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맵

사이트맵 펼침

예보업무

주요업무

  • 청내 기상예보의 기본계획 수립
  • 기상예보 및 특보자료의 수집ㆍ분석 및 관리
  • 관할지역의 기상예보 및 특ㆍ정보의 생산
  • 관할지역 기상예보 및 특ㆍ정보의 통보
  • 관할지역 기상예보 및 특보의 사후분석
  • 관할지역 기상예보의 종합ㆍ조정
  • 해양기상정보 수집 및 분석
  • 소속기관 예보자료의 생산ㆍ지원 및 해양기상업무 지도
  • 일기예보 안내전화(131번)의 운영
  • 지역예보기술의 연구ㆍ개발
  • 기상예보기술의 보급
  • 기상에 관한 상담업무
  • 방재기상업무의 수행 및 지원
  • 자연재난 및 중요 사회재난 현장대응지원에 관한 총괄
  • 기상업무로서 청내 다른 과의 주관에 속하지 아니하는 사항
  • 예보의 종류

    기상청이 발표하는 예보의 종류는 국민의 활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발표하는 단기예보, 중기예보, 1·3개월 전망 등과 아울러 위험기상에 의한 피해가 예상될 때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발표하는 기상특보, 태풍정보, 기상정보 등이 있다.

    예보의 종류

    기상청이 발표하는 예보의 종류는 국민의 활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발표하는 단기예보, 중기예보, 1·3개월 전망 등과 아울러 위험기상에 의한 피해가 예상될 때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발표하는 기상특보, 태풍정보, 기상정보 등이 있다.

    예보의 종류

    기상특보

    위험기상 발생이 예상될 때는 기상특보를 발표한다. 기상특보는 강풍, 풍랑, 호우, 대설, 건조, 폭풍해일, 태풍, 황사, 폭염, 한파의 10종에 대하여 단계별로 주의보와 경보를 발표한다.

    기상정보

    기상청은 정규예보 외에도 갑작스러운 기상변화가 예상되거나, 국민들에게 더욱 상세하게 날씨 변화에 대해 알려 줄 필요성이 있을 경우에는 기상정보를 발표한다.

    날씨해설

    기상현황과 전망, 원인, 날씨 변동 가능성 등 예보 관련사항을 일반인이 이해하기 쉽도록 정기적으로 설명하는 정보이다.

    육상 예·특보구역
    광주광역시 광주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나주, 담양, 화순, 장성, 함평, 영광, 고흥, 보성, 완도, 장흥,
    강진, 해남, 진도, 순천, 곡성, 구례, 광양, 목포, 무안, 영암
    해당 시․군 광주지방기상청
    흑산도․홍도 전남 신안군 흑산면
    신안 전남 신안군(흑산면 제외)
    거문도․초도 전남 여수시 삼산면
    여수 전남 여수시(삼산면 제외)
    해양기상광역예보
    서해남부해상 앞바다 전북북부앞바다, 전북남부앞바다, 전남북부서해앞바다, 전남중부서해앞바다, 전남남부서해앞바다를 포함하는 해역 광주지방기상청
    북쪽 안쪽먼바다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남단(북위 34도 17분 26초, 동경 126도 31분 35초)과 북위 34도, 동경 126도의 지점을 연결하는 선에서 북위 36도선간의 서해역 중 서해남부앞바다를 제외한 해역으로 하며, 북쪽먼바다와 남쪽먼바다, 안쪽먼바다와 바깥먼바다의 경계는 다음과 같다.

    - 가. 북쪽먼바다와 남쪽먼바다의 경계: 전라남도 신안군 태도리의 상태도 북단 끝 위도선(북위 34도 27분 08초)
    - 나. 안쪽먼바다와 바깥먼바다의 경계: 서해중부해상과 서해남부해상의 경계와 동경 125도 경도선이 만나는 지점(북위 36도 00분 00초, 동경 125도 00분 00초)과 서해남부북쪽먼바다와 서해남부남쪽먼바다 경계와 동경 124도 경도선이 만나는 지점(북위 34도 27분 08초, 동경 124도 00분 00초)을 지나 서해남부해상과 제주도해상의 경계와 동경 124도 30분 경도선이 만나는 지점(북위 33도 13분 47초, 동경 124도 30분 00초)까지 연결한 선

    바깥쪽먼바다
    남쪽 안쪽먼바다
    바깥쪽먼바다
    남해서부해상 앞바다 전남서부남해앞바다, 전남동부남해앞바다를 포함하는 해역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
    동쪽먼바다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남단(북위 34도 17분 26초, 동경 126도 31분 35초)과 북위 34도,
    동경 126도 지점을 지나는 직선,전라남도-경상남도 도경계선과 북위 34도 40분,
    동경 127도 50분 지점을 지나 동경 127도 50분 경도선을 연결한 선,북위 33도 40분 18초,
    동경 125도 22분 56초 지점과 북위 33도 20분 위도선과 제주도서쪽앞바다 경계선이 만나는 지점(북위 33도 20분 00초,
    동경 125도 55분 09초)을 지나 북위 33도 20분 위도선과 제주도동쪽앞바다와 만나는 지점(북위 33도 20분 00초, 동경 127도 09분 20초)에서
    북위 33도 34분 48초,동경 127도 50분 00초 지점까지 연결한 선 사이의 남해역 중 남해서부앞바다와 제주도앞바다를 제외한 해역으로 하며,
    동쪽먼바다와 서쪽먼바다의 경계는 전남서부남해앞바다와 전남동부남해앞바다 경계의 남쪽 끝단과
    제주도북부앞바다와 제주도동부앞바다 경계의 북쪽 끝단(북위 33도 46분 00초, 동경 126도 45분 00초)을 연결한 직선으로 한다.

    서쪽먼바다 제주지방기상청
    • 담당관리: 광주지방기상청
    • 문의: 062-720-0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