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포토뉴스

2016 사진전입상작, 최종국 [태양과 가로등]

> 포토뉴스

  • 기상청 ‘기상관측 발전 기본계획’ 수립 [ 사진설명:국립기상연구소가 국내최초로 도입한 이동식 이중편파 레이더 ] 집중호우, 강풍, 폭설 등 위험기상 예보에 필수적인 기상관측 능력이 대폭 향상된다. 기상청(청장 전병성)은 신속하고 정확한 위험기상정보 요구에 부응하고, 저탄소 녹색성장을 지원하기 위하여 ´2009~2013 기상관측 발전 기본계획´을 최근 수립하였다. 이 계획은 기상관측자료의 품질향상, 해양·레이더·위성분야의 역량 확대, 국가기상관측자원의 활용도 제고, 기상장비산업의 활성화와 국제협력강화를 목표로 향후 5년간의 세부발전계획을 담고 있다. 계획이 완료되는 2013년에는 대부분의 기상관측이 자동화되고, 관측밀도도 현재 13km에서 5km 수준으로 조밀해진다. 기상레이더의 국산화가 추진되고, 강수형태 등을 분석하는 데 유용한 이중편파레이더가 도입되어 단시간 강수예측능력이 향상된다. 집중호우, 뇌우 등 위험기상의 모니터링 기술을 제고하기 위해 위성, 레이더, 수직측풍장비 등을 실시간 입체적으로 감시, 추적하는 체계가 구축된다. 3차원 레이더 자료를 활용한 강수 실황예보 및 초단기 예측기술과 레이더, 낙뢰, 위성자료를 이용한 낙뢰 예측기술도 2014년까지 개발된다. 또한 위성을 활용한 다양한 신기술들이 개발된다. 독자위성에 의해 관측빈도가 현재 30분 간격에서 15분 간격으로 관측이 가능해짐에 따라 위험기상에 대한 감시가 한층 강화된다. 기상청은 기상위성을 활용한 차세대 해양감시 신기술들도 대거 개발할 계획이다. 극궤도 위성을 이용한 ‘해상풍 벡터 산출 기술’을 2012년까지 개발하고, 파랑스펙트럼 추출기법을 활용한 ‘위성 파랑감시기술´은 2015년까지 개발할 예정이다. 시·공간 변화를 반영한 해무예측모델도 2013년까지 개발된다. 해양, 수산, 해운 등 산업분야에 새로운 해양기상정보도 첫선을 보인다. 해역별 이상파랑, 해무, 해난사고 통계 등을 제공하는 ‘월별 특이 해양기상정보(2009~2010)´, ‘해역별 연근해 파랑실황도 정보(2010~2011)´, 원양 항해선박을 위한 ‘원양기상정보(2011~2012)´, 녹색기술 및 산업지원을 위한 ‘해륙풍 순환 자원지도(2011~2012)´ 등도 개발할 예정이다.기상청 이(가) 창작한 레이더, 위성자료 이용해 낙뢰 예측한다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2009/08/03 조회수 : 14372 [ 다운로드 :   ]

  • 기상청(청장 전병성)이 최근 열대야의 기준을 바꿨다. 지금까지는 일 최저기온이 25℃ 이상인 날을 기준으로 정하여, 기온이 야간에도 25℃ 이하로 내려가지 않을 때에는 잠들기 어려우므로 더위를 표시하는 기후통계값으로 사용하여 왔다. 왜 기상청은 열대야의 기준을 변경했을까. 시간 기준이 잘못돼 문제점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열대야를 1일 최저기온이 25℃ 이상인 날로 할 경우, 당일 아침최저기온이 25℃ 이상이면 전날 밤부터 당일 아침 사이에 열대야가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그 날 저녁에 기온이 25℃ 이하로 내려가면 전날 밤에 나타난 열대야가 기준에 미달하는 모순점이 있었다. 예를 들면, 지난 7월 17일 서울의 아침 최저기온이 25.0℃를 보여 16일 밤에 열대야가 나타났으나, 저녁에 들면서 기온이 떨어져 17일 하루의 최저기온이 22.9℃로 나타나 통계상으로 16일 밤이 열대야가 아닌 것이 되었다. 기상청이 새로이 마련한 기준은 국민의 인식 및 기후통계자료 값의 일관성 유지를 위하여 열대야의 기준을 밤 최저기온(18:01~익일 09:00)이 25℃ 이상인 날을 기준으로 재설정하였다. 한편 지난 2008년의 경우 열대야 일수는 제주(32일), 대구(27일), 광주(22일), 김해(17일), 강릉(16일), 여수 (16일), 부산(13일), 진주 (13일) 등의 순으로 많았다. 대변인실 I 등록일 : 09.08.03 기상청 이(가) 창작한 열대야 기준 ‘밤사이 최저기온 25도 이상’으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2009/08/03 조회수 : 15529 [ 다운로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