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치모델 운영현황
인쇄
2·3호기 전지구 예보시스템 모델 특성
시스템 | 슈퍼컴퓨터 2호기 | 슈퍼컴퓨터 3호기 |
---|---|---|
모델 | GDAPS (T426L40) | GDAPS (N320L50) |
기본방정식 | 하이브리드 좌표계를 이용한 원시방정식 | Complete equation (Non-hydrostatic) |
수평분해능 | 30km | 40km (0.5625 × 0.375) |
영역 | Global | Global |
연직층수 | 40층 (~0.4hPa) | 50층 (~63km) |
분석 | 3차원 변분법 | 4차원 변분법 |
예보시간 | 10일 (2회/일, 00, 12UTC) | 10일 (2회/일, 00, 12UTC) |
시간적분 | 반암시적 시간적분 | Semi-Implicit semi-Lagrangian scheme |
수평확산 | 2차 수평확산 | - |
습윤 과정 | Kuo 방안, 대규모 응결, 천해대류방안 | Mass flux convection with CAPE closure, Mixed phase precipitation |
복사 | 장파복사, 단파복사를 매 1시간마다 계산 | Edward-Slingo general 2-stream scheme |
중력파저항 | 장파(파장>100km), 단파(파장 10km) | GWDO (G.W. drag due to orography |
PBL 과정 | 비국지 방안 | MOSES-Ⅱ Non-Local PBL |
지표면 | Simple biosphere model | MOSES-Ⅱ land-surface scheme |
지표상태 | NOAA 일별 SST, 토양수분, 적설량, 지중온도는 기후값 사용 |
Surface analysis + climatology |
2호기 지역 예보시스템의 모델 특성
시스템 | 슈퍼컴퓨터 2호기 | |||
---|---|---|---|---|
모델 | 지역 예보모델 (KWRF) | 지역 예보모델 (RDAPS) | 고분해능 예보모델 (RDAPS) | |
역학과정 | 비정역학계 | 비정역학계 | ||
분해능 | 10km | 30km | 10km | 5km |
격자개수 | 574 × 514 | 201 × 251 | 160 × 178 | 141 × 141 |
시간적분간격 | 60초 | 75초 | 30초 | 15초 |
연직층수 | 31층 (지상~50hPa) | 33층 (지상~50hPa) | ||
예보시간 | 60시간 (00, 12UTC) |
66시간 (00, 12UTC) |
24시간 (00, 06, 12, 18UTC) |
24시간 (00, 12UTC) |
초기화방법 | 3차원 변분자료동화(U3VR): 6시간 사이클 |
FDDA(12시간) | 1-way Interaction | |
미세물리과정 | WSM6 미세물리과정(수증기, 구름, 비, 얼음, 눈, 우박 |
혼합상 미세물리과정 (수증기, 구름, 비, 얼음, 눈) |
||
적운모수화 | new Kain-Fritsch | Kain-Fritsch | None | |
PBL 방안 | YSU PBL | 비국지 행성경계층 | ||
지상온도 | 4층 NOAH LSM | 5층 토양모델 | ||
복사과정 | RRTM 구름복사과정 | 구름복사과정 | ||
해수면 | 0.1 × 0.1°SST | NOAA 일별 SST |
3호기 지역 예보시스템의 모델 특성
시스템 | 슈퍼컴퓨터 3호기 | |
---|---|---|
모델 | KWRF | RDAPS |
역학과정 | 비정역학계 | 비정역학계 |
분해능 | 10km | 12km (0.11 × 0.11) |
격자개수 | 574 ×514 | 540 ×432 |
시간적분간격 | 60초 | 240초 |
연직층수 | 31층 (지상~50hPa) | 38층 (~39km) |
예보시간 | 60시간 (00, 12UTC) | 72시간 (00, 12UTC) |
초기화방법 | 3차원 변분자료동화(U3VR): 6시간 사이클 |
전지구 초기자료 downscaling |
미세물리과정 | WSM6 미세물리과정(수증기, 구름, 비, 얼음, 눈, 우박) |
Mixed phase precipitation |
적운모수화 | new Kain-Fritsch | mass flux convection with CAPE closure |
PBL 방안 | YSU PBL | MOSES-Ⅱ Non-local PBL |
지면자료과정 | 4층 NOAH LSM | MOSES-Ⅱ land-surface scheme |
복사과정 | RRTM 구름복사과정 | Edwards-Slingo general 2-stream scheme |
해수면 | 0.1 × 0.1°SST | OSTIA SST |
앙상블 예측 시스템의 주요 특성
시스템 | 슈퍼컴퓨터 2호기 | |
---|---|---|
기본방정식 | 하이브리드 좌표계를 이용한 원시방정식 | |
초기자료 | 전지구 분석장 | |
모델영역 | 전지구 (지상~0.4hPa) | |
수평분해능 | 0.5625°Gaussian grid (55km) | |
연직층수 | 40층 | |
적운모수화 | Kuo 방안 | |
지표면 | Simple Biosphere Model | |
섭동생성방법 | BGM + FROT method | |
섭동생성영역 | 전지구 | |
예보시간 | 10일 (2회/일, 00, 12UTC) | |
Ensemble 멤버수 | (control 1개, member 16개) × 2 |
통계 모델들의 주요 특성
방법 | 모델명 | 예보인자 | 예보요소 | 예보시간 및 예보기간 | 예보식 |
---|---|---|---|---|---|
PPM | PPM | RDAPS 예보 변수를 이용하여 재 산출된 45개 잠재예보인자 |
최고/최저 기온 | 00UTC : +1일 12UTC : +2일 |
다중회귀식 |
KFM | KFM | RDAPS 시스마 최하층 기온 예보값 | 최고/최저 기온 | 00UTC : +2일 12UTC : +3일 |
상태방정식 출력방정식 |
KF3H | RDAPS 시스마 최하층 기온 예보값 | 3시간 간격 기온 | 00UTC : +2일 12UTC : +2일 |
||
DLM | GDLM | GDAPS 최고/최저 기온 예보값 | 최고/최저 기온 | 12UTC : +10일 | 상태방정식 출력방정식 |
RDLM | RDAPS 시스마 최하층 기온 예보값 | 3시간 간격 기온 | 00UTC : +2일 12UTC : +2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