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ㆍ세종ㆍ충남지역의 연평년 평균기온은 12.4(12.2~12.6)℃도이며, 여름철 평균기온의 평년값은 24.1(23.8~24.4)℃, 겨울철 평균기온의 평년값은 –0.1(-0.5~0.3)℃이다.
연평년 강수량은 1271.7(1075.0~1423.6)mm로 연강수량의 약 57%가 여름철719.2(581.9~842.0)mm에 집중적으로 내린다. 장마철 평년 시작일과 종료일은 6월 제주도를 시작으로 중부지방은 6월 25일에 시작하여 7월 26일에 종료된다. 장마철 평년 기간은 31.5일, 강수일수는 17.4일이며, 장마철의 평년 강수량은 353.9mm 내린다. 태풍의 발생 평년값은 25.1개가 발생하여 그 중 3.4개가 6월에서 10월 사이 우리나라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준다.
※ 대전ㆍ세종ㆍ충남 신평년(1991~2020년) 값: 대전, 서산, 천안, 보령, 부여, 금산 관측값 이용
요소 | 값 | 지역 | 나타난 날 | |
---|---|---|---|---|
기온(℃) | 평균기온 | 33.4 | 대전 | 2018. 08. 02. |
일 최고기온 | 39.4 | 대전 | 2018. 08. 15. | |
일 최저기온 | -23.9 | 천안 | 2001. 01. 15. | |
강수량(mm) | 일 강수량 | 517.6 | 부여 | 1987. 07. 22. |
1시간 최다 강수량 | 116.0 | 부여 | 1999. 09. 10. | |
10분간 최다 강수량 | 35.0 | 부여 | 1987. 07. 22. | |
바람(㎧) | 일 최대풍속 | 27.3 | 서산 | 2010. 09. 02. |
일 최대순간풍속 | 41.4 | 서산 | 2010. 09. 02. | |
눈(cm) | 일 최심 신적설 | 49.0 | 대전 | 2004. 03. 05. |
일 최심 적설 | 49.0 | 대전 | 2004. 03. 05. |
대전ㆍ세종ㆍ충남지역의 1973~2024년 동안의 연평균기온 분포를 보면 모두 지속적으로 상승하였다. 대전은 기온상승률이 +0.42℃/10년이었으며, 충남지역은 +0.32℃/10년 이었다.
대전ㆍ세종ㆍ충남지역의 1973~2024년 동안의 연강수량 변화를 보면 대전은 +16.44mm/10년, 충남지역은 +19.00mm/10년으로 전체적으로 강수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2023년 9월 21일 충남 내포신도시에 개관한 국립충남기상과학관은 오늘의 날씨에서 미래의 기후까지 직접 보고 만지고 체험하며 학습할 수 있는 신개념 기상과학관이다. 기후위기 시대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기상과학에 대한 이해와 함께 적극적인 체험 환경에서 유익한 경험을 할 수 있다. 실내전시와 야외전시로 상시 운영중이며, 실내 전시로는 한반도의 사계(한반도의 아름다운 사계절), 한반도의 기후환경(비의 정원, 용오름), 한반도의 기후환경(태풍갤러리, 바람과 지형, 안개의 숲), 서해안기상센터(일기예보 체험, 캐스터 체험), 기후변화탐험(기후변화탐사선, 지구기후 회복센터 등)이 있으며, 야외 전시장에는 풍기대, 측우기, 측우대 등 역사 유물과 지상ㆍ해양ㆍ위성 관측장비를 관람할 수 있고, 재생에너지센터와 기후놀이터에서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