 및 국민이 체감하는 사용자 중심의 수치예측 정보 제공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초단기예보시스템(KLAPS) 현업 운영(‘11)
○ 최적화 기법을 이용한 기상특보 가이던스 개발(‘13)
○ 기계학습기법을 이용한 호우 특보가이던스 개선 등(‘14∼’15)
○ 통합모델 기반의 초단기모델 개발을 위한 자료동화 최적화(‘16)
○ 영역확장(한반도⟶동아시아) 국지예측시스템 개발(’16)
○ 국지- 지역 융합예보모델 구축 및 지상GNSS 수증기 활용 기법 개선(’17)
○ 국지모델의 수치모델기반 종관관측자료 품질관리 기준 개선(’17)
○ 통합모델 기반의 초단기 수치예보시스템(1시간 주기, 1.5km 해상도) 현업화(‘17)
○ 집중호우(장마) 분야 특이기상연구센터 지정 및 운영(‘17)
○ 전지구모델 해상도(17/25km)별 예측특성 진단(‘17)
○ 통합모델기반 고해상도(10km)전지구예보모델의 구축 운영과 예측성평가(’18)
○ 국지앙상블모델의 해상도 개선(3km→2.2km) 및 중위도에 맞는 물리과정 도입(‘18)
○ 한반도 기상환경에 최적화된 물리과정을 기반으로 단기강수예보 정확도 개선(‘18)
○ 인공지능기술을 이용한 불확실성이 높은 수치모델 지표특성자료 최적화와 강수예측에 대한 위상 및 강도 보정기술 개발(‘18)
○ 통합모델 기반 실황분석시스템 및 강수자료에 대한 초기화기법 개선(’18)
○ 2017년 장마철 호우사례에 대한 재분석기술개발(1시간 간격, 1.5km 해상도)(’18)
○ 장마 관련 정의 재정립 및 2017년 장마철 주요사례별 개념모델 개발(’18)
○ 국지예보모델의 물리과정 개선 및 ICEPOP2018을 통한 평창동계올림픽 기상지원(’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18)
○ 현업화 성과
- 전지구 앙상블 모델의 해상도 개선(40km→ 32km) 및 멤버수 확장(45→ 49멤버) (‘16)
- 136 -
- 국지예측시스템 영역확장 및 역학과정 변경에 따른 개선 결과 현업화(예보국, `16)
- 전지구 앙상블 지면섭동 개선 (지면 및 토양수분 섭동 추가) (‘17)
- 통합모델 기반의 초단기 수치예보시스템(1시간 주기, 1.5km 해상도) 현업화(예보국, ‘17)
- 해상도(3km→2.2km) 및 물리과정이 개선된 국지앙상블모델 현업화 (`18)
- 고해상도 전지구예보시스템 운영체계 개선과 현업화(예보국, `18)
※주요개선: PS03(2016):25kmL70→17kmL70/ENDGame, PS04(2017): VARBC, PS05(2018): 10kmL70
- 국지예측시스템 개선(GNSS, AMSUB 위성자료 활용 및 강수물리과정 개선 등) 버전 현업화(예보국, `18)
- 윈드프로파일러 활용 지점 확대, QC 정보 적용 및 고해상도(연직) 윈드프로파일러 지점(북강릉, 태풍센터)의 연직솎아내기 국지모델 현업화(예보국, `18)
○ 예보기여도
활용분야 |
활용내용 |
예보 |
◦(초·단·중기) - (중기)고해상도 전지구예보시스템 개선(17km→10km) 및 현업화로 예보관 지원 강화(‘18) - (단기)경계층 물리과정 최적화 및 원격탐사 자료 효율적 활용을 통한 초기장 품질 개선으로 단기예보 정확도 기여(‘18) - (초단기)통합모델기반 초단기예측시스템(VDAPS) 현업화 및 개선을 통한 초단기예보 기여(‘17~‘18) - (확률예측)국지앙상블 모델의 수평해상도(3km → 2.2km) 및 물리과정 개선을 통한 국지규모 위험기상 확률예측 지원(‘18) |
예보 지원 |
◦(기상관측) - 레이더센터에서 개발한 레이더기반 겨울철 눈비영역 정보제공 시스템의 수치모델자료로서 초단기수치모델(VDAPS) 예측자료 지원(‘18) |
◦(평창올림픽 기상지원) - 통합모델기반 초단기예보시스템 12시간 예측자료를 활용한 평창동계올림픽 기상지원용 초단기예보 가이던스 제공(‘18) - ICE- POP 2018 집중관측 및 수치모델 자료를 동계올림픽 예보관에게 제공하여 동계올림픽 기상 지원 수행(‘18) |
|
◦(기타) - 국립산림과학원 산악 미기상분석시스템 지원용 초단기예보모델(VDAPS) 분석 및 예측정보 제공(‘18)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중기예보지원을 위한 전지구 및 앙상블 예측시스템 구축 및 진단개선
- 현업 전지구예보모델의 태풍초기화 민감도실험 및 중기예측성 진단
- 한수예모델 적용 기반구축을 위한 지면자료동화과정 개발
- 한국형수치예보모델 기반 전지구 앙상블 예측 시스템 기반기술 개발
- 영향예보를 위한 다중모델 앙상블 예측시스템 초기버전 개발
○ 현업 지역규모모델의 단기예측성능 향상
- 국지모델 개선을 위한 동아시아 및 한반도 지역 관측자료 활용기법 다변화
○ 인공지능과 수치예보 융합기술 개발
- 137 -
- 고해상도 토지이용도 자료와 인공지능기법을 이용한 지면 및 지표물리과정 개선
- 전지구예보모델 특성 변화를 반영한 동네예보 가이던스 산출 기술 개발
○ 초단기모델의 구름 분석 및 강수예측성능 개선
- 기상현상의 규모를 반영한 다중규모 실황분석시스템 개발
- 초단기 강수예측 성능 향상을 위한 구름 및 강수에 대한 초기화 기법 개선
○ 집중호우(장마 등) 심층분석 및 강수 예측성 향상 연구
- 장마전선 특징 및 메커니즘 분석
- 장마철 집중호우 특성 분석 및 예측성 개선
- 인공지능 기반 한반도 특화 강수예측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한반도 집중관측자료를 활용한 수치모델 물리과정 개선
- 집중관측자료를 이용한 한국형 통합 미세물리과정 기초 진단 및 개선
- 지상 집중관측자료를 활용한 눈- 지면 물리과정 진단 및 개선
<연구비산정 기준>
- 인건비 934백만원
- 시험연구비 604백만원
- 연구연구비(5건) 1,325백만원
- 일반용역비 100백만원
- 자산취득비 60백만원
(5)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
중간성과 점검 |
최종성과 점검 |
보고서 작성 |
|||
3,023 |
1월 |
6월 |
11월 |
12월 |
1월~11월 |
(6) 기타
해당사항 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2016 ~ 계속
(2) 총 연구과제비: 계속사업(해당사항 없음)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수치예보 및 자료응용 기술개발 |
19,591 |
3,001 |
3,717 |
3,023 |
4,950 |
4,950 |
- 138 -
1- 1 |
수치예보 및 자료응용 기술개발 이음새 없는 수치예보모델 기반기술개발 |
수치모델개발과 수치자료응용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통합모델 기반의 이음새 없는 수치예측체계 구축으로 예보 정확도 개선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
○ 3㎞ 해상도의 한반도 영역 국지 확률예측시스템 현업화(‘15)
○ 32km 해상도 전지구 확률예측시스템 구축(‘16)
○ 국지예보모델의 예측 영역 확장을 통한 단기 예보 일관성 향상(‘16)
○ 국지- 지역 융합예보모델 구축 및 보조입력자료 처리기법 개선(‘17)
○ 17km 해상도 전지구예보시스템 고도화 및 현업 전지구예보모델 계통 오차 분석 및 중기 예측성 평가('17)
○ 적도 지역 대류 활동 진단 및 열대 적운 대류 모의 성능 평가(‘17)
○ 중기예측성능 향상을 위한 신규 위성자료 활용확대 (‘17)
○ 수치모델 기반의 국내 관측자료 품질진단 기준 개선(’17)
○ 통합모델기반 고해상도(10km)전지구예보모델의 구축 운영과 예측성평가(’18)
○ 국지앙상블모델의 해상도 개선(3km→2.2km) 및 중위도에 맞는 물리과정 도입(‘18)
○ 국지예측시스템 개선(GNSS, AMSUB 위성자료 활용 및 강수물리과정 개선 등) 및 현업화(’18)
○ 윈드프로파일러 자료의 최적(활용지점 확대, QC 플래그 및 연직 솎아내기 적용) 활용 현업화(’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18)
○ 현업화 성과
- 국지예측시스템 영역확장 및 역학과정 변경에 따른 개선 및 현업화(예보국, `16)
- 국지예측시스템 개선(GNSS, AMSUM 위성자료 활용 및 강수물리과정 개선 등) 및 현업화 (예보국, ‘18.)
- 고해상도 연직바람측정장치 활용 지점 확대 및 QC 플래그 적용, 관측지점(북강릉, 태풍센터)의 연직솎아내기 국지모델 현업 적용(예보국, ‘18)
- 고해상도 전지구모델(10km) 기반 예보가이던스 제공(예보국, ‘18)
- 고해상도 전지구예보시스템 운영체계 개선과 현업화(예보국, 2018)
※주요개선: PS03(2016):25kmL70→17kmL70/ENDGame, PS04(2017): VARBC, PS05(2018): 10kmL70
- 139 -
○ 예보기여도
활용분야 |
활용내용 |
예보 |
◦(단·중기) - (중기)고해상도 전지구예보시스템 개선(17km→10km) 및 현업화로 예보관 지원 강화(‘18) - (단기)경계층 물리과정 최적화 및 원격탐사 자료 효율적 활용을 통한 초기장 품질 개선으로 단기예보 정확도 기여(‘18) - (확률예측)국지앙상블 모델의 수평해상도(3km → 2.2km) 및 물리과정 개선을 통한 국지규모 위험기상 확률예측 지원(‘18) |
예보 지원 |
◦(평창올림픽 기상지원) - 평창동계올림픽 맞춤형 경기장 가이던스 제공(‘18)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중기예보지원을 위한 전지구 및 앙상블 예측시스템 구축 및 진단개선
- 현업 전지구예보모델의 태풍초기화 민감도실험 및 중기예측성 진단
- 한수예모델적용 기반구축을 위한 지면자료동화과정 개발
- 한국형수치예보모델 기반 전지구 앙상블 예측 시스템 기반기술 개발
- 영향예보를 위한 다중모델 앙상블 예측시스템 초기버전 개발
- 신규 위성관측자료(천리안 2호 등) 활용 기술 개발
○ 지역규모모델을 위한 동아시아 및 한반도 지역 관측자료 활용기법 다변화
- 관측자료 활용 효용성 증대를 위한 변분편차 보정 기술 개발
- 정량적 강수 예측성향상을 위한 한·중·일 레이더 자료 활용기법 개발
- 수증기 분석 개선을 위한 일본기상청 GNSS 관측자료 활용기법 개발
- 수치모델 기반의 종관관측자료 품질검사 및 관리체계 개선
○ 인공지능과 수치예보 융합기술 개발
- 고해상도 토지이용도 자료와 인공지능기법을 이용한 지면 및 지표물리과정 개선
- 딥러닝 기반의 역공학 기법을 이용한 강수물리과정 개선
- 전지구예보모델 특성 변화를 반영한 동네예보 가이던스 산출 기술 개발
○ 위험기상 현상에 대한 수치모델의 예측성 심층 진단
- 주요 위험기상(호우, 태풍, 대설) 사례별 수치모델의 예측성 진단 및 평가
- 수치모델의 진단·평가 결과 가시화 기법 개발
- 지속성이 있는 위험기상(폭염 등)의 앙상블 기반 중기 예측성 진단 기반 구축
<연구비산정 기준>
- 인건비 594백만원
- 시험연구비 18백만원
- 일반연구비 700백만원
- 140 -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관측자료 활용 확대와 물리과정 개선을 통한 정량적 강수예측 성능 향상과 위험기상 현상의 대응능력 강화(예보국)
- 위성자료 편차 보정과 한중일 레이다 활용으로 지역모델의 단기예측성 개선
- 인공지능과 수치예보기술 융합으로 동아시아 지역의 모델 물리과정 최적화
○ 전지구예보모델 특성 변화를 반영한 동네예보 가이던스 산출 기술 개발(예보국)
- 활용계획: 한국형수치예보모델개발 완료 이후(’20) 예보가이던스 생산체계 개발에 활용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
중간성과 점검 |
최종성과 점검 |
보고서 작성 |
|||
1,312 |
1월 |
6월 |
11월 |
12월 |
1월~12월 |
(7) 기타
○ 해당사항 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16 ∼ 계속
(2) 총 연구과제비: 해당없음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이음새 없는 수치예보모델 기반 기술개발 |
9,029 |
1,600 |
1,817 |
1,312 |
2,650 |
2,650 |
- 141 -
1- 2 |
수치예보 및 자료응용 기술개발 초단기 위험기상 예측기술 개발 |
수치자료응용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위험기상 조기감시 강화 및 실황과 연계된 초단기 예측구간 내 강수예측성능 개선
○ 다중규모 실황분석기법 개발 및 초단기 강수예측성능 개선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
○ 초단기 기상 분석 및 예측시스템(KLAPS) 현업 운영(’11)
○ 대기- 파랑 접합모델 및 한반도 합성 강수량 산출기법 개발(`12)
○ 최적화 기법을 이용한 기상특보 가이던스 개발(`13)
○ 기계학습기법을 이용한 특보가이던스 개선 등 초단기, 단‧중기 예보능력 향상(`14)
○ 낙뢰자료를 추가한 기계학습 기반의 호우특보 가이던스 개선(`15)
○ 고해상도 수치모델 적용을 위한 구름분석 고도화 기술의 특성 및 구조 분석(`15)
○ 통합모델 기반의 초단기모델 개발을 위한 자료동화 최적화(`16)
○ 통합모델 기반의 초단기 수치예보시스템(1시간 주기, 1.5km 해상도) 현업화 및 개선 (`17)
○ 인공지능기반 강수실황과 초단기예보의 강수병합기술 기반 구축(`17)
○ 통합모델 기반의 초단기예측시스템 개선 및 현업화(`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 통합모델 기반의 초단기예측시스템(VDAPS, 1시간 주기, 1.5km 해상도) 현업화(수치모델링센터, 예보국, `17년)
- 통합모델 기반의 초단기예측시스템 개선(잠열완화 기법 개선 등) 및 현업화(수치모델링센터, 예보국, `18년)
○ 예보기여도
활용분야 |
활용내용 |
예보 |
◦[초단기 예보] - 통합모델기반 초단기예측시스템(1시간 주기, 1.5km 해상도) 현업화(`17년) - 통합모델기반 초단기예측시스템 개선(`18년) |
예보 지원 |
◦[기상관측] 기상레이더센터의 레이더기반 겨울철 눈·비 영역 정보제공 시스템에 초단기수치모델) 예측자료 정규 제공(`18년) |
◦[평창동계올림픽 기상지원] 초단기예보시스템 12시간 예측자료를 활용한 평창동계올림픽 기상지원용 초단기예보 가이던스 제공(`18년) |
|
◦[기타] 국립산림과학원 산악 미기상분석시스템 지원용 초단기예보모델(VDAPS) 분석 및 예측정보 제공(`18년) |
- 142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기상현상의 규모를 반영한 다중규모 실황 분석시스템 개발
- 다중규모 기상현상을 반영할 수 있는 실황분석 기법 개발
- 다중관측자료(천리안1·2호, 레이더, 운고계, 낙뢰 등)를 이용한 구름 분석기법 개선
- 위성항법시스템(GNSS) 관측자료를 이용한 수증기 분석기법 개선
○ 초단기 강수예측성능 향상을 위한 구름 및 강수에 대한 초기화 기법 개선
- 구름 및 강수에 대한 3차원 초기화기법 개선
- 한반도 강수특성을 반영한 초기화과정의 최적 매개변수 산출
<연구비산정 기준>
- 인건비: 340백만원
- 시험연구비: 60백만원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3차원 실황분석 개선 및 초단기 강수예측 성능 개선(예보국)
- 구름, 수증기, 강수에 대한 3차원 실황 분석 개선
- 초단기예측(6시간 이내) 수치모델 기반의 강수예측 성능 개선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
중간성과 점검 |
최종성과 점검 |
보고서 작성 |
|||
400 |
1월 |
6월 |
11월 |
12월 |
1월~12월 |
(7) 기타
○ 해당 사항 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11 ∼ 계속
(2) 총 연구과제비: 해당없음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초단기위험기상예측기술개발 |
2,200 |
400 |
400 |
400 |
400 |
600 |
- 143 -
1- 3 |
수치예보 및 자료응용 기술개발 집중호우(장마 등) 심층분석 및 강우예측성 향상연구 |
관측예보연구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최근 장마와 관련한 강수현상은 지속적이고 장기간 유지되는 기존의 특성에서 변화하여 단속적이고 지역적으로 집중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음
○ 장마 메커니즘 및 장마철 집중호우 구조에 대한 심층 이해 필요
○ 한반도에 최적화된 예보 기술 개발을 통한 장마철 정량강수 예보정확도 개선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
○「집중호우(장마)예측연구센터」설치 및 운영(`17)
○ 2017년 장마기간 주요 사례에 사례분석 및 수치모델 물리과정 민감도 분석(‘18)
○ 낙뢰 동반 집중호우에 대한 시‧공간 규모와 관련 기작 분석 (‘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 해당사항 없음
○ 예보기여도
활용분야 |
활용내용 |
예보 지원 |
◦[기타] - 예보기술 간행물 「예보디딤돌」발간 2편 참여, 예보분야 전문성 강화 활용 (‘17)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장마전선의 특징 및 메커니즘 분석
- 장마 시종기간 결정 주요 인자 선정
- 장마 전선의 이동 메커니즘 규명 및 장마패턴의 중장기적 변동성 분석
- 지상관측 및 원격탐사자료의 종합 활용을 통한 장마전선 특징 분석
○ 장마철 집중호우 특성 분석 및 예측성 개선
- 장마철 집중호우 사례에 대한 관측자료 분석을 위한 공동활용체계 구축
- 장마철 집중호우 발생 메커니즘 규명
- 한반도 장마철 온난형/한랭형 집중호우 대표사례 선정 및 중규모적 특성 분석
- 장마철 온난형 강수계 대표사례 중심의 수치모델 물리과정 진단 및 모수화 개발
○ 인공지능 기반 한반도 특화 강수 예측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미세물리과정 특성 및 불확실성 진단
- 인공지능기반 다중미세물리 진단 체계 기반 구축
- 144 -
<연구비산정 기준>
- 시험연구비 250백만원
- 일반용역비 350백만원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장마철 호우사례 개념 모델(예보국)
- 활용계획 : ‘17~’18년 호우 사례 개념모델을 토대로 예보 주안점 및 가이던스 활용
○ 장마 시종기간 결정 주요 인자 분석(예보국)
- 활용계획 : 장마 시종기간 결정을 위한 예보 가이던스 활용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
중간성과 점검 |
최종성과 점검 |
|||
600 |
1월 |
6월 |
12월 |
1월~12월 |
(7) 기타
○ 해당사항 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2017~2026년
(2) 총 연구과제비: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집중호우(장마 등) 심층분석 및 수치모델의 강우 예측성 향상 연구 |
2,250 |
(신규) |
450 |
600 |
600 |
600 |
- 145 -
1- 4 |
수치예보 및 자료응용 기술개발 한반도 집중관측자료를 활용한 수치모델 물리과정 개선 |
수치자료응용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평창 국제공동 집중관측 등 한반도에서 관측된 집중관측 자료를 활용한 한국형 수치모델의 통합 미세물리 및 눈- 지면 물리과정 개선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
○ 해당사항 없음(신규)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해당사항 없음(신규)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집중관측자료를 이용한 한국형 통합 미세물리과정 기초 진단 및 개선
- ICE- POP 2018 집중관측를 이용한 수치모델기반 3차원 재분석장 생산
- ICE- POP 2018 참여한 구름- 강설 레이더 기반의 수상체 분석장 생산
- 재분석 자료와 관측기반 수상체 정보를 이용한 미세물리과정 기초 진단 및 개선
○ 지상 집중관측자료를 활용한 눈- 지면 물리과정 진단 및 개선
- ICE- POP 2018 집중관측자료를 이용한 눈 관련 지상 변수 재분석장 생산
- 3차원 재분석장과 지상 집중관측을 활용한 눈- 지면 물리 과정 진단
- 진단 결과를 통한 현업 수치모델 지면물리과정 개선 및 검증
<연구비산정 기준>
- 시험연구비 276백만원
- 일반용역비 100백만원
- 일반연구비 275백만원
- 자산취득비 60백만원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집중관측 자료기반의 한국형 수치모델 통합 미세물리 및 눈- 지면 물리과정 개선
- 활용계획 : 한국형수치예보모델 기반의 현업수치예보시스템 개선에 활용(‘20)
- 146 -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
중간성과 점검 |
1차 결과 점검 |
최종성과 점검 |
|||
711 |
1월 |
6월 |
9월 |
12월 |
1월~12월 |
(7) 기타
○ 해당사항 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2019∼2021(3년)
(2) 총 연구과제비: 2,511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한반도 집중관측 자료 기반 수치모델 물리과정 개선 |
2,511 |
- |
- |
711 |
900 |
900 |
- 147 -
2 |
태풍 분석 및 예측기술개발 |
국가태풍센터 관측예보연구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태풍 진로·강도 예측 능력 향상을 위한 기술 개선
○ 태풍 장기 예측 기술 개선
○ 태풍 발생 감시 및 분석 기술 개발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객관적 다중모델 가중평균기법을 이용한 진로예측기술 개발(’13)
○ 동인도양 SST 아노말리, 해양열용량과 태풍 발생빈도 장기 변동 연구(’13)
○ 북대서양 진동과 북서태평양 태풍 발생빈도와의 관계 연구(’13)
○ 태풍 진로예측을 위한 객관적 다중모델 가중평균기법 현업화와 실시간/과거시간 기준 선택기법 개발·검증(’14)
○ 국가태풍센터 태풍전용모델(TWRF) 예측성능 개선(’14)
○ 태풍활동과 중위도 대기시스템(동아시아 여름몬순, 북서태평양 몬순)의 상호작용 연구(’14)
○ 선택과 가중 방법을 혼합한 다중모델 앙상블 기법 개발과 검증(’15)
○ 태풍지역통합모델(TRUM) 구축과 성능 평가(’15)
○ 기후인자를 이용한 태풍 장기활동 예측연구 : ENSO 등 (’15)
○ 기상청 현업 수치모델인 UM의 예측장을 이용한 열대저기압 발생탐지 기술 개선(’15)
○ 선택과 가중 방법을 혼합한 다중모델 앙상블 태풍예측결과 실시간 활용(’16)
○ 진로유형별 급격한 강도변화에 영향을 주는 대기·해양인자 산출과 통계분석(‘16)
○ 기상청 전지구모델 예측장 개선(25km→17km)에 따른 초기장 변경과 태풍모델예측성능 검증(‘16)
○ 매 월(6~10월) 3개월 단위 태풍활동 장기 전망정보 생산(‘16)
○ 태풍 강도(활동)에 대한 장기계절전망 생산을 위한 통계모델 구축(‘16)
○ 수치모델 자료를 이용한 열대저압부 예측자료 생산과 검증(‘16)
○ 북서태평양 태풍의 급격한 강도 발달 예측기법 개발(‘17)
○ 태풍역학 수치모델 초기화 기법 개선, 최신역학코어 장착 등의 개선에 따른 태풍역학 수치모델 검증과 시험운영(‘17)
○ 3개월 단위 태풍활동 장기 전망정보 생산시스템 운영과 검증(‘17)
○ 통계역학적 태풍강도 예측모델(STIPS) 개발(`17)
○ 기상청 전지구모델 예측장 개선(17km→10km)에 따른 초기장 변경과 태풍모델예측성능 검증(‘18)
○ 태풍 장기 전망정보 생산과 상시 검증 체계 개발(‘18)
○ 바람 관측자료를 이용한 태풍 분석 기술 개발(‘18)
- 148 -
○ 태풍 발생단계에서 TY급 이상 발달 가능성 예측 기법 개발(`18)
○ 앙상블 역학모델 기반 상륙태풍의 강수‧바람 특성 분석 기법개발(`18)
○ 앙상블 역학모델 기반 태풍 진로 확률 예측 기술 개발(`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 통계역학적 태풍강도예측모델(STIPS) 개발(국가태풍센터, `17)
- 선택과 가중 방법을 혼합한 다중모델 앙상블 태풍예측기법 개발(국가태풍센터,16)
- 태풍지역통합모델(TRUM) 개발(국가태풍센터,`18)
○ 예보기여도
활용분야 |
활용내용 |
예보 |
◦[단기예보]통계기반 태풍강도 예측모델(STIPS) 개선을 통한 태풍 예보 지원(`17, `18) |
◦[단기예보]태풍지역통합모델(TRUM) 개발 및 태풍 예보 지원(`18) |
|
◦[장기예보] 여름철‧가을철 태풍 전망 자료 생산 및 발표(`15~) |
|
예보 지원 |
◦[단기예보]태풍 발생감시 지원(`20) |
◦[단기예보]태풍 현업 시스템 콘텐츠 개선을 통한 예보지원 (`20)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태풍 분석기술 개발
- 태풍진로 지향류 분석기법 개발
- CPS 개선을 통한 태풍 온저화 판단 정보 현업 지원
- 기계학습 기반의 태풍 발생탐지 기법 개발
- 국외 전문가 자문을 통한 선진 태풍 분석 기술 도입
○ 태풍 예보기술 개발
- 통계역학적 태풍강도예측모델(STIPS) 현업 운영과 검증
- 태풍지역통합모델(TRUM) 현업 운영과 검증
- 태풍 연구용 앙상블 예측시스템 구축
- 여름철 및 가을철 태풍 계절예측결과 생산
- 국외 전문가 자문을 통한 선진 태풍 예보 기술 도입
○ 태풍 통계기술 개발
- 태풍 계절예측결과 검증 체계 구축
- 다중모델 앙상블 기반 진로 확률 예측 기법 개선
- 149 -
○ 태풍 훈련기술 개발
- 태풍현업시스템(TOS) 훈련교재 개선(안) 마련
- 태풍현업시스템(TOS) 훈련 과거사례 발굴
○ 태풍 기반기술 개발
- 태풍현업시스템(TOS) 기능 및 콘텐츠 발굴
- 강한 post- TC 발생 메커니즘 연구
- 태풍미래기후 연구동향 분석
- 태풍기후(빈도, 강도, 진로) 종합감시기술 개발
○ 재해기상 대응 기술 개발
- 복잡 산악지형 특화 시스템 개발
- 목표관측 전략 및 활용체계 개발
- 선진과학기술 기반 융합기법 개발
○ (용역) 태풍 예보지원 및 관측자료활용 기술 개발(Ⅱ)
- 인공지능 등 첨단 태풍 예보 지원 기술 개발
‧ 인공지능 기반 태풍 진로 예측 기술 개발 및 강수와 바람 예측성 분석
- 과거 한반도 상륙 및 접근 사례를 바탕으로 태풍 이동 위치에 따른 강수 및 바람에 관한 연구
- 태풍 단기 예측기술 개선 연구
‧ 수치모델의 태풍 예보 활용 개선을 위한 계통 오차 분석
- 태풍 크기 예측 기술 개발
‧ 수치모델 기반 태풍 강풍반경 표출시스템 현업 활용
‧ 통계 기반의 태풍 크기 예측 모델 개발
- 태풍 분석 강화를 위한 관측자료 활용기술 개발
○ (용역) 관측자료 융합 강수예측정보와 수치모델간의 최적화 기법 개발
- 인공지능 활용 관측자료(AWS, 위성, 레이더)와 수치자료의 융합 강수패턴 분석
- 태풍 등 재해기상 발생시 대상지역내 강수예측(수치모델 vs. 융합강수예측정보+수치모델) 성능 평가
<연구비산정 기준>
- 인건비(15인) 630백만원, 시험연구비 156백만원, 연구용역비 450백만원,
자산취득비 50백만원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통계역학적 태풍강도예측모델(STIPS) 개선(국가태풍센터)
- 활용계획 : ‘19년부터 개선 및 검증 결과를 `20년 즉시 적용하여 태풍 예보에 활용
○ 태풍 발생탐지 기법 개발(국가태풍센터)
- 150 -
- 활용계획 : `19년 개발결과를 `20년 검증과 현업화를 통하여, `21년부터 태풍 예보현업에서 발생 모니터링에 즉시 활용
○ 태풍현업시스템(TOS) 기능 및 콘텐츠 발굴(국가태풍센터)
- 활용계획 : `19년 태풍 예보 현업 지원을 위한 콘텐츠를 개발하여, `20년 현업화 하여 , `21년부터 활용
○ 태풍 계절예측시스템 개선 및 상시 검증체계 개발(국가태풍센터)
- 활용계획 : 매년 여름철/가을철 태풍 전망 생산 및 발표, `19년 개발한 검증체계는 `20년 현업화하여 태풍 장기 전망 검증에 활용.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연구동향파악 |
계획수립 |
자료수집, 분석프로그램 개발 등 |
연구결과 검증 |
최종보고서 작성 |
논문 작성 |
|||
1,286 |
1월 |
1∼2월 |
2∼9월 |
10월 |
12월 |
12월 |
1월~12월 |
(7) 기타
○해당사항 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2013년~ 계속
(2) 총 연구과제비: 해당사항 없음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태풍 분석 및 예측기술개발 |
6,382 |
1,025 |
1,485 |
1,286 |
1,286 |
1,300 |
- 151 -
2- 1 |
태풍 분석 및 예측기술개발 태풍 단기예측기술 개발 |
국가태풍센터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태풍 진로·강도 예측 능력 향상을 위한 기술 개선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객관적 다중모델 가중평균기법을 이용한 진로예측기술 개발(’13)
○ 태풍 진로예측을 위한 객관적 다중모델 가중평균기법 현업화와 실시간/과거시간 기준 선택기법 개발·검증(’14)
○ 국가태풍센터 태풍전용모델(TWRF) 예측성능 개선(’14)
○ 태풍 강도예측을 위한 다중모델 단순평균기법 현업화(’15)
○ 선택과 가중 방법을 혼합한 다중모델 앙상블 기법 개발과 검증(’15)
○ 태풍지역통합모델(TRUM) 구축과 성능 평가(’15)
○ 선택과 가중 방법을 혼합한 다중모델 앙상블 태풍예측결과 실시간 활용(’16)
○ 진로유형별 급격한 강도변화에 영향을 주는 대기·해양인자 산출과 통계분석(‘16)
○ 기상청 전지구모델 예측장 개선(25km→17km)에 따른 초기장 변경과 태풍모델예측성능 검증(‘16)
○ 북서태평양 태풍의 급격한 강도 발달 예측기법 개발(‘17)
○ 태풍진로예보 확률반경 산출기법 개선(‘17)
○ 기상청 전지구모델 예측장 개선(17km→10km)에 따른 초기장 변경과 태풍모델예측성능 검증(‘18)
○ 태풍 발생단계에서 TY급 이상 발달 가능성 예측 기법 개발(`18)
○ 앙상블 역학모델 기반 상륙태풍의 강수‧바람 특성 분석 기법개발(`18)
○ 앙상블 역학모델 기반 태풍 진로 확률 예측 기술 개발(`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 통계역학적 태풍강도예측모델(STIPS) 개발(국가태풍센터, `17)
- 선택과 가중 방법을 혼합한 다중모델 앙상블 태풍예측기법 개발(국가태풍센터,16)
- 태풍지역통합모델(TRUM) 개발(국가태풍센터,`18)
○ 예보기여도
- 152 -
활용분야 |
활용내용 |
예보 |
◦[단기예보]통계기반 태풍강도 예측모델(STIPS) 개선을 통한 태풍 예보 지원(`17, `18) |
◦[단기예보]태풍지역통합모델(TRUM) 개발 및 태풍 예보 지원(`18)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태풍 분석기술 개발
- 태풍진로 지향류 분석기법 개발
- CPS 개선을 통한 태풍 온저화 판단 정보 현업 지원
- 국외 전문가 자문을 통한 선진 태풍 분석 기술 도입
○ 태풍 예보기술 개발
- 통계역학적 태풍강도예측모델(STIPS) 현업 운영과 검증
- 태풍지역통합모델(TRUM) 현업 운영과 검증
- 태풍 연구용 앙상블 예측시스템 구축
- 국외 전문가 자문을 통한 선진 태풍 예보 기술 도입
○ 태풍 통계기술 개발
- 다중모델 앙상블 기반 진로 확률 예측 기법 개선
○ (용역) 태풍 예보지원 및 관측자료활용 기술 개발(Ⅱ)
- 인공지능 등 첨단 태풍 예보 지원 기술 개발
‧ 인공지능 기반 태풍 진로 예측 기술 개발 및 강수와 바람 예측성 분석
- 과거 한반도 상륙 및 접근 사례를 바탕으로 태풍 이동 위치에 따른 강수 및 바람에 관한 연구
- 태풍 단기 예측기술 개선 연구
‧ 수치모델의 태풍 예보 활용 개선을 위한 계통 오차 분석
- 태풍 크기 예측 기술 개발
‧ 수치모델 기반 태풍 강풍반경 표출시스템 현업 활용
‧ 통계 기반의 태풍 크기 예측 모델 개발
- 태풍 분석 강화를 위한 관측자료 활용기술 개발
<연구비산정 기준>
<총 연구비>
- 인건비(9인) 344백만원, 시험연구비 48백만원, 연구용역비 350백만원
[용역] 태풍 예보지원 및 관측자료활용 기술 개발(Ⅱ) (350백만원)
- 153 -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통계역학적 태풍강도예측모델(STIPS) 개선(국가태풍센터)
- 활용계획 : ‘19년부터 개선 및 검증 결과를 `20년 즉시 적용하여 태풍 예보에 활용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연구동향파악 |
계획수립 |
자료수집, 분석프로그램 개발 등 |
연구결과 검증 |
최종보고서 작성 |
논문 작성 |
|||
742 |
1월 |
1∼2월 |
2∼9월 |
10월 |
12월 |
12월 |
1월~12월 |
(7) 기타
○ 해당사항 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2013년~ 계속
(2) 총 연구과제비: 해당사항 없음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태풍 분석 및 예측기술개발 (태풍 단기예측기술 개발) |
4,017 |
700 |
761 |
742 |
907 |
907 |
- 154 -
2- 2 |
태풍 분석 및 예측기술개발 태풍 장기예측기술 개발 |
국가태풍센터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태풍 계절예측 기술 개선
○ 태풍 계절예측 결과의 유의성 검증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겨울철 시베리아 고기압의 강도에 따른 이른 태풍시즌의 태풍활동 변화 분석(’13)
○ 동인도양 SST 아노말리, 해양열용량과 태풍 발생빈도 장기 변동 연구(’13)
○ 북대서양 진동과 북서태평양 태풍 발생빈도와의 관계 연구(’13)
○ 열대해역 해양열용량을 이용한 태풍 장기활동 예측가능성 연구(’14)
○ 태풍활동과 중위도 대기시스템(동아시아 여름몬순, 북서태평양 몬순)의 상호작용 연구(’14)
○ 기후인자를 이용한 태풍 장기활동 예측연구 : ENSO 등 (’15)
○ 매 월(6~10월) 3개월 단위 태풍활동 장기 전망정보 생산(‘16)
○ 태풍 강도(활동)에 대한 장기계절전망 생산을 위한 통계모델 구축(‘16)
○ 3개월 단위 태풍활동 장기 전망정보 생산시스템 운영과 검증(‘17)
○ 태풍 장기 전망정보 생산과 상시 검증 기법 개발(‘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예보기여도
활용분야 |
활용내용 |
예보 |
◦[장기예보] 여름철‧가을철 태풍 전망 자료 생산 및 발표(`15~)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태풍 예보기술 개발
- 여름철 및 가을철 태풍 계절예측결과 생산
○ 태풍 통계기술 개발
- 태풍 계절예측결과 검증 체계 구축
○ 태풍 기반기술 개발
- 태풍미래기후 연구동향 분석
- 태풍기후(빈도, 강도, 진로) 종합감시기술 개발
- 155 -
<연구비산정 기준>
- 인건비(3인) 126백만원, 시험연구비 49백만원, 자산취득비 20백만원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태풍 계절예측시스템 개선 및 상시 검증체계 개발(국가태풍센터)
- 활용계획 : 매년 여름철/가을철 태풍 전망 생산 및 발표, `19년 개발한 검증체계는 `20년 현업화하여 태풍 장기 전망 검증에 활용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연구동향파악 |
계획수립 |
자료수집, 분석프로그램 개발 등 |
연구결과 검증 |
최종보고서 작성 |
논문 작성 |
|||
195 |
1월 |
1∼2월 |
2∼9월 |
10월 |
12월 |
12월 |
1월~12월 |
(7) 기타
○ 해당사항 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2013년~ 계속
(2) 총 연구과제비: 해당사항 없음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태풍 분석 및 예측기술개발 (태풍 장기예측기술 개발) |
1,435 |
395 |
395 |
195 |
225 |
225 |
- 156 -
2- 3 |
태풍 분석 및 예측기술개발 태풍 발생감시와 분석기술 개발 |
국가태풍센터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태풍 발생 감시 기술 개발
○ 관측자료를 활용한 태풍 분석 능력 향상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기상청 현업 수치모델인 UM의 예측장을 이용한 열대저기압 발생탐지 기술 개선(’15)
○ 다양한 관측자료와 수치모델 분석자료를 활용한 자동화된 강풍반경 분석기술개발(‘16)
○ 수치모델 자료를 이용한 열대저압부 예측자료 생산과 검증(‘16)
○ 태풍사례에서 관측자료 활용을 위한 기반연구(‘16)
○ 태풍진로예보 확률반경 산출기법 개선(‘17)
○ 바람 관측자료를 이용한 태풍 분석 기술 개발(‘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예보기여도
활용분야 |
활용내용 |
예보 지원 |
◦[단기예보]태풍 발생감시 지원(`20) |
◦[단기예보]태풍 현업 시스템 콘텐츠 개선을 통한 예보지원 (`20)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태풍 분석기술 개발
- 기계학습 기반의 태풍 발생탐지 기법 개발
○ 태풍 훈련기술 개발
- 태풍현업시스템(TOS) 훈련교재 개선(안) 마련
- 태풍현업시스템(TOS) 훈련 과거사례 발굴
○ 태풍 기반기술 개발
- 태풍현업시스템(TOS) 기능 및 콘텐츠 발굴
- 강한 post- TC 발생 메커니즘 연구
- 157 -
<연구비산정 기준>
- 인건비(3인) 126백만원, 시험연구비 28백만원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태풍 발생탐지 기법 개발(국가태풍센터)
- 활용계획 : `19년 개발결과를 `20년 검증과 현업화를 통하여, `21년부터 태풍 예보현업에서 발생 모니터링에 즉시 활용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연구동향파악 |
계획수립 |
자료수집, 분석프로그램 개발 등 |
연구결과 검증 |
최종보고서 작성 |
논문 작성 |
|||
154 |
1월 |
1∼2월 |
2∼9월 |
10월 |
12월 |
12월 |
1월~12월 |
(7) 기타
○해당사항 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2013년~ 계속
(2) 총 연구과제비: 해당사항 없음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태풍 분석 및 예측기술개발 (태풍 발생감시와 분석기술 개발) |
1,134 |
329 |
329 |
154 |
154 |
168 |
- 158 -
2- 4 |
태풍 분석 및 예측기술개발 재해기상 대응 융합형 예측 기술 개발 |
관측예보연구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지형특이성을 고려한 재해기상 융합형 예보 기술의 실용화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해당없음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해당없음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실시간 관측네트워크 기반 지형특성(연구대상 : 산악지형, 해안지역)을 고려한 융합형 재해기상 예측시스템 개발
- 산악지형에서의 태풍 등 재해기상 발생시 인공지능을 이용한 관측(지상, 레이더, 위성)- 수치모델 가중치 개선
<연구비산정 기준>
- 인건비 35백만원, 시험연구비 30백만원, 연구용역비 100백만원, 자산취득비 30백만원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산악/해안지역 입체 공동관측 네트워크 기반 초단기예측 성능평가
○ 인공지능을 활용한 관측- 수치모델 블랜딩 기법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연구동향파악 |
계획수립 |
자료수집, 분석프로그램 개발 등 |
연구결과 검증 |
최종보고서 작성 |
논문 작성 |
|||
195 |
1월 |
1∼2월 |
2∼9월 |
10월 |
12월 |
12월 |
1월~12월 |
- 159 -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2013년~ 계속
(2) 총 연구과제비: 해당사항 없음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재해기상 대응 융합형 예측 기술 개발 |
585 |
- |
- |
195 |
195 |
195 |
- 160 -
3 |
영향예보기술개발 |
영향예보팀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지역특화 국지기상 예측기술개발
- 폭염 한파분야 지역별 영향분석 및 지역특화 예측기술 개발로 지방청 역량 강화
- 폭염 한파분야 지역별 현업에 적용 가능한 영향예보 개선 연구와 성과 확산, 이를 통한 재해저감
○ 돌발 기상재해 분석기술 개발
- 지역특화 영향예보를 위한 이상기상‧기후현상 발생 특성 조사 분석
- 이상기상‧기후현상 발생 특성 정보 생산‧제공 기술 개발
○ 사회적 기상이슈 대응 기술개발
- 수요자 니즈 변화와 기술적 발전(AI, 빅데이터, 자동화 등)에 부합하는 분야별ㆍ이슈별 기상연구 대응 전략 기술 개발
- 과거 (모방- 추격형)에서 (창조- 선도형)으로 선제적 투자 비교 우위 확보 할 수 있는 미래 신성장 동력 발굴, 기획 등의 방향으로 기상‧기후 R&D 추진
○ 지역별 위험기상 발생확률 생산기술 개발
- 폭염 분야의 위험기상 발생확률 생산기술 연구를 통한 위험기상 조기 탐지 및 예보지원
- 대설 위험수준을 결정하는 기초자료 분석 및 겨울철 기상영향 자료(대설, 한파 등) 수집 강화
- 영향예보의 한축인 확률예보의 신뢰도 향상을 위한 다중모델 앙상블예측체계 고도화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지역특화 국지기상 예측기술 개발
- 지역별 기상재해(호우, 대설, 안개, 폭염) 특성 분석 (‘16~‘18)
- 지역 맞춤형 호우위험기상 예측기법 연구 및 고도화 (수도권, 대전, 세종, 충남, 부산, 울산, 경남 지역특화)(‘16~‘18)
- 지역별 맞춤형 안개예측기술 연구 (청주 충주호, 강원 지역특화)(‘16~‘18)
- 지역 맞춤형 대설 위험기상 예측기술 개발 및 고도화 (전주, 전북, 전남 제주, 강원 지역특화)(‘16~‘18)
- 동해남부 해상 풍랑특보 및 장주기파 예측기법 연구(동해남부 해상 특화)(‘17~‘18)
- 폭염 영향예보 기술 개발 (나주, 대구, 경북, 부산 지역특화)(‘16~‘18)
- 공항예보 요소별 가이던스를 활용한 예보칙 개발 (‘17~‘18)
○ 돌발 기상재해 분석기술 개발
- 공간정보시스템 활용 3차원 바람길 시범 구현 및 도시열섬 분석지도 작성(‘16)
- 기상재해 및 기후 노출에 따른 지역별 민감도와 적응 능력 조사ㆍ분석(‘16)
- 161 -
- 해무 정보화 서비스 기술 개발을 통한 해무정보 제공 웹페이지 시범운영(‘17)
- 무등산 주요탐방로별 체감온도 및 어는 고도 산출기술 확보 및 검증(‘17)
- 지역별 기후특성 분석 및 이상기후 발생 현황 조사·분석(’18)
- 지역별 관측자료 특성 분석 및 품질 고도화 기술 개발(’18)
○ 사회적 기상이슈 대응 기술개발
- 기상 연구개발 중장기(2018~2027) 로드맵 수립(‘16)
- 기상기술분류체계 개선(안) 도출(‘16)
- 기상청 R&D 과제코드화 방안 마련(‘16)
- 기상R&D 분야별 중장기 로드맵과 연계한 이슈별 로드맵 및 관리체계 수립(‘17)
- 기상기술 이슈리포트 발간(‘17~18)
○ 지역별 위험기상 발생확률 생산기술 개발
- ECMWF 앙상블모델 기반의 위험기상 발생확률 예측기술 개발(‘16)
- 다중앙상블모델(ECMWF, UM 앙상블모델) 기반의 위험기상 발생확률 예측기술 개발(‘17)
- 기후학적 강설 동질지역 구분 및 지역별 강설 특징 분석 (’17)
- 빈도 분석을 활용한 호우 위험수준별 지역 임계값 산정 (’17)
- 지역별 단위 강우량당 피해 규모 및 호우 취약성 분석 (’17~’18년)
- 기상(호우) 임계값 산출을 통한 지방청 기술 지원 및 협업체계 강화(‘18)
- 폭염, 한파 비정형 자료 수집 및 기상청 영향예보 시스템 DB 구축 지원 (‘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 폭염 위험기상 발생확률 산정기법 연구를 통한 폭염 영향예보 시범 운영(영향예보추진팀, 2018)
‧ 시범운영기간(2018.6.1.~9.30.) 지역별 위험수준별 폭염 정보 발표(관심 33회, 주의보 123회, 경보 245회, 경보심각 26회)
- 기상청 연구개발 중장기 분야별 및 이슈별 로드맵 마련(연구개발담당관, ‘16~‘17)
※ 기상R&D 중장기 추진전략 수립(’18.1.)
- 162 -
○ 예보기여도
활용분야 |
활용내용 |
예보 |
◦[단기예보] 폭염 영향정보(전국) 및 지역 맞춤형 영향예보 서비스(9개 지방청.지청) 시범제공 등 기상으로 인한 영향과 대응요령을 제공하여 재해예방의 효율성을 높임 |
◦[단기예보] 지역특화 영향예보 지원으로 방재를 위한 유관기관의 의사결정 지원 |
|
◦[장기예보] 지역별 기후 특성 분석으로 장기예보 생산 지원 |
|
예보 지원 |
◦[영향예보] 지역별 단위 강우량 당 피해 규모 및 호우 임계값 기술지원(17) |
◦[영향예보] 폭염, 한파 비정형 자료 수집 및 기상청 영향예보 시스템 DB 구축 지원(18) |
|
◦[이상기후] 이상기후, 지역기후 이슈 발생시 유관기관, 언론 대응 자료 활용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지역특화 국지기상 예측기술 개발
- (폭염) 지역별 기후 특성과 지역 현안을 고려한 폭염 영향예보 서비스 개선 방안 연구
- (폭염) 지역특화 폭염 영향예보 검증 및 평가 기술 연구
- (한파) 지역별 한파특성, 취약성과 노출도를 고려한 한파 영향예보 사전연구
- (한파) 한파 영향예보 현업 적용화 방안 개발
- (한파) 지역 특화 한파 영향예보 검증 및 평가 기술 연구
- (항공) 항공 수치예측에 관한 영향예보 생산 기술 연구 및 현업적용 방안 연구
○ 돌발 기상재해 분석기술 개발
- 기상- 기후가 연계된 이상기상‧기후현상 특성 조사‧분석
⋅ 최근 기상‧기후 이슈를 조사‧분석하여 영향에보 및 장기예보 지원 방안 제시 등
- 분야별 기상- 기후 이슈 분석 정보 생산‧제공 기술 개발
⋅ 정책결정자 및 언론 등 다양한 수요자가 이해하기 쉽게 분석 정보 제공 기술 개발 및 제공 방안 제시 등
- 기상- 기후 연계 이슈 특성에 대한 분야별 환류 방안 연구
⋅분야별 기후서비스 수요자 대상으로 기상- 기후연계 기상‧기후이슈를 확대 발굴 등
○ 사회적 기상이슈 대응 기술개발
- 기상분야 이슈 및 트렌드 조사ㆍ분석
- 기상분야 트렌드 반영 및 사회적 이슈 해결을 위한 연구과제 개발
○ 지역별 위험기상 발생확률 생산기술 개발
- 위험기상 발생확률 생산을 위한 대설 피해에 대한 위험수준 산정 방안 연구 및 피해 특징 분석
- 폭염 위험기상 발생확률 생산을 위한 분야별 폭염 영향 환경 분석 및 사후 분
- 163 -
석, 영향정보의 효과적 전달방안 연구
- 확률예보의 신뢰도 향상을 위해 가용한 모든 모델을 활용한 다중모델 앙상블예측체계 고도화
<연구비산정 기준>
- 시험연구비 1,565백만원 (자체수행연구비 771백만원, 연구용역비 752백만원, 상용임금 35백만원, 고용부담금 7백만원)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지역별 기후 특성과 지역 현안을 고려한 폭염 영향예보 서비스 개선 방안 연구 및 한파 영향예보 기반 연구(영향예보추진팀, 지방청 예보과·관측예보과)
- (폭염·한파) 지역 특성을 고려한 영향예보 기반 연구로 국지예보역량 제고
- (폭염·한파) 지역별 특성이 반영된 위험발생가능성 예측기술 개발로 선제적이고 실용적인 지역 방재 대응 능력 향상
○ 기상- 기후 연계 이상기상‧기후현상 특성 분석기술을 영향예보 및 장기예보에 활용할 수 있도록 기술 지원(기후정책과, 기후예측과, 영향예보추진팀)
○ 다양한 분야를 대상으로 한 기상- 기후 이슈 분석 정보 제공을 통해 기후서비스 수요자 이해도 제고 및 이상기상‧기후 정보 활용성 강화(기후정책과, 기후예측과)
○ 사회적 기상이슈 대응 기술(연구개발담당관)
- 지역별 정책 현안 및 사회적 이슈해결을 위한 연구과제 발굴ㆍ지원
○ 대설 단기 위험수준 산정 기법 개발(‘20)(영향예보추진팀)
- 활용계획 : 대설 위험수준 산정 기술을 기반으로 다른 기상영향 요소로의 확대 적용
○ 폭염 영향예보 정규서비스 활용(영향예보추진팀)
- 분야별 영향 환경 조사·분석을 통해 영향예보 생산시 취약성 기초 자료로 활용
- 폭염 영향예보 통보문에 포함되는 영향정보 세부 문구 마련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
중간성과 점검 |
최종성과 점검 |
보고서 작성 |
|||
1,565 |
1월 |
7월 |
12월 |
12월 |
1월~12월 |
(7) 기타
○ 해당없음
- 164 -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2016년~계속
(2) 총 연구과제비: 7,925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예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영향예보기술개발 |
7,925 |
1,615 |
1,815 |
1,565 |
1,465 |
1,465 |
- 165 -
3- 1 |
영향예보기술개발 지역특화 국지기상 예측기술개발 (지방청 맞춤형 영향예보 연구개발) |
영향예보추진팀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연구개발사업을 통한 점진적인 지방청 역량 강화
○ 지역 현업에 적용 가능한 영향예보 개선 연구
○ 지역중심형 연구 추진 및 성과 확산을 통한 재해저감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
○ 지역별 기상재해(호우, 대설, 안개, 폭염) 특성 분석
- 지역별 기상요소별 재해관련 자료 수집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자연재해 원인별 발생 및 피해 특성 분석
○ 지역 취약성을 고려한 호우위험기상 예측기법 고도화 (수도권, 대전, 세종, 충남, 부산, 울산, 경남 지역특화)
- 호우 영향예보 시스템 위험발생가능성(영향예보) 검증 및 위험정보 생산
- 호우에 따른 취약성 분석 및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특성 조사 및 분석
○ 지역특화 안개예측기술 연구 (청주 충주호, 강원 지역특화)
- 안개관측지점별 기상학적 및 환경특성 분석
- 지점별 안개 특성 분석 및 발생·소산 메커니즘 분석
- 안개영향 재해리스트 조사 및 도로 안개 위험도 분석
- 통계분석을 통한 유형분류, 안개안정지수 적용, 안계 영향 정보 생산
○ 지역특화 대설 위험기상 예측기술 연구 고도화(전주, 전북, 전남 제주, 강원 지역특화)
- 지역 강설현상의 유형 구분 및 사례별 과거 경험칙 비교·분석
- 대기- 해양 상호작용으로 인한 서해상 해수면 온도 분포 조사
- 지역(제주도) 고도별 적설예측방법과 국지지역 대설가능성 연구
○ 동해남부 해상 풍랑특보 및 장주기파 예측기법 연구 고도화(동해남부 해상 특화)
- 동해안 지형에 따른 고파와 너울 생성 물리과정 연구
- 기압계별 파고 특성 분석과 모델별 경향(Bias,MAE) 분석 연구
- 기반연구와 분석에 근거한 항해선박에 대한 위험정보 생산
○ 지역특화 폭염 영향예보 기술 개발 고도화 (나주, 대구, 경북, 부산 지역특화)
- 폭염 재해 발생현황 조사 및 영향분석
- 임계값 산출 기술 개발 및 취약성 지도 작성
○ 공항예보 요소별 가이던스를 활용한 예보칙 개발
- 공항 예특보 오차 발생조건 분석 및 경험칙 수치화
- 166 -
- 선진국 윈드시어 예측과 활용에 관한 조사 분석
- LDAPS 비교분석을 통한 이륙예보 요소별 현업 활용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 기술명(활용부서, 성과연도)
○ 예보기여도
활용분야 |
활용내용 |
예보 |
◦[단기예보] 지역특화 영향예보 지원으로 방재를 위한 유관기관의 의사결정 지원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지역별 특성에 맞는 폭염 영향예보 서비스 개선연구
- 지역별 기후 특성과 지역 현안을 고려한 폭염 영향예보 서비스 개선 방안 연구
- 정규 현업적용을 위한 폭염 영향예보 기반연구
- 지역특화 폭염 영향예보 협업모델 연구
- 지역특화 폭염 영향예보 검증 및 평가 기술 연구
○ 지역별 취약성과 노출도를 고려한 한파 영향예보 사전연구
- 지역별 한파특성 분석
- 지역별 한파 관련 피해 사례 조사
- 분야별 한파 영향예보 정보 문구 개발·발굴
- 한파 영향예보 현업 적용화 방안 개발
- 지역 특화 한파 영향예보 검증 및 평가 기술 연구
○ 항공 수치예측에 관한 영향예보 생산 기술 연구 및 현업적용 방안 연구
- 윈드쉬어 수치예측장 개발 고도화
- 항공수치예측장을 반영한 영향예보 검증 및 현업적용 방안 연구
<연구비산정 기준>
○ 과제규모 : 650백만원
- 연구용역비 : 300백만원
- 시험연구비 : 350백만원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지역별 기후 특성과 지역 현안을 고려한 폭염 영향예보 서비스 개선 방안 연구(영향예보추진팀, 지방청 예보과·관측예보과)
- 차년도 폭염 영향예보 정규서비스에 반영
- 167 -
- 지역 맞춤형 예보기술 개발 및 활용을 통한 국지예보역량 제고
- 지역별 특성이 반영된 위험발생가능성 예측기술 개발로 선제적이고 실용적인 지역 방재 대응 능력 향상
○ 지역특화 폭염 영향예보 협업모델 연구(영향예보추진팀, 지방청 예보과·관측예보과)
- 방재협업체계 활성화를 유도, 차년도 폭염 영향예보 정규서비스 개선 기대
- 지역 맞춤형 예측 가이던스 개발과 협헙화 방안 제공으로 예보관들의 객관적인 기상요소별 특보 발표 지원
○ 지역별 취약성과 노출도를 고려한 한파 영향예보 사전연구(영향예보추진팀, 지방청 예보과·관측예보과)
- 한파 영향예보 기반연구를 통한 효과적 한파 영향예보 서비스에 활용
- 지점별 특성분석과 예측성 향상으로 기상재해 저감에 기여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
중간성과 점검 |
최종성과 점검 |
|||
650 |
1월 |
7월 |
12월 |
1월~12월 |
(7) 기타
○ 해당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2016년~계속
(2) 총 연구과제비: 약 36.5억(‘17~’21)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예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지역특화 국지기상 예측기술개발 (지방청 맞춤형 영향예보 연구개발과제) |
3,650 |
850 |
850 |
650 |
650 |
650 |
- 168 -
3- 2 |
영향예보기술개발 - 돌발 기상재해 분석기술 개발 |
기후정책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전지구적으로 기후변화 등으로 폭염, 한파 등 이상기상/기후 현상이 빈발함에 따라 그 발생원인 및 사회경제적 영향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
○ 특히, 중기예보 규모의 이상기상현상이 장기간 지속되면서 기후현상으로 전이되는 과정이 발생하면서 기상- 기후 연계 이상현상 발생 특성 이해와 분석기술 개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음
○ 이에, 매년 발생하고 있는 기상- 기후가 연계된 이상기상‧기후현상 발생 특성을 조사하고 분석정보 생산‧제공 기술 개발을 통해 영향예보‧장기예보 지원 및 기상‧기후서비스 수요자의 이해도 향상에 기여하고자 함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공간정보시스템 활용 3차원 바람길 시범 구현 및 도시열섬 분석지도 작성(‘16)
○ 기상재해 및 기후 노출에 따른 지역별 민감도와 적응 능력 조사ㆍ분석(‘16)
○ 해무 정보화 서비스 기술 개발을 통한 해무정보 제공 웹페이지 시범운영(‘17)
○ 무등산 주요탐방로별 체감온도 및 어는 고도 산출기술 확보 및 검증(‘17)
○ 지역별 기후특성 분석 및 이상기후 발생 현황 조사·분석(’18)
○ 지역별 관측자료 특성 분석 및 품질 고도화 기술 개발(’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예보기여도
활용분야 |
활용내용 |
예보 지원 |
◦[장기예보] 지역별 기후 특성 분석으로 장기예보 생산 지원 |
◦[이상기후] 이상기후, 지역기후 이슈 발생시 유관기관, 언론 대응 자료 활용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기상- 기후가 연계된 이상기상‧기후현상 특성 조사‧분석
- 최근 기상‧기후 이슈를 조사‧분석하여 영향에보 및 장기예보 지원 방안 제시 등
○ 분야별 기상- 기후 이슈 분석 정보 생산‧제공 기술 개발
- 정책결정자 및 언론 등 다양한 수요자가 이해하기 쉽게 분석 정보 제공 기술 개발 및 제공 방안 제시 등
○ 기상- 기후 연계 이슈 특성에 대한 분야별 환류 방안 연구
- 분야별 기후서비스 수요자 대상으로 기상- 기후연계 기상‧기후이슈를 확대 발굴 등
- 169 -
<연구비산정 기준>
- 시험연구비: 168백만원
- 일반연구비: 252백만원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기상- 기후 연계 이상기상‧기후현상 특성 분석기술을 영향예보 및 장기예보에 활용할 수 있도록 기술 지원(기후정책과, 기후예측과, 영향예보추진팀)
○ 다양한 분야를 대상으로 한 기상- 기후 이슈 분석 정보 제공을 통해 기후서비스 수요자 이해도 제고 및 이상기상‧기후 정보 활용성 강화(기후정책과, 기후예측과)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
중간성과 점검 |
최종성과 점검 |
사업비 정산 |
보고서 작성 |
|||
420 |
1월 |
6월 |
12월 |
12월 |
12월 |
1월~12월 |
(7) 기타
○ 기타사항 기재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2016~계속
(2) 총 연구과제비: 1,900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예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0예산 |
||
돌발 기상재해 분석기술 개발 (기상- 기후 연계 이상현상 발생 특성 조사‧분석) |
1,900 |
220 |
420 |
420 |
420 |
420 |
- 170 -
3- 3 |
영향예보기술개발 - 사회적 기상이슈 대응 기술개발 |
연구개발담당관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수요자 니즈 변화와 기술적 발전(AI, 빅데이터, 자동화 등)에 부합하는 분야별ㆍ이슈별 기상연구 대응 전략 기술 개발
○ 과거 (모방- 추격형)에서 (창조- 선도형)으로 선제적 투자 비교 우위 확보 할 수 있는 미래 신성장 동력 발굴, 기획 등의 방향으로 기상‧기후 R&D 추진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기상 연구개발 중장기(2018~2027) 로드맵 수립(‘16)
○ 기상기술분류체계 개선(안) 도출(‘16)
○ 기상청 R&D 과제코드화 방안 마련(‘16)
○ 기상R&D 분야별 중장기 로드맵과 연계한 이슈별 로드맵 및 관리체계 수립(‘17)
○ 기상기술 이슈리포트 발간(‘17~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 기상청 연구개발 중장기 분야별 및 이슈별 로드맵 마련(연구개발담당관, ‘16~‘17)
※ 기상R&D 중장기 추진전략 수립(’18.1.)
○ 예보기여도
- 해당사항 없음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기상분야 이슈 및 트렌드 조사ㆍ분석
○ 기상분야 트렌드 반영 및 사회적 이슈 해결을 위한 연구과제 개발
<연구비산정 기준>
- 시험연구비: 70백만원
- 연구용역비: 100백만원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사회적 기상이슈 대응 기술(연구개발담당관)
- 지역별 정책 현안 및 사회적 이슈해결을 위한 연구과제 발굴ㆍ지원
- 171 -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
중간성과 점검 |
최종성과 점검 |
사업비 정산 |
|||
170 |
1월 |
6월 |
12월 |
12월 |
1월~12월 |
(7) 기타
○ 해당사항 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2016~계속
(2) 총 연구과제비: 850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사회적 기상이슈 대응 기술개발 |
850 |
170 |
170 |
170 |
170 |
170 |
- 172 -
3- 4 |
영향예보기술개발 지역별 위험기상 발생확률 생산기술 개발 |
재해기상연구센터, 영향예보추진팀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영향예보의 한축인 확률예보의 신뢰도 향상을 위해 가용한 모든 모델을 활용한 다중모델 앙상블예측체계 고도화
○ 폭염 분야의 지역별 위험기상 발생확률 생산기술 연구를 통한 위험기상 조기 탐지 및 예보지원
○ 대설 위험수준을 결정하는 기초자료 분석 및 겨울철 기상영향 자료(대설, 한파 등) 수집 강화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앙상블모델 기반의 위험기상 발생확률 예측기술 개발
- ECMWF 앙상블자료 상세화 및 검⋅보정
- 면적단위 기상현상 발생확률 산정기법 개발
- 다중앙상블모델 결과 상세화 및 병합 방법 개발
○ 기상현상의 사회⋅경제적 기상영향 자료 수집 및 위험수준 산정 방안 연구
- 유관기관⋅언론 자료 조사를 통한 기상영향 자료 수집(호우, 대설, 강풍, 태풍)
- 위험기상에 따른 권역별 위험수준 임계값 산정 방법 연구
- 기상(호우) 임계값 산출을 통한 지방청 기술 지원 및 협업체계 강화(‘18)
- 폭염, 한파 비정형 자료 수집 및 기상청 영향예보 시스템 DB 구축 지원 (‘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 폭염 영향예보 시범 운영(영향예보추진팀, 2018)
‧ 시범운영기간(2018.6.1.~9.30.) 지역별 위험수준별 폭염 정보 발표(관심 33회, 주의보 123회, 경보 245회, 경보심각 26회)
‧ 폭염 영향예보 문자서비스 발송(취약계층 포함 약 5만 명 대상 약 1만2천회 발송)
○ 예보기여도
활용분야 |
활용내용 |
예보 |
◦[단기예보] 폭염 영향정보(전국) 및 지역 맞춤형 영향예보 서비스(10개 지방청.지청.항공청) 시범제공 등 기상으로 인한 영향과 대응요령을 제공하여 재해예방의 효율성을 높임 |
예보 지원 |
◦[영향예보] 지역별 단위 강우량 당 피해 규모 및 호우 임계값 기술지원(17) |
◦[영향예보] 폭염, 한파 비정형 자료 수집 및 기상청 영향예보 시스템 DB 구축 지원(18) |
- 173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가용한 모델을 모두 활용하여 확률병합방식의 다중모델 앙상블 초기버전 개발
- 전지구모델, 전지구앙상블모델, 국지모델, 국지앙상블모델, ECMWF 전지구모델, ECMWF 앙상블모델을 대상으로 확률병합
- 다중 앙상블예측체계를 시험운영 중인 폭염영향예보체계에 적용 및 영향 평가
※ 현재에는 국지앙상블모델이 단독으로 사용되고 있음
○ 대설 피해에 대한 위험수준 임계값 산정 및 지역별 피해 특징 분석
- 대설 피해가 많이 나타나는 지역에 대한 단기 위험수준 산정 기법 개발 및 지역별 특징 분석
- 기상영향 자료 세분화를 통한 겨울철 피해자료 수집 강화 (대설/한파)
○ 분야별 폭염 영향 정보의 예보 활용 방안 연구
- 영향예보 기술성·경제성 및 분야별(가축, 수산양식 등) 영향 환경 조사·분석
- 폭염 피해사례 및 타부처 연구 기반 영향정보의 효과적 표현과 전달 방안 연구
- 2019년 지역별, 분야별 폭염 피해사례 사후 분석
<연구비산정 기준>
- 시험연구비 325백만원
: 상용임금(35백만원, 복리후생비(400천원), 시험연구비(183백만원), 일반연구비 100백만원, 고용부담금(7백만원)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대설 단기 위험기상 산정 기법 개발(‘20)에 기여(영향예보추진팀)
- 활용계획 : 대설 위험기상 산정 기법을 기반으로 다른 기상영향 요소로의 확대 적용
○ 폭염 영향예보 정규서비스 활용(영향예보추진팀)
- 분야별 영향 환경 조사·분석을 통해 영향예보 생산시 취약성 기초 자료로 활용
- 폭염 영향예보 통보문에 포함되는 영향정보 세부 문구 마련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
중간성과 점검 |
최종성과 평가 |
연구보고서 작성 |
|||
565 |
1월 |
7월 |
12월 |
12월 |
1월~12월 |
(6) 기타
- 174 -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2016년~계속
(2) 총 연구과제비: 1,525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예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지역별 위험기상 발생확률 생산기술 개발 |
1,525 |
375 |
375 |
325 |
225 |
225 |
- 175 -
2. 지진화산업무 지원 및 활용연구
가. 목적
○ 지진 분석자료를 활용한 지진정보 생산 및 지진관측환경 표준화 연구
○ 지진 조기경보 소요시간 단축 기반 구축 기술 개발
나.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
○ 지진관측환경 표준화 및 지진정보 생산 개선 연구
- 지진목록 공백기간(1905~1977)에 대한 지진발생 목록 작성(‘12)
- 인공지진 판별 가이던스 개발(‘13)
- 기상청 지진관측소 관측환경 분석서 발간(‘14)
- 지진조기분석시스템의 분석결과 성능검증 및 개선요소 발굴(‘14)
- 인공지진 식별체계 자동화 분석 시스템 개발(‘14~’15)
- 파형역산 프로그램 구축 및 한반도 주요지진 단층면 분석(‘15)
- 한반도 표준 배경잡음 모델 개선(내륙 지역) 및 가속도센서 관측자료 분석 연구(’16)
- 한반도 발생 지진 규모 및 위치 정확도 향상 기술 개발(’17)
- 한반도 발생 특이지진의 지진원 특성 분석 연구(’17)
- 한반도 주요 지진활동 및 지진발생 메카니즘 분석(’18)
- 한반도 주요지진을 이용한 진도등급 분류 기준 마련(’18)
- 국외 관측자료 활용 인공지진 정밀 분석기술 개발(’18)
- 진원오차 개선을 위한 분석변수에 따른 미소지진 진원분석(’18)
- 주요 지진정보이력 DB구축 및 지반정보를 활용한 진도 산출(’18)
- 국가 인공지진 대응체계 개선을 위한 효율적인 공중 음파 관측소 설치 방안 마련(’18)
○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개발 및 개선 연구
- 대규모지진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한 전지구 지진해일 수치모의 프로그램 개발(‘13)
- 구역별 지진해일 예측정보 표출시스템 개발(‘14)
- 한반도 지진해일 예측을 위한 차세대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개발(‘15)
- 해수면변화 관측자료를 이용한 지진해일 검출알고리즘 개발(‘15)
-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성능검증 및 지진해일 검출시스템 구축(‘16)
-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실시간 운영상태 검증(‘17)
- 지진해일 검출시스템 성능검증 및 현업화 기반 구축(‘17)
- 동해·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개선 및 지진발생 깊이에 따른 지진해일 대응 가이던스 마련(‘18)
○ 화산활동 원격감시 및 한반도 지각활동 진단정보 생산
- 백두산 화산감시를 위한 위성영상 시계열 분석기법 개발(‘13)
- 지구자기 활동지수 표출시스템 개발(‘12) 및 국가지진종합정보시스템에 대한 활용(’13)
- 백두산화산 정밀 지표변위 산출시스템 개발(‘14) 및 분석결과 산출(’14~‘15)
- 176 -
- GPS활용 지표변위량 산출시스템 개발(‘14) 및 국가지진종합정보시스템에 대한 활용(’15)
- 화산활동 원격감시를 위한 아리랑위성자료 활용체계 구축(‘16)
- 연도별(‘04~’15년) 한반도 지각변동 속도 및 방향 분석 결과 산출(‘16)
- 백두산지역 상대지표온도변화 산출시스템 개발(‘17)
- GNSS를 이용한 한반도 지각변동 정기산출 및 ‘04~’16년 응력변형률 산출(‘17)
- 지구자기, 중력 등 지구물리관측자료를 활용한 지진‧화산활동 검출기술 활용연구(‘17)
- 지표변위와 상대지표온도를 이용한 백두산 화산활동 모니터링 결과 산출(‘18)
- 지진에 의한 지구물리변동 분석 기술 개발(‘18)
다. 투자현황
(단위: 백만원) |
||||||
내역사업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지진화산업무 지원 및 활용연구 |
9,638 |
1,177 |
1,190 |
1,329 |
2,942 |
3,000 |
라. 2019년 추진 연구과제 목록
(단위: 백만원) |
||||||
과제 번호 |
연구과제명 |
연구비 |
연구기간 |
수행부서 |
중복성 검토 |
용역필요성 및 직접수행과의 차별성 |
4 |
지진‧지진해일‧화산감시 및 예측기술 개발 |
1,329 |
‘19.1.~’19.12. (12개월) |
지진화산 연구과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
4- 1 |
지진관측환경 표준화 및 지진정보 생산 개선 연구 |
762 |
‘19.1.~’19.12. (12개월) |
지진화산 연구과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
4- 2 |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개발 및 개선연구 |
251 |
‘19.1.~’19.12. (12개월) |
지진화산 연구과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4- 3 |
화산활동 원격감시 및 한반도 지각활동 진단정보 생산 |
316 |
‘19.1.~’19.12. (12개월) |
지진화산 연구과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마. 과제담당관 및 참여연구원 현황
연구과제명 |
소속기관 및 부서 |
참여연구원 수 |
지진‧지진해일‧화산감시 및 예측기술 개발 |
지진화산국 지진화산연구과 |
13 |
지진관측환경 표준화 및 지진정보 생산 개선 연구 |
지진화산국 지진화산연구과 |
6 |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개발 및 개선연구 |
지진화산국 지진화산연구과 |
3 |
화산활동 원격감시 및 한반도 지각활동 진단정보 생산 |
지진화산국 지진화산연구과 |
4 |
- 177 -
바. 연구과제별 추진계획
4 |
지진·지진해일·화산감시 및 예측기술 개발 |
지진화산연구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지진, 지진해일 및 화산활동의 정확한 감시‧예측 정보 생산 지원 강화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지진관측환경 표준화 및 지진정보 생산 개선 연구
- 지진목록 공백기간(1905~1977)에 대한 지진발생 목록 작성(‘12)
- 인공지진 판별 가이던스 개발(‘13)
- 기상청 지진관측소 관측환경 분석서 발간(‘14)
- 지진조기분석시스템의 분석결과 성능검증 및 개선요소 발굴(‘14)
- 인공지진 식별체계 자동화 분석 시스템 개발(‘14~’15)
- 파형역산 프로그램 구축 및 한반도 주요지진 단층면 분석(‘15)
- 한반도 표준 배경잡음 모델 개선(내륙 지역) 및 가속도센서 관측자료 분석 연구(’16)
- 한반도 발생 지진 규모 및 위치 정확도 향상 기술 개발(’17)
- 한반도 발생 특이지진의 지진원 특성 분석 연구(’17)
- 한반도 주요 지진활동 및 지진발생 메카니즘 분석(’18)
- 한반도 주요지진을 이용한 진도등급 분류 기준 마련(’18)
- 국외 관측자료 활용 인공지진 정밀 분석기술 개발(’18)
- 진원오차 개선을 위한 분석변수에 따른 미소지진 진원분석(’18)
- 주요 지진정보이력 DB구축 및 지반정보를 활용한 진도 산출(’18)
- 국가 인공지진 대응체계 개선을 위한 효율적인 공중 음파 관측소 설치 방안 마련(’18)
○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개발 및 개선 연구
- 대규모지진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한 전지구 지진해일 수치모의 프로그램 개발(‘13)
- 구역별 지진해일 예측정보 표출시스템 개발(‘14)
- 한반도 지진해일 예측을 위한 차세대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개발(‘15)
- 해수면변화 관측자료를 이용한 지진해일 검출알고리즘 개발(‘15)
-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성능검증 및 지진해일 검출시스템 구축(‘16)
-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실시간 운영상태 검증(‘17)
- 지진해일 검출시스템 성능검증 및 현업화 기반 구축(‘17)
- 동해·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개선 및 지진발생 깊이에 따른 지진해일 대응 가이던스 마련(‘18)
- 178 -
○ 화산활동 원격감시 및 한반도 지각활동 진단정보 생산
- 백두산 화산감시를 위한 위성영상 시계열 분석기법 개발(‘13)
- 지구자기 활동지수 표출시스템 개발(‘12) 및 국가지진종합정보시스템에 대한 활용(’13)
- 백두산화산 정밀 지표변위 산출시스템 개발(‘14) 및 분석결과 산출(’14~‘15)
- GPS활용 지표변위량 산출시스템 개발(‘14) 및 국가지진종합정보시스템에 대한 활용(’15)
- 화산활동 원격감시를 위한 아리랑위성자료 활용체계 구축(‘16)
- 연도별(‘04~’15년) 한반도 지각변동 속도 및 방향 분석 결과 산출(‘16)
- 백두산지역 상대지표온도변화 산출시스템 개발(‘17)
- GNSS를 이용한 한반도 지각변동 정기산출 및 ‘04~’16년 응력변형률 산출(‘17)
- 지구자기, 중력 등 지구물리관측자료를 활용한 지진‧화산활동 검출기술 활용연구(‘17)
- 지표변위와 상대지표온도를 이용한 백두산 화산활동 모니터링 결과 산출(‘18)
- 지진에 의한 지구물리변동 분석 기술 개발(‘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 화산 정보 분석 가이던스 마련(지진화산감시과, ‘17)
- 화산정보 발령 상세기준 개선(지진화산감시과, ‘17)
- 구역별 지진해일 시나리오 DB 구축 및 지진해일 특보구역 세분화(지진화산감시과, ‘17)
- 신규 국지규모식 현업 시험운영(지진화산감시과. ‘18)
- 인공지진 분석프로그램 및 가이던스 현업화(지진화산감시과, ‘18)
- 지진발생 깊이에 따른 지진해일 대응 가이던스 현업화(지진화산감시과, ‘18)
- 한반도 주요지진을 이용한 진도 등급 분류(지진정보기술팀, ‘18)
- 국외 주요 감시 대상 화산의 한글 명칭 통일(지진화산감시과, ‘18)
○ 예보기여도 : 해당없음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지진관측환경 표준화 및 지진정보 생산 개선 연구
- 차세대 지진조기경보 알고리즘 기술 개발
- 차세대 한반도형 지반운동예측모델 개발
- 한반도 발생 지진원 DB 시스템 구축
- 한반도 발생 지진 진원분석 정확도 향상
- (용역) 스마트폰 가속도센서 활용 지진조기경보 고도화 연구사업
- (용역) 지진 이벤트의 관측소별 계기진도, 응답이력 정보 산출
○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개발 및 개선연구
- 지진해일 수치모의 시간 단축 및 지진해일 정보 고도화
- 지진해일 계기관측체계 기반 구축
- 179 -
- (용역) 지진발생 깊이별 지진해일 시나리오 DB 산출
○ 화산활동 원격감시 및 한반도 지각활동 진단정보 생산
- 화산지역 원격감시정보 정기 산출을 위한 체계화
- 지구물리활용 기술 개발
- (용역) 화산재 특보기준 설정을 위한 화산재 피해 지수 생성 연구
<연구비산정 기준>
- 지진관측환경 표준화 및 지진정보 생산 개선 연구 (762백만원)
· (시험연구비) 98백만원, (자산취득비) 240백만원
· (인건비 6인) 254백만원
· (연구용역비) 160백만원, (일반용역비) 10백만원
-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개발 및 개선연구 (251백만원)
· (시험연구비) 53.4백만원
· (인건비 3인) 127.6백만원
· (연구용역비) 70백만원
- 화산활동 원격감시 및 한반도 지각활동 진단정보 생산 (316백만원)
· (시험연구비) 76백만원
· (인건비 4인) 170백만원
· (연구용역비) 70백만원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기상청 지진조기경보시스템의 신속‧정확한 지진정보 전달 및 활용체계 구축
○ 관측소 응답이력 및 계기진도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DB 구축
○ 한반도 주요지진, 지진원 DB 기반 한반도 지진 특성 정밀 분석
○ 지진발생 깊이별 지진해일 시나리오 DB(지진화산감시과)
- 활용계획 : 지진해일 통보시스템에 적용(’19년)으로 즉시 활용
○ 화산재 특보기준 설정(지진화산감시과)
- 활용계획 : 화산재 정보 및 주의보/경보 발표에 활용(‘20년)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연구과제 수행 시작 |
중간성과 점검 |
최종성과 점검 |
사업비 정산 |
보고서 작성 |
|||
1,329 |
1월 |
6월 |
12월 |
12월 |
12월 |
1월~12월 |
- 180 -
(7) 기타
○ 해당사항 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12~계속
(2) 총 연구과제비(‘12~’19): 9,889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지진관측환경 표준화 및 지진정보 생산 개선 연구 |
4,526 |
513 |
513 |
762 |
1,369 |
1,369 |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개발 및 개선 연구 |
2,114 |
266 |
279 |
251 |
630 |
688 |
화산활동 원격감시 및 한반도 지각활동 진단정보 생산 |
2,998 |
398 |
398 |
316 |
943 |
943 |
- 181 -
4- 1 |
지진·지진해일·화산감시 및 예측기술 개발 - 지진관측환경 표준화 및 지진정보 생산 개선 연구 |
지진화산연구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지진 분석자료를 활용한 지진정보 생산 및 지진관측환경 표준화 연구
○ 지진 조기경보 소요시간 단축 기반 구축 기술 개발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지진목록 공백기간(1905~1977)에 대한 지진발생 목록 작성(‘12)
○ 인공지진 판별 가이던스 개발(‘13)
○ 기상청 지진관측소 관측환경 분석서 발간(‘14)
○ 지진조기분석시스템의 분석결과 성능검증 및 개선요소 발굴(‘14)
○ 인공지진 식별체계 자동화 분석 시스템 개발(‘14~’15)
○ 파형역산 프로그램 구축 및 한반도 주요지진 단층면 분석(‘15)
○ 한반도 표준 배경잡음 모델 개선(내륙 지역) 및 가속도센서 관측자료 분석 연구(’16)
○ 한반도 발생 지진 규모 및 위치 정확도 향상 기술 개발(’17)
○ 한반도 발생 특이지진의 지진원 특성 분석 연구(’17)
○ 한반도 주요 지진활동 및 지진발생 메카니즘 분석(’18)
○ 한반도 주요지진을 이용한 진도등급 분류 기준 마련(’18)
○ 국외 관측자료 활용 인공지진 정밀 분석기술 개발(’18)
○ 진원오차 개선을 위한 분석변수에 따른 미소지진 진원분석(’18)
○ 주요 지진정보이력 DB구축 및 지반정보를 활용한 진도 산출(’18)
○ 국가 인공지진 대응체계 개선을 위한 효율적인 공중 음파 관측소 설치 방안 마련(’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 신규 국지규모식 현업 시험운영(지진화산감시과, 2018)
- 인공지진 분석프로그램 및 가이던스 현업화(지진화산감시과, 2018)
- 한반도 주요지진을 이용한 진도 등급 분류(지진정보기술팀, 2018)
○ 예보기여도 : 해당없음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차세대 지진조기경보 알고리즘 기술 개발
- 최신 지진조기경보 알고리즘 분석을 통한 현행 시스템 개선방향 수립
- 현장경보(On- site Alarm) 기술과 이동통신 기기 센서 기반의 지진 조기분석의 활용 가능성 분석
- 182 -
○ 차세대 한반도형 지반운동예측모델 개발
- 지진기록 정보이력 생성 시스템 개발 및 과거(`00~`18) 지진정보 DB구축
- 한반도 지진기록 기반의 관측소별 표준응답모델 개발
○ 한반도 발생 지진원 DB 시스템 구축
- 국내지진·미소지진 통합DB 구축
- TDMT 역산 및 초동분석법을 적용한 분석체계 구축
- 과거 주요지진의 지진원과 단층면해 DB 구축
○ 한반도 발생 지진 진원분석 정확도 향상
- 진원오차 개선을 위한 진원분석 알고리즘 및 지각속도모델 비교분석
<연구비산정 기준>
- 지진관측환경 표준화 및 지진정보 생산 개선 연구 (762백만원)
· 차세대 지진조기경보 알고리즘 기술 개발 (30백만원)
· 차세대 한반도형 지반운동예측모델 개발 (30백만원)
· 한반도 발생 지진원 DB 시스템 구축 (20백만원)
· 한반도 발생 지진 진원분석 정확도 향상 (18백만원)
· (용역) 스마트폰 가속도센서 활용 지진조기경보 고도화 연구사업 (140백만원)
· (용역) 지진 이벤트의 관측소별 계기진도, 응답이력 정보 산출 (20백만원)
· (인건비 6인) 254백만원, (자산취득비) 240백만원, (일반용역비) 10백만원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기상청 지진조기경보시스템의 신속‧정확한 지진정보 전달 및 활용체계 구축
○ 관측소 응답이력 및 계기진도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DB 구축
○ 한반도 주요지진, 지진원 DB 기반 한반도 지진 특성 정밀 분석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연구과제 수행 시작 |
중간성과 점검 |
최종성과 점검 |
사업비 정산 |
보고서 작성 |
|||
762 |
1월 |
6월 |
12월 |
12월 |
12월 |
1월~12월 |
(7) 기타
○ 해당사항 없음
- 183 -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12~계속
(2) 총 연구과제비(‘12~’19): 6,465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지진관측환경 표준화 및 지진정보 생산 개선 연구 |
4,526 |
513 |
513 |
762 |
1,369 |
1,369 |
- 184 -
4- 2 |
지진·지진해일·화산감시 및 예측기술 개발 -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개발 및 개선연구 |
지진화산연구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한반도 주변해역 지진해일 예측 및 관측체계 고도화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대규모지진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한 전지구 지진해일 수치모의 프로그램 개발(‘13)
○ 구역별 지진해일 예측정보 표출시스템 개발(‘14)
○ 한반도 지진해일 예측을 위한 차세대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개발(‘15)
○ 해수면변화 관측자료를 이용한 지진해일 검출알고리즘 개발(‘15)
○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성능검증 및 지진해일 검출시스템 구축(‘16)
○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실시간 운영상태 검증(‘17)
○ 지진해일 검출시스템 성능검증 및 현업화 기반 구축(‘17)
○ 동해·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개선 및 지진발생 깊이에 따른 지진해일 대응 가이던스 마련(‘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 구역별 지진해일 시나리오 DB 구축 및 지진해일 특보구역 세분화(지진화산감시과, ‘17)
- 지진발생 깊이에 따른 지진해일 대응 가이던스 현업화(지진화산감시과, ‘18)
○ 예보기여도 : 해당없음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지진해일 수치모의 시간 단축 및 지진해일 정보 고도화
- 슈퍼컴퓨터 활용 고해상도 지진해일 모델링 수행 체계 구축
- 지진파에 의한 단층운동 분석결과를 적용한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개선
- 지진발생 깊이별 지진해일 시나리오 DB 생산 및 활용
○ 지진해일 계기관측체계 기반 구축
- 지진해일 검출시스템 실시간 운영상태 검증 및 지진해일 관측자료 활용 분석
- 실시간 관측자료를 이용한 관측소별 지진해일 판단 기준값 검증
<연구비산정 기준>
- 지진해일 예측체계 고도화를 위한 기술개발 (251백만원)
· 지진해일 수치모의 시간 단축 및 지진해일 정보 고도화(34백만원)
- 185 -
· 지진해일 계기관측체계 기반 구축(20백만원)
· (용역) 지진발생 깊이별 지진해일 시나리오 DB 산출(70백만원)
· 인건비 4인(127만원)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지진발생 깊이별 지진해일 시나리오 DB(지진화산감시과)
- 활용계획 : 지진해일 통보시스템에 적용(’19년)으로 즉시 활용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연구과제 수행 시작 |
중간평가 |
최종평가 |
사업비 정산 |
보고서 작성 |
|||
251 |
1월 |
6월 |
12월 |
12월 |
12월 |
1월~12월 |
(7) 기타
○ 해당사항 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12~계속
(2) 총 연구과제비(‘12~’19): 2,897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개발 및 개선 연구 |
2,114 |
266 |
279 |
251 |
630 |
688 |
- 186 -
4- 3 |
지진·지진해일·화산감시 및 예측기술 개발 - 화산활동 원격감시 및 한반도 지각활동 진단정보 생산 |
지진화산연구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화산활동 원격감시 기술 및 지구물리자료 활용 고도화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백두산 화산감시를 위한 위성영상 시계열 분석기법 개발(‘13)
○ 지구자기 활동지수 표출시스템 개발(‘12) 및 국가지진종합정보시스템에 대한 활용(’13)
○ 백두산화산 정밀 지표변위 산출시스템 개발(‘14) 및 분석결과 산출(’14~‘15)
○ GPS활용 지표변위량 산출시스템 개발(‘14) 및 국가지진종합정보시스템에 대한 활용(’15)
○ 화산활동 원격감시를 위한 아리랑위성자료 활용체계 구축(‘16)
○ 연도별(‘04~’15년) 한반도 지각변동 속도 및 방향 분석 결과 산출(‘16)
○ 한반도 지자기 관측자료 품질 검증 및 변동 특성 분석(‘16)
○ 백두산지역 상대지표온도변화 산출시스템 개발(‘17)
○ GNSS를 이용한 한반도 지각변동 정기산출 및 ‘04~’16년 응력변형률 산출(‘17)
○ 지구자기, 중력 등 지구물리관측자료를 활용한 지진‧화산활동 검출기술 활용연구(‘17)
○ 지표변위와 상대지표온도를 이용한 백두산 화산활동 모니터링 결과 산출(`18)
○ 지진에 의한 지구물리변동 분석 기술 개발(`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 화산 정보 분석 가이던스 마련(지진화산감시과, 2017)
- 화산정보 발령 상세기준 개선(지진화산감시과, 2017)
- 국외 주요 감시 대상 화산의 한글 명칭 통일(지진정보기술팀, 2018)
○ 예보기여도 : 해당없음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화산지역 원격감시정보 정기 산출을 위한 체계화
- 원격자료를 이용한 백두산 화산활동(‘18년) 정기분석
- 남북 백두산 공동 연구를 위한 국외 화산관측소의 화산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 분석
- (용역) 화산재 특보기준 설정을 위한 화산재 피해 지수 생성 연구
○ 지구물리활용 기술 개발
- 한반도 지각활동 추이(~‘18년) 정기분석
- 청양 지구자기 자료 처리 및 품질 관리(‘18년도 확정자료(Definitive data) 생산)
- 187 -
- 지구물리현상의 지진・화산 연관성 해석 연구
<연구비산정 기준>
- 화산활동 원격감시 및 한반도 지각활동 진단정보 생산 (316백만원)
· 원격자료를 이용한 지표온도와 지표변위 분석결과 정기산출 (10백만원)
· 국외 화산관측소의 화산 활동 모니터링 시스템 분석 (10백만원)
· 한반도 지각활동 추이(~‘18년) 정기분석 (20백만원)
· 청양 지구자기 자료 처리 및 품질 관리 (20백만원)
· 지구물리현상의 지진・화산 연관성 해석 연구 (16백만원)
· 인건비 4인(170백만원)
· (용역) 화산재 특보기준 설정을 위한 화산재 피해 지수 생성 연구 (70백만원)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화산재 특보기준 설정(지진화산감시과)
- 활용계획 : 화산재 정보 및 주의보/경보 발표에 활용(‘20년)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연구과제 수행 시작 |
중간평가 |
최종평가 |
사업비 정산 |
보고서 작성 |
|||
398 |
1월 |
6월 |
12월 |
12월 |
12월 |
1월~12월 |
(7) 기타
○ 해당사항 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12~계속
(2) 총 연구과제비: 2,674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화산활동 원격감시 및 한반도 지각활동 진단정보 생산 |
3,850 |
398 |
398 |
316 |
1369 |
1,369 |
- 188 -
4 |
범부처 융합 이중편파레이더 활용기술 개발 |
[ 기상레이더센터 레이더분석과 ]
사업 개요
구분 |
내용 |
총사업기간 |
2013. 1. 1. ~ 2020. 12. 31. (8년) |
총사업비 |
계속사업 (‘18년까지 기 투자액, 13,062백만 원) |
지원근거 |
○ 기상법 제1조, 기상법 제5조, 기상법 제 32조, 기상관측표준화법 제1조 ○ 140대 국정과제 및 정부 3.0 전략 –(국정과제) 세부실천과제 『총체적인 국가 재난관리체계 강화』중 『홍수, 산사태 등 재해 걱정 없는 안심국토 실현』 실행계획 –(정부 3.0) “통합재난‧안전관리체계” 일환 ○ 기상선진화를 위한 10대 우선 과제 –「레이더 자료의 국가적인 공동활용체계 구축」선정 및 추진(‘09.9) ○ 범정부 기상- 강우레이더 융합행정 업무협약 체결(‘10.6.30) |
지원형태 |
직접수행 |
시행주체 |
기상청 기상레이더센터(레이더분석과) |
정책 연계성
○ 기상업무발전 기본계획(‘17~’21)
신뢰받는 정보 제공으로 국민이 만족하는 기상서비스 실현을 위한 예보정확도 향상 및 신속한 정보 제공과 활용가치 창출 요구
※ 관련 : 2017기상업무발전 기본계획('17∼'21)(’16.12.30)
○ 기상R&D 중장기 추진전략 핵심기술명
(분야별 추진전략) 기상레이더 운영 및 분석‧활용 기술 개발
(이슈별 추진전략) 극한기상 관측 기술, 극한기상현상의 초단기⋅단기⋅중기 예측 기술
사업 최종목표
○ 이중편파레이더 품질관리, 강수량 추정, 대기수상체 분류기술 개발 등으로 위험기상 감시‧예측 능력 향상 및 이중편파레이더 활용 독자기술 확보
○ 이중편파레이더 활용 고도화를 통한 범부처 융합 활용기반 구축
- 189 -
그동안 성과
○ 레이더자료 품질관리 및 대기수상체분류 기술 개발(‘13~’18)
레이더 사이트별 자료처리 최적화기술 개발(‘13~’18)
· 사이트별 퍼지품질관리 알고리즘 계절별 최적화 및 검증(‘13~’14)
· 이중편파레이더 퍼지품질관리 적용 및 현업제공(‘15~‘18)
※ 대상 : 백령도, 비슬산, 소백산(‘15), 진도, 면봉산, 서대산, 모후산(’16), 관악산, 구덕산, 가리산(‘17), 오성산, 성산(’18)
· 이중편파레이더자료 품질정보 산출기술 개발(‘16~’18)
※ 품질정보 요소(5종) : 감쇠, 빔차폐, 퍼지, 시선속도, 반사도
※ 대상 : 기상청 9소, 국토부 5소(‘16), 관악산, 구덕산, 가리산(’17), 오성산, 성산(‘18)
· 레이더 실시간영상(PPI0) 및 원거리(480km) 품질관리 기술개발 및 제공(‘17)
한국 강우특성을 고려한 눈‧비분류 기술 개발(‘13~’18)
· NCAR 기술기반 눈‧비분류(14단계) 기술 개발(‘13) 및 현업 제공(’14)
· NSSL 기술기반 이중편파레이더 눈‧비분류 기술 개발(‘15)
· 한국형 눈‧비분류(7종) 기반기술 개발 및 현업 제공(‘16~’18)
※ 대상 : 백령도, 비슬산, 소백산, 진도, 면봉산, 서대산, 모후산, 관악산, 구덕산, 용인(‘16),
광덕산, 고산, 가리산(’17), 성산, 오성산(‘18)
이중편파 변수를 이용한 밝은띠 탐지기술 개발(‘16~’18)
· 이중편파 변수의 밝은띠 특성분석(‘16) 및 밝은띠 탐지기술 개발(’17~‘18)
○ 레이더강수실황예측 및 바람장 산출기술 개발(‘13~’18)
예보지원용 이중편파 강수량 추정기술 개발‧평가‧검증(‘13~’17)
· NCAR 기술기반 이중편파레이더 강수량 추정 기술 개발(‘13)
· 2DVD를 이용한 이중편파레이더 강수량 추정값 산출식 개발 및 개선(‘14~’18)
· 이중편파레이더 강수량 추정값 산출 및 정확도 검증‧분석(‘15~’18)
· 다중고도각 기반 레이더 강수량 및 합성장 현업제공(‘18)
이중편파레이더 시뮬레이터기술 개발(‘13~’15)
· 초단기예보모델(KLAPS) 분석을 위한 이중편파레이더 시뮬레이터 기술 개발(‘13)
· 국지예보모델(UM) 개선 활용을 위한 이중편파레이더 시뮬레이터 기술 개발(‘14~’15)
레이더 기반 스톰탐지 및 예측기술 개발(‘13~’14)
· 뇌우판단 매뉴얼 기반 뇌우정보 현업제공(‘13)
· 레이더 반사도 기반 스톰 자동탐지 및 이동경로 추적기술 개발(‘14)
- 190 -
이중편파레이더 강수량 예측 현업활용기술 개발(‘16~’18)
· 한국형 레이더강수실황예측모델 개발 로드맵 설계(‘16)
· 한국형 레이더강수실황예측모델 이류벡터 산출기술 개발(’17)
· 레이더강수실황예측모델 단일화 및 현업제공(‘18)
3차원 다중레이더 바람장 산출 기반기술 개발(‘16~’17)
· 3차원 다중레이더 바람장 산출기술 개발 로드맵 설계(‘16)
· 변분법 기반 다중레이더 바람장 산출 기술 개발(‘17~’18)
○ 범부처 레이더 합성기술 개발(‘14~’18)
레이더 원시자료 활용기반기술 개발
· 이중편파레이더 원시신호(I/Q) 자료 분석(‘14) 및 모멘트 변환기술 개발(’15)
· 레이더 원시신호(I/Q) 기반 시선속도 및 차등위상차 접힘풀기 기술 개발(‘16)
· 용인테스트베드레이더 및 진천레이더비교관측자료를 이용한 집중관측(‘14~’17)
범부처 확대적용을 위한 이중편파레이더 강수량 추정값 산출 및 합성기술 개발
· 하이브리드기법의 레이더 강수량 추정값 산출기술 개발(‘14~’16) 및 현업제공(‘17)
※ 분석대상 : 비슬산, 백령도, 강릉(‘14), 구덕산, 고산, 성산, 모후산, 용인(’15), 진도, 면봉산, 서대산(‘16)
· 하이브리드기법의 레이더 강수량 추정값 산출기술의 범부처 기술이전(‘15~’18)
※ 이전기관/이전기술 건수 : 국방부, 환경부/ 총 10건
· 이중편파레이더 부분 빔차폐 보정기술 개발 및 개선(‘14~’17)
· 강수시스템 연직구조 분석을 위한 준연직프로파일(QVP) 기술 개발 및 개선(‘15~’18)
레이더기반 격자 강수량 산출 기술 개발
· “레이더- AWS 강우강도(RAR)” 재생산(‘14~’15) 및 영향예보 지원(‘16)
※ 재생산 기간 : ‘06.1.1~’‘15.12.31(10년치)
· 동북아시아 레이더- 위성 융합 강수량 산출 기술 개발 및 개선(‘14~’16)
· 국지우량계보정기법을 적용한 “레이더- AWS 강우강도(RAR)” 현업제공(‘16) 및 개선(’17~‘18)
○ 연구용소형기상레이더 관측망 구축 및 운영기술 개발(’16~‘18)
연구용레이더 운영 및 남서해안 위험기상 분석연구(‘16)
레이더 반사도 기반 강설강도 산출 기술 개발 및 개선(‘16~’17)
수도권 연구용 소형기상레이더 관측망(3소) 구축(’18)
- 191 -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구분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ㅇ 범부처 융합 이중편파레이더 활용기술 개발 |
2,892 |
3,446 |
3,468 |
2,668 |
- |
내·외부 지적사항
지적사항 및 평가결과 |
조치내역 및 조치계획 |
<평가결과(‘17)> ‧「2017년 R&D성과평가(중간평가)」결과 - 관련: 「국가연구개발사업 등의 성과평가 및 성과관리에 관한 법률」제7조 및 제8조 - 평가기간: ‘14~’16년(3년) - 평가방법: “소액사업”으로 기상청 자체평가위원회를 통한 자체평가 실시 (※ “소액사업”: 최근3년간 연평균 예산 30억원 이하 사업) |
‧평가결과 : “보통”등급(총점 79.6점) (※ “소액사업”의 경우 80점 이상 “우수” 등급만으로 한정) |
2018년도 추진 실적
1. 2018년도 대표 성과
○ 레이더자료 품질관리 및 대기수상체분류 기술 개발
- 범부처 신규 이중편파레이더 품질관리 기술 개발 및 현업제공
※ 대상: 오성산, 성산, 가리산, 예천, 원주
- 범부처 신규 이중편파레이더 대기수상체분류 현업제공
※ 대상: 오성산, 성산, 가리산
- 우박조기탐지용 분석기술 개발 및 현업제공
- 이중편파레이더 대기수상체분류 합성장 산출 기술 개발 및 현업제공
○ 레이더강수실황예측 및 바람장 산출기술 개발
- 다중고도각 이중편파레이더 강수량(HSR) 정확도 향상 및 현업제공(‘18.3)
※ 정확도/대상/기간: (‘17) 75.5% → (’18) 78.1%/ 기상청 7소, 환경부 5소/ ‘18.5~10. (6개월)
- 변분법 기반 레이더 3차원 바람장(WISSDOM) 고속화 및 최적화
※ 산출시간/수평해상도/연직해상도: 52시간 → 51초/ 2→1km/ 1→0.5km
- 신속‧정확한 레이더강수실황예측모델 개발 및 현업제공(‘18.5)
- 192 -
○ 범부처 레이더 합성기술 개발
- 범부처 레이더 공동활용을 위한 기술이전(‘18.6)
※ 대상/기술건수/방법: 국방부, 환경부/ 강수량 추정 등 6건/ 기술제공, 교육, 현장설치 등
- 이중편파레이더 품질정보를 이용한 범부처 레이더 합성 기술 개발
- 이중편파레이더 기반 위험기상 선행 탐지를 위한 준연직프로파일 기술 개선
- 다중레이더 바람장을 이용한 영동지역의 겨울철 강설 발달 기작 분석
○ 연구용소형기상레이더 관측망 구축 및 운영기술 개발
- 수도권 저층 위험기상 감시를 위한 관측망 구축(수리산, 망일산, 덕적도)
- 시‧공간적 고분해능(150m/1분) 소형기상레이더 관측망 운영전략 수립
- 연구용 소형기상레이더를 이용한 평창동계올림픽 기상지원(황병산)
2. 2018년도 실적 자체 평가
○ 2018년도 목표 및 달성정도
- 2018년도 목표 : 범부처 융합 이중편파레이더 핵심 및 응용기술 확보
‧이중편파레이더 자료처리 기술 개발
‧예보지원을 위한 이중편파레이더 활용기술 개발
‧범부처 레이더 융합 활용기술 개발
‧연구용레이더 신기술 선행연구 및 현업지원기술 개발
- 목표대비 달성 정도
‧범국가적 위험기상 감시·예측능력 향상을 위한 이중편파레이더 응용기술을 확보하여 이중편파레이더 관측망 구축과 동시에 현장 활용이 용이한 실용·선진독자기술을 개발하였으며, 해당 기술을 범부처(국토교통부, 국방부)에 기술 이전함으로써 국가 R&D 중복투자 방지를 통한 경제적 비용절감과 표준화된 기술 인프라 구축을 통한 국가적 위험기상 대응능력 향상에 기여함
○ 개선 보완사항 : 해당없음
- 193 -
2019년도 추진 계획
1. 2019년도 목표
○ 범부처 융합 이중편파레이더 핵심 및 응용기술 확보
2. 2019년도 주요 추진내용
○ 레이더자료 품질관리 및 대기수상체분류 기술 개발
신규 이중편파레이더(강릉) 품질관리 적용 및 현업제공
신규 이중편파레이더(강릉) 대기수상체분류 현업제공
이중편파레이더 기반 융해층 고도 및 특성 정보 제공
○ 레이더강수실황예측모델 및 바람장 산출기술 개발
이중편파레이더 강수량 추정 정확도 향상(78% → 81%)
WISSDOM기반 상세 바람장 산출 기술 개발 및 맞춤형(항공) 정보 제공
레이더강수실황예측모델 성능 개선
기계학습 기반 위험기상 예측기술 개발
레이더기반 뇌우 감시 및 추적 기술 개발
○ 범부처 레이더 합성기술 개발
한국형 우적크기분포모델 기술 개발
범부처 이중편파레이더 강수량 합성장 산출 기술 개발
레이더- 우량계 기반 격자강우량(RAR) 현업제공
○ 연구용소형기상레이더 관측망 구축 및 운영기술 개발
연구용소형기상레이더 관측 기술 개발
소형기상레이더 품질관리 및 보정오차 산출 기술 개발
소형기상레이더 대기수상체분류 기술 개발 및 현업제공
소형기상레이더 3차원 바람장 산출 기술 개발
- 194 -
(1) 2018년 추진내용과의 비교
(단위: 백만원) |
||
구분 |
2018년 |
2019년 |
□ 범부처 융합 이중편파레이더 활용기술개발 |
3,446 |
3,468 |
이중편파레이더 자료처리 기술 개발 |
400 ·레이더자료 품질관리 및 대기수상체분류 기술 개발(400) |
400 ·레이더자료 품질관리 및 대기수상체분류 기술 개발(400) |
350 ·레이더강수실황예측 및 바람장 산출기술 개발(350) |
||
870 ·범부처 레이더 합성기술 개발(870) |
||
예보지원을 위한 이중편파레이더 활용기술 개발 |
350 ·레이더강수실황예측 및 바람장 산출기술 개발(350) |
- |
범부처 레이더 융합 활용기술 개발 |
870 ·범부처 레이더 합성기술 개발(870) |
- |
연구용레이더 신기술 선행연구 및 현업 활용기술 개발 |
1,826 ·연구용소형기상레이더 관측망 구축 및 운영기술 개발(1,826) |
1,848 ·연구용소형기상레이더 관측망 구축 및 운영기술 개발(1,848) |
○ 예산 증/감액 또는 전년동일 사유
“연구용소형기상레이더 관측망 구축 및 운영기술 개발”과제 퇴직충담금 증가분 반영 22백만원 증액
(1,826백만원(‘18)→1,848백만원(’19))
(2) 장비 도입 계획
○ 기상청 기상기자재 도입 심의여부(○)
○ 과기정통부 연구장비예산 심의여부(○)
(단위: 백만원) |
||||||||
장비명 |
구축연도 |
구축 비용 |
기상기자재도입 심의 |
연구장비예산 심의 |
관련연구 과제번호 |
|||
시작 |
종료 |
타당성 판정 결과 |
비고 |
타당성 판정 결과 |
비고 |
|||
연구용 소형기상레이더 관측망 |
‘17 |
‘17 |
4,800 |
타당 |
- |
타당 |
- |
4 |
- 195 -
(3) 2019년 예상 대표성과
○ 위험기상 예보 활용성 증대를 위한 이중편파레이더 현업화기술 개발(6건)
신규 이중편파레이더(강릉) 품질관리 및 대기수상체분류 현업제공
위험기상 입체분석을 위한 준연직프로파일(QVP) 현업제공
이중편파레이더 기반 융해층 고도 및 특성 정보 제공
WISSDOM기반 고해상도 3차원 바람장 산출 기술 개발 및 현업제공
“레이더- AWS 강우강도” 개선 및 제공
소형기상레이더 대기수상체분류 제공
○ 이중편파레이더 자료 활용기술 개선을 통한 과학적‧기술적 성과 달성
이중편파레이더 합성 강수량 산출, 고해상도 바람장 산출기술 등(특허 2건)(예정)
이중편파레이더기반 강우추정, 겨울철 강설특성분석 등 (SCI 논문 2건)(예정)
○ 수도권 저층 위험기상 탐지 능력 향상을 위한 활용기술 개발
연구용 소형기상레이더(3소) 운영 효율화를 위한 저층 감시 기술 개발
소형기상레이더 품질관리 및 보정오차 산출 기술 개발
- 196 -
별첨1 |
내역사업별 추진계획 |
1. 이중편파레이더 자료처리 기술 개발
가. 목적
○ 이중편파레이더자료 처리기술 최적화를 통한 고품질 레이더 자료 산출
나.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
○ 레이더자료 품질관리 및 대기수상체분류 기술 개발(‘13~’18)
- 사이트별 퍼지품질관리 알고리즘 계절별 최적화 및 검증(‘13~’14)
- 이중편파레이더 강수‧비강수에코 정보 산출기술 개발 및 제공(‘15~‘17)
※ 대상 : 백령도, 비슬산, 소백산(‘15), 진도, 면봉산, 서대산, 모후산(’16), 관악산, 구덕산, 가리산(‘17)
- 이중편파레이더자료 품질정보 산출기술 개발(‘16~’17)
※ 품질정보 요소(5종) : 감쇠, 빔차폐, 퍼지, 시선속도, 반사도
※ 대상 : 기상청 9소, 국토부 5소(‘16), 관악산, 구덕산, 가리산(’17)
- 레이더 실시간영상(PPI0) 및 원거리(480km) 품질관리 기술개발 및 제공(‘17)
- 이중편파레이더 품질관리 기술 및 이중편파변수 품질정보 산출기술(‘18)
- NCAR 기술기반 눈‧비분류(14단계) 기술 개발(‘13) 및 현업 제공(’14)
- NSSL 기술기반 이중편파레이더 눈‧비분류 기술 개발(‘15)
- 한국형 눈‧비분류(7종) 기반기술 개발 및 현업 제공(‘16~’18)
※ 대상 : 백령도, 비슬산, 소백산, 진도, 면봉산, 서대산, 모후산, 구덕산, 용인(‘16),
관악산, 구덕산, 가리산(‘17), 광덕산, 고산(’18)
- 이중편파레이더 대기수상체분류 합성장 현업제공(’18)
- 이중편파변수의 밝은띠 특성분석(‘16) 및 밝은띠 탐지기술 개발(’17)
- 밝은띠 영역의 이중편파변수 품질정보 산출(’18)
○ 레이더강수실황예측 및 바람장 산출 기술 개발(‘13~’18)
- NCAR 기술기반 이중편파레이더 강수량 추정 기술 개발(‘13)
- 2DVD를 이용한 이중편파레이더 강수량 추정값 산출식 개발 및 개선(‘14~’17)
- 이중편파레이더 강수량 추정값 산출 및 정확도 검증‧분석(‘15~’16)
- 이중편파레이더 비차등위상차 기반 강수량 추정값 산출기술 개발(’17)
- 초단기예보모델(KLAPS) 분석을 위한 이중편파레이더 시뮬레이터 기술 개발(‘13)
- 국지예보모델(UM) 개선 활용을 위한 이중편파레이더 시뮬레이터 기술 개발(‘14~’15)
- 뇌우판단 매뉴얼 기반 뇌우정보 현업제공(‘13)
- 레이더 반사도 기반 스톰 자동탐지 및 이동경로 추적기술 개발(‘14)
- 한국형 레이더강수실황예측모델 개발 로드맵 설계(‘16)
- 한국형 레이더강수실황예측모델 이류벡터 산출기술 개발(’17)
- 3차원 다중레이더 바람장 산출기술 개발 로드맵 설계(‘16)
- 변분법 기반 다중레이더 바람장 산출 원형기술 개발(‘17)
- 197 -
○ 범부처 레이더 합성 기술 개발(‘14~’18)
- 이중편파레이더 원시신호(I/Q) 자료 분석(‘14) 및 모멘트 변환기술 개발(’15)
- 레이더 원시신호(I/Q) 기반 시선속도 및 차등위상차 접힘풀기 기술 개발(‘16)
- 용인테스트베드레이더 및 진천레이더비교관측자료를 이용한 집중관측(‘14~’17)
- 하이브리드기법의 레이더 강수량 추정값 산출기술 개발(‘14~’16) 및 현업제공(‘17)
※ 분석대상 : 비슬산, 백령도, 강릉(‘14), 구덕산, 고산, 성산, 모후산, 용인(’15), 진도, 면봉산, 서대산(‘16)
- 하이브리드기법의 레이더 강수량 추정값 산출기술의 범부처 기술이전(‘15~’17)
※ 이전기관/이전기술 건수 : 국방부, 국토교통부/ 총 4건
- 이중편파레이더 부분 빔차폐 보정기술 개발 및 개선(‘14~’17)
- 강수시스템 연직구조 분석을 위한 준연직프로파일(QVP) 기술 개발 및 개선(‘15~’17)
- “레이더- AWS 강우강도(RAR)” 재생산(‘14~’15) 및 영향예보 지원(‘16)
※ 재생산 기간 : ‘06.1.1~’‘15.12.31(10년치)
- 국지우량계보정기법을 적용한 “레이더- AWS 강우강도(RAR)” 현업제공(‘16)
- 동북아시아 레이더- 위성 융합 강수량 산출 기술 개발 및 개선(‘14~’16)
다. 투자현황
(단위: 백만원) |
||||||
내역사업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이중편파레이더 자료처리기술 개발 |
4,033 |
393 |
400 |
1,620 |
1,620 |
- |
※ 내역사업 통합 : “예보지원을 위한 이중편파레이더 활용기술 개발”, “범부처레이더 융합 활용기술 개발” ⇒ “이중편파레이더 자료처리 기술 개발”(‘19년~)
라. 2019년 추진 연구과제 목록
(단위: 백만원) |
||||||
과제 번호 |
연구과제명 |
연구비 |
연구기간 |
수행부서 |
중복성 검토 |
용역필요성 및 직접수행과의 차별성 |
1 |
레이더자료 품질관리 및 대기수상체분류 기술 개발 |
400 |
‘18.1.~’18.12. (12개월) |
레이더분석과 (정성화 연구관)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
2 |
레이더강수실황예측 및 바람장 산출 기술 개발 |
350 |
‘18.1.~’18.12. (12개월) |
레이더분석과 (정성화 연구관)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
3 |
범부처 레이더 합성 기술 개발 |
870 |
‘18.1.~’18.12. (12개월) |
레이더분석과 (정성화 연구관)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
마. 과제담당관 및 참여연구원 현황
연구과제명 |
소속기관 및 부서 |
참여연구원 수 |
이중편파레이더 자료처리기술 개발 |
기상레이더센터 레이더분석과 |
7 |
- 198 -
바. 연구과제별 추진계획
1 |
레이더자료 품질관리 및 대기수상체분류 기술 개발 |
레이더분석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레이더자료 품질향상, 대기수상체분류 기법 고도화 및 밝은띠 탐지를 통한 고품질 레이더 자료의 산출 기술 개발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레이더 사이트별 자료처리 최적화기술 개발(‘13~’17)
- 사이트별 퍼지품질관리 알고리즘 계절별 최적화 및 검증(‘13~’14)
- 이중편파레이더 강수‧비강수에코 정보 산출기술 개발 및 제공(‘15~‘17)
※ 대상 : 백령도, 비슬산, 소백산(‘15), 진도, 면봉산, 서대산, 모후산(’16), 관악산, 구덕산, 가리산(‘17)
- 이중편파레이더자료 품질정보 산출기술 개발(‘16~’17)
※ 품질정보 요소(5종) : 감쇠, 빔차폐, 퍼지, 시선속도, 반사도
※ 대상 : 기상청 9소, 국토부 5소(‘16), 관악산, 구덕산, 가리산(’17)
- 레이더 실시간영상(PPI0) 및 원거리(480km) 품질관리 기술개발 및 제공(‘17)
- 이중편파레이더 품질관리 기술 및 이중편파변수 품질정보 산출기술(‘18)
○ 한국 강우특성을 고려한 눈‧비분류 기술 개발(‘13~’17)
- NCAR 기술기반 눈‧비분류(14단계) 기술 개발(‘13) 및 현업 제공(’14)
- NSSL 기술기반 이중편파레이더 눈‧비분류 기술 개발(‘15)
- 한국형 눈‧비분류(7종) 기반기술 개발 및 현업 제공(‘16~’18)
※ 대상 : 백령도, 비슬산, 소백산, 진도, 면봉산, 서대산, 모후산, 구덕산, 용인(‘16),
관악산, 구덕산, 가리산(‘17), 광덕산, 고산(’18)
- 이중편파레이더 대기수상체분류 합성장 현업제공(’18)
○ 이중편파변수를 이용한 밝은띠 탐지기술 개발(‘16~’17)
- 이중편파변수의 밝은띠 특성분석(‘16) 및 밝은띠 탐지기술 개발(’17)
- 밝은띠 영역의 이중편파변수 품질정보 산출(’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 레이더 사이트별 관측자료 품질정보(5종) 현업제공(예보국, 전부서, ‘16)
- 대기수상체(7종) 현업 운영 (예보관, 전부서, ‘16)
- 비기상에코가 제거된 원거리(480km) 레이더 영상제공(예보국, 전부서, ‘17)
- 범부처 신규레이더(가리산) 대기수상체 개별영상 현업제공(예보국, 전부서, ‘18)
- 대기수상체 합성영상제공(‘18), 상세 합성영상 제공(예보국, 전부서, ‘18)
- 범부처 신규레이더(성산, 오성산, 예천, 원주) 품질관리 적용(예보국, 전부서, ‘18)
- 199 -
○ 예보기여도 : 품질관리 된 레이더자료 제공을 통한 위험기상 감시 정확도 향상 및 대기수상체 정보 제공을 통한 봄·가을철, 겨울철 강설영역 등 분석 정확도 향상 기여
활용분야 |
활용내용 |
예보 |
◦[초·단예보] 위험기상 실시간 감시를 위한 비기상에코(채프, 파랑 등)가 제거된 레이더 자료 활용, 강설영역 등 분석을 위한 대기수상체 분류 정보 활용(‘16~’18) |
예보 지원 |
◦[기상관측] 품질관리 된 이중편파레이더 자료 감시, 대기수상체분류 정보 실시간 감시(‘16~’18)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레이더 사이트별 자료처리 최적화기술 개발
- 이중편파레이더 합성기반 보정오차 산출기술 개발
- 신규 이중편파레이더(강릉) 품질관리 기술 적용 및 제공
○ 한국 강우특성을 고려한 대기수상체분류 기술 개발
- 레이더 보정오차를 반영한 대기수상체 분류 기술 고도화
- 신규도입 이중편파레이더(강릉) 대기수상체 분류 결과 현업제공
○ 이중편파변수를 이용한 밝은띠 탐지기술 개발
- 섹터별 상세분석을 통한 이중편파레이더 밝은띠 탐지기술 개발
- 이중편파레이더 기반 융해층 고도 및 특성정보 제공
<연구비산정 기준>
- 과제규모 : 총 400백만원
- 연구인력 : 21인(연구원 6인 포함)
- 시설장비 구축 : 없음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신규 레이더(강릉) 품질관리 및 대기수상체 분류 결과 제공(예보국, 전부서)
- 활용계획 : ‘레이더분석시스템’, ‘종합기상정보시스템’ 제공(’19년)으로 즉시 활용
○ 이중편파레이더 기반 융해층 고도 탐지(예보국, 전부서)
- 활용계획 : ‘레이더분석시스템’ 제공(’19년)으로 즉시 활용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연구과제 시작 |
중간평가 |
최종평가 |
사업비 정산 |
보고서 작성 |
|||
400 |
1월 |
7월 |
12월 |
12월 |
12월 |
1월~12월 |
- 200 -
(7) 기타
○「2017년 R&D성과평가(중간평가)」결과
- 관련: 「국가연구개발사업 등의 성과평가 및 성과관리에 관한 법률」제7조 및 제8조
- 평가기간: ‘14~’16년(3년)
- 평가방법: “소액사업”으로 기상청 자체평가위원회를 통한 자체평가 실시
(※ “소액사업”: 최근3년간 연평균 예산 30억원 이하 사업)
- 평가결과: “보통”등급(총점 79.6점)
(※ “소액사업”의 경우 80점 이상 “우수” 등급만으로 한정)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13∼’20년
(2) 총 연구과제비: ‘19년까지 기 투자액 2,815 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레이더자료 품질관리 및 대기수상체분류 기술 개발 |
1,593 |
393 |
400 |
400 |
400 |
- |
- 201 -
2 |
레이더강수실황예측 및 바람장 산출 기술 개발 |
레이더분석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목표) 이중편파레이더 예보지원을 위한 강수 추정 및 예측, 바람장 산출 기술 확보
○ (필요성) 고품질의 이중편파레이더 기반 강수 추정 및 예측, 바람장 정보 제공을 통해 위험기상 현상에 대한 특보 및 초단기 예보 업무 정확도 향상
○ (국외동향) 이중편파레이더 기반 강수 추정 기술은 성숙기에 접어들었으며, 강수예측 및 바람장 산출 기술은 위험기상의 진단 및 예보 업무 활용을 위해 개발 및 개선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13~‘18년까지)
○ 예보지원용 이중편파 강수량 추정기술 개발‧평가‧검증(‘13~’18)
- NCAR 기술기반 이중편파레이더 강수량 추정 기술 개발(‘13)
- 2DVD를 이용한 이중편파레이더 강수량 추정값 산출식 개발 및 개선(‘14~’17)
- 이중편파레이더 강수량 추정값 산출 및 정확도 검증‧분석(‘15~’18)
- 이중편파레이더 비차등위상차 기반 강수량 추정값 산출기술 개발(’17~‘18)
○ 이중편파레이더 강수량 예측 현업활용기술 개발(‘16~’18)
- 한국형 레이더강수실황예측모델 개발 로드맵 설계(‘16)
- 한국형 레이더강수실황예측모델 이류벡터 산출기술 개발(’17~‘18)
○ 3차원 다중레이더 바람장 산출 기반기술 개발(‘16~’18)
- 3차원 다중레이더 바람장 산출기술 개발 로드맵 설계(‘16)
- 변분법 기반 다중레이더 바람장산출 기술(WISSDOM) 개발(‘17~’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 다중고도각 기반 레이더 강우량 추정 현업제공(예보국, 전부서, ‘17)
- 다중고도각 기반 레이더 강우량 추정 합성장 현업제공(예보국, 전부서, ‘18)
- 초단시간 레이더강수량 예측자료 단일화 제공(예보국, 전부서, `18)
○ 예보기여도 : 레이더기반 위험기상 실황 감시 및 예측을 통한 예보 정확도 향상 기여
활용분야 |
활용내용 |
예보 |
◦[초단기예보] 레이더강수실황모델 개선을 통한 초단기 예측 성능 향상(`18) |
예보 지원 |
◦[기상관측] 레이더실황예측을 통한 위험기상 실시간 감시(‘18) |
- 202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예보지원용 이중편파레이더 강수량 추정기술 개발‧평가‧검증
- 강수유형별 이중편파레이더 강수량 추정 복합 관계식 적용 및 검증
○ WISSDOM 기반 다중레이더 고해상도 바람장 개선기술 개발
- 지상 및 고층관측 기반 WISSDOM 배경바람장 산출기술 개발
- WISSDOM 기반 범부처 레이더를 활용한 저층 바람장 정확도 개선
○ 이중편파레이더 강수량예측 현업활용기술 개발
- 다중 초기장을 활용한 레이더 강수 기반 앙상블 강수실황예측모델 개발
- 한국 뇌우 특성 기반 뇌우 감시추적 알고리즘 비교 평가
<연구비산정 기준>
- 과제규모 : 총 350백만원
•(자체연구) : 50백만원
•(연구용역) : 300백만원
- 연구인력 : 16인(연구원 1인 포함)
- 시설장비 구축 : 없음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강수실황예측 및 뇌우 감시‧추적 기술(예보국, 전부서)
- 활용계획 : ‘레이더분석시스템’, ‘종합기상정보시스템’ 제공(’19년)으로 즉시 활용
○ 변분법 기반의 다중레이더 합성 바람장 산출 기술(예보국, 항공기상청)
- 활용계획 : ‘레이더분석시스템’, ‘종합기상정보시스템’ 제공(’19년)으로 즉시 활용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
중간성과 점검 |
최종성과 점검 |
사업비정산 |
보고서작성 |
|||
350 |
1월 |
6월 |
11월 |
12월 |
12월 |
1월~12월 |
(7) 기타
○「2017년 R&D성과평가(중간평가)」결과
- 관련: 「국가연구개발사업 등의 성과평가 및 성과관리에 관한 법률」제7조 및 제8조
- 평가기간: ‘14~’16년(3년)
- 평가방법: “소액사업”으로 기상청 자체평가위원회를 통한 자체평가 실시
(※ “소액사업”: 최근3년간 연평균 예산 30억원 이하 사업)
- 평가결과: “보통”등급(총점 79.6점)
(※ “소액사업”의 경우 80점 이상 “우수” 등급만으로 한정)
- 203 -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13~’20년
(2) 총 연구과제비: ‘19년까지 기 투자액 2,900 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레이더강수실황예측 및 바람장 산출기술 개발 |
1,400 |
350 |
350 |
350 |
350 |
- 204 -
3 |
범부처 레이더 합성 기술 개발 |
레이더분석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범부처 이중편파레이더의 활용성 증대를 위해서 품질분석, 강수량추정기술 개발 필요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이중편파레이더 원시신호(I/Q) 자료 분석(‘14) 및 모멘트 변환기술 개발(’15)
- 레이더 원시신호(I/Q) 기반 시선속도 및 차등위상차 접힘풀기 기술 개발(‘16)
- 용인테스트베드레이더 및 진천레이더비교관측자료를 이용한 집중관측(‘14~’18)
- 이중편파레이더 관측변수 감시 및 분석기술 개발(‘17~‘18)
- 이중편파변수간 자기일치성 및 2DVD를 이용한 이중편파레이더 관측오차 분석(‘17~‘18)
○ 범부처 확대적용을 위한 이중편파레이더 강수량 추정값 산출 및 합성기술 개발
- 다중고도각 기반 레이더 강수량 추정값 산출기술 개발(‘14~’16) 및 현업제공(‘17~’18)
※ 분석대상 : 비슬산, 백령도, 강릉(‘14), 구덕산, 고산, 성산, 모후산, 용인(’15), 진도, 면봉산, 서대산(‘16)
- 다중고도각 기반 레이더 강수량 추정값 산출기술의 범부처 기술이전(‘15~’18)
※ 이전기관/이전기술 건수 : 국방부, 국토교통부/ 총 10건
- 이중편파레이더 부분 빔차폐 보정기술 개발 및 개선(‘14~’17)
- 강수시스템 연직구조 분석을 위한 준연직프로파일(QVP) 기술 개발(‘15~’17) 및 현업제공(‘18)
- 품질지수를 이용한 이중편파변수 3차원 합성 기술 개발(‘17~’18)
○ 레이더기반 격자 강수량 산출 기술 개발
- “레이더- AWS 강우강도(RAR)” 재생산(‘14~’15) 및 영향예보 지원(‘16)
※ 재생산 기간 : ‘06.1.1~’‘15.12.31(10년치)
- 국지우량계보정기법을 적용한 “레이더- AWS 강우강도(RAR)” 현업제공(‘16)
- 동북아시아 레이더- 위성 융합 강수량 산출 기술 개발 및 개선(‘14~’16)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 국지우량계보정기법을 적용한 “레이더- AWS 강우강도(RAR)” 현업제공(예보국, 전부서, ‘16)
- 다중고도각 기반 레이더 강우량 추정 기술의 범부처 기술이전(환경부, 국방부, ‘16~’18)
○ 예보기여도 : 레이더기반 정량 강수정보 제공을 통한 호우예보 업무 지원 및 범부처 레이더 강우량 추정 기술의 이전을 통한 유관기관 예보(홍수예보, 군작전 기상지원)업무 기술 향상 지원
활용분야 |
활용내용 |
예보 |
◦[초·단·중기예보] 국지우량계보정기법을 적용한 “레이더- AWS 강우강도(RAR)” 현업제공(‘16) |
예보 지원 |
◦[기상관측] 범부처 레이더 강우량 추정 기술 이전(‘16~’18) |
- 205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레이더 원시자료 활용기반기술 개발
- 범부처 활용을 위한 한국형 우적크기분포 모델 개발
- 2DVD 기반 한국형 강우관계식 산출 및 분석
○ 범부처 확대적용을 위한 이중편파레이더 합성 산출물 생성기술 개발
- 범부처 이중편파레이더 강수량 합성장 산출 현업기술 개선 및 평가
- 레이더 기반 격자강수량 개선 및 제공
○ 범부처 레이더 통합 활용기술 개발
- 범부처 레이더자료 표준 체계 확대 및 개선
- 범부처 이중편파레이더 합성장 기반 태풍 중심 추적 프로그램 개선
<연구비산정 기준>
- 과제규모 : 총 870백만원
•(자체연구) : 470백만원
•(연구용역) : 400백만원
- 연구인력 : 22인(연구원 7인 포함)
- 시설장비 구축 : 없음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범부처 이중편파레이더 강수량 합성장 산출 개선 및 제공(예보국, 전부서, ‘19)
- 활용계획 : ‘레이더분석시스템’, ‘종합기상정보시스템’ 제공(’19년)으로 즉시 활용
○ 레이더 기반 격자강수량 개선 및 제공(예보국, 전부서, ‘19)
- 활용계획 : ‘레이더분석시스템’, ‘종합기상정보시스템’ 제공(’19년)으로 즉시 활용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
연구과제 시작 |
연구개발 주요내용 |
최종성과물 점검 |
추진실적서제출 |
|||
870 |
‘19.12월 |
1월 |
6월 |
11월 |
12월 |
1월~12월 |
(7) 기타
○「2017년 R&D성과평가(중간평가)」결과
- 관련: 「국가연구개발사업 등의 성과평가 및 성과관리에 관한 법률」제7조 및 제8조
- 평가기간: ‘14~’16년(3년)
- 평가방법: “소액사업”으로 기상청 자체평가위원회를 통한 자체평가 실시
(※ “소액사업”: 최근3년간 연평균 예산 30억원 이하 사업)
- 평가결과: “보통”등급(총점 79.6점)
(※ “소액사업”의 경우 80점 이상 “우수” 등급만으로 한정)
- 206 -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14~’20년
(2) 총 연구과제비: ‘19년까지 기 투자액 5,380 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범부처 레이더 합성기술 개발 |
3,480 |
870 |
870 |
870 |
870 |
- |
- 207 -
2. 연구용레이더 신기술 선행연구 및 현업활용 기술 개발
가. 목적
○ 광역 기상레이더로 탐지가 어려운 저층관측 공백지역에 대한 국지규모 위험기상 조기탐지·관측·활용기술 개발을 통해 위험기상 감시 체계 강화
나.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
○ 연구용 소형기상레이더 관측망 구축
- 연구용 소형기상레이더 관측망 구축(‘17) 및 수도권 이전설치(’18)
○ 연구용 레이더 운영기술 개발
- 연구용레이더 운영, 남서해안 위험기상 관측 및 분석(‘16)
- 평창동계올림픽 지원을 위한 연구용 소형기상레이더 시험운영(‘17) 및 기상지원(’18)
○ 차세대 레이더 신기술 선행연구(‘16)
- 레이더 반사도 기반 강설강도 산출 및 활용기술 개발(‘16)
- 연구용 소형기상레이더 자료분석 및 활용기술 선행연구(‘16)
다. 투자현황
(단위: 백만원) |
||||||
내역사업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연구용 레이더 신기술 선행연구 및 현업지원 기술 개발 |
6,001 |
1,279 |
1,826 |
1,848 |
1,048 |
- |
라. 2019년 추진 연구과제 목록
(단위: 백만원) |
|||||||||||||
과제 번호 |
연구과제명 |
연구비 |
연구기간 |
수행부서 |
중복성 검토 |
용역필요성 및 직접수행과의 차별성 |
|||||||
4 |
연구용레이더 신기술 선행연구 및 현업활용 기술 개발 |
1,848 |
‘19.1.~’19.12. (12개월) |
레이더분석과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
※ 과제연구비: 관련용역비를 포함한 예산액으로 작성
※ 과제담당관: 연구개발과제와 관련된 부서의 연구관(사무관) 이상
마. 과제담당관 및 참여연구원 현황
연구과제명 |
소속기관 및 부서 |
참여연구원 수 |
연구용레이더 신기술 선행연구 및 현업활용 기술 개발 |
기상레이더센터 |
19 |
- 208 -
바. 연구과제별 추진계획
4 |
연구용소형기상레이더 관측망 구축 및 운영기술 개발 |
레이더분석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목표) 연구용 소형기상레이더를 활용한 위험기상 감시 및 현업활용 기술 개발
○ (필요성) 광역레이더로 탐지가 어려운 국지규모의 위험기상 현상의 강도/빈도 증가 및 피해규모 대형화 추세로 인해 위험기상 조기탐지·관측·활용기술 개발 필요
○ (국외현황) 도시 돌발홍수 대응 및 실황예측 능력 향상, 저층 감시강화를 위한 소형레이더관측망 구축·운영(미국CASA, 일본X- NET 등)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연구용 소형기상레이더 관측망 구축
- 연구용 소형기상레이더 관측망 구축(‘17) 및 수도권 이전설치(’18)
○ 연구용 레이더 운영기술 개발
- 연구용레이더 운영, 남서해안 위험기상 관측 및 분석(‘16)
- 평창동계올림픽 지원을 위한 연구용 소형기상레이더 시험운영(‘17) 및 기상지원(’18)
○ 차세대 레이더 신기술 선행연구(‘16)
- 레이더 반사도 기반 강설강도 산출 및 활용기술 개발(‘16)
- 연구용 소형기상레이더 자료분석 및 활용기술 선행연구(‘16)
- 연구용 소형기상레이더 관측자료 특성 분석(‘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 연구용소형기상레이더(황병산)를 활용한 평창동계올림픽 기상지원(예보국, ‘17~’18)
○ 예보기여도 : 연구용소형기상레이더(황병산)의 상세격자 기상정보 산출 및 제공을 통한 평창동계올림픽 기상지원
활용분야 |
활용내용 |
예보 |
◦[초·단·중기예보] 연구용소형기상레이더(황병산)을 활용한 평창동계올림픽 기상지원(‘17~’18)) |
예보 지원 |
◦[기상관측] 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적 개최 지원을 위한 경기장 및 주변지역에 대한 상세 기상정보 제공(‘17~’18)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연구용 소형기상레이더 관측망 구축 및 운영(‘19년 계속)
- 연구용 소형기상레이더(3소) 관측망 기반 저층 관측공백 감시기술 개발
- 연구용 소형기상레이더 반사도 및 차등반사도 오차보정기술 개발
- 연구용 소형기상레이더(3소) 임차료
○ 연구용 소형기상레이더 분석기술 개발(‘19년 계속)
- 소형기상레이더 이중편파변수를 활용한 품질관리 기술개발
- 소형기상레이더 대기수상체분류 기술 개발 및 제공
- 소형기상레이더 시선속도자료를 활용한 고해상도 3차원 바람장 산출기술 개발
- 209 -
<연구비산정 기준>
- 과제규모 : 총 1,848백만원
•(자체연구) : 248백만원
•(임차료) : 1,600백만원
- 연구인력 : 19인
- 시설장비 구축 : 없음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소형기상레이더 대기수상체분류 기술 개발 및 제공(예보국, 수도권청, 전부서, ‘19)
- 활용계획 : ‘레이더분석시스템’, ‘종합기상정보시스템’ 제공(‘19년)으로 즉시 활용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연구과제 시작 |
중간평가 |
최종평가 |
사업비 정산 |
보고서 작성 |
|||
1,848 |
1월 |
7월 |
12월 |
12월 |
12월 |
1월~12월 |
(7) 기타
○「2017년 R&D성과평가(중간평가)」결과
- 관련: 「국가연구개발사업 등의 성과평가 및 성과관리에 관한 법률」제7조 및 제8조
- 평가기간: ‘14~’16년(3년)
- 평가방법: “소액사업”으로 기상청 자체평가위원회를 통한 자체평가 실시
(※ “소액사업”: 최근3년간 연평균 예산 30억원 이하 사업)
- 평가결과: “보통”등급(총점 79.6점)
(※ “소액사업”의 경우 80점 이상 “우수” 등급만으로 한정)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16~’20년
(2) 총 연구과제비: ‘19년까지 기 투자액 5,435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연구용 레이더 신기술 선행연구 및 현업지원 기술 개발 |
6,001 |
1,279 |
1,826 |
1,848 |
1,048 |
- |
- 210 -
5 |
기상위성자료 현업지원기술개발 |
[ 국가기상위성센터 위성기획과 ]
사업 개요
구분 |
내용 |
총사업기간 |
‘16년 ~ ’19년 ( 4년) |
총사업비 |
21,366백만원 |
지원근거 |
기상법 제8조(기상위성관측망 운영 등), 기상법 제14조(우주공간의 무리적 현상이 기상현상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예보 및 특보), 기상법시행령 제5조(기상위성 관측망의 구축‧운영), 우주개발시행계획(과학기술정보통신부, ’18. 2.) |
지원형태 |
직접수행(전액국고) |
시행주체 |
기상청(국가기상위성센터) |
정책 연계성
○ 기상업무발전 기본계획(‘17~’21) :
핵심 기상관측망 구축 및 기상장비 관리 강화(2- 2)
의사결정 지원 공공 기상서비스 확대(2- 2)
기후변화 대응 정책 지원 및 협력 확대(4- 1)
신기술 및 융합 R&D를 통한 기상업무 선진화(5- 1)
○ 기상R&D 중장기 추진전략 핵심기술명:
정지 및 저궤도 기상위성 핵심기술 개발(1- 2)
위성기반 전지구 관측자료 통합 활용기술 고도화(1- 3)
○ 기타 법정계획 등
기상법 제8조(기상위성관측망 운영 등)
기상법 제14조(우주공간의 물리적 현상이 기상현상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예보 및 특보)
기상법시행령 제5조(기상위성 관측망의 구축·운영)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과학기술정보통신부, ’18. 2.)
국정과제[55] : 안전사고 예방 및 재난 안전관리의 국가책임체제 구축
- 211 -
사업 최종목표
○ 국내・외 최신 위성자료를 이용한 기후‧에너지‧해양 등 다분야 활용기술을 개발하고, 태풍, 안개, 황사, 가뭄 등 위험기상에 대한 분석 및 활용 기술을 개발
○ 위성자료를 이용한 전 지구 환경변화 감시기술, 예보분석기술, 수치예보 활용기술, 위험기상 대응 등 현업활용 기술을 개발하고 재해분야의 활용 기반을 구축
그동안 성과
○ 위성자료 서비스 지원체계 기반구축
강수/온습도의 지상관측자료와 합성/검증 기능 개발 및 3차원 연직분포 표출(′16)
일본 히마와리- 8 위성 영상처리 및 표출(′17)
전지구 위성자료 상호 검정(GSICS) 및 저궤도 위성 직수신 처리(DBNet) 모니터링 웹표출 체계 개선(′17)
파일기반 조회 기능개발 및 전 위성자료에 대한 적용방안 도출(′17)
지상 GNSS 기반 수치예보분야 자료서비스 강화 및 대국민 서비스 제공(′17)
기존 위성자료와 천리안- 2A 위성자료의 연계 활용 기반 마련 (′18)
WMO 협업 연구결과 웹페이지 표출 구현으로 국제협력체계 강화 (′18)
위성자료 송수신 모니터링 기능 구현으로 자료서비스 업무 효율화 (′18)
○ 위성운영 및 활용기술 개발 협력연구기관 운영
천리안 위성자료 품질지표 장단기 분석 및 표출 체계 개발 (′16년)
천리안 재처리 체계 및 운영절차 개발 (′16년)
기상위성 활용 설문조사, 중점분야 및 개발 전략 도출(′16년)
저궤도 기상위성 예비타당성 대비 최종 기획보고서(′16)
저궤도기상위성 183GHz 소형 마이크로파 탐측기 지상모델 개념설계(′16년)
저궤도기상위성 183GHz 소형 마이크로파 탐측기 지상모델 제작(′17년)
천리안 위성자료 품질검증 및 이상 분석 체계 개발 (′17년)
천리안 과거 품질이상 사례 분석 및 재처리 수행(′17년)
기상위성 활용 기술 공유방안 및 로드맵 작성(′17년)
- 212 -
천리안 위성자료 품질검증 체계 및 이상 분석 체계 개발 (′17년)
천리안 과거 품질이상 사례 분석 및 재처리 수행(′17년)
기상위성 활용 고도화를 위한 정책연구(′17년)
대기파동 전파 수치모의를 위한 레이추적 모델 개발(‘17~’18)
우주기상 예・특보 통보 시스템 등 정보 서비스 시스템 개선(‘17~’18)
지자기 교란 예측용 인공 신경망 모델 개발(‘18)
○ 기상위성자료 영상품질 유지 및 관리기술 개발
천리안 ‧위성 영상품질 분석 및 보고서 발간(′16~′18)
위성자료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사전 기술 조사(′16)
기상위성 자료 관리지침 수립(저장, 백업, 파일명 규칙 등)(′17)
천리안 기상위성 영상품질 개선방안 도출(′17~′18)
천리안 기상위성 궤도 이동에 따른 영상품질 분석 (′18)
신규 수치모델 지원 위성자료 품질 검증 및 제공(′18)
※ 대상 : 유럽 Metop- A/B 초분광센서(IASI), 미국 DMSP SSMIS 등
○ 위성자료 예보분석기술 개발
마이크로파 위성자료를 활용한 강수 및 기온의 연직분포 분석체계 구축(′16)
저궤도위성기반 황사탐지 기술 이전(′16)
위성과 수치예측 가강수량 합성기법 개발(′16)
다중 위성기반 황사탐지 합성기술 개발(′17)
지상 GNSS 자료를 이용한 합성 가강수량 산출 기술 개발(′17)
기계학습을 이용한 히마와리 전운량 산출기술 개발(′17)
영향예보지원을 위한 대류셀 탐지/추적기술 개선 및 현업화(′17)
다양한 RGB 영상 생산 및 보정기술 개발(′18)
다채널 및 다중위성기반 황사탐지 기술 개발(′18)
저궤도 위성기반 대류성 강수구름 다채널 관측 특성 분석(′18)
MAPLE기반 초단기외삽예측(적위, 수증기 등) 현업화(′18)
○ 전 지구 환경변화 감시기술 및 강수관측 활용기술 개발
GPM 위성강수 산출 시스템 구축 및 자료 생산(′16)
육상에서의 강수/비강수 구분 및 강수유형 분류기술 개발(′16)
- 213 -
객관적 태풍분석기술(ADT) 최신버전(Ver. 8.2.1) 현업화(′16)
GPM 위성 겨울 강설 산출기술 개선 및 시험운영(′17)
다중저궤도 마이크로파 강수자료를 이용한 정지궤도 위성강수 산출기술 개발(′17)
북극환경정보 가시화시스템의 대내 시범운영(′17)
마이크로파 센서를 이용한 북극해빙 연령별 면적분포 산출기술 개발(′17)
주관적 태풍분석기술(SDT) 결과의 정확도 검증(′17)
태풍 예보지원 분석기술 현업화(′18)
GPM위성기반 해안선 강수 유무 기술 개선(′18)
한반도환경에 적합한 강수미세물리를 반영한 위성마이크로파 영상기용 (AMSR2, SSMIS) 육상 강수 산출 사전DB 구축(′18)
위성마이크로파 고주파 채널을 이용한 저해상도 채널 해상도 개선(′18)
인공지증기술을 활용한 태풍정보 산출 기반기술 개발(′18)
○ 위성자료 기후 및 융합기술 개발
증발산량 산출기술 개선, 토양수분 시공간특성 및 가뭄과의 상관성분석(′16)
위성기반 토양수분 산출기술 개선(′17)
증발산량, 토양수분을 이용한 가뭄과의 상관성분석 및 가뭄판단지수 개발(′17)
천리안위성 기반 2차 핵심기후변수(알베도, 구름, 강수) 산출기술 개발(′16)
천리안위성 기반 2차 핵심기후변수 1종(적설) 산출기술 추가 개발(′17)
해양기상정보(해상풍, 유의파고, 해수면고도 등) 통합표출체계 시험운영(′16) 및 현업화(′17)
위성기반 증발산량, 토양수분 등을 활용한 가뭄판단지수 기술 개발(′18)
마이크로파 위성기반 토양수분 자료 활용 및 전처리 기법 연구(′18)
위성기반 플럭스 정보 활용 확대(′18)
○ 위성자료 수치예보 활용지원 기술 개발
위성자료 수치지원자료분석시스템 개선 및 GNSS- RO 원시자료 처리기술 연구(′16)
천리안위성 대기운동벡터 및 청천복사휘도 품질 개선 현업화(′16)
저궤도 고분해 스펙트럼 적외탐측기 관측연산자 개발 및 최적채널 선정기술 개발(′16)
마이크로파 위성자료의 전처리(지면방출률, 편향보정, 구름탐지) 기술 개선(′16)
- 214 -
중국 정지궤도위성 FY- 4A의 초분광 적외탐측기 GIIRS의 관측연산자 개발(′17)
중국 저궤도위성 마이크로파 탐측기의 오차보정 및 모의복사량 생산 기술 개발(′17)
기하광학 기반 GNSS- RO 원시자료 신호 전처리 모듈 개발(′17)
고해상도 적설탐지 알고리즘 개발 및 평창동계올림픽 기상업무 지원(′18)
저궤도위성 마이크로파 자료의 수치모델 전처리 개선 및 적용 기술 개발(′18)
위성자료 수치예보 활용을 위한 상세 기술 조사(′18)
정지궤도 위성 간 스테레오 관측 기반 운정고도 산출 기술 개발(′18)
○ 국가 우주기상 공동활용기술 개발
지자기교란 지수 비교 및 실시간 추정 연구(‘16~’17)
비행고도 상에서의 우주방사선 관측 및 모델 비교 연구(‘18)
천리안위성 2A호 우주기상 탑재체 산출물 활용 연구(‘17~’18)
기상위성분야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16~′18)
기상위성정보의 기상예보 등 기상업무 분야별 활용기여도 분석(′17)
기상위성정보의 사용자 만족도 조사(′17~′18)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구분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ㅇ 기상위성자료 현업지원기술개발 |
4,883 |
4,849 |
4,875 |
- |
- |
내·외부 지적사항
○ 위성자료의 수치모델 활용기술 개발 추진 체계 개선 필요(감사원 감사, ‘17)
위성자료가 수치모델 정확도 향상에 기여하므로 계획 단계부터 수치모델링 센터와의 협력 강화 및 연구개발 계획과 추진 체계 개선 필요
○ 2019년 주요업무보고
위성에서 가강수량 정보 등을 제공하여 정량적인 예측 가능하도록 노력
GK2A호 위성자료 수치예보 조기지원(‘19년 10월 이전)
- 215 -
2018년도 추진 실적
1. 2018년도 대표 성과
○ 마이크로파위성기반 강설/강수 구분 및 위성강설 산출 |
||||||
- 지상레이더와 정성적 비교결과, NASA 산출물에 비해 해양에서 강설탐지가 우수 (POD: NMSC/NASA → 0.57/0.29) |
<GPM 위성강설 및 강우 산출 결과(좌) 및 지상 레이더 강수 관측 영상(우)> |
|||||
○ 마이크로파위성기반 해안선 강수/비강수 유무 개선 |
||||||
- 해안선 강수/비강수 구분식 도출에 따른 산출 개선 - 해안선과 육상 강수·비강수 구분식을 접목하여 오탐지 개선 (오탐지율 0.52 → 0.18) |
<GPM 해안선 강수/비강수 구분 개선> |
|||||
○ 예보지원 위성산출물(안개, 황사) 분석기술 개발 및 현업화 |
||||||
- Blue 채널변경을 통한 약한 황사와 하층운 구분 개선 및 히마와리 황사 RGB 합성영상 현업화 - 해상지수를 이용한 히마와리- 8 위성 황사지수(D*- parameter) 산출 및 육·해상 황사탐지 불연속 완화
|
||||||
○ 고해상도 (2km)적설탐지 알고리즘 개발 및 평창동계올림픽 기상업무 지원 |
||||||
- 적설탐지 동아시아/남한/강원도영상 ICE- POP 홈페이지 표출 |
|
|||||
○ 다중 정지궤도 위성관측을 통한 운정고도 산출 원형 알고리즘 개발 |
||||||
- 두 위성 간 시차를 이용한 구름의 높이 계산 알고리즘 개발 - 향후 천리안위성 2A호 운영 시 히마와리- 8호 위성이나 FY- 4A 위성의 동시 관측 자료를 이용해 운정고도 산출에 활용 가능 |
|
|||||
○ 저궤도위성 마이크로파 자료의 수치모델 전처리 개선 기술 개발 |
||||||
- 마이크로파 위성자료의 수치모델 전처리 개선을 위해 지면방출률 및 구름탐지 방법 등을 개선하여 수치예보모델 적용 실험 수행 |
|
|||||
○ 기상위성자료 서비스 지원체계 기반 구축 |
||||||
기존 위성자료와 천리안- 2A 위성자료의 연계 활용 기반 마련
|
||||||
○ 기상위성자료 영상품질유지 및 관리기술 개발 |
||||||
천리안 기상영상 복사 보정 및 영상위치보정 품질 분석 및 개선 연구 ‧ 수치모델 자료 해상도 변화에 따른 천리안 자료처리 시스템 업그레이드 및 현업화 ‧ 천리안 위성 궤도 조정에 따른 복사 및 영상위치보정 품질 분석
신규 해외 위성자료를 수치모델에 지원하기 위한 품질 검증 및 개선 연구 ‧ 미국 저궤도 위성 DMSP SSMIS 수치모델제공 자료 품질검증(4월) ‧ 유럽 저궤도 위성 MetOp- A/B IASI(EUMETSAT 제공) 자료제공 및 품질검증(11월) |
- 216 -
2. 2018년도 실적 자체 평가
○ 2018년도 목표 및 달성정도
- 2018년도 목표 : 기상위성을 이용한 위험기상분야의 연구를 강화하고, 다양한 고품질 위성자료 서비스 실시
- 달성정도 : 위성자료를 활용한 태풍·집중호우·황사 등 위험기상현상에 대한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통하여 기술발전을 이루고, 영상품질개선, 수치예보지원, 위성자료 서비스를 개선 및 고도화하여 위험기상 현상으로 인한 기상재해 피해 경감에 기여
2019년도 추진 계획
1. 2019년도 목표
○ 천리안2A호 위성자료를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발굴하고, 위험기상현상에 대한 활용기술을 강화하여 기상재해 피해 경감
2. 2019년도 주요 추진내용
○ 위성자료 서비스 지원체계 기반구축
신규 천리안 기상위성 2A호 시스템과 기존 외국위성 자료처리 체계와의 운영 및 서비스 연동 체계 구축
수치지원용 위성자료 처리, 표출 및 검증 도구 개발
WMO 연계 연구활동 웹사이트 개선 요구사항 수렴 및 반영(지속 과제)
○ 위성운영 및 활용기술 개발 협력연구기관 운영
우주기상이 기상위성 운영에 미치는 영향 연구
우주기상과 대기의 역학적 상호작용 연구
우주기상 정보 서비스 시스템 개선
○ 기상위성자료 영상품질 유지 및 관리기술 개발
천리안 기상영상 품질 관리 및 개선
천리안위성 2A호 가시채널 검정기술 적용과 성능분석
○ 위성자료 예보분석기술 개발
AMV기반 위성 외삽예측영상 생산기술 개발 및 시험운영
위성 및 수치모델자료를 이용한 종관장 분석기술 개발
다채널 고해상도 위성자료를 이용한 초단기 예보 지원기술 개선
천리안위성 2A호 기상산출물을 이용한 위험기상 감시·경보 지원기술 개발
○ 전 지구 환경변화 감시기술 및 강수관측 활용기술 개발
- 217 -
마이크로파 위성기반 동아시아 정량강수 생산체계 구축
다채널 고해상도 위성자료를 이용한 위험기상 감시기술 개발
다채널 고해상도 위성자료를 이용한 태풍분석정보 산출 기술 고도화
○ 위성자료 기후 및 융합기술 개발
위성자료 다분야 활용확대를 위한 융합·활용 워크숍 개최
천리안위성 핵심기후변수품질 평가 및 SCOPE- CM 자료 등록 추진
북극해빙분석보고서 작성 및 발간
○ 위성자료 수치예보 활용지원 기술 개발
천리안위성 2A호 산출물의 수치예보 활용 현업화 지원기술 개발
첨단 외국위성자료에 대한 수치예보 활용성 확대를 위한 연구
○ 국가 우주기상 공동활용기술 개발
차세대 우주방사선량 추정모델 개념설계 연구
우주기상이 기상위성에 미치는 위험도 진단 연구
우주기상 탑재체 자료 현업활용 기술 개발
우주기상 자료품질보증을 위한 심층상호비교검증 시스템 구축
(1) 2018년 추진내용과의 비교
(단위: 백만원) |
||
구분 |
2018년 |
2019년 |
□ 기상위성자료 현업지원기술 개발 |
4,849 |
4,875 |
기상위성자료 관리 및 서비스 지원체계 구축 |
1,120 |
1,257 |
·기상위성자료 서비스지원체계 기반구축(701) |
·기상위성자료 서비스지원체계 기반구축(960) |
|
·위성운영 및 활용기술 개발 협력연구기관 운영(369) |
·위성운영 및 활용기술 개발 협력연구기관 운영(277) |
|
·기상위성자료 영상품질유지 및 관리기술 개발(50) |
·기상위성자료 영상품질유지 및 관리기술 개발(20) |
|
기상위성자료 현업활용체계 구축 |
3,729 |
3,618 |
·위성자료 예보분석기술 개발(466) |
·위성자료 예보분석기술 개발(493) |
|
·전 지구 환경변화 감시기술 및 강수관측활용기술 개발(1,038) |
·전 지구 환경변화 감시기술 및 강수관측활용기술 개발(1,000) |
|
·위성자료 기후 및 융합기술 개발(506) |
·위성자료 기후 및 융합기술 개발(519) |
|
·위성자료 수치예보 활용지원 기술 개발(760) |
·위성자료 수치예보 활용지원 기술 개발(1,118) |
|
·국가 우주기상 공동활용기술 개발(459) ·저궤도기상위성개발 선행연구(500) |
·국가 우주기상 공동활용기술 개발(488) |
○ 예산 증/감액 또는 전년동일 사유
인건비 증가분 증액 반영(26백만원)
- 218 -
(2) 장비 도입 계획: 해당사항 없음
(3) 2019년 예상 대표성과
○ 위성 관측과 수치모델 예측 영상과의 위상 오차 및 편차 정보 제공을 통한 객관적 예보지원
○ 기상현상별 초단기 예측 가이던스 제공하여 예보정확도 개선
○ 다채널 고해상도 위성자료를 이용한 초단기 예보 지원 개선
- 천리안위성- 2A 가시채널 대기보정을 통한 true color RGB 영상 활용
- 위험기상 전조탐지를 위한 임계값 도출 및 가이던스 개발
○ 위성마이크로파 자료를 이용한 강수 생산 체계 구축
- 마이크로파 탐측기/영상기 센서를 이용한 정량강수 자료 생산
- 고주파 채널을 이용한 저해상도 저주파 채널 해상도 개선 활용한 고해상도 강수자료 생산 기반 구축
○ 다채널 고해상도 위성자료를 이용한 태풍중심위치 산출 개선
- 지상관측자료에 의한 보정을 위해 콤파스 기법 도입 및 적용
- 태풍의 발달 정도에 따른 태풍 강도- 최저기압- 최대풍속 관계 보정 가이드라인 마련
○ 지자기 교란 예측용 인공 신경망 모델 특허 등록
○ 우주방사선 추정 모델 검증 및 활용
○ 우주기상 자료품질보증을 위한 심층상호비교검증 시스템 구축
- 우주기상 센서의 심층상호비교검증 시스템 구축 및 실시간 표출시스템 운영
- 천리안위성 2A호 궤도상실험(IOT) 지원
○ 천리안 기상위성 2A호 품질 상세 정보표출 웹페이지 기능 구현
○ 히마와리 8호 위성을 이용한 천리안위성 2A호 산출물 활용 준비
- 천리안위성 2A호 대기운동벡터, 청천복사휘도 알고리즘 최적화 및 특성 분석
○ 천리안위성 2A호 대기운동벡터, 청천복사휘도 현업 수치예보모델 활용 지원
○ 위성자료의 수치예보 활용 확대를 위한 중장기 계획 보고
○ 천리안위성 2A호를 활용한 스테레오 관측 기술 개발
- 219 -
별첨1 |
내역사업별 추진계획 |
1. 기상위성자료 자료관리 및 서비스지원체계 구축
가. 목적
○기상위성자료 서비스지원체계 기반 구축
○위성운영 및 활용기술 개발 협력연구기관 운영
○기상위성자료 영상품질유지 및 관리기술 개발
나.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
○ 강수/온습도의 지상관측자료와 합성/검증 기능 개발 및 3차원 연직분포 표출(‘16)
○ 일본 히마와리- 8 위성 영상처리 및 표출(‘17)
○ 파일기반 조회 기능개발 및 전 위성자료에 대한 적용방안 도출(‘17)
○ 지상 GNSS 기반 수치예보분야 자료서비스 강화 및 대국민 서비스 제공(‘17)
○ WMO 협업 연구결과 웹페이지 표출 구현으로 국제협력체계 강화 (‘18)
○ 기존 위성자료와 천리안- 2A 위성자료의 연계 활용 기반 마련 (‘18)
○ 우주기상 예・특보 통보 시스템 등 정보 서비스 시스템 개선(‘17~’18)
○ 지자기 교란 예측용 인공 신경망 모델 개발(‘18)
○ 천리안 ‧위성 영상품질 분석 및 보고서 발간(′16~′18)
○ 천리안 기상위성 영상품질 개선방안 도출(′17~′18)
○ 천리안 기상위성 궤도 이동에 따른 영상품질 분석 (′18)
○ 신규 수치모델 지원 위성자료 품질 검증 및 제공(′18)
- 대상 : 유럽 Metop- A/B 초분광센서(IASI), 미국 DMSP SSMIS 등
다. 투자현황
(단위: 백만원) |
||||||
내역사업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기상위성자료 자료관리 및 서비스 지원체계 구축 |
3,966 |
1,571 |
1,120 |
1,257 |
- 220 -
라. 2019년 추진 연구과제 목록
(단위: 백만원) |
||||||
과제 번호 |
연구과제명 |
연구비 |
연구기간 |
수행부서 |
중복성 검토 |
용역필요성 및 직접수행과의 차별성 |
1 |
위성자료 서비스 지원체계 기반구축 |
960 |
‘19.1.~’19.12. (12개월) |
위성운영과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2 |
위성운영 및 활용기술 개발 협력연구기관 운영 |
277 |
‘19.1.~’19.12. (12개월) |
위성기획과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3 |
기상위성자료 영상품질유지 및 관리기술 개발 |
20 |
‘19.1.~’19.12. (12개월) |
위성운영과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마. 과제담당관 및 참여연구원 현황
연구과제명 |
소속기관 및 부서 |
참여연구원 수 |
기상위성자료 서비스 지원체계 기반 구축 |
국가기상위성센터 위성운영과 |
15 |
위성운영 및 활용기술 개발 협력연구기관 운영 |
국가기상위성센터 위성기획과 |
10 |
기상위성자료 영상품질유지 및 관리기술 개발 |
국가기상위성센터 위성운영과 |
5 |
- 221 -
바. 연구과제별 추진계획
1 |
위성자료 서비스 지원체계 기반구축 |
위성운영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위성영상 웹표출 개선 소프트웨어 개발 및 자료 관리체계 개선을 통한 위성서비스 강화
○ 신규 해외 위성자료 처리 체계 운영 및 개선을 통한 대내외 서비스 확대
○ 지상 GNSS 기반 가강수량 생산 체계 개선 및 현업화를 통한 수치지원 업무 강화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강수/온습도의 지상관측자료와 합성/검증 기능 개발 및 3차원 연직분포 표출(‘16)
○ 일본 히마와리- 8 위성 영상처리 및 표출(‘17)
○ 전지구 위성자료 상호 검정(GSICS) 및 저궤도 위성 직수신 처리(DBNet) 모니터링 웹표출 체계 개선(‘17)
○ 파일기반 조회 기능개발 및 전 위성자료에 대한 적용방안 도출(‘17)
○ 지상 GNSS 기반 수치예보분야 자료서비스 강화 및 대국민 서비스 제공(‘17)
○ WMO 협업 연구결과 웹페이지 표출 구현으로 국제협력체계 강화 (‘18)
○ 기존 위성자료와 천리안- 2A 위성자료의 연계 활용 기반 마련 (‘18)
○ 위성자료 송수신 모니터링 기능 구현으로 자료서비스 업무 효율화 (′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 전 지구 위성간 상호 검보정(GSICS) 웹페이지(위성센터 홈페이지) 개선
- 외국 위성자료 처리 체계 정비 및 서버 이관
○ 예보기여도
활용분야 |
활용내용 |
예보 |
◦(초·단·중기) - 신규 저궤도 위성자료 수치모델 지원을 통한 모델 정확도 향상에 기여 - 지상 GNSS 처리체계 업그레이드를 통한 고품질 총지연량, 가강수량 수치 제공 |
예보 지원 |
◦(자료제공) - 종합기상정보시스템, 선진예보분석시스템을 위한 자료 제공체계 개선 및 안정화 |
◦(위성활용기술 개발) - 위성활용 알고리즘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기상산출물 웹컨텐츠 표출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신규 천리안 기상위성 2A호 시스템과 기존 외국위성 자료처리 체계와의 운영 및 서비스 연동 체계 구축
- 기존 외국위성 자료 수집, 처리 시스템 기능을 신규 시스템으로 통합
- 외국위성 자료 운영 및 서비스 연동 체계 구현
- 222 -
○ 수치지원용 위성자료 처리, 표출 및 검증 도구 개발
- 수치모델에 적합한 형태의 위성자료 생산 기술 및 정확성 검증 SW 개발
○ WMO 연계 연구활동 웹사이트 개선 요구사항 수렴 및 반영(지속 과제)
※ 전지구상호검정(GSICS), 직수신 수신자료 모니터링 등
<연구비산정 기준>
구분 |
금액(백만원) |
비율 |
비고 |
인건비 |
110.0 |
75% |
- 특급 1인(8.45백만/월) * 8개월 * 50% - 고급 3인(6.35백만/월) * 8개월 * 50% |
경비 |
26.9 |
15% |
|
일반관리비 |
15.1 |
10% |
|
계 |
152.0 |
100% |
※ (계약예규) 예정가격작성기준 참조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신규 천리안 기상위성 2A호와 외국위성의 웹서비스에 따른 예보관 활용(`19~)
○ 수지치원용 위성자료 검증 도구를 개발하여 수치모델링센터에 제공 활용(`19~)
○ WMO 주관 국제협업 등 연구 활동(`19~)
(6) 월별 연구추진일정
예산액 (백만원)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제안요청서 작성 |
제안요청서 검토 |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
입찰제안서 평가 |
계약체결 예정 |
종료예정 |
|||
152 |
1 |
1 |
2 |
2 |
3 |
11 |
3 ~ 11 |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2016. 01. 01. - 2019. 12. 31.
(2) 총 연구과제비: 152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위성자료 서비스 지원체계 기반구축 |
209 |
- |
57 |
152 |
- 223 -
2 |
위성운영 및 활용기술 개발 협력연구기관 운영 |
위성기획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우주기상이 기상위성운영 및 기상‧기후에 미치는 영향 연구를 통하여 기상위성의 안정적 운영 및 선진 기상기술력 확보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대기파동 전파 수치모의를 위한 레이추적 모델 개발(‘17~’18) 등 SCI 논문 3편, 국내 논문 3편 게재
○ 우주기상 예・특보 통보 시스템 등 정보 서비스 시스템 개선(‘17~’18)
○ 지자기 교란 예측용 인공 신경망 모델 개발(‘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예보기여도
활용분야 |
활용내용 |
예보 |
◦(장기예보) 성층권 대기변동성 모델 연구를 통한 장기예보 기술 향상(2017~2018) |
예보 지원 |
◦(기상관측) 천리안위성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우주기상 영향 정보 서비스(2017~2018) |
◦(기후감시) 태양활동 변화가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기반 강화(2017~2018)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우주기상이 기상위성 운영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우주기상의 위성 영향 통합예측 기술 개발
○ 우주기상과 대기의 역학적 상호작용 연구
- 고층대기의 우주영향 및 하층대기와의 상관성 분석
- 우주 고에너지입자가 구름 생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대기 파동에 의한 고층대기 전리권 변동성 연구
○ 우주기상 정보 서비스 시스템 개선
- 인공지능기법을 이용한 우주 위험기상 탐지 기술 개발
- 지자기변동예측모델(Geospace 모델) 표출 및 활용기술 개발
<연구비산정 기준>
- 과제규모: 우주기상이 기상위성 운영에 미치는 영향 연구(85백만원), 우주기상과
- 224 -
대기의 역학적 상호작용 연구(112백만원), 우주기상 정보 서비스 시스템 개선(80백만원)
- 투입인력: 총 20명(책임급 10명, 연구보조원 10명)
- 시설장비 구축 없음(기존 시스템 활용)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우주기상 정보 서비스 기술(위성기획과)
- 활용계획 : ‘우주기상 정보 서비스 시스템 개선’ 용역사업 결과 즉시 활용(위성기획과 우주기상팀 자체 활용)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과업지시서 작성 |
계약 체결 |
종료 예정 |
|||
277 |
‘18.12월 |
‘19.1월 |
‘19.11월 |
1월~11월 |
3년 장기계속 계약 |
(7) 기타
○ 3년(2017~2019) 간 협력연구기관 지정(장기계속계약) 사업으로 추진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2017~2019
(2) 총 연구과제비: 797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우주기상 서비스 콘텐츠 발굴 및 기술 개발 연구(Ⅲ) |
797 |
240 |
280 |
277 |
- |
- |
- 225 -
3 |
기상위성자료 영상품질유지 및 관리기술 개발 |
위성운영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천리안 위성 노후화 대비 영상품질 유지 연구 및 현업 적용을 통한 지속적 고품질 자료 생산
○ 천리안위성 가시/적외채널 검보정 및 상호검정 기술개발을 통한 자료품질 향상
○ 수치모델 지원 위성자료의 품질 검증 및 개선을 통한 예보 향상에 기여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천리안 ‧위성 영상품질 분석 및 보고서 발간(′16~′18)
○ 위성자료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사전 기술 조사(′16)
○ 기상위성 자료 관리지침 수립(저장, 백업, 파일명 규칙 등)(′17)
○ 천리안 기상위성 영상품질 개선방안 도출(′17~′18)
○ 천리안 기상위성 궤도 이동에 따른 영상품질 분석 (′18)
○ 신규 수치모델 지원 위성자료 품질 검증 및 제공(′18)
- 대상 : 유럽 Metop- A/B 초분광센서(IASI), 미국 DMSP SSMIS 등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 수치모델 자료 해상도 변화에 따른 천리안 자료처리시스템 업그레이드 현업화(‘18년 9월)
○ 예보기여도
활용분야 |
활용내용 |
예보 |
◦(초·단·중기, 장기예보) - 신규 해외위성(MetOp- A/B IASI) 자료 수치예보에 지원 - 천리안 위성자료의 품질 분석을 통한 고품질의 자료를 예보에 지원 |
예보 지원 |
◦(기상관측) - 고품질의 천리안 위성자료를 활용하여 대표홈페이지에서 하늘 상태(맑음, 구름조금, 구름많음, 흐림)를 자동으로 대국민에게 관측자료로 제공함 - 위성간 상호 검증을 통한 천리안 품질분석 결과를 홈페이지에 준실시간 게시함에 따른 대내외 연구결과 전파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천리안 기상영상 품질 관리 및 개선
- 천리안 기상영상 복사 보정 및 영상위치보정 품질 분석 및 개선 연구
○ 천리안위성 2A호 가시채널 검정기술 적용과 성능분석
- 천리안위성 2A호 지구표적 및 달 관측자료를 사용한 가시채널 검정기술 적용과
- 226 -
성능분석 연구
○ 천리안위성 2A호 적외채널 자료품질 개선
- 천리안위성 2A호 적외자료에 위성자정영향 분석으로 자정효과 검보정 알고리즘 개선
○ 수치모델 지원 위성자료 품질 검증 및 개선
- 유럽 직수신 S- NPP ATMS, CrIS(EUMETSAT 제공) 자료처리체계 구축 및 품질검증
- 유럽 직수신 FY- C MWHS, MWRI(GTS 제공)
- 자료처리체계 구축 및 품질검증
<연구비산정 기준>
구분 |
금액(백만원) |
비율 |
비고 |
인건비 |
15.9 |
70% |
- 고급 1인(6.35백만/월) * 5개월 * 50% |
경비 |
5.3 |
23% |
|
일반관리비 |
1.8 |
7% |
|
계 |
23.0 |
100% |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기상영상 품질 관리 및 개선으로 천리안 임무 연장에 따른 지속적 활용(대국민/ 예보관 등)
- 천리안위성 2A호 가시채널 검정기술 적용과 성능분석을 통한 품질 및 성능 연구활용
- 천리안위성 2A호 적외채널 자료품질 개선
- 천리안위성 2A호 적외자료에 위성자정영향 분석으로 자정효과 검보정 알고리즘 개선
○ 수치모델 지원 위성자료 품질 검증 및 개선(수치모델링센터)
- 미국, 유럽 등 직수신 위성자료 자료처리체계 구축 및 품질검증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제안요청서 작성 |
제안요청서 검토 |
조달청 (기상청) 입찰공고 |
입찰제안서 평가 |
계약체결 예정 |
종료예정 |
|||
23 |
1 |
1 |
2 |
2 |
3 |
11 |
3 ~ 11 |
- 227 -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2016. 01. 01 - 2019. 12. 31
(2) 총 연구과제비: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기상위성자료 영상품질유지 및 관리기술 개발 |
123 |
50 |
50 |
23 |
- |
- |
- 228 -
2. 기상위성자료 현업활용체계 구축
가. 목적
○ 선진 위성자료 기반 고품질 예보‧관측지원기술 개발
○ 위성자료를 이용한 기후 등 다분야 활용기술 개발 및 선도
○ 위성자료 수치예보 활용 지원기술개발
○ 국가 우주기상 공동활용 기술 및 GK2A 현업용 검정기술 개발
나.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
○ 다채널 다중 위성기반 초단기 예보지원기술 확대
○ 위험기상 조기탐지 및 선진 초단기 예측지원 기술 개발
○ 천리안위성 기반 핵심기후변수 재생산 및 국제공동연구 수행
○ 국가 물관리 대응을 위한 위성자료 기반 가뭄분석 지원기술 개발
○ 위성기반 해양 플럭스 산출기술 개발
○ 위성마이크로파를 활용한 강수 산출 및 활용기술 개발
○ 위성기반 태풍 분석시스템 구축 및 개선
○ 천리안위성 청천복사량 오차특성정보 도출 및 위성기반 해수면온도 산출체계 구축
○ 위성 지면정보(합성해수면온도, 해빙/적설) 산출체계 개선 및 품질진단시스템 구축
○ 마이크로파 위성자료의 수치모델 영향평가 및 관측연산자 등 기술 개발 기반 구축
○ 위성자료 수치지원자료분석시스템 개선 및 GNSS- RO 원시자료 처리기술 연구(′16)
○ 중국 정지궤도위성 FY- 4A의 초분광 적외탐측기 GIIRS의 관측연산자 개발(′17)
○ 중국 저궤도위성 마이크로파 탐측기의 오차보정 및 모의복사량 생산 기술 개발(′17)
○ 위성자료 수치예보 활용을 위한 상세 기술 조사(′18)
○ 정지궤도 위성 간 스테레오 관측 기반 운정고도 산출 기술 개발(′18)
다. 투자현황
(단위: 백만원) |
||||||
내역사업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기상위성자료 현업활용체계 구축 |
10,659 |
3,312 |
3,729 |
3,618 |
- 229 -
라. 2019년 추진 연구과제 목록
(단위: 백만원) |
||||||
과제 번호 |
연구과제명 |
연구비 |
연구기간 |
수행부서 |
중복성 검토 |
용역필요성 및 직접수행과의 차별성 |
4 |
위성자료 예보분석기술 개발 |
493 |
‘19.1.~’19.12. (12개월) |
위성분석과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
5 |
위성자료 기후 및 융합기술 개발 |
519 |
‘19.1.~’19.12. (12개월) |
위성분석과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6 |
전지구 환경변화 감시기술 및 강수관측 활용기술 개발 |
1,000 |
‘19.1.~’19.12. (12개월) |
위성분석과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
7 |
위성자료 수치예보활용지원 기술 개발 |
1,118 |
‘19.1.~’19.12. (12개월) |
차세대위성개발팀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8 |
국가 우주기상 공동활용기술 개발 |
488 |
‘19.1.~’19.12. (12개월) |
위성기획과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v) |
마. 과제담당관 및 참여연구원 현황
연구과제명 |
소속기관 및 부서 |
참여연구원 수 |
위성자료 예보분석기술 개발 |
국가기상위성센터 위성분석과 |
10명 |
전 지구 환경변화 감시기술 및 강수관측 활용기술 개발 |
국가기상위성센터 위성분석과 |
10명 |
위성자료 기후 및 융합기술 개발 |
국가기상위성센터 위성분석과 |
15명 |
위성자료 수치예보 활용지원 기술 개발 |
국가기상위성센터 차세대위성개발팀 |
15명 |
국가 우주기상 공동활용기술 개발 |
국가기상위성센터 위성기획과 |
10명 |
- 230 -
바. 연구과제별 추진계획
4 |
위성자료 예보분석기술 개발 |
위성분석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다채널 고해상도 위성자료를 이용한 태풍 등 위험기상 대응기술 개선
○ 위성기반 예보지원 확대 및 활용 증대를 위한 가이던스 개발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다채널 다중 위성기반 초단기 예보지원기술 확대
저궤도위성기반 황사탐지 기술 이전(‘16)
위성과 수치예측 가강수량 합성기법 개발(‘16)
다중 위성기반 황사탐지 합성기술 개발(‘17)
지상 GNSS 자료를 이용한 합성 가강수량 산출 기술 개발(‘17)
기계학습을 이용한 히마와리 전운량 산출기술 개발(‘17)
기상현상에 대한 위성기반 객관적 구름분석 가이던스 개발 및 활용 지원(’18)
○ 위험기상 조기탐지 및 선진 초단기 예측지원 기술 개발
영향예보지원을 위한 대류셀 탐지/추적기술 개선 및 현업화(‘17)
대기복사모델을 활용하여 가시채널 산란 보정된 조견표 작성 및 보정기술 개발(’18)
위성기반 RGB 영상(화산재, 샌드위치 등) 영상 생산(‘18)
히마와리 직수신 자료기반 대류운 탐지 및 추적기술 개발(‘18)
위성영상 예측자료 산출 기술 개발 및 현업화(‘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히마와리- 8 위성자료를 활용한 기단RGB, 황사RGB, Natural color RGB 서비스(위성분석과, ‘16)
저궤도위성 연직 온‧습도자료, 대기불안정지수, 가강수량 서비스(위성분석과, ‘16)
영향예보지원을 위한 대류셀 탐지 및 추적기술 개선 및 현업화(위성분석과, ‘17)
히마와리- 8 안개탐지 알고리즘 개발, 주간 안개탐지에서 정규화 반사도 및 청천가시채널 반사도 적용, 지상안개 가능성 지수 서비스(위성분석과, ‘17)
인공지능기법을 이용한 전운량 산출기술 개발 및 현업화(관측정책과, ‘17)
Blue 채널변경을 통한 약한 황사와 하층운 구분 개선(위성분석과, ‘18)
MAPLE기반 위성영상 외삽예측 자료 서비스(예보기술과, ‘18)
다중 저궤도 마이크로파 위성강수 기반의 천리안 강우강도 산출 기술 개발을 통한 강수 실황 분석 및 위험기상 대응 등 예보지원(위성분석과, ‘18)
- 231 -
○ 예보기여도
활용분야 |
활용내용 |
예보 |
◦[초·단기예보] - 히마와리- 8 위성 RGB 컬러합성영상 3종(‘16) - 영향예보지원을 위한 대류셀 탐지 및 추적기술(‘17) - 히마와리 황사 RGB 컬러합성영상 개선(‘18) - MAPLE기반 위성영상 외삽예측 자료 생산(‘18) |
예보 지원 |
◦[기상관측] - 초단기 현업산출물(강우강도, 안개, 구름탐지, 운량) 분석(‘16) - 천리안위성 구름 오탐지 개선(‘17) - 인공지능기법을 이용한 전운량 산출(‘17) - 다중 저궤도 마이크로파 위성강수 기반 천리안강우강도 산출(‘18)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AMV기반 위성 외삽예측영상 생산기술 개발 및 시험운영
○ 위성 및 수치모델자료를 이용한 종관장 분석기술 개발
잠재와도(PV)를 이용한 수증기영상 객관분석기술 개발
위성영상을 이용한 모델장(위치,강도) 검증 가이던스 개발
○ 다채널 고해상도 위성자료를 이용한 초단기 예보 지원기술 개선
다채널 기반 황사 및 안개 탐지 산출기술 개선
천리안위성 2A 가시채널 대기보정 및 true color RGB 영상 개선
구름탐지 개선 및 구름속성정보 산출기술 개발
○ 천리안위성 2A호 기상산출물을 이용한 위험기상 감시·경보 지원기술 개발
위험기상 전조탐지를 위한 임계값 도출 및 가이던스 개발
<연구비산정 기준>
과제규모: 총 493 백만원
· (자체연구) : 213 백만원
· (용역) 초단기 예보지원을 위한 장면분석 및 예측기술 개발 : 280
연구인력 : 10명
시설장비 구축 : 없음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잠재와도(PV)를 이용한 수증기영상 객관분석(위성분석과)
- 활용계획 : 잠재와도 표출 시스템 제공(’19년)으로 즉시 활용
○ 위성기반 위험기상 발생가능지역 전조탐지(예보기술과)
- 활용계획 : 기술이전(‘19년) 실시로 즉시 활용
- 232 -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
중간성과 점검 |
최종성과 점검 |
||||||
493 |
1월 |
6월 |
10월 |
11월 |
12월 |
12월 |
1월~12월 |
(7) 기타
○ 해당사항 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16년 ~ 계속
(2) 총 연구과제비: 1,450 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위성자료 예보분석기술 개발 |
1,450 |
491 |
466 |
493 |
- 233 -
5 |
(자체수행) 위성자료 기후 및 융합기술 개발 |
위성분석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위성자료의 기후 등 다분야 활용을 위한 품질개선 및 서비스 확대
○ 수문기상정보 제공으로 국가적 가뭄 대응체계 지원
○ 극지환경감시를 위한 극지해빙면적 감시 및 예측정보 활용기술 개발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천리안위성 기반 핵심기후변수 재생산 및 국제공동연구 수행
※ ‘15:해수면온도, 지표도달일사량, 지구방출장파복사; ’16: 알베도, 구름, 강수
- 해양기상정보(해상풍, 유의파고, 해수면고도 등) 산출 기술개발(‘15), 통합표출체계 시험운영(‘16) 및 현업화(’17)
- 천리안위성 알베도 산출 단계별 불확실성 정량화 및 SCOPE- CM 알베도 프로젝트 참여 및 국제공동연구 수행(’18)
○ 국가 물관리 대응을 위한 위성자료 기반 가뭄분석 지원기술 개발
- 위성기반 토양수분 및 증발산량 산출기술 개선(‘17)
- 다양한 위성기반 가뭄지수 및 지면정보와의 상관성 분석(‘18)
○ 위성기반 해양 플럭스 산출기술 개발(‘17)
- 위성기반 해양 플럭스 정보 특성분석 및 검증(‘17)
- 위성기반 해양 플럭스 정보 표출 및 활용 가이던스 개발(‘17)
○ 북극해빙 분석보고서 작성 및 제공(‘18)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위성자료 다분야 활용확대를 위한 융합·활용 워크숍 개최
※ 기후분야 활용 수요자 등 요구자료 현황 파악 및 구현 가능성 토의 등
○ 천리안위성 핵심기후변수품질 평가 및 SCOPE- CM 자료 등록 추진
- 검·보정 계수 적용 전·후에 따른 알베도자료 재생산 및 정확도 평가
※ 알베도자료 처리체계(8년, 2011. 4. 1. ∼ 2018. 12. 31.) 구축
※ 알베도 자료의 지상관측 및 타 위성 관측자료와의 비교 수행
○ 북극해빙분석보고서 작성 및 발간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기술명(기후예측과)
- 활용계획 : ‘북극해빙감시스템제공(’19년 5월, 11월)으로 즉시 북극해빙분석보고서 활용‘
- 234 -
○ 기술명(이상기후팀 )
- 활용계획 : ’수문기상가뭄감시시스템제공으로 즉시 토양수분과 증발산량자료의 가뭄감시 활용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
중간성과 점검 |
최종성과 점검 |
||||||
519 |
1월 |
6월 |
10월 |
11월 |
12월 |
12월 |
1월~12월 |
- 235 -
6 |
전 지구 환경변화 감시기술 및 강수관측 활용기술 개발 |
위성분석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다채널 고해상도 위성자료를 이용한 태풍 등 위험기상 대응기술 개선
○ 위성기반 예보지원 확대 및 활용 증대를 위한 가이던스 개발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위성마이크로파를 활용한 강수 산출 및 활용기술 개발
GPM 위성강수 산출 시스템 구축 및 자료 생산(‘16)
육상에서의 강수/비강수 구분 및 강수유형 분류기술 개발(‘16)
GPM 위성 겨울 강설 산출기술 개선 및 시험운영(’17)
다중저궤도 마이크로파 강수자료를 이용한 정지궤도 위성강수 산출기술 개발(‘17)
북극환경정보 가시화시스템의 대내 시범운영(‘17)
GPM 위성강설 산출 및 검증(‘18)
GPM 해안선 강수유무 구분기술 개선(‘18)
○ 위성기반 태풍 분석시스템 구축 및 개선
마이크로파 위성자료를 활용한 강수 및 기온의 연직분포 분석체계 구축(‘16)
객관적 태풍분석기술(ADT) 최신버전(Ver. 8.2.1) 현업화(‘16)
주관적 태풍분석기술(SDT) 결과의 정확도 검증(‘17)
태풍 예보지원 분석기술 현업화(’18)
인공지능기술을 활용한 태풍정보 산출 기반기술 개발(‘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 객관적 태풍분석기술(ADT) 최신버전(Ver. 8.2.1) 현업 활용(위성분석과, ‘16)
- 위성기반 해상풍/유의파고/해수면고도 산출 및 표출 서비스(해양기상과, ‘17)
- SCATSAT- 1 위성의 해상풍 영상, 마이크로파 태풍영상 서비스(위성분석과, ‘18)
○ 예보기여도
활용분야 |
활용내용 |
예보 지원 |
◦[기상관측] - 해양기상요소 3종 현업운영(‘17) - SCATSAT- 1 위성 해상풍 영상 표출(‘18) |
- 236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마이크로파 위성기반 동아시아 정량강수 생산체계 구축
- 정량강수 예보 정확도 개선 지원을 위한 마이크로파 위성강수 검증
- 기계학습기반 정지궤도위성 강수/비강수 구분 기술개발
○ 다채널 고해상도 위성자료를 이용한 위험기상 감시기술 개발
- 영상기 총가강수량 자료를 활용한 위험기상 진단기술 개발
○ 다채널 고해상도 위성자료를 이용한 태풍분석정보 산출 기술 고도화
- 종관자료기반 태풍중심위치 정확도 향상을 위한 보정기술 개발
- 태풍발달 단계별 태풍 강도- 중심기압 상관관계 통계분석
<연구비산정 기준>
- 과제규모: 총 1,000백만원
· (자체연구) : 579백만원
· (용역) 위성정보를 활용한 태풍분석정보 고도화 지원(II) : 220
마이크로파 위성기반 정량강수 산출 기술 개선 : 201
- 연구인력 : 25명
- 시설장비 구축 : 없음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다중 저궤도 정량강수 산출(위성분석과)
- 활용계획 : 정량강수 산출 시스템(’19년) 구축 및 직수신 저궤도 자료처리 완료 후 활용
○ 태풍 중심위치 및 강도 분석(태풍센터)
- 활용계획 : 컴퍼스 기법 도입 및 적용(‘19년)을 통한 한반도 부근 태풍에 대한 개선된 태풍 중심 분석 활용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
중간성과 점검 |
최종성과 점검 |
||||||
1,000 |
1월 |
6월 |
10월 |
11월 |
12월 |
12월 |
1월~12월 |
(7) 기타
○ 해당사항 없음
- 237 -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16 ~ 계속
(2) 총 연구과제비: 3,070 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전 지구 환경변화 감시기술 및 강수관측 활용기술 개발 |
3,070 |
1,032 |
1,038 |
1,000 |
- 238 -
7 |
위성자료 수치예보 활용지원 기술 개발 |
차세대위성개발팀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천리안위성 2A호 관측자료의 수치예보 활용지원을 위한 기술 개발
- 천리안위성 2A호 대기운동벡터 등 수치예보모델 조기 활용 산출물 활용기술 개발
- 수치예보모델에 고품질 위성자료 지원을 통한 수치예보 정확도 향상에 기여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천리안위성 대기운동벡터 품질진단체계 구축 및 수치모델 자료동화 현업화(′11)
○ 천리안위성 청천복사량 오차특성정보 도출 및 위성기반 해수면온도 산출체계 구축(′12)
○ 위성자료의 수치예보 활용을 위한 특성분석 및 분석 도구 개발(′13)
○ 위성 지면정보(합성해수면온도, 해빙/적설) 산출체계 개선 및 품질진단시스템 구축(′14)
○ 위성 관측자료의 품질진단시스템 개선 및 관측오차 산출기술 개발(′15)
○ 마이크로파 위성자료의 수치모델 영향평가 및 관측연산자 등 기술 개발 기반 구축(′15)
○ 위성자료 수치지원자료분석시스템 개선 및 GNSS- RO 원시자료 처리기술 연구(′16)
○ 천리안위성 대기운동벡터 및 청천복사휘도 품질 개선 현업화(′16)
○ 저궤도 고분해 스펙트럼 적외탐측기 관측연산자 개발 및 최적채널 선정기술 개발(′16)
○ 마이크로파 위성자료의 전처리(지면방출률, 편향보정, 구름탐지) 기술 개선(′16)
○ 중국 정지궤도위성 FY- 4A의 초분광 적외탐측기 GIIRS의 관측연산자 개발(′17)
○ 중국 저궤도위성 마이크로파 탐측기의 오차보정 및 모의복사량 생산 기술 개발(′17)
○ 기하광학 기반 GNSS- RO 원시자료 신호 전처리 모듈 개발(′17)
○ 고해상도 적설탐지 알고리즘 개발 및 평창동계올림픽 기상업무 지원(′18)
○ 저궤도위성 마이크로파 자료의 수치모델 전처리 개선 및 적용 기술 개발(′18)
○ 위성자료 수치예보 활용을 위한 상세 기술 조사(′18)
○ 정지궤도 위성 간 스테레오 관측 기반 운정고도 산출 기술 개발(′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 천리안위성 대기운동벡터 및 청천복사휘도 품질 개선(수치모델링센터, ′16)
- 히마와리- 8 위성자료를 이용한 고해상도 적설탐지 알고리즘 개발(수치모델링센터, ′18)
- 천리안위성 해수면온도 정확도 개선(지방기상청, ′18)
- 239 -
○ 예보기여도
활용분야 |
활용내용 |
예보 지원 |
◦[기상관측] 천리안위성 대기운동벡터 및 청천복사휘도 품질 개선(2016) |
◦[기상관측] 천리안위성 해수면온도 정확도 개선(2018) |
|
◦[기상관측] 천리안위성 적설탐지 개선(2017) 및 히마와리- 8 위성 이용 고해상도 적설탐지 개발(2018)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천리안위성 2A호 산출물의 수치예보 활용 현업화 지원기술 개발
- 히마와리- 8호 자료를 이용한 천리안위성 2A호 대기운동벡터, 청천복사휘도 산출물 모의 생산 및 특성 분석을 통한 수치예보 활용 사전 연구
- 대기운동벡터, 청천복사휘도 산출 정확도 개선 및 품질 분석을 통한 수치예보 활용 지원
- 전천복사량, 에어로졸광학두께, 적설, 해수면온도 등 수치예보 활용 확대를 위한 연구
○ 첨단 외국위성자료에 대한 수치예보 활용성 확대를 위한 연구
- ADM- Aeolus 등 신규 첨단위성자료에 대한 품질분석 및 수치예보 활용성 분석
- Metop- C, FY- 4B 등 신규위성자료 입수 및 자료 품질 분석
<연구비산정 기준>
- 투입인력 인건비: 250(6인)
- 연구용역사업 2개 수행: 530백만원(350백만원+180백만원)
- 국제협력: 50백만원
- 연구성과 활용/발표 등: 20백만원
- 연구 관련 회의/컨퍼런스 개최 등: 200백만원
- 기타
- 총: 1,052백만원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천리안위성 2A호 대기운동벡터 자료 수치예보모델 활용(수치모델링센터)
- 활용계획 : 2019년 하반기, 수치예보모델 활용을 위한 천리안위성 2A호 대기운동벡터, 청천복사휘도 자료 제공
- 240 -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용역예산)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및 조사 |
조사자료 정리 및 연구계획서 작성 |
연구 및 사업 수행 |
최종성과 점검 |
연구결과 정리 |
|||
1,118 (530) |
1월 |
2월 |
3월 ~ 11월 |
11월 |
12월 |
12개월 |
(7) 기타
○ 해당 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19년 ~ (계속)
(2) 총 연구과제비: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위성자료 수치예보 활용지원 기술 개발 |
2,616 |
738 |
760 |
1118 |
- 241 -
8 |
국가 우주기상 공동 활용 기술개발 |
위성기획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우주기상이 보건 및 위성아노말리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보 서비스 기술 개발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 지자기교란 지수 비교 및 실시간 추정 연구(‘16~’17) SCI 논문 1건 게재
○ 비행고도 상에서의 우주방사선 관측 및 모델 비교 연구(‘18) 국내 논문 1건 게재
○ 천리안위성 2A호 우주기상 탑재체 산출물 활용 연구(‘17~’18) 국내 논문 1건 게재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 우주기상 상호비교검증 궤도상 실험(IOT) 수행 기술지원(위성운영과, 2018)
○ 예보기여도
활용분야 |
활용내용 |
관측 및 예보 활용 |
◦[우주기상관측] 태양 고에너지 입자의 유입 및 지자기 교란 감시에 활용(2018) |
◦[우주기상예보] 천리안위성 2A호 우주기상 자료품질 확보를 통한 우주기상 산출물 알고리즘 예측 성능 확보 및 우주 위험기상에 따른 우주기상 특보 발표에 활용(2018)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차세대 우주방사선량 추정모델 개념설계 연구
- 외국 우주방사선량 추정모델 구성모듈 및 우주방사선량 추정모델 검증을 위한 실측자료 조사
○ 우주기상이 기상위성에 미치는 위험도 진단 연구
- 천리안위성 2A호의 대전감시기와 유사한 구조의 타 위성 대전 감시기 실측 자료 수집 및 위성대전 모델 조사
- 우주기상에 따른 위성 대전 위험 임계값 결정
○ 우주기상 탑재체 자료 현업활용 기술 개발
- 우주기상 탑재체 자료 검증 및 활용 기술 개발
○ 우주기상 자료품질보증을 위한 심층상호비교검증 시스템 구축
- 우주기상 센서의 심층상호비교검증 시스템 구축 및 실시간 표출시스템 운영
- 천리안위성 2A호 궤도상실험(IOT) 지원
<연구비산정 기준>
- 과제규모: 총 488백만원
- 242 -
· (자체) 차세대 우주방사선량 추정모델 개념설계, 우주기상이 기상위성에 미치는 위험도 진단 연구, 우주기상 탑재체 자료 현업활용 기술 개발(244백만원)
· (용역) GK- 2A 현업용 검정 기술 개발(Ⅱ)(244백만원)
- 연구인력 : 17명 (연구원 9인 포함)
- 시설장비 구축 없음(기존 시스템 활용)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천리안위성 2A호 관측자료 검정 기술(위성운영과)
- 활용계획 : 천리안위성 2A호 관측자료 검정 기술 적용을 통한 위성자료 품질 향상에 활용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계획수립 |
중간성과 점검 |
최종성과 점검 |
|||
488 |
1월 |
6월 |
11월 |
1월~12월 |
(7) 기타
○ 해당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16~’19년
(2) 총 연구과제비: 1,954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국가 우주기상 공동 활용 기술개발 |
1,495 |
548 |
459 |
488 |
- |
- |
- 243 -
6 |
한국형수치예보모델 개발(자체연구부분) |
[ 수치모델링센터 수치모델개발과 ]
사업 개요
구분 |
내용 |
총사업기간 |
‘11~’19(9년간) |
총사업비 |
946억원(‘10년 예비타당성 결과) |
지원근거 |
- 기상법 제5조 제3항(기상업무에 관한 기술연구개발의 추진 및 협동연구개발 촉진에 관한 사항) - 기상법 제32조(기상업무에 관한 연구개발사업의 추진) -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제5장(저탄소 사회의 구현) 제48조(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대책의 추진) 제1항 - 초고성능컴퓨터 활용 및 육성에 관한 법률 제5조(국가초고성능컴퓨팅 육성 기본계획의 수립) |
지원형태 |
출연금 |
시행주체 |
한국형수치예보모델개발사업단 |
정책 연계성
○ 기상업무발전 기본계획(`17~’21): 예보기술력 향상 및 예보시스템 개선
○ 기상R&D 중장기 추진전략 핵심기술명: 차세대 수치예보모델 개발 및 현업화 기술개발
(분야별 추진전략) 날씨예보정확도 향상을 위한 핵심기술개발
(이슈별 추진전략) 날씨와 기후예측을 위한 수치모델링 연구
○ 기타 법정계획 등
문재인 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 中 [20대 국정전략 3- 3] 국민 안전과 생명을 지키는 안심사회
‧(맞춤형 스마트 기상정보 제공) 예보 신뢰도 향상을 위한 개발 및 운영: 한국형전지구수치예보모델 개발완료(’19년) 및 차세대수치예보 기술개발
4차 과학기술기본계획(`18∼`22년): 대규모 재해로부터 국민을 지키는 안전 확보체계 구축
- 244 -
사업 최종목표
○ 기초기술 개발 및 국내・외 협력을 통한 세계적 수준의 한국형수치예보모델 개발로 2020년까지 세계수준의 수치예보분야 기술경쟁력 확보
그동안 성과
○ 한국형수치예보모델 현업화 기술 지원
한국형수치예보모델 현업운영을 위한 관측자료 수집/응용 및 전처리기술 공동 활용(‘16~’18)
관측자료 수집 및 활용 방식 개선을 위한 관측자료 DB 기초 연구 추진(‘17)
한국형수치예보모델 수치예측자료 진단검증 기술 지원(‘16~’18)
○ 차세대 수치예보모델 기술 개발 기획
「수치예보 기술의 창조적 혁신을 위한 개념설계(Conceptual Design) 수행 기획연구」 수행(‘16)
차세대 수치예보 기술 개발 및 활용 상세 기획연구 추진(‘17)
차세대 수치예보기술개발 및 활용사업 타당성조사 용역(‘17)
수치예보기술 개발 및 활용사업 예비타당성조사 지원 용역(‘18)
한국형수치예보모델의 기술적 독자성 평가 및 모델사용권 방향 연구(‘18)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구분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ㅇ 한국형수치예보모델개발 |
9,648 |
10,253 |
8,844 |
- |
- |
내·외부 지적사항
- 국회 예정처 및 환노위 2016년 예산안 보고서 : 2019년 까지 한시적으로 운영되는 기관이라는 특성으로 말미암아 전문인력 유지 및 충원에 어려
- 245 -
움을 겪고 있음. 이에 대한 해결 방안 모색 필요
- 한국형수치예보모델기반 지역모델 개발 필요(‘17, 감사원 감사)
- 자체평가
‧기상청 자체평가(2011~2016) 연차실적 및 계획 평가 : 우수
‧미래부 2017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상위평가 : 우수 등급
‧통합재정사업평가 자체평가 : 우수 등급
‧한국형수치예보모델개발 진척도 평가 : 100%(‘17년까지)
2018년도 추진 실적
1. 2018년도 대표 성과
○ 한국형수치예보시스템의 고도화‧안정화
병행운영을 위한 모델 수행체계의 안정성 확보 및 개선
준현업 운영을 위한 안정성 및 성능확인
2. 2018년도 실적 자체 평가
○ 2018년도 목표 및 달성정도
- 기상청 현업모델(UM모델)대비 한국형수치예보모델 성능비교: 100%
○ 개선 보완사항
- 한국형수치예보모델 현업운영 환경 조성 및 안정화 필요
- 한국형수치예보모델 성능의 지속적 향상 및 일관성 유지기술 개발필요
2019년도 추진 계획
1. 2019년도 목표
○ 한국형수치예보모델 현업화 운영기술 개발 및 안정적인 운영환경 구축
2. 2019년도 주요 추진내용
○ 현업 운영을 위한 핵심 기술을 개선·보완하여 완성도 높은 현업 전환체계 구축
○ 수치모델의 향후 수요를 고려한 슈퍼컴퓨터 전산자원 효율적 활용방안 마련
○ 한국형수치예보모델 핵심 기술의 시스템적 축적과 관리 노하우 개발
- 246 -
- 수치모델 연구·개발과정을 포괄하는 전사적 형상관리 체계 구축
- 사업단과 공동개발 경험 축적을 통한 수치모델 전문 역량 강화
○ 한국형수치예보모델의 위성 등 관측자료 활용제고 기술 개발
○ 한국형수치예보모델 후속사업 추진을 위한 지원용역 추진
(1) 2018년 추진내용과의 비교
(단위: 백만원) |
||
구분 |
2018년 |
2019년 |
□ 한국형수치 예보모델개발 |
10,253 |
8,844 |
핵심모듈개발 |
3,760 ·역학코어 개발(500) |
3,409 ·역학코어 개발(489) |
·물리과정 개발(1,540) |
·물리과정 개발(1,420) |
|
·관측자료 전처리 및 자료동화 개발(1,720) |
·관측자료 전처리 및 자료동화 개발(1,500) |
|
시스템모듈개발 |
4,923 ·한국형수치예보모델 현업버전 개발(3,759) |
4,020 ·한국형수치예보모델 현업버전 개발(3,418) |
·산학연 테스트베드 공동연구(80) |
·산학연 테스트베드 공동연구(60) |
|
·한국형수치예보모델 현업화 기술지원(1,084) |
·한국형수치예보모델 현업화 기술지원(542) |
|
국내외 공동협력 네트워크 운영 |
350 ·국제협력 네트워크 구축/운영(150) |
200 ·국제협력 네트워크 구축/운영(150) |
·공동 연구개발 기반구축/운용(200) |
·공동 연구개발 기반구축/운용(50) |
|
사업단 운영 |
1,220 ·행정원 인건비 및 사업딴 기관운영경비(1,220) |
1,215 ·행정원 인건비 및 사업딴 기관운영경비(1,215) |
○ 예산 증/감액 또는 전년동일 사유
한국형수치예보모델개발 사업 최종연도 진입에 따른 인건비 및 운영경비 감액됨
* 사업단 해산 및 청산비용을 2020년도에 반영
(2) 장비 도입 계획: 해당사항 없음
(3) 2019년 예상 대표성과
- 한국형수치예보모델 준현업운영(`19.4~) 및 현업운영(`20~) 환경구축 완료
- 기상청 현업모델(UM모델) 대비 한국형수치예보모델 정확도 98%달성
- 247 -
별첨1 |
내역사업별 추진계획 |
1. 한국형수치예보모델 현업화 지원 기술 개발(R&D)
가. 목적
○ 한국형수치예보모델의 실시간 운영을 위한 기반기술 및 환경 구축을 통해 예측 성능 비교‧검증과 개선사항 반영하여 현업모델로서의 완결성 제고에 기여
나.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
○ 한국형수치예보모델 현업화 기술 지원
한국형수치예보모델 현업운영을 위한 관측자료 수집/응용 및 전처리기술 공동 활용(‘16~’18)
관측자료 수집 및 활용 방식 개선을 위한 관측자료 DB 기초 연구 추진(‘17)
한국형수치예보모델 수치예측자료 진단검증 기술 지원(‘16~’18)
○ 차세대 수치예보모델 기술 개발 기획
「수치예보 기술의 창조적 혁신을 위한 개념설계(Conceptual Design) 수행 기획연구」 수행(‘16)
차세대 수치예보 기술 개발 및 활용 상세 기획연구 추진(‘17)
- 차세대 수치예보기술개발 및 활용사업 타당성조사 용역(‘17)
수치예보기술 개발 및 활용사업 예비타당성조사 지원 용역(‘18)
한국형수치예보모델의 기술적 독자성 평가 및 모델사용권 방향 연구(‘18)
다. 투자현황
(단위: 백만원) |
||||||
내역사업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한국형수치예보모델 현업화 지원기술 개발 (R&D) |
3,196 |
1,570 |
1,084 |
542 |
- |
- |
- 248 -
라. 2019년 추진 연구과제 목록
(단위: 백만원) |
|||||||||||||
과제 번호 |
연구과제명 |
연구비 |
연구기간 |
수행부서 |
중복성 검토 |
용역필요성 및 직접수행과의 차별성 |
|||||||
1 |
한국형수치예보모델 현업화 지원기술 개발 (R&D) |
542 |
‘19.1.~’19.12. (12개월) |
수치모델개발과미래수치기술팀 |
①검토방법: 자체검토 ②유사과제: 있다( )없다(○) |
- |
마. 과제담당관 및 참여연구원 현황
연구과제명 |
소속기관 및 부서 |
참여연구원 수 |
한국형수치예보모델 현업화 지원기술 개발 (R&D) |
수치모델링센터 수치모델개발과 |
16 |
- 249 -
바. 연구과제별 추진계획
1 |
한국형수치예보모델 현업화 지원 기술 개발(R&D) |
수치모델개발과 |
1. 해당년도 추진계획
(1) 목 적
○ 기상청 현업 예보지원을 위한 현업 운영환경 아래에서 실시간 수치실험을 통해 예측 성능을 비교‧검증하고 개선사항을 반영할 수 있도록 기반 및 환경구축
(2) 현재까지 주요 내용 및 연구성과(과제시작~‘18년까지)
「수치예보 기술의 창조적 혁신을 위한 개념설계(Conceptual Design) 수행 기획연구」 수행(‘16)
차세대 수치예보 기술 개발 및 활용 상세 기획연구 추진(‘17)
- 차세대 수치예보기술개발 및 활용사업 타당성조사 용역(‘17)
수치예보기술 개발 및 활용사업 예비타당성조사 지원 용역(‘18)
한국형수치예보모델의 기술적 독자성 평가 및 모델사용권 방향 연구(‘18)
(3) 최근 3년 연구성과의 기상업무 활용 실적(’16년~‘18년까지)
○ 현업화 성과
- 한국형수치예보모델의 현업운영을 위한 기반기술 및 환경 구축
- 한국형수치예보모델의 시험모델* 대상으로 시스템 운영 기술 및 수치예측자료의 검증 기술 지원
* 한국형수치예보모델개발사업단에서 개발된 모든 컴포넌트가 긴밀하게 연동된 모델을 기반으로 구성된 초기 버전의 예측 모델
- 한국형수치예보모델의 표준진단 기반 구축
‧변수별(역학 및 물리과정) 진단을 통한 모델 특성 분석
‧시공간 규모별/대기현상별 특성 파악을 위한 표준진단 체계 원형 구축
- 전지구 모델 자료동화 성능 향상을 위한 위성자료 활용 기술 개선
‧복사모델을 이용한 모의 위성자료의 표출 고도화
‧강수 및 구름 탐지 기법개선을 통한 마이크로파 자료동화 성능 향상 연구
‧동아시아지역 정지기상위성의 고해상도 영상기자료 활용 기술 개발
‧4차원앙상블변분자료동화(4DEnVar) 적용을 위한 모델오차 공분산 산출
- 관측자료 활용 및 전처리, 수치모델자료 가시화 기술의 통합 시스템 설계
- 수치모델 개선 실험의 표준화를 위한 표준실험* 테스트베드 개선
* 수치모델의 구성 및 물리과정의 변경 등 수행조건의 변화를 통한 예측민감도 실험
- 한국형수치예보모델 후속사업 추진 지원 및 독자성 평가
○ 예보기여도: 한국형수치예보모델 현업운영을 위한 사전 운영환경조성
- 250 -
(4) 2019년 추진할 연구내용
○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고해상도 위성자료들의 특성 분석
- Himawari 위성과 천리안 2A 위성자료간의 편차특성 및 오차특성 비교 분석
- Himawari 위성을 대상으로 사용한 분석기법을 천리안 2A 자료에 적용하여 분석결과 비교
○ 천리안 2A 위성자료의 조기활용을 위한 기반 연구
○ 한국형수치예보모델 후속사업 예비타당성 지원용역
<연구비산정 기준>
- 과제규모 : 총 542백만원
- 연구인력 : 16인(연구원 7인 포함)
- 시설장비 구축 : 없음
(5) 2019년 예상성과 및 활용계획
○ 한국형수치예보모델 현업화 지원을 위한 기반 기술 개발(수치모델개발과)
○ 한국형수치예보모델의 지속적 연구 개발을 위한 표준 연구 환경 구성안 도출(수치모델개발과)
○ 한국형수치예보모델 개발기술의 독자성 근거자료 마련(수치모델개발과)
(6) 월별 연구추진일정
(단위: 백만원) |
|||||||
예산액 |
추진상황 및 향후계획(월별로 작성) |
연구기간 |
비고 |
||||
연구과제 수행 시작 |
준현업운영 |
최종평가 (용역) |
보고서 작성 (용역) |
현업운영 준비 완료 |
|||
542 |
1월 |
4월 |
10월 |
11월 |
12월 |
1월~12월 |
(7) 기타: 해당사항 없음
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1) 총 연구과제 기간: 2016~2019
(2) 총 연구과제비: ‘16~‘19년까지 기 투자액 3,794 백만원
(3)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연구과제명 |
합계 |
연도별 투자실적 및 계획 |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
한국형수치예보모델 현업화 지원 기술 개발 |
3,195 |
1,569 |
1,084 |
542 |
- |
- |
- 251 -
Ⅳ. 출연 연구개발사업 추진 목록 및 요약 |
출연 연구개발사업 |
2019년도 추진 목록 |
(단위: 백만원) |
||||||||
순서 |
내역사업명 |
‘18년 예산 |
‘19년 예산 |
신규/ 계속 |
담당부서 |
해당 쪽수 |
||
정지궤도 기상위성 지상국 개발(R&D) |
12,390 |
8,890 |
계속 |
위성운영과 |
491 |
|||
1 |
정지궤도 기상위성 지상국 개발 |
12,390 |
8,890 |
계속 |
위성운영과 |
|||
기상‧지진See- At기술개발연구 |
20,471 |
18,567 |
계속 |
연구개발담당관 |
496 |
|||
1 |
기상관측기술 |
3,530 |
2,907 |
계속 |
관측정책과 |
|||
2 |
기상예보기술 |
3,568 |
3,448 |
계속 |
예보정책과 |
|||
3 |
기후과학기술 |
4,585 |
4,585 |
계속 |
기후정책과 |
|||
4 |
지진화산기술 |
7,395 |
7,016 |
계속 |
지진화산연구과 |
|||
5 |
융합서비스기술 |
650 |
- |
- |
- |
|||
6 |
기획평가관리비 |
743 |
611 |
계속 |
연구개발담당관 |
|||
연직바람관측장비 융합기술개발 |
557 |
1,195 |
계속 |
계측기술과 |
511 |
|||
1 |
연직바람 관측장비 융합기술개발 |
557 |
1,195 |
계속 |
계측기술과 |
|||
한국형수치예보모델개발(출연연구부분) |
8,604 |
8,302 |
계속 |
수치모델개발과 |
516 |
|||
1 |
핵심모듈 개발 |
3,700 |
3,409 |
계속 |
수치모델개발과 |
|||
2 |
시스템모듈 개발 |
3,795 |
3,478 |
계속 |
수치모델개발과 |
|||
3 |
국내외 공동협력 네트워크 운영 |
350 |
200 |
계속 |
수치모델개발과 |
|||
4 |
사업단 운영 |
1,200 |
1,215 |
계속 |
수치모델개발과 |
|||
한반도 지하 단층·속도구조 통합 모델 개발 |
2,750 |
4,405 |
계속 |
지진화산연구과 |
524 |
|||
1 |
영남권 지하 단층구조 모델 개발 |
1,450 |
2,475 |
계속 |
지진화산연구과 |
|||
2 |
수도권 지진활동·지하단층 분석 및 지하구조 연구 |
1,205 |
1,410 |
계속 |
지진화산연구과 |
|||
3 |
3차원 속도구조 통합모델 개발 |
- |
388 |
신규 |
지진화산연구과 |
|||
4 |
기획평가관리비 |
95 |
132 |
계속 |
지진화산연구과 |
|||
미래뮤망 민간기상서비스 성장기술개발 |
3,000 |
3,802 |
계속 |
기상서비스정책과 |
528 |
|||
1 |
산업융합 민간기상서비스 기술개발지원 |
1,760 |
2,285 |
계속 |
기상서비스정책과 |
|||
2 |
생활중심 민간기상서비스 기술개발지원 |
1,140 |
1,403 |
계속 |
기상서비스정책과 |
|||
3 |
기획평가관리비 |
100 |
114 |
계속 |
기상서비스정책과 |
|||
자연재해 대응 영향예보 생산기술개발 |
1,750 |
2,739 |
계속 |
영향예보추진팀 |
541 |
|||
1 |
기상영향 연구 및 영향예보 생산기술 개발 |
1,690 |
2,654 |
계속 |
영향예보추진팀 |
|||
2 |
기획평가관리비 |
60 |
85 |
계속 |
영향예보추진팀 |
- 252 -
출연 연구개발사업 |
2019년도 추진사업 요약 |
(단위: 백만원) |
||||||
순서 |
내역사업명 |
연구목표 |
주요연구내용 |
‘19년 예상성과 (대표성과) |
예산 |
담당부서 |
정지궤도 기상위성 지상국 개발(R&D) |
||||||
1 |
정지궤도 기상위성 지상국 개발 |
천리안위성 후속 정지궤도 기상위성의 기상 및 우주기상 관측자료를 실시간 관제‧수신‧처리‧분석‧서비스하기 위한 국가기상위성센터 지상국 기술 개발 및 시스템 구축 |
- 수신처리시스템, 위성관제시스템, 자료관리 및 서비스시스템 시스템·통합시험 실시 - 기상 및 우주기상 알고리즘 통합 및 현업화 - 기상위성자료 활용기술 최적화 및 현업화 |
- 지상국 궤도상시험 수행 - 발사 후 시스템시험 완료 - 인수시험 및 현업 운영 준비 |
8,890 |
위성운영과 |
기상·지진See- At기술개발연구 |
||||||
1 |
기상관측기술 |
지상·해상·고층 3차원 기상관측 정확도 향상을 위한 원천기술 개발 |
최첨단 기상관측 기술개발 및 실시간 기상감시체계 구축 고정밀 기상관측 자료보정 기술 개발 |
윈드프로파일러 원시자료 처리 기법 개발 및 품질 개선 기술 개발, 신낙뢰관측자료를 활용한 뇌운의 미세물리 특성규명으로 수치모수화 개선, GPS 반사파 신호수신기를 이용한 토양수분 측정 기술 개발 등 |
2,907 |
관측정책과 |
2 |
기상예보기술 |
기상현상에 대한 원인규명 및 예측력 향상을 위한 원천기술 개발 |
기상예측 정확도 향상 기술개발 기상재해 대응능력 강화 및 피해경감 기술개발 |
앙상블 예측기법을 통한 중기 태풍예측 기술 개발, 강원지역 폭설 메커니즘 규명 및 강원지역 강설 발생 미세물리과정을 고려한 구름미세물리 모수화 개선 및 수치모델 예측성 향상 등 |
3,448 |
예보정책과 |
3 |
기후과학기술 |
기후변화 저감정책 기술 지원 및 기후변화 감시예측 원천기술 선진화 |
기후변화 원인‧결과‧영향 정보에 대한 수집‧분석 기술개발 선진 장기예보 기술확보 및 의사결정 지원서비스 체계 구축 연구 기후변화 대응 정책 지원 및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 산출 기술개발 |
CORDEX 동아시아 및 한반도에서의 상세 기후변화 정보 산출, 한반도 기후 변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기후 인자 개발을 통한 계절 예측성 향상 기술 개발 등 |
4,585 |
기후정책과 |
4 |
지진화산기술 |
지진화산 대응 체계 고도화를 위한 지진·지진해일·화산 원천기술 개발 |
지진화산 감시경보 강화 및 대응 체계 고도화 기술개발 한반도 지진 특성 연구 및 지진활동 영향 추정 기술개발 |
국내 지진관측환경과 지진조기경보에 최적화된 지진파 위상조합 기술 개발, 지진기록- 진도 변환식을 이용한 국내 지진 진도 예측식 개발, 국외 지진에 의한 한반도 지진동 추정기술 및 시나리오 지진 개발 등 |
7,019 |
지진화산 연구과 |
5 |
기획평가 관리비 |
- |
- |
- |
611 |
연구개발 담당관 |
연직바람 관측장비 융합기술 개발 |
||||||
1 |
연직바람 관측장비 융합기술개발 |
민·군 공동 활용 고층기상관측용 연직바람관측장비 기술 및 검증체계 개발 |
- H/W 개발 - 시뮬레이터 개발 - S/W 개발 - TestBed 운영 방안 수립 |
○ 연직바람 관측장비 H/W 개발 - 주파수 : 1.29GHz - 송수신전단기 단일모듈 RF 출력 : ≥0.2kW - 안테나 수신 유효면적 × 피크출력 : ≥1.8kW·㎡ ○ 시뮬레이터 개발 ○ 연직바람 관측장비 S/W 개발 - 시스템 인터페이스 상세설계/개발 - S/W 플랫폼 구축 및 검증 - 기상변수 산출기술 개발 - 비기상 에코 제거 기술 - 청천/강수 에코 구분 기술 ○ TestBed 운영 및 안전성 평가 기술 개발 |
1,195 |
계측기술과 |
한국형수치예보모델개발(출연연구부분) |
||||||
1 |
핵심모듈 개발 |
한국형수치예보모델 핵심모듈개발 |
- 역학코어 개발 ·현업 운영을 위한 역학코어 최종버전 완성 ·현업 병행수행 및 역학코어 성능개선 ·수평 격자 성능검증‧개선 ·역학코어 매뉴얼 제작 - 물리과정 개발 ·현업 운영을 위한 물리패키지 최종버전 완성 ·복사물리과정 및 구름물리과정 국지적 악기상에 대한 성능검증 및 개선 ·중력파/경계층 물리과정 국지적 악기상에 대한 성능검증 및 개선 ·지면 및 식생물리과정 국지적 악기상에 대한 성능검증 및 개선 ·물리과정 매뉴얼 제작 - 관측자료 전처리 및 자료동화 개발 ·현업 운영을 위한 전처리 시스템 및 자료동화 최종버전 완성 ·전처리 시스템 최적화 ·관측자료 품질관리 시스템 최적화 ·3차원 변분/앙상블 하이브리드 시스템 최적화 ·4차원 변분/앙상블 하이브리드 시스템 최적화 ·전처리 및 자료동화 개발자 매뉴얼 제작 |
- 현업용 예보시스템 최종버전 완성 - 사용자를 위한 상세 매뉴얼 제작 - 기상청 현업모델 대비 예측성능 98% 달성 |
3,409 |
수치모델 개발과 한수예 사업단 |
2 |
시스템모듈 개발 |
한국형수치예보모델 시스템모듈개발 |
- 한국형수치예보모델 현업버전 개발 ·현업용 예보시스템 최종버전 완성 ·예보시스템(v1.0) 준현업운영 및 개선 ·가시화 시스템 완성 ·사용자 인터페이스 완성 ·수치시스템 매뉴얼 제작 - 산‧학‧연 테스트베드 공동연구 - 한수예모델 현업화 기술 지원 ·한수예모델의 현업운영을 위한 기반기술 및 환경 구축 ·현업화를 위한 기술 검증‧평가 및 개선 |
3,478 |
수치모델 개발과 한수예 사업단 |
|
3 |
국내외 공동협력 네트워크 운영 |
국내외공동연구 개발 및 국제네트워크 구축 |
- 국제협력 네트워크 구축/운영 - 공동 연구개발 기반 구축/운영 |
200 |
수치모델 개발과 한수예 사업단 |
|
4 |
사업단 운영 |
한국형수치예보모델개발사업단 운영 |
- 행정원 인건비 및 사업단 기관운영경비 |
1,215 |
수치모델 개발과 한수예 사업단 |
|
한반도 지하 단층·속도구조 통합 모델 개발 |
||||||
1 |
영남권 지하 단층구조 모델 개발 |
영남권 내륙·해역 미소지진 관측 및 지진활동 분석 |
- 미소지진을 포함한 영남권 내륙 및 동해남부해역 지진활동 정밀 분석 - 내륙 및 해역 지진활동에 대한 입체지진분포도 작성 |
영남권 내륙·해역 미소지진 관측 및 지진활동 분석 결과 산출 |
2,475 |
지진화산 연구과 |
2 |
수도권 지진활동·지하단층 분석 및 지하구조 연구 |
수도권 지하 단층·속도구조 및 물성구조 분석 |
- 수도권 미소지진 정밀분석 및 지진활동을 이용한 단층운동 해석 - 지진자료를 이용한 수도권 1차원 속도구조 분석 |
수도권 지하 단층·속도구조 및 지하구조 분석 결과 산출 |
1,410 |
지진화산 연구과 |
3 |
3차원 속도구조 통합모델 개발 |
통합모델 플랫폼 구축 및 1차원 속도구조 분석 |
- 기존 연구결과 수집 및 단층·속도구조 모델 개발 플랫폼 구축 - 내륙 지진관측소 지하 지진파 증폭 분석 및 1차원 속도구조 분석 |
단층·속도구조 통합모델 플랫폼 구축 |
388 |
지진화산 연구과 |
4 |
기획평가관리비 |
- |
- |
- |
132 |
|
미래유망 민간기상서비스 성장기술개발 |
||||||
1 |
산업융합 민간기상서비스 기술개발지원 |
기상정보와 산업정보의 융합을 통한 부가가치 제고 및 비용 절감이 가능한 기상서비스 개발 지원 |
ㆍ지형·환경별 농경지 특성을 고려한 서리정보 예측기술 개발 ㆍ기상 상황에 따른 서울시 대중교통 이용 변화 예측모델 개발 ㆍ기상기후데이터 유통 오픈 플랫폼 구축 기술 연구 |
산업분야 연구과제에 대한 사업화가 가능한비즈니스모델 개발 및 특허 출원 |
2,285 |
기상서비스 정책과 |
2 |
생활중심 민간기상서비스 기술개발지원 |
기상정보를 일반 생활정보와 융합하여 생활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서비스 개발 지원 |
ㆍICT 기반의 기상기후 역사기록물 융합 기술 개발 ㆍ인공지능을 이용한 날씨컨설팅 웨더봇 기술 개발 |
생활분야 연구과제에 대한 사업화가 가능한 비즈니스모델 개발 및 특허 출원 |
1,403 |
기상서비스 정책과 |
3 |
기획평가관리비 |
- |
- |
- |
114 |
기상서비스 정책과 |
자연재해 대응 영향예보 생산기술 개발 |
||||||
1 |
자연재해 대응 영향예보 생산기술 개발 |
국가재해 대응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기상재해로 인한 분야별 영향정보 생산 및 효율적 전달방식 개발 |
자연재해를 예방하려는 목적으로 호우 및 폭염 분야에 대한 영향정보를 생산하는 재해영향모델 개발 |
호우 및 폭염분야 재해영향모델 개발 기술 고도화와 지역 확대 추진 |
2,739 |
영향예보 추진팀 |
- 253 -
Ⅴ. 출연 연구개발사업 추진계획서 |
1 |
정지궤도 기상위성 지상국 개발(R&D) |
[ 국가기상위성센터 위성운영과 ]
사업 개요
구분 |
내용 |
총사업기간 |
‘14~'19 |
총사업비 |
921억원 |
지원근거 |
기상법(’09.6.9. 법률 제9771호) 제8조 기상위성관측망 운영 등 |
지원형태 |
출연, 전액 국고 |
시행주체 |
기상청(국가기상위성센터) |
정책 연계성
○ 기상업무발전 기본계획(‘17~’21) : 위성‧레이더 기반의 입체적 감시를 위한 원격탐사 관측망 고도화
○ 기상R&D 중장기 추진전략 핵심기술명: 독자 기상위성 통합운영체계 구축을 위한 정지 및 저궤도 기상위성 핵심기술 개발
분야별 추진전략 : [관측] 신속하고 정확한 관측자료 확보
이슈별 추진전략 : 극한 기상‧기후현상의 이해와 대응 연구
○ 우주개발 중장기 계획 : 국가 위성수요를 고려한 인공위성 독자 개발
○ 문재인정부 국정과제 : 55- 6 맞춤형 스마트 기상정보 제공
사업 최종목표
○ 천리안위성 2A호의 기상 및 우주기상 관측 자료를 실시간 관제‧수신‧처리‧분석‧서비스하기 위한 국가기상위성센터 지상국 기술 개발 및 시스템 구축
- 254 -
그동안 성과
○ ’14. 7.: 정지궤도 기상위성 지상국 개발 과제 주관연구기관(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협약(본 사업 시작)
○ ’14. 11.: 지상국 개발 과제 감리용역 계약(한국정보기술단, 6년 장기계속 계약)
○ ’14. 12.: 후속 지상국 시스템 요구사항 검토 완료
○ ’15. 4.: 후속 지상국 시스템 개념설계 검토 완료
○ ’16. 1.: 시스템 예비설계 검토 완료
○ ’16. 11.: 시스템 상세설계 검토 완료
○ ’16. 12.: 기상‧우주기상 산출물 자료처리 알고리즘 과학코드 원형 개발 완료
○ ’17. 6.: 지상국 인프라(서버, 스토리지 등) 구축 완료
○ ’17. 6.: 대형안테나 2기 기반시설(장비실 및 지하관로 등) 공사 완료
○ ’17. 11.: 위성을 통한 기상정보 방송배포 계획 수립
○ ’17. 12.: 수신처리, 분석, 자료관리‧서비스 운영제어 시스템 구현 및 시험
○ ’18. 2.: 지상국 시스템시험 완료
○ ’18. 8.: 발사 전 시스템통합시험 완료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구분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ㅇ 정지궤도 기상위성 지상국 개발(R&D) |
16,487 |
12,390 |
8,890 |
- |
- |
내·외부 지적사항
○ 내‧외부 평가 결과
국가연구개발사업 R&D성과평가(상위평가) 중간평가 결과(‘17. 7.): ’보통‘
2016년 통합재정사업 자체평가결과 : '보통'
2018년도 추진 실적
1. 2018년도 실적 중 대표성과
○ 지상국시스템 전체 성능 검증을 위한 발사 전 시험 수행
- 단위시스템별 및 시스템간 연동 성능 시험(2월)
- 255 -
- 위성 발사 전 통합시험(모의자료 기반 end- to- end 수행) 완료(8월)
※ 대상 : 송수신, 자료처리, 분석, 자료관리·서비스, 운영제어 시스템
○ 위성 발사 대비 지상국시스템 초기 운영 준비
- 통합시험 후속 조치 및 위성 발사 전 지상국 운영자 교육(11월)
- 위성 발사(12월 5일 예정) 대비 지상국시스템 초기 운영 준비 완료(12월)
2. 2018년도 실적 자체 평가
○ 2018년도 목표 및 달성정도
- (목표) 지상국 통합시험 / (달성정도) 완료
성과지표 |
구분 |
'15 |
'16 |
'17 |
'18 |
'19 |
‘19목표치 산출근거 |
측정산식 (또는 측정방법) |
자료수집방법 (또는 자료출처) |
정지궤도 기상위성 지상국 개발 진척율 (단위: % ) |
목표 |
30 |
40 |
70 |
90 |
100 |
ㅇ전체 사업일정 대비 단계별 진척률로 지상국 개발 완수를 목표로 진척률 설정 - `19년은 지상국 개발 완료 시점으로 궤도상시험 및 발사 후 시스템시험과 인수시험을 완료하고 정상 운영을 준비하는 일정으로 100% 진척임 |
전체 사업 일정 대비 단계별 진척율(%) : 요구사항 기술단계(‘15.4, 10%), 개념설계 기술단계(’15.7, 15%), 예비설계 기술단계(`16.1, 30%), 상세설계 기술단계(`16.11, 40%), 시스템시험 기술단계(`18.2, 75%), 시스템통합시험 기술단계(`18.5, 90%), 발사 후 시스템 시험 기술단계(`19.7, 95%), 시스템 인수시험 및 운영준비 기술단계(`19.10, 100%) |
문서 및 관련 보고자료 |
실적 |
30 |
40 |
70 |
90 |
- |
||||
달성도 |
100 |
100 |
100 |
100 |
- |
2019년도 추진 계획
1. 2019년도 목표
○ 천리안위성 2A호 지상국 운영준비 완료
- 지상국 궤도상시험 실시 및 발사 후 시스템시험 완료
- 천리안위성 2A호 기본영상자료 대‧내외 서비스 개시
- 지상국 시스템 인수시험 및 현업 운영준비 완료
2. 2019년도 주요 추진내용
○ 위성 궤도상시험 기간 중 지상국 시스템 성능 점검 및 보완
- 실제 자료(AMI L1B)를 이용한 지상국 시험 운영 및 성능 점검(6월)
- 256 -
- 궤도상시험 기간 중 도출된 문제점 개선 및 보완(6월)
○ 천리안위성 2A호 운영 및 서비스 개시
- 천리안위성 2A호 운영 기본계획 수립 및 관련 규정 정비(상반기)
※ 관련 규정: 천리안위성 공동운영 규정, 천리안위성 기상업무 규정 등
- 지상국 시스템(분석, 통합조회표출, 맞춤형 브리핑 등) 사용자 교육(3월, 9월)
- 천리안위성 2A호의 사용자 맞춤형 영상처리 소프트웨어 배포(6월)
- 가시‧적외 채널 등 기본영상자료 대‧내외 서비스 개시(7월)
※ 실시간/비실시간 위성방송 및 지상망 서비스 개시
※ 기상산출물(레벨 2)자료는 현업화 이후 서비스 실시
○ 성공적인 「정지궤도 기상위성 지상국 개발 사업」 완료
- 지상국 인수 시험(10월) 및 시스템 인수(11월)
- 천리안위성 1호‧2A호 지상국 동시운영을 위한 통합운영 준비완료(12월)
- 선박용 기상방송수신기 해상시험(상반기) 및 시스템 고도화(하반기)
- 정기 감리 및 평가(1월, 8월, 11월)
(1) 2018년 추진내용과의 비교
(단위: 백만원) |
||
구분 |
2018년 |
2019년 |
□ 정지궤도 기상위성 지상국 개발(R&D) |
12,390 |
8,90 |
정지궤도 기상위성 지상국 개발 |
12,020 ·지상국 통합시험 및 현업화 |
8,642 ·지상국 시험운영 및 개선 |
- 수신처리시스템 시스템시험 및 발사전 시스템통합시험(3,520) - 위성관제시스템 시스템시험 및 발사전 시스템통합시험(800) - 자료관리 및 서비스시스템 시스템시험 및 발사전 시스템통합시험(5,650) - 기상 및 우주기상 자료처리 알고리즘 통합 및 현업화(1,250) - 기상위성자료 활용기술 최적화 및 현업화(800) |
- 수신처리시스템 발사후 시스템시험, 시험운영 및 개선(3,642) - 위성관제시스템 발사후 시스템시험, 시험운영 및 개선(800) - 자료관리 및 서비스시스템 발사후 시스템시험, 시험운영 및 개선(2,050) - 기상 및 우주기상 자료처리 알고리즘 시험운영 및 개선(800) - 기상위성자료 활용기술 시험운영 및 개선(1,350) |
|
운영기술 연구, 사업 관리 및 감리 |
370 - 감리용역(275) - 지상국 운영기술 연구 및 사업 관리(95) |
248 - 감리용역(153) - 지상국 운영기술 연구 및 사업 관리(95) |
○ 예산 증/감 또는 전년동일 사유
위성발사 후 궤도상시험 등을 수행하면서 지상국 시스템을 최종 점검하고 현업 운영을 준비하는 사업 종료시점이므로 개발비용 자연 감소(2019년 종료사업)
- 257 -
(2) 장비 도입 계획 : 해당 없음
(3) 2019년 예상 대표성과
○ 천리안위성 2A호 지상국 운영준비 완료
- 위성 궤도상 시험 기간 중 지상국 시스템 성능 점검 및 보완(6월)
- 천리안위성 2A호 초기 운영 및 서비스 실시(7월)
- 「정지궤도 기상위성 지상국 개발 사업」완료(12월)
- 258 -
2 |
기상·지진See- At기술개발연구 |
[ 기획조정관 연구개발담당관 ]
사업 개요
구분 |
내용 |
총사업기간 |
2001∼2020년(일몰시점) |
총사업비 |
해당없음(18년까지 기투자액: 251,030백만원) |
지원근거 |
∘ 과학기술기본법 제11조(국가연구개발사업의 추진) ∘기상법 제32조(기상업무에 관한 연구개발사업의 추진) ∘지진·지진해일·화산의 관측 및 경보에 관한 법률 제21조 등 |
지원형태 |
출연금(전액 국고, 기업참여 시 기업부담금) |
시행주체 |
기상청(한국기상산업기술원 대행) |
정책 연계성
○ 기상업무발전 기본계획(‘17~’21)
전략 5. 미래를 준비하는 기상업무 성장기반 조성
중점과제 5- 1. 신기술 및 융합 R&D를 통합 기상업무 선진화
○ 기상R&D 중장기 추진전략 핵심기술명
분야별 추진전략
1. 차세대 관측기술 개발
13. 극한기상 예측과 영향평가기술 개발
25. 미래형 지진조기경보 기술 개발
27. 지구물리 DB구축 및 모델링 기술 고도화
이슈별 추진전략
A.1. 극한기상·기후현상의 이해와 대응 연구
A.2. 날씨와 기후예측 위한 수치모델링 연구
A.5. 한반도 지진발생원 분석 및 조기경보 고도화 연구
- 259 -
○ 기타 법정계획 등
「제4차 과학기술기본계획」전략4. 과학기술로 모두가 행복한 삶 구현
· 추진과제 17.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안전한 사회 구현
「제3차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개발 종합계획」전략 1. 국민안전 확보를 위한 맞춤형 서비스 개발
· 추진과제 4. 재난 및 안전위험 요소 예측·영향평가 기술 개발
「제2차 과학기술 기반 국민생활(사회) 문제 해결 종합계획」
사업 최종목표
○ 기상·기후·지진 기술 개발 역량 강화를 통한 선진국 수준의 기술력 확보 및 기술개발 성과의 활용·확산
그동안 성과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선정(10개 과제)
미래형 기상인자 측정장치 개발(한국원자력연구원/김덕현)(’07)
사막, 해양, 구름 표적을 통한 통신해양기상위성의 복사 검보정 기법 개발(서울대학교/손병주)(’09)
식생 생장 계절 확장의 경향 분석을 통한 국가적 탄소정책 중요 근거 제시(서울대학교/허창회)(’11)
역학 및 통계적 기법을 결합한 한반도 상세 기후변화 정보 생산 기술 개발(공주대학교/서명석)(’13)
가뭄전망정보 생산기술 개발 및 제공 시스템 구축(세종대학교/배덕효)(’14)
북극 해빙 및 시베리아 강설량 정보를 활용한 동아시아 겨울 기후 예측 기술 개발(극지연구소/김백민)(’15)
기후 시스템 이해를 위한 인공위성 관측 기술 개발(서울대학교/손병주)(’15)
RCP에 따른 한반도 기후변화 표준시나리오 생산 및 극한강수 패턴 변화 연구(부산대학교/안중배)(‘17)
맨틀 내 사모아 플룸과 통가 섭입판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강원대학교/장성준)(‘17)
단층의 활동/재활동 시기 및 단층운동의 방향성 결정(연세대학교/송윤구)(‘18)
○「2016 기후변화대응 대표기술」10선 선정
RCP 시나리오를 이용한 한반도 상세 기후변화 전망자료 산출(공주대학교/서명석)(’15)
- 260 -
○ 기상장비 국산화 기술 확보 및 사업화 성과
친환경 소모성 표류부이 기술 개발 및 사업화 등 5건(’12)
천리안 기상위성 2차 산출물 처리 및 서비스 등 사업화 등 4건(’13)
멀티포인트 레이저 측정 방식 콤팩트 고점밀도 적설계 개발 및 사업화 등 12건(’14)
3차원 풍향풍속관측기술 개발 및 사업화 등 19건(’15)
국지적 안개 발생 대응 시스템 개발 및 사업화 등 27건(’16)
○ 정량적 성과(’12∼‘17년)
구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
논문 (건) |
SCI |
139 |
135 |
189 |
115 |
135 |
178 |
비SCI |
126 |
159 |
101 |
63 |
84 |
84 |
|
특허 (건) |
등록 |
22 |
46 |
26 |
31 |
27 |
20 |
출원 |
46 |
48 |
72 |
53 |
60 |
46 |
|
S/W등록(건) |
108 |
136 |
211 |
109 |
149 |
123 |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구분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ㅇ 기상·지진See- At기술개발연구 |
23,003 |
20,471 |
18,567 |
15,300 |
2,070 |
○ 사업구성
(단위: 백만원) |
|||||||
내역사업명 |
‘19년 총예산 |
계속(종료)과제 |
신규과제 |
||||
지정 |
품목지정 |
자유 |
지정 |
품목지정 |
자유 |
||
ㅇ 기상관측기술 |
2,907 |
1,330 (7) |
100 (1) |
1,477 (10) |
- |
- |
- |
ㅇ 기상예보기술 |
3,448 |
1,550 (6) |
1,225 (4) |
673 (5) |
- |
- |
- |
ㅇ 기후과학기술 |
4,585 |
4,585 (10) |
- |
- |
- |
- |
- |
ㅇ 지진화산기술 |
7,016 |
2,512.5 (9) |
2,050.5 (7) |
2,453 (15) |
- |
- |
- |
ㅇ 기획평가관리비 |
611 |
- |
- |
- |
- |
- |
- |
합계 |
18,567 (74) |
9,977.5 (32) |
3,375.5 (12) |
2,453 (30) |
- |
- |
- |
※ ’18년 연차평가 결과에 따라 ’19년 과제 예산은 조정 가능
- 261 -
내·외부 지적사항
○ 전문기관 기획평가관리비 이월에 대한 개선 필요(’17년/환노위 2016년 결산 검토보고서)
⇒ 이월 승인기준을 강화하고(용역 잔금 등 불가피한 경우만 승인), 기타 잔액은 불용 처리
○ ‘특이기상연구센터’ 연구실적 부풀리기 의혹 등 운영 전반에 대해 자체감사를 실시하고 개선 대책 마련 필요(‘18년/국정감사)
○ 2018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중간평가(상위평가) 결과: 우수(81.1점)(’18년/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8년도 추진 실적
1. 2018년도 실적 중 대표성과
○ 연안도시지역에 대한 집중관측 및 연안도시지역의 미세물리특성 분석 및 초단기예보모델 성능 실험
연안도시지역 11개 지점에 대해 우적계 및 우량계를 설치 및 집중관측, 강수입자분포를 이용한 미세물리 특성 및 예측 강우·강도장 연구
정량적 성과: SCI 2편, 특허출원 2건, S/W등록 2건
○ AlphaMet을 활용한 고해상도 가뭄상황 감시시스템 환경 구축
AlphaMet을 이용한 고해상도 강수 복원 자료 생산을 위한 입력자료 전처리 및 모델링 및 복원자료를 이용하여 시범지역에 대한 기후값 및 통계량 산출
정량적 성과: SCI 3편, S/W등록 1건, 학술대회 발표 2건
○ 기후예측시스템 결합 초기화 기술 개발
현업용 해양- 대기 자료동화 기법 개발, 현업용 지면자료동화 기법 개발 및 계절예측시스템을 위한 최적의 결합초기화 기법 개발
정량적 성과: SCI 6편(평균 mrnIF: 86.27)
○ 3차원 미세 지진·복합 지진 모델 파라미터 추정 기술 개발 및 검증
위성레이더의 미세 지진 지표변위 관측 기법을 활용하여 포항 지진에 의해 발생한 3차원 지표변위 관측 및 대형 복합지진의 지표변위 관측 및 변위 성분 분석을 통한 최적의 복합 지진 모델 파라미터 도출
정량적 성과: SCI 3편, 학술대회 발표 2건, 특허 출원 1건
- 262 -
2. 2018년도 실적 자체 평가
○ 2018년도 목표 및 달성정도
성과지표명 |
목표 |
실적 |
과학지식(논문)의 우수성(점)(mrnIF) |
67.05 |
67.19 |
과학기술(특허)의 우수성(점)(SMART점수) |
4.55 |
산출예정 (등록 10건) |
10억원당 S/W 등록성과 |
6.33 |
5.87 (112건/190.89억) |
* ’18년 성과는 미확정 성과이며, ’19년에 국가연구개발성과 조사·분석 완료 후 확정 예정
○ 개선 보완사항
- 기술적 성과(특허 등록성과)가 전년대비 감소(’17년: 20건)하여 기술적 성과 제고 필요
2019년도 추진 계획
1. 2019년도 목표
○ 기초연구 지원을 통한 기상·기후·지진 분야 연구성과의 질적 수준 향상
- 질적으로 우수한 연구성과를 확보해, 이를 기반으로 자연재해 예방을 위한 과학적 기반을 마련하여 국민 안전 확보 및 삶의 질 향상에 기여
2. 2019년도 주요 추진내용
○ 기상관측기술
- 윈드프로파일러 오차 원인별 도플러 스펙트럼 개선 기술 개발 및 검증
- GNSS RO를 이용한 저고도 영역 신호 스펙트럼 분석 및 오차 정량화 기법 개발
- 낙뢰 관측자료를 활용한 위험기상 미세물리 연구 및 낙뢰 동반 위험기상 특성 분석 및 활용기법 연구
- GPS 위성 반사파 신호 수신기를 이용한 토양수분 산출 알고리즘 개발
- 전방산란식 시정계(4~5종)와 기준기 간 비교관측 수행 및 비교관측 자료 상세분석 및 오차 정량화
- 토양수분 관측자료 보정기술 개발을 위한 현장 센서값과 실험실 분석값과의 관계식 도출
- 적외복사 및 자외복사 운영시스템 기술 개발 및 BSRN(Baseline Surface Radiation Network) 사이트 설계
- 263 -
○ 기상예보기술
- 다중역학모델 앙상블을 활용한 중기 태풍예측 시스템의 프로토 타입 개발
- 국제공동 집중관측 자료를 활용한 고정밀, 고분해능 중규모 분석장 생성 및 미세물리 모수화 개선 기반 마련
- 통계 모형을 활용한 풍수해 발생 가능성 분석 및 유역 단위 강수 위험도 기준 설정
- 라디오미터 복사량 자료의 직접동화 관측연산자 개발, 자료동화 시스템 탑재 및 모델 연동체계 구축
- 동해안 동풍 발생 기작 이해 및 수치모델 모의 동해안 동풍 특성 분석
- 앙상블 대기- 해양 결합시스템 및 통계 기반 예측기술 구축
○ 기후과학기술
- QBO- 중위도 대류권 연직 접함 메커니즘 분석 및 QBO로 인한 적도- 중위도 원격상관성 변화 역학 분석, 중위도 기후 통계 예측을 위한 원격 예측인자 물리 메커니즘 분석 등
- CMIP5 참여 GCM 강제력을 이용한 동아시아 상세 기후변화 전망 자료 생산 및 동아시아 현재 기후자료 생산
- 전지구 기후예측 시스템 결합 초기화 시스템 개발
- 대서양- 한반도 기후간 경년 변동성의 장주기 변동 메커니즘 분석 및 인도양- 서태평양 변동에 의한 원격상관 및 동아시아/한반도 기후 연구
○ 지진화산기술
- 대체적 지진조기경보시스템의 시험 운영 및 기계학습을 통한 P파 이상치 선별 및 자료 품질 개선
- 지진계 기록- 진도 변환식 및 진도 예측식 도출 및 시험, 대중 기반 진도 정보 생산 체계 운영 결과 분석 및 획득 정보 분석
- 한반도 인근 해외 발생 지진 및 시나리오 지진에 대한 한반도 전역 지진동 모델 개발
- 지진해일 성분 추출 알고리즘 개발, 지진 조기탐지 및 예·경보를 위한 해외 공조 체계 제시
- 기상청 지진 관측소 지반 조사 계획 및 활용방안 설계(1차년도)에 따른 지진 관측소 지반조사, 조사 지진 관측소에 대한 자료처리 및 증폭특성 규명
- 264 -
(1) 2018년 추진내용과의 비교
(단위: 백만원) |
||||
구분 |
2018년 |
2019년 |
||
□기상·지진See- At기술개발연구 |
20,471 |
18,567 |
||
기상관측기술 |
3,530 |
2,907 |
||
·윈드프로파일러 원시자료 품질개선 기술 개발 |
(200) |
·윈드프로파일러 원시자료 품질개선 기술 개발 |
(200) |
|
·GNSS RO를 이용한 저고도 대기변수 연직 프로파일 산출 기법의 개발 |
(150) |
·GNSS RO를 이용한 저고도 대기변수 연직 프로파일 산출 기법의 개발 |
(150) |
|
·기상청 낙뢰 신관측장비 자료의 융합활용을 위한 기반 연구 |
(150) |
·기상청 낙뢰 신관측장비 자료의 융합활용을 위한 기반 연구 |
(200) |
|
·GPS 반사파 신호를 이용한 토양수분 정보 산출 기술개발 |
(190) |
·GPS 반사파 신호를 이용한 토양수분 정보 산출 기술개발 |
(190) |
|
·시정계 관측자료 교정 및 성능시험 체계 구축 |
(200) |
·시정계 관측자료 교정 및 성능시험 체계 구축 |
(200) |
|
·토양수분 관측자료 보정 및 활용기술 개발 |
(200) |
·토양수분 관측자료 보정 및 활용기술 개발 |
(200) |
|
·국제수준의 일사관측망 운영시스템 기술개발 |
(190) |
·국제수준의 일사관측망 운영시스템 기술개발 |
(190) |
|
·기상관측장비 성능시험 방안 연구 |
(100) |
·기상관측장비 성능시험 방안 연구 |
(100) |
|
·연안도시지역의 강수특성을 고려한 레이더 초단기 강수예측 연구 |
(137) |
·연안도시지역의 강수특성을 고려한 레이더 초단기 강수예측 연구 |
(150) |
|
·해양 표층- 피층 수온관측 첨단기술 개발 및 활용 연구 |
(183) |
·해양 표층- 피층 수온관측 첨단기술 개발 및 활용 연구 |
(200) |
|
·<승정원일기>기상기록번역(1623~1799)과 주요기상·지진분포도개발연구Ⅰ |
(137) |
·<승정원일기>기상기록번역(1623~1799)과 주요기상·지진분포도개발연구Ⅰ |
(150) |
|
·도플러 라이다를 이용한 대기경계층 바람 분포 측정 |
(119) |
·도플러 라이다를 이용한 대기경계층 바람 분포 측정 |
(130) |
|
·지상기반 원격탐사 장비를 이용한 도시대기경계층고도의 산정 및 DB 작성 |
(146.5) |
·지상기반 원격탐사 장비를 이용한 도시대기경계층고도의 산정 및 DB 작성 |
(160) |
|
·융합자료기반 고해상도 지표면 온도 추정 기법 개발 |
(119) |
·융합자료기반 고해상도 지표면 온도 추정 기법 개발 |
(130) |
|
·한반도 주변 안개발생의 시공간 특성 분석을 위한 지상 및 위성관측 자료 통합 활용기법 개발 |
(110) |
·한반도 주변 안개발생의 시공간 특성 분석을 위한 지상 및 위성관측 자료 통합 활용기법 개발 |
(110) |
|
·인공지능 기반의 증발산 플럭스 관측자료 개선 및 이를 활용한 앙상블 재분석장 품질향상 기술개발 |
(137) |
·인공지능 기반의 증발산 플럭스 관측자료 개선 및 이를 활용한 앙상블 재분석장 품질향상 기술개발 |
(150) |
|
·종관기상관측소 지상 관측환경 평가시스템 구축 |
(137) |
·종관기상관측소 지상 관측환경 평가시스템 구축 |
(137) |
|
·관측- 모형 융합기술 기반 도심 건물숲 규모 3차원 기상정보 산출 기법 개발 |
(146) |
·관측- 모형 융합기술 기반 도심 건물숲 규모 3차원 기상정보 산출 기법 개발 |
(160) |
|
·파고 및 파향 검교정 기술개발 |
(300) |
- |
||
·간이형 파고관측 기술 개발 |
(150) |
- |
||
·다용도 스마트 기상관측방송시스템(SWOBS) 개발 |
(150) |
- |
||
·쌍수조를 활용한 중량식 우량계 개발 |
(200) |
- |
||
·전년 이월액: 21.5백만원 |
||||
기상예보기술 |
3,568 |
3,448 |
||
·태풍 중기예측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 |
(200) |
·태풍 중기예측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 |
(200) |
|
·국제공동 집중관측자료 기반의 강원지역 폭설 예측성 향상 연구 |
(300) |
·국제공동 집중관측자료 기반의 강원지역 폭설 예측성 향상 연구 |
(300) |
|
·초단기·단기·중기·장기 예측자료를 활용한 유역별 호우위험도 평가기술 개발 |
(250) |
·초단기·단기·중기·장기 예측자료를 활용한 유역별 호우위험도 평가기술 개발 |
(250) |
|
·라디오미터 자료의 수치예보 활용을 위한 기반기술 개발 |
(200) |
·라디오미터 자료의 수치예보 활용을 위한 기반기술 개발 |
(200) |
|
·동해안 지역에서 동풍유입과 관련한 기상특성에 대한 이해 |
(300) |
·동해안 지역에서 동풍유입과 관련한 기상특성에 대한 이해 |
(300) |
|
·대기- 해양 결합 예측을 통한 특이 해양기상 예보 정확도 향상 연구 |
(300) |
·대기- 해양 결합 예측을 통한 특이 해양기상 예보 정확도 향상 연구 |
(300) |
|
·기상예‧특보에 대한 체감정확도 산출 기술 개발 |
(85) |
·기상예‧특보에 대한 체감정확도 산출 기술 개발 |
(75) |
|
·전지구 한국형 항공난류 예측시스템(G- KTG)의 검증 및 확률 예보 시스템(P- G- KTG) 개발 |
(150) |
·전지구 한국형 항공난류 예측시스템(G- KTG)의 검증 및 확률 예보 시스템(P- G- KTG) 개발 |
(150) |
|
·라그랑지안 구름모델을 활용한 개선된 구름미세물리 모수화의 수치예보모델의 적용 및 에어로솔이 강수에 미치는 영향 분석 |
(100) |
·라그랑지안 구름모델을 활용한 개선된 구름미세물리 모수화의 수치예보모델의 적용 및 에어로솔이 강수에 미치는 영향 분석 |
(150) |
|
·AlphaMet을 활용한 고해상도 가뭄상황 감시시스템에 관한 연구 |
(150) |
·AlphaMet을 활용한 고해상도 가뭄상황 감시시스템에 관한 연구 |
(150) |
|
·극지역 마이크로파 해빙자료 생산개선을 통한 UM모델 자료 동화 초기장 개선 |
(136) |
·극지역 마이크로파 해빙자료 생산개선을 통한 UM모델 자료 동화 초기장 개선 |
(136) |
|
·최적 모조 소용돌이와 해양플럭스를 이용한 태풍의 예측 |
(55) |
·최적 모조 소용돌이와 해양플럭스를 이용한 태풍의 예측 |
(87) |
|
·한반도 호우 환경의 특이성과 호우 시스템 발생의 관계이해 |
(127) |
·한반도 호우 환경의 특이성과 호우 시스템 발생의 관계이해 |
(150) |
|
·폭염분야 장기원천기술연구(특이기상연구센터) |
(500) |
·폭염분야 장기원천기술연구(특이기상연구센터) |
(500) |
|
·가뭄분야 장기원천기술연구(특이기상연구센터) |
(500) |
·가뭄분야 장기원천기술연구(특이기상연구센터) |
(500) |
|
·소형 항공기 안전 운항 지원을 위한 기상예보 활용기술 개발 |
(200) |
- |
||
·전년 이월액: 11백만원 ·18년 집행잔액: 26백만원 |
||||
기후과학기술 |
4,585 |
4,585 |
||
·극/성층권/지면과정 변동 특성을 활용한 중위도 순환장 예측기술개발 |
(550) |
·극/성층권/지면과정 변동 특성을 활용한 중위도 순환장 예측기술개발 |
(550) |
|
·기후변화감시자료 통합분석을 이용한 기후시스템의 변화 진단 연구 |
(300) |
·기후변화감시자료 통합분석을 이용한 기후시스템의 변화 진단 연구 |
(300 |
|
·국가 기후변화대응정책 지원을 위한 지역기후 상세화 기법 고도화 및 상세 기후변화 정보 산출 |
(1,000) |
·국가 기후변화대응정책 지원을 위한 지역기후 상세화 기법 고도화 및 상세 기후변화 정보 산출 |
(1,000) |
|
·장기예보 지원을 위한 기후예측시스템의 결합 초기화 기술 개발 |
(500) |
·장기예보 지원을 위한 기후예측시스템의 결합 초기화 기술 개발 |
(600) |
|
·대양간 상호작용 및 변동에 기인한 한반도 기후예측 기술개발 |
(550) |
·대양간 상호작용 및 변동에 기인한 한반도 기후예측 기술개발 |
(550) |
|
·기후변화 영향조사 지원을 위한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 부문별 응용정보 활용기술 개발 |
(200) |
·기후변화 영향조사 지원을 위한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 부문별 응용정보 활용기술 개발 |
(300) |
|
·CMIP6 전지구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활용한 미래 우리나라 극한 기후 메커니즘 변화전망 |
(400) |
·CMIP6 전지구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활용한 미래 우리나라 극한 기후 메커니즘 변화전망 |
(400) |
|
·지구시스템모델 개발을 위한 선진 기후과정 성분모듈 진단 및 결합기술 |
(300) |
·지구시스템모델 개발을 위한 선진 기후과정 성분모듈 진단 및 결합기술 |
(400) |
|
·인위적 영향에 따른 동아시아 강수 시공간분포의 과거·미래변화 원인규명과 평가 |
(180) |
·인위적 영향에 따른 동아시아 강수 시공간분포의 과거·미래변화 원인규명과 평가 |
(185) |
|
·국가 온실가스정보 신뢰성 평가 체계 구축 및 WMO 파일럿 프로젝트 수행 기반 연구 |
(300) |
·국가 온실가스정보 신뢰성 평가 체계 구축 및 WMO 파일럿 프로젝트 수행 기반 연구 |
(300) |
|
·이상강수 발생과 관련된 주변 기압계 패턴 및 이에 영향을 주는 배경장 상태 분석 연구 |
(150) |
- |
||
·플라이스토세 후기 북서태평양 천년규모 기후변화: 프록시 복원과 모델 시뮬레이션 비교연구 |
(136) |
- |
||
·원격탐사자료를 활용한 대기 에어로솔 종류 구분 기법 고도화를 통한 에어로솔 종류별 복사 강제력 민감도 분석 및 기후변화 기여도 산정 |
(109) |
- |
||
·전년 이월액: 90백만원 |
||||
지진화산기술 |
7,395 |
7,016 |
||
·지진조기경보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지진조기분석 최적화 연구 |
(400) |
·지진조기경보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지진조기분석 최적화 연구 |
(400) |
|
·한반도 지진의 진도 정량평가를 위한 기술 개발 |
(500) |
·한반도 지진의 진도 정량평가를 위한 기술 개발 |
(400) |
|
·국외지진의 한반도 지진동 영향 추정기술개발 |
(600) |
·국외지진의 한반도 지진동 영향 추정기술개발 |
(300) |
|
·인공지진의 공중음파 분석을 위한 대기 전파모델 활용 연구 |
(300) |
·인공지진의 공중음파 분석을 위한 대기 전파모델 활용 연구 |
(300) |
|
·대륙지각 내부에서의 단층발생 메커니즘 연구 |
(150) |
·대륙지각 내부에서의 단층발생 메커니즘 연구 |
(150) |
|
·GNSS 자료를 이용한 남한의 지표변형 분석 및 지표변형과 지진의 상관관계 연구 |
(150) |
·GNSS 자료를 이용한 남한의 지표변형 분석 및 지표변형과 지진의 상관관계 연구 |
(150) |
|
·지진감지를 위한 지전류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300) |
·지진감지를 위한 지전류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250) |
|
·지진발생 원인 규명 기술분야 장기원천기술연구(지진특화연구센터) |
(500) |
·지진발생 원인 규명 기술분야 장기원천기술연구(지진특화연구센터) |
(500) |
|
·지진관측장비 국가표준 성능 측정 방안 연구 |
(200) |
·지진관측장비 국가표준 성능 측정 방안 연구 |
(150) |
|
·지진재해 예측·감시용 지하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운용 기반기술 개발 |
(350) |
·지진재해 예측·감시용 지하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운용 기반기술 개발 |
(350) |
|
·레이더 및 지진 자료의 융합을 통한 지진모델 파라미터 추정기술 개발 |
(200) |
·레이더 및 지진 자료의 융합을 통한 지진모델 파라미터 추정기술 개발 |
(280) |
|
·GNSS를 이용한 실시간 울릉도 화산전조 모니터링 연구 |
(95) |
·GNSS를 이용한 실시간 울릉도 화산전조 모니터링 연구 |
(95) |
|
·조석 상호작용이 고려된 실시간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기술 개발 |
(150) |
·조석 상호작용이 고려된 실시간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기술 개발 |
(150) |
|
·지진해일 조기탐지를 위한 지진해일 관측장비 활용 방법 연구 |
(200) |
·지진해일 조기탐지를 위한 지진해일 관측장비 활용 방법 연구 |
(300) |
|
·한- 중 백두산 공동 관측 장기연구(화산특화연구센터) |
(300) |
·한- 중 백두산 공동 관측 장기연구(화산특화연구센터) |
(500) |
|
·지진발생 지역에 대한 현장경보(On- Site Alarm) 기술 및 적용 연구 |
(300) |
·지진발생 지역에 대한 현장경보(On- Site Alarm) 기술 및 적용 연구 |
(300) |
|
·지진 현업분석프로그램의 모듈 분석 및 한반도 최적화 연구 |
(300) |
·지진 현업분석프로그램의 모듈 분석 및 한반도 최적화 연구 |
(300) |
|
·지진성 단층미끌림의 지질학적 기록 및 역학적 특성 |
(118) |
·지진성 단층미끌림의 지질학적 기록 및 역학적 특성 |
(125) |
|
·공중음파 관측용 초저주파 음향센서 국가측정표준 확립을 위한 1–20 Hz 대역 측정표준 기반 구축 |
(141) |
·공중음파 관측용 초저주파 음향센서 국가측정표준 확립을 위한 1–20 Hz 대역 측정표준 기반 구축 |
(141) |
|
·한반도 화산활동의 유발 원인에 대한 암석화학적 연구 |
(141) |
·한반도 화산활동의 유발 원인에 대한 암석화학적 연구 |
(141) |
|
·한반도 단층 주변의 지형과 밀도 구조가 지진 발생 및 재발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수치모형 개발 |
(141) |
·한반도 단층 주변의 지형과 밀도 구조가 지진 발생 및 재발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수치모형 개발 |
(141) |
|
·시간대 기반 활성단층의 단층면 방향성 분석 |
(141) |
·시간대 기반 활성단층의 단층면 방향성 분석 |
(150) |
|
·저궤도 초분광 위성 센서를 기반으로 한 이산화황 및 이산화탄소 농도비 산출을 통한 화산폭발 전조감시 기술 개발 |
(75) |
·저궤도 초분광 위성 센서를 기반으로 한 이산화황 및 이산화탄소 농도비 산출을 통한 화산폭발 전조감시 기술 개발 |
(80) |
|
·울릉도에서 발생 가능한 화산분화 유형 연구 |
(80) |
·울릉도에서 발생 가능한 화산분화 유형 연구 |
(100) |
|
·물리적 지진모델링을 이용한 한반도 강지진동 특성 이해 및 역사지진 규모 평가 비교 분석 연구 |
(120) |
·물리적 지진모델링을 이용한 한반도 강지진동 특성 이해 및 역사지진 규모 평가 비교 분석 연구 |
(150) |
|
·활성단층의 연대측정 방법 연구 |
(120) |
·활성단층의 연대측정 방법 연구 |
(150) |
|
·지구물리 조사 자료를 활용한 울릉도 화산 분화 잠재 가능성 연구 |
(150) |
·지구물리 조사 자료를 활용한 울릉도 화산 분화 잠재 가능성 연구 |
(187.5) |
|
·지역적 화산 특성을 고려한 화산재 확산 모델 정확도 향상 연구 |
(150) |
·지역적 화산 특성을 고려한 화산재 확산 모델 정확도 향상 연구 |
(250) |
|
·지진관측 증폭효과 보정을 위한 지역별 지표영향 연구 |
(200) |
·지진관측 증폭효과 보정을 위한 지역별 지표영향 연구 |
(225) |
|
·단층파괴이력을 고려한 지진해일 예측 기술 개발 |
(100) |
·단층파괴이력을 고려한 지진해일 예측 기술 개발 |
(112.5) |
|
·인공지능 기술 활용 지진감지업무 적용 기술 연구 |
(170) |
·인공지능 기술 활용 지진감지업무 적용 기술 연구 |
(188) |
|
·지진관측장비 성능시험의 체계적 운영을 위한 최적 기법 연구 |
(200) |
- |
||
·인공지진의 효율적인 TNT 추정기술분야 |
(85) |
- |
||
·지진관측시설과 관측환경 기준 설정 및 표준화 연구 |
(85) |
- |
||
·이동통신 시설을 이용한 지진 관측자료 생산 기술 연구 |
(200) |
- |
||
·전년 이월액: 47백만원 ·18년 집행잔액: 30백만원 |
||||
융합서비스기술 |
650 |
- |
||
·레인센서 빅데이터를 활용한 실시간 강우정보 생산 기술 개발 |
(212) |
- |
||
·기상기후 빅데이터를 활용한 도로 노면상태 위험도 예측 기술 개발 |
(200) |
|||
·IoT기반 도로위험기상정보 생산 및활용기술 고도화 |
(170) |
|||
·’18년 집행잔액: 68백만원 |
||||
기획평가관리비 |
743 |
611 |
- 265 -
○ 예산 증/감 또는 전년동일 사유
(단위: 백만원) |
|||
구분 |
’18년 예산 |
’19년 예산 |
변동내역 |
□기상·지진See- At기술개발연구 |
20,471 |
18,567 |
∘ 2020년 일몰에 따라 계속과제만 추진(△1,904백만원) |
기상관측기술 |
3,530 |
2,907 |
∘ 계속과제 연구비만 지원(종료과제 4개 등△623백만원) |
기상예보기술 |
3,568 |
3,448 |
∘ 계속과제 연구비만 지원(종료과제 1개 등△120백만원) |
기후과학기술 |
4,585 |
4,585 |
- |
지진화산기술 |
7,395 |
7,016 |
∘ 계속과제 연구비만 지원(종료과제 3개 등 △379백만원) |
융합서비스기술 |
650 |
- |
∘ 내역사업 일몰(종료과제 3개, 순감) |
기획평가관리비 |
743 |
611 |
∘ 관리예산 감소에 따라 감액(△132백만원) |
(2) 장비 도입 계획: 해당없음
(3) 2019년 예상 대표성과
○ 기상관측기술
- 윈드프로파일러 원시자료 처리 기법 개발 및 품질 개선 기술 개발, 신낙뢰관측자료를 활용한 뇌운의 미세물리 특성규명으로 수치모수화 개선, GPS 반사파 신호수신기를 이용한 토양수분 측정 기술 개발 등
○ 기상예보기술
- 앙상블 예측기법을 통한 중기 태풍예측 기술 개발, 강원지역 폭설 메커니즘 규명 및 강원지역 강설 발생 미세물리과정을 고려한 구름미세물리 모수화 개선 및 수치모델 예측성 향상 등
○ 기후과학기술
- CORDEX 동아시아 및 한반도에서의 상세 기후변화 정보 산출, 한반도 기후 변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기후 인자 개발을 통한 계절 예측성 향상 기술 개발 등
○ 지진화산기술
- 국내 지진관측환경과 지진조기경보에 최적화된 지진파 위상조합 기술 개발 및 국가지진조기경보시스템에의 적용, 지진기록- 진도 변환식을 이용한 국내 지진 진도 예측식 개발, 국외 지진에 의한 한반도 지진동 추정기술 및 시나리오 지진 개발 등
- 266 -
별첨 |
2019년‘기상·지진See- At기술개발연구’연구과제 목록 |
(단위: 백만원) |
|||||||||||||
내역사업명 |
구분 |
순서 |
시작년도 |
과제명 |
연구기간(년) |
연구비 |
공모형태 |
주관연구 |
분야별 기술코드* |
이슈별 기술코드* |
기술 분류 코드** |
||
총 연구비 |
‘19년 |
기관명 |
책임자 |
||||||||||
기상관측기술 |
계속 |
1 |
’18 |
GNSS RO를 이용한 저고도 대기변수 연직 프로파일 산출 기법의 개발 |
3 |
450 |
150 |
지정 |
부산대학교 |
이승우 |
O.3.2 |
A.1.1 |
O0104 |
2 |
시정계 관측자료 교정 및 성능시험 체계 구축 |
3 |
600 |
200 |
지정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김용규 |
O.5.4 |
A.1.1 |
O0201 |
|||
3 |
토양수분 관측자료 보정 및 활용기술 개발 |
3 |
600 |
200 |
지정 |
(재)국가농림기상센터 |
강민석 |
O.1.1 |
A.1.1 |
O0106 |
|||
4 |
국제수준의 일사관측망 운영시스템 기술개발 |
3 |
570 |
190 |
지정 |
강릉원주대학교 |
이규태 |
O.5.4 |
A.1.1 |
O0101 |
|||
5 |
연안도시지역의 강수특성을 고려한 레이더 초단기 강수예측 연구 |
3 |
450 |
150 |
자유 |
부경대학교 |
이동인 |
O.4.2 |
A.1.3 |
O0101 |
|||
6 |
해양 표층.피층 수온관측 첨단기술 개발 및 활용 연구 |
3 |
583 |
200 |
자유 |
서울대학교 |
박경애 |
O.1.1 |
A.1.1 |
O0102 |
|||
7 |
<승정원일기>기상기록번역(1623~1799)과주요기상·지진분포도개발연구Ⅰ |
3 |
437 |
150 |
자유 |
(사)한국기상전문인협회 |
김일권 |
기타 |
기타 |
O0101 |
|||
8 |
도플러 라이다를 이용한 대기경계층 바람 분포 측정 |
3 |
379 |
130 |
자유 |
서울대학교 |
김상우 |
O.1.1 |
A.1.1 |
O0105 |
|||
9 |
지상기반 원격탐사 장비를 이용한 도시대기경계층고도의 산정 및 DB 작성 |
3 |
466.5 |
160 |
자유 |
한국외국어대학교 |
박문수 |
O.1.1 |
A.1.1 |
O0103 |
|||
10 |
융합자료기반 고해상도 지표면 온도 추정 기법 개발 |
3 |
357 |
130 |
자유 |
부경대학교 |
한경수 |
O.3.2 |
A.1.1 |
O0104 |
|||
11 |
한반도 주변 안개발생의 시공간 특성 분석을 위한 지상 및 위성관측 자료 통합 활용기법 개발 |
3 |
330 |
110 |
자유 |
공주대학교 |
서명석 |
O.1.1 |
A.1.1 |
O0101 |
|||
12 |
인공지능 기반의 증발산 플럭스 관측자료 개선 및 이를 활용한 앙상블 재분석장 품질향상 기술개발 |
3 |
537 |
150 |
자유 |
부경대학교 |
이양원 |
O.1.1 |
A.1.1 |
O0101 |
|||
13 |
종관기상관측소 지상 관측환경 평가시스템 구축 |
3 |
411 |
137 |
자유 |
부경대학교 |
김재진 |
O.1.2 |
A.1.1 |
O0101 |
|||
14 |
관측- 모형 융합기술 기반 도심 건물숲 규모 3차원 기상정보 산출 기법 개발 |
3 |
466 |
160 |
자유 |
공주대학교 |
이상현 |
O.1.1 |
A.1.1 |
O0101 |
|||
종료 |
1 |
’18 |
윈드프로파일러 원시자료 품질개선 기술 개발 |
2 |
400 |
200 |
지정 |
부경대학교 |
권병혁 |
O.1.3 |
A.1.1 |
O0103 |
|
2 |
기상청 낙뢰 신관측장비 자료의 융합활용을 위한 기반 연구 |
2 |
350 |
200 |
지정 |
부경대학교 |
이동인 |
O.1.1 |
A.1.1 |
O0106 |
|||
3 |
GPS 반사파 신호를 이용한 토양수분 정보 산출 기술개발 |
2 |
380 |
190 |
지정 |
세종대학교 |
홍성욱 |
O.1.1 |
A.1.1 |
O0106 |
|||
4 |
기상관측장비 성능시험 방안 연구 |
2 |
200 |
100 |
품목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김용규 |
O.5.4 |
A.1.1 |
O0201 |
|||
기상에보기술 |
계속 |
1 |
’18 |
국제공동 집중관측자료 기반의 강원지역 폭설 예측성 향상 연구 |
3 |
900 |
300 |
지정 |
경북대학교 |
이규원 |
F.13.2 |
A.1.3 |
O0101 |
2 |
초단기·단기·중기·장기 예측자료를 활용한 유역별 호우위험도 평가기술 개발 |
3 |
750 |
250 |
지정 |
노아에스앤씨 |
박인찬 |
F.10.1 |
A.1.5 |
F0204 |
|||
3 |
라디오미터 자료의 수치예보 활용을 위한 기반기술 개발 |
3 |
600 |
200 |
지정 |
이화여자대학교 |
안명환 |
F.7.2 |
A.2.1 |
F0102 |
|||
4 |
동해안 지역에서 동풍유입과 관련한 기상특성에 대한 이해 |
3 |
900 |
300 |
지정 |
이화여자대학교 |
박선기 |
F.13.3 |
A.1.3 |
F0101 |
|||
5 |
대기- 해양 결합 예측을 통한 특이 해양기상 예보 정확도 향상 연구 |
3 |
900 |
300 |
지정 |
제주대학교 |
문재홍 |
F.6.1 |
A.2.5 |
F0105 |
|||
6 |
기상예‧특보에 대한 체감정확도 산출 기술 개발 |
3 |
300 |
75 |
품목 |
서울대학교 |
임규호 |
F.10.1 |
A.1.5 |
F0202 |
|||
7 |
전지구 한국형 항공난류 예측시스템(G- KTG)의검증 및 확률 예보 시스템(P- G- KTG) 개발 |
3 |
450 |
150 |
자유 |
연세대학교 |
전혜영 |
F.10.3 |
A.4.1 |
F0305 |
|||
8 |
라그랑지안 구름모델을 활용한 개선된 구름미세물리 모수화의 수치예보모델의 적용 및 에어로솔이 강수에 미치는 영향 분석 |
3 |
400 |
150 |
자유 |
연세대학교 |
노의근 |
F.6.4 |
A.2.2 |
F0101 |
|||
9 |
AlphaMet을 활용한 고해상도 가뭄상황 감시시스템에 관한 연구 |
3 |
450 |
150 |
자유 |
부경대학교 |
오재호 |
C.14.4 |
A.1.3 |
H0301 |
|||
10 |
극지역 마이크로파 해빙자료 생산개선을 통한 UM모델 자료 동화 초기장 개선 |
3 |
408 |
136 |
자유 |
서울대학교 |
손병주 |
F.7.2 |
A.2.1 |
F0102 |
|||
11 |
최적 모조 소용돌이와 해양플럭스를 이용한 태풍의 예측 |
3 |
229 |
87 |
자유 |
부경대학교 |
정형빈 |
F.11.1 |
A.1.3 |
F0101 |
|||
12 |
한반도 호우 환경의 특이성과 호우 시스템 발생의 관계이해 |
3 |
427 |
150 |
자유 |
연세대학교 |
박상훈 |
F.13.1 |
A.1.2 |
F0202 |
|||
13 |
’17 |
폭염분야 장기원천기술연구(특이기상연구센터) |
9 |
4,500 |
500 |
품목 |
울산과학기술원 |
이명인 |
F.13.4 |
A.1.3 |
F0304 |
||
14 |
’18 |
가뭄분야 장기원천기술연구(특이기상연구센터) |
9 |
4,500 |
500 |
품목 |
전남대학교 |
정지훈 |
F.13.4 |
A.1.3 |
F0305 |
||
종료 |
1 |
’18 |
태풍 중기예측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 |
2 |
400 |
200 |
지정 |
서울대학교 |
허창회 |
F.11.5 |
A.1.3 |
F0301 |
|
기후과학기술 |
계속 |
1 |
’18 |
극/성층권/지면과정 변동 특성을 활용한 중위도 순환장 예측기술개발 |
3 |
1,650 |
550 |
지정 |
서울대학교 |
손석우 |
C.19.1 |
A.2.3 |
C0202 |
2 |
기후변화감시자료 통합분석을 이용한 기후시스템의 변화 진단 연구 |
3 |
900 |
300 |
지정 |
서울대학교 |
김상우 |
C.22.2 |
A.2.3 |
C0103 |
|||
3 |
국가 기후변화대응정책 지원을 위한 지역기후 상세화 기법 고도화 및 상세 기후변화 정보 산출 |
3 |
3,000 |
1000 |
지정 |
울산과학기술원 |
차동현 |
C.18.3 |
A.2.4 |
C0204 |
|||
4 |
장기예보 지원을 위한 기후예측시스템의 결합 초기화 기술 개발 |
3 |
1,700 |
600 |
지정 |
울산과학기술원 |
이명인 |
C.14.2 |
A.2.3 |
C0203 |
|||
5 |
대양간 상호작용 및 변동에 기인한 한반도 기후예측 기술개발 |
3 |
1,650 |
550 |
지정 |
한양대학교 |
예상욱 |
C.19.1 |
A.2.3 |
C0205 |
|||
6 |
기후변화 영향조사 지원을 위한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 부문별 응용정보 활용기술 개발 |
3 |
800 |
300 |
지정 |
건국대학교 |
최영은 |
C.23.1 |
A.3.3 |
C0204 |
|||
7 |
CMIP6 전지구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활용한 미래 우리나라 극한 기후 메커니즘 변화전망 |
3 |
1,200 |
400 |
지정 |
공주대학교 |
김맹기 |
C.16.3 |
A.3.3 |
C0204 |
|||
8 |
지구시스템모델 개발을 위한 선진 기후과정 성분모듈 진단 및 결합기술 |
3 |
1,100 |
400 |
지정 |
연세대학교 |
염성수 |
C.16.1 |
A.2.3 |
C0201 |
|||
9 |
인위적 영향에 따른 동아시아 강수 시공간분포의 과거·미래변화 원인규명과 평가 |
3 |
550 |
185 |
지정 |
포항공과대학교 |
민승기 |
C.16.3 |
A.3.2 |
C0204 |
|||
10 |
국가 온실가스정보 신뢰성 평가 체계 구축 및 WMO 파일럿 프로젝트 수행 기반 연구 |
3 |
900 |
300 |
지정 |
서울대학교 |
정수종 |
C.21.1 |
A.3.1 |
C0201 |
|||
지진화산기술 |
계속 |
1 |
’17 |
지진발생 원인 규명 기술분야 장기원천기술연구(지진특화연구센터) |
9 |
4,212 |
500 |
품목 |
경북대학교 |
유인창 |
E.26.1 |
A.5.1 |
E0405 |
2 |
’18 |
조석 상호작용이 고려된 실시간 전지구 지진해일 예측시스템 기술 개발 |
3 |
450 |
150 |
지정 |
강원대학교 |
하태민 |
E.27.3 |
A.5.3 |
E0101 |
||
3 |
지진해일 조기탐지를 위한 지진해일 관측장비 활용 방법 연구 |
3 |
800 |
300 |
지정 |
한양대학교 |
최지웅 |
E.24.1 |
A.5.2 |
E0205 |
|||
4 |
한- 중 백두산 공동 관측 장기연구(화산특화연구센터) |
9 |
4,300 |
500 |
품목 |
부산대학교 |
윤성효 |
E.24.1 |
A.5.2 |
E0101 |
|||
5 |
지진발생 지역에 대한 현장경보(On- Site Alarm) 기술 및 적용 연구 |
3 |
900 |
300 |
품목 |
케이아이티밸리㈜ |
이호준 |
E.25.4 |
A.5.4 |
E0102 |
|||
6 |
지진 현업분석프로그램의 모듈 분석 및 한반도 최적화 연구 |
3 |
900 |
300 |
품목 |
전남대학교 |
신동훈 |
E.24.3 |
A.5.3 |
E0201 |
|||
7 |
지진성 단층미끌림의 지질학적 기록 및 역학적 특성 |
3 |
368 |
125 |
자유 |
경상대학교 |
한래희 |
E.26.3 |
A.5.1 |
E0201 |
|||
8 |
공중음파 관측용 초저주파 음향센서 국가측정표준 확립을 위한 1–20 Hz 대역 측정표준 기반 구축 |
3 |
423 |
141 |
자유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조완호 |
E.24.1 |
A.5.2 |
E0101 |
|||
9 |
한반도 화산활동의 유발 원인에 대한 암석화학적 연구 |
3 |
423 |
141 |
자유 |
충남대학교 |
최성희 |
E.24.1 |
A.5.1 |
E0101 |
|||
10 |
한반도 단층 주변의 지형과 밀도 구조가 지진 발생 및 재발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수치모형 개발 |
3 |
423 |
141 |
자유 |
강원대학교 |
소병달 |
E.27.2 |
A.5.1 |
E0401 |
|||
11 |
시간대 기반 활성단층의 단층면 방향성 분석 |
3 |
441 |
150 |
자유 |
연세대학교 |
송윤구 |
E.26.3 |
A.5.1 |
E0402 |
|||
12 |
저궤도 초분광 위성 센서를 기반으로 한 이산화황 및 이산화탄소 농도비 산출을 통한 화산폭발 전조감시 기술 개발 |
3 |
235 |
80 |
자유 |
부경대학교 |
이한림 |
E.24.1 |
A.5.2 |
E0101 |
|||
13 |
울릉도에서 발생 가능한 화산분화 유형 연구 |
3 |
280 |
100 |
자유 |
안동대학교 |
황상구 |
E.24.1 |
A.5.1 |
E0102 |
|||
14 |
물리적 지진모델링을 이용한 한반도 강지진동 특성 이해 및 역사지진 규모 평가 비교 분석 연구 |
3 |
420 |
150 |
자유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송석구 |
E.27.2 |
A.5.1 |
E0201 |
|||
15 |
활성단층의 연대측정 방법 연구 |
3 |
420 |
150 |
자유 |
강원대학교 |
이희권 |
E.26.3 |
A.5.1 |
E0206 |
|||
16 |
지구물리 조사 자료를 활용한 울릉도 화산 분화 잠재 가능성 연구 |
3 |
700 |
187.5 |
지정 |
강원대학교 |
오석훈 |
E.24.1 |
A.5.1 |
E0204 |
|||
17 |
지진관측 증폭효과 보정을 위한 지역별 지표영향 연구 |
3 |
900 |
225 |
지정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김한샘 |
E.27.1 |
A.5.1 |
E0204 |
|||
18 |
단층파괴이력을 고려한 지진해일 예측 기술 개발 |
3 |
500 |
112.5 |
품목 |
고려대학교 |
손상영 |
E.25.3 |
A.5.3 |
E0304 |
|||
19 |
인공지능 기술 활용 지진감지업무 적용 기술 연구 |
3 |
850 |
188 |
품목 |
고려대학교 |
구본화 |
E.25.2 |
A.5.3 |
E0201 |
|||
종료 |
1 |
’17 |
지진조기경보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지진조기분석 최적화 연구 |
3 |
1,180 |
400 |
지정 |
전남대학교 |
신동훈 |
E.25.1 |
A.5.4 |
E0205 |
|
2 |
한반도 지진의 진도 정량평가를 위한 기술 개발 |
3 |
1,325 |
400 |
지정 |
서울대학교 |
김성룡 |
E.25.2 |
A.5.3 |
E0201 |
|||
3 |
국외지진의 한반도 지진동 영향 추정기술개발 |
3 |
1,360 |
300 |
지정 |
서울대학교 |
이준기 |
E.25.2 |
A.5.4 |
E0201 |
|||
4 |
인공지진의 공중음파 분석을 위한 대기 전파모델 활용 연구 |
3 |
847 |
300 |
지정 |
케이아이티밸리㈜ |
이석태 |
E.24.3 |
A.5.3 |
E0201 |
|||
5 |
대륙지각 내부에서의 단층발생 메커니즘 연구 |
3 |
402 |
150 |
자유 |
서울대학교 |
정해명 |
E.26.3 |
A.5.1 |
E0401 |
|||
6 |
GNSS 자료를 이용한 남한의 지표변형 분석 및 지표변형과 지진의 상관관계 연구 |
3 |
408 |
150 |
자유 |
고려대학교 |
이진한 |
E.26.3 |
A.5.1 |
E0402 |
|||
7 |
지진감지를 위한 지전류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3 |
658 |
250 |
자유 |
㈜지오룩스 |
이희순 |
E.24.1 |
A.5.2 |
E0101 |
|||
8 |
지진관측장비 국가표준 성능 측정 방안 연구 |
3 |
450 |
150 |
품목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이용봉 |
E.24.1 |
A.5.2 |
E0101 |
|||
9 |
지진재해 예측·감시용 지하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운용 기반기술 개발 |
3 |
796 |
350 |
자유 |
연세대학교 |
우남칠 |
E.24.1 |
A.5.3 |
E0201 |
|||
10 |
레이더 및 지진 자료의 융합을 통한 지진모델 파라미터 추정기술 개발 |
3 |
565 |
280 |
자유 |
서울시립대학교 |
정형섭 |
E.27.2 |
A.5.1 |
E0301 |
|||
11 |
GNSS를 이용한 실시간 울릉도 화산전조 모니터링 연구 |
3 |
270 |
95 |
자유 |
부산대학교 |
이승우 |
E.24.1 |
A.5.2 |
E0404 |
|||
12 |
’18 |
지역적 화산 특성을 고려한 화산재 확산 모델 정확도 향상 연구 |
2 |
400 |
250 |
지정 |
서울대학교 |
이현우 |
E.24.3 |
A.5.3 |
E0101 |
||
합계 |
- |
- |
- |
- |
- |
64,136.5 |
17,956 |
- |
- |
- |
- |
- |
- |
- 267 -
3 |
연직바람 관측장비 융합기술 개발 |
[ 관측기반국 계측기술과 ]
사업 개요
구분 |
내용 |
총사업기간 |
‘17~'21(5년) |
총사업비 |
52.67억원 |
지원근거 |
기상법 제32조(기상업무에 관한 연구개발사업의 추진) 민군기술협력사업 촉진법 제3조(민·군기술협력사업) |
지원형태 |
출연(전액 국고) |
시행주체 |
기상청(민군협력진흥원) |
정책 연계성
○ 기상업무발전 기본계획(‘17~’21) : 기상예보 기술과 관측 인프라 고도화
핵심 기상관측망 구축 및 기상장비 관리 강화
○ 기상R&D 중장기 로드맵(2016)의 전략기술명: 원격탐사장비의 핵심기술개발
연직바람 관측장비 융합기술개발
사업 최종목표
○ 군사 부문과 비군사 부문 간 기상기술협력 활성화를 통해 기상관측 경쟁력 및 국방력 강화를 위한 민·군 공동 활용 고층기상관측용 연직바람 관측장비 기술 및 검증체계 개발
연직바람 관측장비 시스템(H/W) 제작 및 통합기술(S/W) 개발
연직바람 관측장비 현장시험 검증 및 활용기술 개발
그동안 성과
○ ’17년도 민군 부처연계협력기술개발사업 수요조사·제기(’15.9)
○ 부처연계협력기술개발사업(연직바람관측장비) 선정(‘16.4.1, 제6회 민군특위)
- 268 -
○ ‘17년도 부처연계협력기술개발사업 소요예산 확보(출연금 9억원)
○ 기상청국방과학연구소(민군협력진흥원) 간 협약체결(’17.3)
○ 주관연구기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정(’17.5), 협약포기(’17.8)
○ 주관연구기관 선정을 위한 제안서 재공모(’17.8~9)
○ 주관연구기관 알에프코어 협약 및 사업 착수보고회(’17.11)
○ 연구개발계획서 및 관리계획서 2차 수정(’18.1)
○ SRR(요구사항 검토) 및 중간보고회(’18.4)
○ 성과목표·지표 설정 관련 회의(’18.7)
○ 민·군기술협력사업 관계부처 설명회 및 의견수렴(’18.8)
○ 과제 검증위원회 구성(’18.8)
○ PDR(기본설계 검토) 및 2차년도 성과 점검회의(’18.12)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구분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ㅇ 연직바람 관측장비 융합기술개발 |
900 |
557 |
1,195 |
1,345 |
1,270 |
내·외부 지적사항
○ 주관연구기관 선정 지연(5개월)에 따른 예산 감액(5억원, ’17년 정기국회)
2018년도 추진 실적
1. 2018년도 실적 중 대표성과
○ 1차년도 연직바람 관측장비 구조 및 형상설계 기술과 연계된 2차년도 관측장비 시스템 구조 및 형상 설계 고정형 모델 개발
- 고정형모델 H/W 설계 및 제작
- 고정형모델 S/W 설계 및 구현
- 클러터 펜스 M&S 및 설계
- TestBed 요구사항 분석 및 평가방안 수립
- 269 -
2. 2018년도 실적 자체 평가
○ 2018년도 목표 및 달성정도
- 평가결과 : 계속(연차목표를 달성하고 개발성공의 가능성이 높은 경우)
※ 참고: 평가 등급(계속, 보완, 중단, 조기종료)
- 평가기관(일) : 민군협력진흥원(11.1)
- 관련규정 : 민군기술협력사업 공동시행규정 제31조
2019년도 추진 계획
1. 2019년도 목표
○ 연직바람 관측장비 H/W 개발
- 주파수 : 1.29GHz
- 송수신전단기 단일모듈 RF 출력 : ≥0.2kW
- 안테나 수신 유효면적 × 피크출력 : ≥1.8kW·㎡
○ 시뮬레이터 개발
- RF 모의신호발생기 설계/제작/시험
○ 연직바람 관측장비 S/W 개발
- 시스템 인터페이스 상세설계/개발
- S/W 플랫폼 구축 및 검증
- 기상변수 산출기술 개발
- 비기상 에코 제거 기술
- 청천/강수 에코 구분 기술
○ TestBed 운영 및 안전성 평가 기술 개발
- TestBed 선정
- 수직측풍 forward operator 기술 개발
2. 2019년도 주요 추진내용
○ 연직바람 관측장비 H/W 개발
- 옥외장치 : RF 송수신전단부, 위상배열안테나부 구성품 제작/시험
- 옥내장치 : 송수신부 구성품 수정/보완
○ 시뮬레이터 개발
- RF 모의신호발생기 설계/제작/시험
- 270 -
○ 연직바람 관측장비 S/W 개발
- 제어, 상태 인터페이스 상세설계/개발
- S/W 프로그램 통합 및 시험
- 수직측풍기 신호처리 기술 개발
- 바람장 산출 기술 고도화, 반사도 산출 기술 기초개발
- 비기상 에코 제거, 청천/강수 에코 구분 알고리즘 구축
○ TestBed 운영 및 안전성 평가 기술 개발
- TestBed 선정 및 운영방안 수립
- 수직측풍 forward operator 기술 개발
(1) 2018년 추진내용과의 비교
(단위: 백만원) |
||
구분 |
2018년 |
2019년 |
□ 연직바람 관측장비 융합기술개발 |
557 |
1,195 |
연직바람 관측장비 융합기술개발 |
540 ·검증모듈 설계·제작(275) ·성능검증 파라미터 설계(80) ·신호처리 플랫폼 상세설계(120) ·품질관리 알고리즘 설계(65) |
1,160 ·H/W, S/W, 통합기술, 시험평가 기술 제작 및 조립(1,160) |
기획평가관리 |
17 ·기획평가관리비(17) |
35 ·기획평가관리비(35) |
○ 예산 증/감 또는 전년동일 사유
- 총사업비 연차소요 반영에 따라 전년도 감액 대비 증액(638백만원)
·연직바람 관측장비 HW, SW, 통합, 성능시험 기술개발
(2) 장비 도입 계획 : 해당사항 없음
(3) 2019년 예상 대표성과
○ 연직바람 관측장비 H/W 개발
- 주파수 : 1.29GHz
- 송수신전단기 단일모듈 RF 출력 : ≥0.2kW
- 안테나 수신 유효면적 × 피크출력 : ≥1.8kW·㎡
- 271 -
○ 시뮬레이터 개발
○ 연직바람 관측장비 S/W 개발
- 시스템 인터페이스 상세설계/개발
- S/W 플랫폼 구축 및 검증
- 기상변수 산출기술 개발
- 비기상 에코 제거 기술
- 청천/강수 에코 구분 기술
○ TestBed 운영 및 안전성 평가 기술 개발
- 272 -
4 |
한국형수치예보모델 개발(출연연구부분) |
[ 수치모델링센터 수치모델개발과 ]
사업 개요
구분 |
내용 |
총사업기간 |
2011년 ~ 2019년 |
총사업비 |
946억원 |
지원근거 |
기상법 제5조제3항, 기상법 제32조 |
지원형태 |
출연금 |
시행주체 |
(재)한국형수치예보모델개발사업단 |
정책 연계성
○ 기상업무발전 기본계획(`17~’21): 예보기술력 향상 및 예보시스템 개선
○ 기상R&D 중장기 추진전략 핵심기술명: 차세대 수치예보모델 개발 및 현업화 기술개발
(분야별 추진전략) 날씨예보정확도 향상을 위한 핵심기술개발
(이슈별 추진전략) 날씨와 기후예측을 위한 수치모델링 연구
○ 기타 법정계획 등
문재인 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 中 [20대 국정전략 3- 3] 국민 안전과 생명을 지키는 안심사회
‧(맞춤형 스마트 기상정보 제공) 예보 신뢰도 향상을 위한 개발 및 운영: 한국형전지구수치예보모델 개발완료(’19년)
4차 과학기술기본계획(`18∼`22년): 대규모 재해로부터 국민을 지키는 안전확보체계 구축
사업 최종목표
○ 기초기술 개발 및 국내・외 협력을 통한 세계적 수준의 한국형수치예보모델 개발로 2020년까지 세계적인 수치예보분야 기술경쟁력 확보
- 273 -
그동안 성과(사업시작연도 이후부터의 주요성과(산출물) 간략히 기술, 해당연도 표기)
○ 1단계(‘11~’13) 연구개발 성과
독자적 수치예보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인력 등 기반구축 완료
한국형수치예보모델 초기 버전 개발 및 예측실험 성공
○ 2단계(‘14~’16) 연구개발 성과
독자기술을 기반으로 한 핵심모듈(역학코어, 물리과정, 자료동화) 개발
핵심모듈의 결합을 통한 한국형수치예보시스템 시험버전 개발완료
준실시간 운영 가능 시험예보시스템 프레임워크 개발
시험버전의 준실시간 운영 및 현업 모델과의 성능 비교 수행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구분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ㅇ 한국형수치예보모델개발 |
8,744 |
9,169 |
8,302 |
- |
- |
○ 사업구성(공모사업만 작성): 해당사항 없음
내·외부 지적사항
○ 한국형수치예보모델개발사업의 인건비 조정 및 전문인력 활용방안 마련 필요(예산정책처, 2017년도 예산안 분석 종합)
- `17년 8월 기준, 정원 대비 현원 100%(58명/58명) 충원으로 인건비 100% 집행 예상
- `20년 이후 한국형수치예보모델개발 사업의 성과를 기반으로한 수치예보시스템 고도화를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 추진 중(‘18.5.~)
○ ’16년 한국형수치예보모델 테스트베드 운영을 위한 외부전산자원 임차료 절감방안 마련(감사원)
- ‘16년부터 외부전산자원 임차료 예산 미반영
○ ’17년 예산안 예산정책처 보고서 : 연구인력의 결원으로 출연금의 잔액 발생이 지속되고 있어 인력 충원 가능성 등을 고려한 인건비 등의 예산안 조정이 요구
- 274 -
○ ’17년 국정감사 지적사항
- 출연금 이월시 예산목적에 맞게 동일비목으로 이월할 것
- 사업종로 후속사업에 대한 구체적 계획 수립필요
2018년도 추진 실적
1. 2018년도 실적 중 대표성과
○ 역학코어 개발
- 고해상도 비정역학 역학코어의 고도화
- 실시간 검증을 통한 고해상도 역학코어 개선
○ 물리과정 개발
- 실시간 검증을 통한 고해상도 물리과정 개선
- 개별 물리과정 간의 일관성 확보
- 관측 및 분석 자료를 활용한 시스템적 편향 진단 및 물리과정 개선
- 물리과정 불확실성을 포함한 통합 수치계 방안 완성
○ 관측자료 전처리 및 자료동화 개발
- 신규 관측자료 추가 및 전처리 시스템고도화
- 타 기관과의 관측자료 전처리 비교를 통한 분석장 성능 향상
- 4차원 앙상블- 변분 자료동화시스템 검증 및 개선
- 확장된 앙상블 자료동화를 통한 초기장 품질 향상
- 시험 운영 검증을 통한 자료동화 시스템 성능 향상
○ 시스템모듈 개발
- 병행 예보 시스템 구축 및 모니터링 환경 개선
- 모델 및 자료동화 시스템 최적화 및 병렬화
- 다양한 슈퍼컴 아키텍처에 대한 가속기코드개발 환경구축
- 모델 확장 개발을 위한 테스트베드 구축
2. 2018년도 실적 자체 평가
○ 2018년도 목표 및 달성정도
- 275 -
성과지표 |
구분 |
'16 |
'17 |
'18 |
'19 |
‘19목표치 산출근거 |
측정산식 (또는 측정방법) |
자료수집방법 (또는 자료출처) |
핵심모듈 개발진척도 (단위: %) |
목표 |
75.7 |
84.3 |
92.9 |
100 |
<측정방법 및 목표치 설정근거> 참고 |
목표치 = A+B+C A:역학코어개발 (28.6%) B:물리과정개발 (35.7%) C:자료동화개발 (35.7%) |
논문, 학회발표, 실험 결과자료 |
실적 |
75.7 |
84.3 |
- |
|||||
달성도 |
100 |
100 |
- |
|||||
시스템모듈 개발진척도 (단위: %) |
목표 |
40 |
50 |
60 |
100 |
<측정방법 및 목표치 설정근거> 참고 |
목표치 = D+E D:소프트웨어/현업 운영시스템개발 (66.7%) E:모델성능개선 (33.3%) |
논문, 학회발표, 실험 결과자료 |
실적 |
40 |
50 |
- |
|||||
달성도 |
100 |
100 |
- |
(1) 핵심모듈 개발진척도 ㅇ 측정산식 : 목표치 = A+B+C - A:역학코어개발 (25.7%), B:물리과정개발 (34.3%), C:자료동화개발 (32.9%) ㅇ 한국형수치예보모델 개발 주요분야인 역학코어개발/물리과정모수화개발/자료동화개발 각 분야 별로 2019년까지의 연차별 추진목표를 설정함 - 연도별 성과지표 목표치는 ‘11년부터 각 주요 분야별 진척도(%)를 누적 합산하여 산정 예) ‘18년 : A(25.7%)+B(34.3%)+C(32.9%) = 92.9%
(2) 시스템모듈 개발진척도 ㅇ 목표치 = D+E - D : 소프트웨어/현업, 운영시스템개발 (60%), E : 모델성능개선 (0%) ㅇ 한국형수치예보모델 개발 응용분야인 소프트웨어・현업운영시스템개발/모델성능개선 각 분야 별로 2019년까지의 연차별 추진목표를 설정함 - 연도별 성과지표 목표치는 ‘11년부터 각 주요 분야별 진척도(%)를 누적 합산하여 산정 예) ‘18년 : D(60%)+E(0) = 60%
(3) 목표치 설정 및 도전성 ㅇ 세부분야별, 연차별 추진목표(개발결과)에 대해 연차평가를 통해 전문가 평가결과로 목표달성도 계산 ㅇ 기상선진국의 수치예보모델 초기 개발기간이 최소 12∼15년 이상임을 고려할 때 9년 기간 내에 현업운용이 가능한 수준의 한국형수치예보모델을 개발하는 사업목표는 매우 도전적인 목표임 |
- 276 -
○ 개선 보완사항
- 2020년 기상청 현업모델로 운영에 따른 현업운영환경 조성 및 안정적인 운영 기술 확보 필요
2019년도 추진 계획
1. 2019년도 목표
○ 현업용 예보시스템 최종 버전 완성
- 현업용 예보시스템 최종버전 완성
- 사용자를 위한 상세 매뉴얼 제작
2. 2019년도 주요 추진내용
○ 역학코어 개발
- 현업 운영을 위한 역학코어 최종버전 완성
- 역학코어 개발자 매뉴얼 제작
○ 물리과정 개발
- 현업 운영을 위한 물리과정 패키지 최종버전 완성
- 물리과정 개발자 매뉴얼 제작
○ 관측자료 전처리 및 자료동화 개발
- 현업 운영을 위한 전처리시스템 최종버전 완성
- 현업 운영을 위한 자료동화시스템 최종버전 완성
- 전처리 개발자 매뉴얼 제작
- 277 -
- 자료동화 개발자 매뉴얼 제작
○ 시스템모듈 개발
- 현업용 예보시스템 최종버전 완성
- 현업용 가시화 시스템 완성
-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완성
- 수치예보시스템 사용자 매뉴얼 작성
(1) 2018년 추진내용과의 비교
(단위: 백만원) |
||
구분 |
2018년 |
2019년 |
□ 한국형수치예보모델개발 |
9,169 |
8,302 |
핵심모듈 개발 |
3,760 ·역학코어 개발(3,760) - 고해상도 역학코어 고도화 ·물리과정 개발(1,540) - 실시간 검증을 통한 고해상고 물리과정 개선 ·자료동화 개발(1,720) - 신규 관측자료 전처리 시스템 확대 구축 - 4차원 앙상블변분자료동화 시스템의 고도화 등 |
3,409 ·역학코어 개발 (542) - 현업운영을 위한 역학코어 최종버전 완성, 성능개선, 검증 ·물리과정 개발 (1,420) - 현업운영을 위한 물리패키지 최종버전 완성, 성능개선, 검증 ·자료동화 개발 (1,500) - 현업운영을 위한 전처리 시스템 및 자료동화 최종버전 완성, 최적화, 매뉴얼 제작 등 |
시스템모듈 개발 |
3,839 ·한국형수치예보모델 현업버전 개발(3,839) - 준현업 예보시스템 구축 - 실시간 가시화 시스템 구축 및 개선 등 |
3,478 ·한국형수치예보모델 현업버전 개발(4,020) - 현업용 예보시스템 최종버전 완성 - 가시화 시스템, 사용자 인터페이스 완성 |
국내외 공동협력 네트워크 운영 |
350 ·공동연구개발기반 구축/운영(150) ·국제협력네트워크 구축/운영(200) |
200 ·공동연구개발기반 구축/운영(50) ·국제협력네트워크 구축/운영(150) |
사업단 운영 |
1,220 ·한국형수치예보모델개발사업단 운영비(1,220) |
1,215 ·한국형수치예보모델개발사업단 운영비(1,215) |
○ 예산 증/감 또는 전년동일 사유
한국형수치예보모델개발 계획 3단계(`17~`19) 최종 3차년도 진입에 따라 주요 분야별 과제수행을 위한 최소 필요예산만 반영
(2) 장비 도입 계획: 해당사항 없음
- 278 -
(3) 2019년 예상 대표성과
○ 한국형수치예보모델의 핵심모듈 개발
- 독자모델 역학코어 개발
- 독자모델 물리과정 모수화 개발
- 독자모델 관측자료 전처리 및 자료동화 개발
- 전처리 및 자료동화 개발자 매뉴얼 제작
○ 한국형수치예보모델의 시스템모듈 개발
- 실시간예측시스템 구축 및 개선
- 독자모델 테스트베드 운영 및 모델 개발 방향 환류
- 한국형수치예보모델 현업화 기술 지원
○ 국내외 공동협력 네트워크 운영
- 연구결과물을 활용한 학술발표 등 대내외 활동 계획
- 국내‧외 유관기관과의 협력체계 강화방안 적극 추진
- 279 -
5 |
한반도 지하 단층·속도구조 통합모델 개발 |
[ 지진화산국 지진화산연구과 ]
사업 개요
구분 |
내용 |
총사업기간 |
‘18~’21(4년간) |
총사업비 |
220억원(국고 220억원) |
지원근거 |
‧과학기술기본법 제11조(국가연구개발사업의 추진) ‧기상법 제32조(기상업무에 관한 연구개발사업의 추진) ‧지진‧지진해일‧화산의 관측 및 경보에 관한 법률 제21조(지진ㆍ지진해일ㆍ화산의 관측 및 경보에 관한 연구개발사업의 추진) |
지원형태 |
출연/국고지원 100% |
시행주체 |
한국기상산업기술원 |
정책 연계성
○ 기상업무발전 기본계획(‘17~’21)
[전략2] 국민안전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 확대
[2- 1] 지진·지진해일·화산 감시 및 대응 강화
[2- 1- ] 지진·지진해일·화산 예측과 대응을 위한 기술개발 및 교육 강화
○ 기상R&D 중장기 추진전략 핵심기술명:
분야별 추진전략 : [전략과제 26] 지진발생 환경 해석 기술개발
[26- 1] 지진원 평가 및 원인 규명기술
[26- 2] 한반도 3차원 지구내부구조모델 설정
이슈별 추진전략 : [5] 한반도 지진발생원 분석 및 조기경보 고도화 연구
[5.1] 한반도 지진발생환경 해석 및 원인규명 기술
○ 기타 법정계획 등
국정과제 55- 4: 지진으로부터 국민안전 확보
제1차 지진·지진해일·화산 업무발전 기본계획(‘17~’21)
[전략5] 미래대비 업무발전 기반을 조성한다
지진방재 개선대책(‘18.5)
제2차 지진방재 종합계획(2019~2023)
[84] 한반도 지하 단층·속도구조 통합모델 개발
- 280 -
사업 최종목표
○ 한반도 내륙 및 해역 지하 단층·속도구조 통합 모델 개발
지하 단층구조 모델 개발
3차원 속도구조 통합 모델 개발
그동안 성과
○ 영남권 내륙·해역 미소지진 관측 및 지진활동 분석(‘18)
○ 수도권 미소지진 관측 및 지진활동 분석(‘18)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구분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ㅇ 영남권 지하 단층구조 모델 개발 |
- |
1,450 |
2,475 |
1,970 |
1,935 |
ㅇ 수도권 지진활동·지하단층 분석 및 지하구조 연구 |
- |
1,205 |
1,410 |
5,110 |
1,930 |
ㅇ 3차원 속도구조 통합 모델 개발 |
- |
- |
388 |
1,455 |
1,935 |
ㅇ 기획평가관리비 |
- |
95 |
132 |
310 |
200 |
○ 사업구성
(단위: 백만원) |
|||||||
내역사업명 |
‘19년 총예산 |
계속(종료)과제 |
신규과제 |
||||
지정 |
품목 지정 |
자유 |
지정 |
품목 지정 |
자유 |
||
ㅇ 영남권 지하 단층구조 모델 개발 |
2,475 |
2,475 (1) |
|||||
ㅇ 수도권 지진활동·지하단층 분석 및 지하구조 연구 |
1,410 |
1,410 (1) |
|||||
ㅇ 3차원 속도구조 통합 모델 개발 |
388 |
388 (1) |
|||||
합계 |
4,273 |
3,885 (2) |
388 (1) |
내·외부 지적사항
○ 국회 환노위 ‘19년 예산안 검토보고서
관련 부처간 사업의 연계성 강화 및 조정 필요
- 281 -
2018년도 추진 실적
1. 2018년도 실적 중 대표성과
○ 영남권 지하 단층구조 모델 개발
- 영남권 내륙 및 동해남부해역 미소지진 관측 및 분석
- 이동식 해저지진계 방향성 결정 기법 연구
○ 수도권 지진활동·지하단층 분석 및 지하구조 연구
- 수도권 미소지진 관측을 위한 연구용 지진계 설치·운영
- 지진, 지질,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한 지하구조 분석 기법 연구
2. 2018년도 실적 자체 평가
○ 2018년도 목표 및 달성정도
- 1차년도 사업으로, 당초 계획대로 연구용 지진계 설치 및 미소지진 관측이 이루어졌으나 지하단층구조 분석에 필요한 지진자료를 확보하기에는 시간적으로 부족함
○ 개선 보완사항
- 2차년도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미소지진 관측 및 정밀 분석 필요
2019년도 추진 계획
1. 2019년도 목표
○ 영남권 내륙·해역 미소지진 관측 및 지진활동 분석
○ 수도권 지하 단층·속도구조 및 물성구조 분석
○ 통합모델 플랫폼 구축 및 1차원 속도구조 분석
2. 2019년도 주요 추진내용
○ 영남권 내륙 미소지진 관측 및 정밀분석
- 미소지진을 포함한 영남권 내륙 및 동해남부해역 지진활동 정밀 분석
- 내륙 및 해역 지진활동에 대한 입체지진분포도 작성
○ 수도권 지진활동·지하단층 분석 및 지하구조 연구
- 수도권 미소지진 정밀분석 및 지진활동을 이용한 단층운동 해석
- 지진자료를 이용한 수도권 1차원 속도구조 분석
○ 3차원 속도구조 통합모델 개발
- 기존 연구결과 수집 및 단층·속도구조 모델 개발 플랫폼 구축
- 내륙 지진관측소 지하 지진파 증폭 분석 및 1차원 속도구조 분석
- 282 -
(1) 2018년 추진내용과의 비교
(단위: 백만원) |
||
구분 |
2018년 |
2019년 |
□ 한반도 지하 단층·속도구조 통합 모델 개발 |
2,750 |
4,405 |
영남권 지하 단층구조 모델 개발 |
1,450 · 영남권 지하 단층구조 모델 개발(1,450) |
2,475 · 영남권 지하 단층구조 모델 개발(2,475) |
수도권 지진활동·지하단층 분석 및 지하구조 연구 |
1,205 · 수도권 지진활동·지하단층 분석 및 지하구조 연구(1,205) |
1,410 · 수도권 지진활동·지하단층 분석 및 지하구조 연구(1,410) |
3차원 속도구조 통합모델 개발 |
- |
388 · 3차원 속도구조 통합모델 개발(388) |
기획평가관리비 |
95 |
132 |
○ 예산 증/감 또는 전년동일 사유
영남권 및 수도권의 지진 활동 분석을 위한 연구용 지진계 구매 등 1,230백만원 증액
3차원 속도구조 통합 모델 개발 신규 사업 388백만원 순증
사업비 증액에 따른 기획평가관리비 37백만원 증액
(2) 장비 도입 계획
○ 기상청 ‘기상기자재도입 심의’ 여부(○,×) ※ 3천만원 이상 장비
○ 과기정통부 ‘연구장비예산 심의’ 여부(○,×) ※ 1억원 이상 장비
(단위: 백만원) |
||||||||
장비명 |
구축연도 |
구축 비용 |
기상기자재도입 심의 |
연구장비예산 심의 |
관련내역사업번호 |
|||
시작 |
종료 |
타당성 판정 결과 |
비고 |
타당성 판정 결과 |
비고 |
|||
계 |
- |
- |
- |
- |
- |
|||
연구용 지진계(20) |
2019 |
2019 |
900 |
타당 |
‘17.12.12 심의 |
× |
비대상 |
1 |
연구용 해저지진계(10) |
2019 |
2019 |
900 |
타당 |
‘17.12.12 심의 |
× |
비대상 |
1 |
연구용 지진계(15) |
2019 |
2019 |
600 |
- |
‘18.12.13 심의 예정 |
× |
비대상 |
2 |
(3) 2019년 예상 대표성과
○ 영남권 내륙·해역 미소지진 관측 및 지진활동 분석 결과 산출
○ 수도권 지하 단층·속도구조 및 지하구조 분석 결과 산출
○ 단층·속도구조 통합모델 플랫폼 구축
- 283 -
6 |
미래유망 민간기상서비스 성장기술개발 |
[ 기상서비스진흥국 기상서비스정책과 ]
사업 개요
구분 |
내용 |
총사업기간 |
2018~2022년 |
총사업비 |
191억원 |
지원근거 |
ㆍ과학기술기본법 제11조(국가연구개발사업의 추진) ㆍ기상법 제32조(기상업무에 관한 연구개발사업의 추진) ㆍ기상산업진흥법 제3조(기상산업의 진흥과 발전을 위한 노력 등), |
지원형태 |
출연(기업참여시 matching fund) |
시행주체 |
기상청(한국기상산업기술원) |
정책 연계성
○ 기상업무발전 기본계획(‘17~’21)
(32) 기상서비스 시장 확대를 위해 신규 수요 창출 극대화
(32) 체계적인 기상기업 육성을 위한 전주기적 지원체계 확립
○ 기상R&D 중장기 추진전략 핵심기술명
(H- 29) 생산성 증대 기상서비스
(H- 30) 생활편의향상 기상서비스
(H- 33) 기상분야 연구지원을 위한 기상컨텐츠 제공 기술
(H- 34) 기상정보 생태계 구축 및 적용
○ 기타 법정계획 등
- 과학기술기본법 제11조(국가연구개발사업의 추진)
- 기상법 제32조(기상업무에 관한 연구개발사업의 추진)
- 기상산업진흥법 제3조(기상산업의 진흥과 발전을 위한 노력 등), 제9조(연구개발사업의 지원)
‘서비스경제 발전전략(`16.7.)’ 및 ‘서비스 R&D 중장기 추진 전략(`17.1.)’
- 284 -
사업 최종목표
○ 기술발전과 생활 환경변화 등에 따라 일상적 날씨정보 외 사회·경제적 분야와 융합된 기상정보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민간에서의 산업융합·생활중심의 기상서비스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기상산업시장 활성화에 기여
그동안 성과
○ 기상서비스 구현을 위한 과제별 비즈니스모델 개발(‘18)
- 농경지 특성을 고려한 서리정보 등 농가지원기술, 기상 상황에 따른 대중교통 이용 변화 예측 및 날씨컨설팅 웨더봇 기술 개발 등
○ 비즈니스모델에 기반한 솔루션(기술) 개발 구현(‘18)
- 농작물 병해충 발생위험 예찰 서비스, 어업 맞춤형 해양기상서비스, 도로 CCTV 영상을 활용한 도로위험기상정보 서비스 등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구분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ㅇ 미래유망 민간기상서비스 성장기술개발 |
- |
3,000 |
3,802 |
6,077 |
3,837 |
○ 사업구성
(단위: 백만원) |
|||||||
내역사업명 |
‘19년 총예산 |
계속(종료)과제 |
신규과제 |
||||
지정 |
품목 지정 |
자유 |
지정 |
품목 지정 |
자유 |
||
ㅇ 산업융합 민간기상서비스 기술개발지원 |
2,285 |
- |
557 (3) |
1,484 (8) |
- |
245 (2) |
- |
ㅇ 생황중심 민간기상서비스 기술개발지원 |
1,403 |
- |
336 (2) |
915 (5) |
- |
122 (1) |
- |
ㅇ 기획평가관리비 |
114 |
- |
- |
- |
- |
- |
- |
합계 |
3,802 |
- |
9,23 (5) |
2,399 (13) |
- |
367 (3) |
- |
※ ‘18년 연차평가 결과에 따라 ’19년 세부 과제 및 예산은 일부 조정 예정
- 285 -
내·외부 지적사항
○ 추진과제의 사업화 실현을 위해 엄격한 과제관리 필요(환노위 검토보고서, ‘18.10.)
- 사업화 가능성이 낮을 경우, 해당과제 종료 등 사업 내실화를 강화
⇒ (조치사항) 과제 선정단계부터 연차평가까지 실적관리를 강화
※ 중간점검(‘18.9.3.∼9.14), 현장점검(10.12.∼10.18.), 집합교육 및 컨설팅(10.24., 11.15.) 등
⇒ (조치사항) 연차평가시 연차목표(비즈니스모델 개발) 미진 과제의 사업비 삭감 및 종료 조치 예정(12월4주)
※ 연차평가 60~80점은 연구비 15% 삭감, 60점 미만은 연구 중단 등
2018년도 추진 실적
1. 2018년도 실적 중 대표성과
○ 기상- 타분야 융합 과제 도출 및 분야별 거점 협력기관 확보
- 수요·공급기관 컨소시엄 구성(4건) 및 협력 증빙서류 제출(10건)
- 연구과제 수행에 따른 분야별 주요 협력기관(9분야)
※ (의료)부산대학교병원, (IT)네이버, (보험)현대해상화재보험, (농업)경기도 농업기술원, 블루베리연구회, (관광)하나투어, (어업)삼영이엔씨, 영어조합법인, 제주외해참치, (지자체)서울특별시, 횡성군, (교통)국토교통부, (기타) 캄보디아 Preah Vihear 주
○ 특허 출원, SW 등록 등 사업화 실적 16건 달성
- 교통, 해양, 역사기록물, 오픈플랫폼 분야 관련 특허 출원 10건
· 기상 및 교통 자료를 이용한 제한속도 관리시스템
· 연안 기상 정보를 포함하는 선박의 항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 기상데이터 활용을 위한 스마트 레시피 시스템 등
- 농업, 교통, 해양 분야 관련 SW 등록 6건
· 농작물 병해충 예보 시스템 중기예보 기상데이터 생성
· CCTV영상을 활용한 기상정보수집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 선박운항 기상정보 통계분석 시스템 등
- 286 -
2. 2018년도 실적 자체 평가
○ 2018년도 목표 및 달성정도
- 특허 출원 목표 15건 중 10건, SW 등록 목표 8건 중 6건 달성(12월초 기준)
※ 해당 목표건수는 ‘18.12월 말에 완료·달성될 예정
- 개발 기술의 적극적 특허 출원 등으로 영업보호 기반 마련
○ 개선 보완사항
- 특허 출원 후, 특허 등록까지 소요되는 시기를 고려, 지속적인 관리 필요
- 비즈니스모델의 적극적 특허 성과 창출을 위한 사업 관리 필요
※ 비즈니스모델 특허는 해당 영업방법을 독점할 수 있으며, 가치는 통상 이익의 20∼30%
2019년도 추진 계획
1. 2019년도 목표
○ 기상서비스 구현을 위한 핵심 기술 확보
- BM개발 결과에 기반한 솔루션(기술) 개발 추진
○ 시범서비스 운영을 통한 기상서비스 품질 제고 및 사업화 추진(일부)
- 시범지역 선정, 사회관계망 서비스, 포털사이트 베타버전 운영 등의 수요자 피드백 반영을 통한 서비스 품질 개선
2. 2019년도 주요 추진내용
○ 산업융합 민간기상서비스 기술개발 지원(계속)
- 지형·환경별 농경지 특성을 고려한 서리정보 예측기술 개발
- 기상 상황에 따른 서울시 대중교통 이용 변화 예측모델 개발
- 기상기후데이터 유통 오픈 플랫폼 구축 기술 연구
○ 생활중심 민간기상서비스 기술개발 지원(계속)
- ICT 기반의 기상기후 역사기록물 융합 기술 개발
- 인공지능을 이용한 날씨컨설팅 웨더봇 기술 개발
- 287 -
(1) 2018년 추진내용과의 비교
(단위: 백만원) |
||
구분 |
2018년 |
2019년 |
□ 미래유망 |
3,000 |
3,802 |
산업융합 |
1,760 |
2,285 |
기상상황에 따른 서울시 대중교통 이용 변화 예측 모델 개발(150) |
기상상황에 따른 서울시 대중교통 이용 변화 예측 모델 개발(185.5) |
|
지형·환경별 농경지 특성을 고려한 서리정보 예측기술 개발(150) |
지형·환경별 농경지 특성을 고려한 서리정보 예측기술 개발(185.5) |
|
기상기후데이터 유통 오픈 플랫폼 구축 기술 연구(150/경쟁형 과제) |
기상기후데이터 유통 오픈 플랫폼 구축 기술 연구(92.75/경쟁형 과제) |
|
기상기후데이터 유통 오픈 플랫폼 구축 기술 연구(150/경쟁형 과제) |
기상기후데이터 유통 오픈 플랫폼 구축 기술 연구(92.75/경쟁형 과제) |
|
설하중을 고려한 온실구조 안정성의 실시간 모니터링 예‧경보 시스템 구축(150) |
설하중을 고려한 온실구조 안정성의 실시간 모니터링 예‧경보 시스템 구축(185.5) |
|
연안해양 기상정보 서비스 및 선박운항 기상정보 관리체계 개발(120) |
연안해양 기상정보 서비스 및 선박운항 기상정보 관리체계 개발(185.5) |
|
소상공인 운영피해 추정 태풍리스크모델 개발 및 시범지역 적용(127) |
소상공인 운영피해 추정 태풍리스크모델 개발 및 시범지역 적용(127) |
|
중·장기 농작물 병해충 발생위험 예찰을 위한 농림기상서비스 기술 개발(220) |
중·장기 농작물 병해충 발생위험 예찰을 위한 농림기상서비스 기술 개발(185.5) |
|
어업 맞춤형 해양기상 콘텐츠 고도화 및 서비스 개발(163) |
어업 맞춤형 해양기상 콘텐츠 고도화 및 서비스 개발(185.5) |
|
날씨정보 기반 스마트 축산농가의 의사결정 플랫폼 개발(87) |
날씨정보 기반 스마트 축산농가의 의사결정 플랫폼 개발(185.5) |
|
도로 CCTV영상 활용 도로위험기상정보 및 노면상태 위험정보 제공서비스 개발(171) |
도로 CCTV영상 활용 도로위험기상정보 및 노면상태 위험정보 제공서비스 개발(185.5) |
|
기후변화에 따른 기업 재무상태 변화 예측분석 서비스(122) |
기후변화에 따른 기업 재무상태 변화 예측분석 서비스(185.5) |
|
(신규) 자유 및 품목지정 2과제(245) |
||
생활중심 |
1,140 |
1,403 |
ICT기반의 기상기후 역사기록물 융합기술 개발(150) |
ICT기반의 기상기후 역사기록물 융합기술 개발(183) |
|
인공지능을 이용한 날씨 컨설팅 웨더봇 기술 개발(150/경쟁형 과제) |
인공지능을 이용한 날씨 컨설팅 웨더봇 기술 개발(91.5/경쟁형 과제) |
|
인공지능을 이용한 날씨 컨설팅 웨더봇 기술 개발(73/경쟁형 과제) |
인공지능을 이용한 날씨 컨설팅 웨더봇 기술 개발(91.5/경쟁형 과제) |
|
호흡기질환 진료와 환자자기관리 지원을 위한 지능형 보건기상정보서비스 기술개발(150) |
호흡기질환 진료와 환자자기관리 지원을 위한 지능형 보건기상정보서비스 기술개발(183) |
|
동남아 개발도상국에 적합한 모바일 재해/재난경보 시스템 개발(150) |
동남아 개발도상국에 적합한 모바일 재해/재난경보 시스템 개발(183) |
|
장마철 빗길 교통안전관리 서비스기술 개발(150) |
장마철 빗길 교통안전관리 서비스기술 개발(183) |
|
기상측정 스마트 가로등을 활용한 생활/보건기상지수 서비스 제공(150) |
기상측정 스마트 가로등을 활용한 생활/보건기상지수 서비스 제공(183) |
|
IoT 기반 미세먼지 측정- 모니터링- 저감 장치 개발(127) |
IoT 기반 미세먼지 측정- 모니터링- 저감 장치 개발(183) |
|
(신규) 자유 및 품목지정 2과제(122) |
||
기획평가관리비 |
100 |
114 |
※ ‘18년 연차평가 결과에 따라 ’19년 세부 과제 및 예산은 일부 조정 예정
- 288 -
○ 예산 증/감 또는 전년동일 사유
(산업융합 민간기상서비스) ˊ18년 계속과제에 대한 2년차 사업기간 반영(9개월→12개월) 및 ˊ19년 신규과제(2과제) 추가로 ˊ18년 대비 525백만원 증액
(생활중심 민간기상서비스) ˊ18년 계속과제에 대한 2년차 사업기간 반영(9개월→12개월) 및 ˊ19년 신규과제(1과제) 추가로 ˊ18년 대비 263백만원 증액
(기획평가관리비) 총 사업비 증액으로 ˊ18년 대비 140만원 증액
(2) 장비 도입 계획
○ 기상청 ‘기상기자재도입 심의’ 여부(×) ※ 3천만원 이상 장비 : 해당 없음
○ 과기정통부 ‘연구장비예산 심의’ 여부(×) ※ 1억원 이상 장비 : 해당 없음
(단위: 백만원) |
||||||||
장비명 |
구축연도 |
구축 비용 |
기상기자재도입 심의 |
연구장비예산 심의 |
관련내역사업번호 |
|||
시작 |
종료 |
타당성 판정 결과 |
비고 |
타당성 판정 결과 |
비고 |
|||
계 |
- |
- |
- |
- |
- |
(3) 2019년 예상 대표성과
○ 분야별 기상서비스 구현을 위한 핵심 기술 확보
- 기 개발된 비즈니스모델에 따른 솔루션(기술) 개발 구현에 주력
· 농경지 특성을 고려한 서리정보 등 농가지원기술, 기상 상황에 따른 대중교통 이용 변화 예측 및 날씨컨설팅 웨더봇 기술 개발 등
○ 연구개발 기술의 시범서비스 및 사업화 운영
- 기 개발된 비즈니스모델에 따른 솔루션(기술) 개발 구현에 주력
· 농작물 병해충 발생위험 예찰 서비스, 어업 맞춤형 해양기상서비스, 도로 CCTV 영상을 활용한 도로위험기상정보 서비스 등
※ 개발된 BM 및 기술은 특허출원을 통해 지식재산권 및 영업방법 보호
- 289 -
별첨 |
2019년‘미래유망 민간기상서비스 성장기술개발’연구과제 목록 |
1. 2019년 추진 연구과제 전체 목록
구분 |
순서 |
시작년도 |
과제명 |
연구기간 (년) |
연구비 |
공모 형태 |
주관연구 |
분야별 기술코드* |
이슈별 기술코드* |
기술 분류 코드** |
|||
총연구비 |
‘19년 |
기관명 |
책임자 |
||||||||||
산업융합 민간기상서비스 |
신규 (안) |
1 |
‘19 |
민간 활용 상세 기상기후데이터 생산 및 서비스 기술개발 |
3 |
500 |
122 |
자유 (품목) |
미정 |
미정 |
- |
- |
- |
2 |
기상관측데이터 품질관리 상용화 기술개발 |
3 |
500 |
122 |
자유 (품목) |
미정 |
미정 |
- |
- |
- |
|||
계속 |
1 |
‘18 |
기상상황에 따른 서울시 대중교통 이용 변화 예측 모델 개발 |
3 |
500 |
185.5 |
자유 (품목) |
한국교통연구원 |
송태진 |
H.30.2 |
A.4.3 |
H0202 |
|
2 |
지형·환경별 농경지 특성을 고려한 서리정보 예측기술 개발 |
3 |
500 |
185.5 |
자유 (품목) |
(재)국가농림기상센터 |
김수옥) |
H.29.4 |
A.4.3 |
H0104 |
|||
3 |
기상기후데이터 유통 오픈 플랫폼 구축 기술 연구(경쟁형 과제) |
3 |
500 |
92.75 |
자유 (품목) |
㈜에스이랩 |
유재홍 |
H.34.1 |
A.4.3 |
A0505 |
|||
4 |
기상기후데이터 유통 오픈 플랫폼 구축 기술 연구(경쟁형 과제) |
3 |
500 |
92.75 |
자유 (품목) |
㈜에스프렉텀 |
김성곤 |
H.34.1 |
A.4.3 |
H0201 |
|||
5. |
설하중을 고려한 온실구조 안정성의 실시간 모니터링 예‧경보 시스템 구축 |
3 |
500 |
185.5 |
자유 |
서울 대학교 |
최원 |
H.28.2 |
A.4.3 |
A0501 |
|||
6 |
연안해양 기상정보 서비스 및 선박운항 기상정보 관리체계 개발 |
3 |
500 |
185.5 |
자유 |
㈜웨더아이 |
김영도 |
H.29.2 |
A.4.3 |
A0501 |
|||
7 |
소상공인 운영피해 추정 태풍리스크모델 개발 및 시범지역 적용 |
3 |
500 |
185.5 |
자유 |
㈜포디솔루션 |
김기영 |
H.29.2 |
A.4.3 |
A0502 |
|||
8 |
중·장기 농작물 병해충 발생위험 예찰을 위한 농림기상서비스 기술 개발 |
3 |
500 |
185.5 |
자유 |
(재)국가농림기상센터 |
박은우 |
H.28.2 |
A.4.3 |
H0302 |
|||
9 |
어업 맞춤형 해양기상 콘텐츠 고도화 및 서비스 개발 |
3 |
500 |
185.5 |
자유 |
㈜환경 과학기술 |
이수현 |
H.29.2 |
A.4.3 |
A0501 |
|||
10 |
날씨정보 기반 스마트 축산농가의 의사결정 플랫폼 개발 |
3 |
500 |
185.5 |
자유 |
㈜에어택 |
김재철 |
H.29.3 |
A.4.3 |
A05 |
|||
11 |
도로 CCTV영상 활용 도로위험기상정보 및 노면상태 위험정보 제공서비스 개발 |
3 |
500 |
185.5 |
자유 |
㈜월드텍 |
허병도 |
H.30.2 |
A.4.3 |
A0501 |
|||
12 |
기후변화에 따른 기업 재무상태 변화 예측분석 서비스 |
3 |
500 |
185.5 |
자유 |
㈜씨씨 미디어 서비스 |
최호준 |
H.29.2 |
A4.3 |
A0501 |
- 290 -
구분 |
순서 |
시작년도 |
과제명 |
연구기간 (년) |
연구비 |
공모 형태 |
주관연구 |
분야별 기술코드* |
이슈별 기술코드* |
기술 분류 코드** |
|||
총연구비 |
‘19년 |
기관명 |
책임자 |
||||||||||
생활중심 민간가성서비스 |
신규 (안) |
1 |
‘19 |
스마트시티 적용을 위한 기상정보 기반 태양광 발전량 예측시스템 기술 개발 |
3 |
600 |
122 |
자유 (품목) |
미정 |
미정 |
- |
- |
- |
2 |
기상기후정보 기반 스마트팜 의사결정지원 기술 개발 |
3 |
600 |
(122) |
자유 (품목) |
미정 |
미정 |
||||||
3 |
자동차센서 기반 도로기상정보 생산기술 개발 |
3 |
600 |
(122) |
자유 (품목) |
미정 |
미정 |
- |
- |
- |
|||
계속 |
1 |
‘18 |
ICT기반의 기상기후 역사기록물 융합기술 개발 |
3 |
500 |
183 |
자유 (품목) |
㈜에스이랩 |
조재휘 |
H.30.3 |
A.4.3 |
A0501 |
|
2 |
인공지능을 이용한 날씨 컨설팅 웨더봇 기술 개발(경쟁형 과제) |
3 |
500 |
91.5 |
자유 (품목) |
㈜와이즈넛 |
권우영 |
H.32.3 |
A.4.3 |
A0504 |
|||
3 |
인공지능을 이용한 날씨 컨설팅 웨더봇 기술 개발(경쟁형 과제) |
3 |
500 |
91.5 |
자유 (품목) |
㈜머니브레인 |
채경수 |
H.32.3 |
A.4.3 |
H0301 |
|||
4 |
호흡기질환 진료와 환자자기관리 지원을 위한 지능형 보건기상정보서비스 기술개발 |
3 |
500 |
183 |
자유 (품목) |
부산 대학교 |
김유근 |
H.30.1 |
A.4.3 |
H0301 |
|||
5. |
동남아 개발도상국에 적합한 모바일 재해/재난경보 시스템 개발 |
3 |
500 |
183 |
자유 |
이화여자대학교 |
최용상 |
H.28.2 |
A.4.3 |
A0402 |
|||
6 |
장마철 빗길 교통안전관리 서비스기술 개발 |
3 |
500 |
183 |
자유 |
한국 외대 |
이채연 |
H.30.2 |
A.4.3 |
A0501 |
|||
7 |
기상측정 스마트 가로등을 활용한 생활/보건기상지수 서비스 제공 |
3 |
500 |
183 |
자유 |
㈜하나텍시스템 |
이찬우 |
H.30.1 |
A.4.3 |
A0501 |
|||
8 |
IoT 기반 미세먼지 측정- 모니터링- 저감 장치 개발 |
3 |
500 |
183 |
자유 |
부산 대학교 |
김종필 |
H.31.1 |
A.4.3 |
A0101 |
|||
합계 |
- |
- |
- |
- |
11,500 |
3,802 |
- |
- |
- |
- |
- |
- |
※ ‘18년 연차평가 결과에 따라 ’19년 세부 과제 및 예산은 일부 조정 예정
2. 신규 지정공모과제 추진 우선순위 : 해당없음
3. 신규 지정공모과제 제안서(RFP) : 해당없음
- 291 -
7 |
자연재해 대응 영향예보 생산기술 개발 |
[ 예보국 영향예보추진팀 ]
사업 개요
구분 |
내용 |
총사업기간 |
‧’18∼‘22 |
총사업비 |
‧해당없음 |
지원근거 |
‧기상법 제13조(일반인을 위한 예보 및 특보)제2항 ‧기상법 제32조(기상업무를 관한 연구개발사업의 추진) ‧기상법 시행령 제8조(일반인을 위한 예보 및 특보)제3항 |
지원형태 |
‧출연 100% |
시행주체 |
‧기상청(한국기상산업기술원) |
정책 연계성
○ 제3차 기상업무발전 기본계획(‘17~’21): 2- 2 의사결정지원 공공서비스 확대
○ 기상R&D 중장기 추진전략(‘18~’27)
< 분야별 전략과제>
2. [예보] 예보정확도 향상을 위한 핵심기술개발
5. [융합기상] 미래 수요 대응을 위한 융합기상 R&D 지원
< 이슈별 실천과제>
극한기상·기후현상의 이해와 대응 연구
○ 기타 법정계획 등
기상법 제13조 제2항: 일반인을 위한 예보 및 특보
② 기상청장은 기상현상으로 인하여 발생한 재해가 특정한 시기 또는 지역에서 국민의 생명ㆍ신체ㆍ재산 및 생활에 미치는 영향(이하 이 조에서 "기상영향"이라 한다)에 대하여 일반인이 이용할 수 있도록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필요한 예보를 할 수 있다.
기상법 제32조: 기상업무에 관한 연구개발사업의 추진
- 292 -
기상법 시행령 제8조 제3항: 일반인을 위한 예보 및 특보
③ 법 제13조제2항에 따른 기상영향에 관한 예보는 제2항 각 호의 기상현상별로 기상영향의 정도를 분석하여 정시 또는 수시로 발표할 수 있다.
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
기본계획 내 5대 전략 중 ‘국가전략기술 개발’, 19개 분야 중 ‘걱정 없는 안전사회 구축’, 78개 추진과제 중 ‘선제적 자연재해 대응과 피해 최소화’에 포함
(국정과제 55) 안전사고 예방 및 재난 안전관리의 국가책임체제 구축
사업 최종목표
○ 국가재해 대응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기상재해로 인한 분야별 영향정보 생산 및 효율적 전달방식 개발
자연재해를 예방하려는 목적으로 호우 및 폭염 분야에 대한 영향정보를 생산하는 재해영향모델 개발
그동안 성과
○ 호우・폭염 재해영향모델 구축을 위한 기반기술 확보 및 예측 플랫폼 설계
○ 다부처 R&D 사업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영향예보 다부처 협의체’ (자문위원회- 운영위원회- 실무위원회)를 구성하여 정례화
‘영향예보 다부처 협의체 공동운영지침’ 제정(7.9)
○ 재해·취약성·노출 DB 공유와 개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기술 역량의 통합을 시도함으로써 효율적 재해대응체계의 기반을 마련
연차별 투자실적 및 계획
(단위: 백만원) |
|||||
구분 |
'17결산 |
'18예산 |
'19예산 |
'20예산 |
‘21예산 |
ㅇ 자연재해 대응 영향예보 생산기술 개발 |
- |
1,750 |
2,739 |
2,750 |
2,750 |
- 293 -
○ 사업구성
(단위: 백만원) |
|||||||
내역사업명 |
‘19년 총예산 |
계속(종료)과제 |
신규과제 |
||||
지정 |
품목 지정 |
자유 |
지정 |
품목 지정 |
자유 |
||
ㅇ 기상영향 연구 및 영향예보 활용기술 개발 |
2,654 |
- |
2,654 (2) |
- |
- |
- |
- |
ㅇ 기획평가관리비 |
85 |
- |
85 |
- |
- |
- |
- |
합계 |
2,739 |
- |
2,739 |
- |
- |
- |
- |
내·외부 지적사항
○ 해당사항 없음
2018년도 추진 실적
1. 2018년도 실적 중 대표성과
○ 호우 재해영향모델 개발을 위한 기반 기술 개발
- 예측 강우 생산을 위한 기상인자 및 표준화 설계
- 영향함수 알고리즘 개발 및 시범지역의 재해영향 함수 적용
- 호우재해 영향 예측 플랫폼 설계
○ 폭염 재해영향모델 개발을 위한 기반 기술 개발
- 상세 시공간 규모 폭염 정보 산출 기반기술 개발
- 상세 시공간 단위 폭염 영향 분석 및 예측 시스템 기반기술 개발
※ 전국: 시군단위, 시범지역(임실, 광양): 상세규모
○ 영향예보 다부처 협의체 구성·운영 및 공동운영지침 제정
2. 2018년도 실적 자체 평가
○ 2018년도 목표 및 달성정도
- 다부처 R&D사업의 효율적 관리운영을 위한 다부처 협의체 추진 계획 수립 및 호우 및 폭염 분야 재해영향모델의 기반 기술 개발
- 294 -
○ 개선 보완사항
- 18년도 신규 사업이라는 점에서 부처 간 사업별로 개발된 기술들을 연계하여 성과를 도출하기에는 물리적인 시간이 부족
2019년도 추진 계획
1. 2019년도 목표
○ 기 확보된 기반기술을 바탕으로 호우・폭염 재해영향모델 구축 착수
○ 전년도 연구한 기반기술에 대한 방법론 고도화 및 기술 검증
2. 2019년도 주요 추진내용
○ 호우 분야 재해영향모델 개발
- 광역시를 중심으로 재해영향 DB구축, 영향함수 및 임계값 개발
- 호우 예측 플랫폼 프로토타입 개발
○ 폭염 분야 재해영향모델 개발
- 서울, 부산 등 대도시의 지표면 모델 구축과 기상변수 상세 시·공간 정보 산출
- 온・습도 뿐 아니라 바람, 복사온도 등 기상변수 확대
(1) 2018년 추진내용과의 비교
(단위: 백만원) |
||
구분 |
2018년 |
2019년 |
□자연재해 대응 영향예보 생산기술 개발 |
1,750 |
2,739 |
기상영향 연구 및 영향예보 활용기술 개발 |
1,690 ·호우분야 재해영향모델 개발(917) |
2,654 ·호우분야 재해영향모델 개발(1,417) |
·폭염분야 재해영향모델 개발(773) |
·폭염분야 재해영향모델 개발(1,237) |
|
기획평가관리비 |
60 |
85 |
○ 예산 증/감 또는 전년동일 사유
사업 최종목표인 “전국단위 호우・폭염 재해영향모델 개발”을 위한 연구계획 및 연구기간을 고려하여 연도별 투자계획 수립
연도별 투자계획에 따라 사업 첫 해(’18)는 전체 평균보다 적은 예산을 배분하여 사업 추진
- 295 -
예산 변동(’18 → ’19) 구체적 근거
· 2018년 대비 연구기간 30% 증가
※ 연구기간 변동사항: 9개월(’18) → 12개월(’19)/ 신규사업은 공고, 선정, 협약까지 3개월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여 9개월 분 예산 반영
· 2018년 대비 연구범위의 확장 및 고도화
※ 연구지역 확대, 플랫폼 개발, 기상요소 확대 등
(2) 장비 도입 계획 : 해당사항 없음
(3) 2019년 예상 대표성과
○ 효율적 사업관리 및 서비스 체계 논의를 위한 다부처 협의체 운영 강화
○ 전년도 연구한 기반기술에 대한 방법론 고도화 및 기술 검증
호우 및 폭염 분야 재해영향모델 개발을 위한 DB 구축, 영향함수 알고리즘 개발, 표출플랫폼 프로토타입 개발, 전달 컨텐츠 개발
○ 이상기온(한파 등)에 대한 재해영향모델의 기반 기술 개발
- 296 -
별첨 |
2019년‘자연재해 대응 영향예보 생산기술 개발’연구과제 목록 |
1. 2019년 추진 연구과제 전체 목록
(단위: 백만원) |
|||||||||||||
구분 |
순서 |
시작년도 |
과제명 |
연구기간 (년) |
연구비 |
공모 형태 |
주관연구 |
분야별 기술코드* |
이슈별 기술코드* |
기술 분류 코드** |
|||
총연구비 |
‘19년 |
기관명 |
책임자 |
||||||||||
기상영향 연구 및 영향예보 활용기술 개발 |
계속 |
1 |
2018 |
호우분야 재해영향모델 개발 |
5 |
6,603 |
1,417 |
품목지정 |
강원대 |
김병식 |
F.13.5/H.28.2 |
A.1.5 |
F0204 |
2 |
2018 |
폭염분야 재해영향모델 개발 |
5 |
5,736 |
1,237 |
품목지정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채여라 |
F.13.5/H.28.2 |
A.1.5 |
F0204 |
||
기획평가관리비 |
계속 |
1 |
2018 |
기획평가관리비 |
5 |
400 |
85 |
한국기상산업기술원 |
|||||
합계 |
- |
- |
- |
- |
12,739 |
2,739 |
- |
- |
- |
- 29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