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25년 겨울철 기후특성] 눈일수 37일로 역대 2위, 이례적인 늦겨울 추위
- 강수량 46.1mm 평년 대비 52.7% 수준이었으나, 눈일수는 37일로 평년보다 13.2일 많았음 - 평균기온은 0.1℃로 평년과 비슷하였으나, 1월에 큰 기온 변동, 2월 두 차례 추위 지속
|
대전지방기상청(청장 박경희)은2024/25년 충남권 겨울철 기후 특성과 원인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발표하였다.
|
[기온] 겨울철 평균기온은 0.1℃로 평년(-0.1℃)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작년(23/24년 2.1℃, 역대 2위)보다 2.0℃ 낮았다. 2024년 12월부터 2025년 1월 초까지 대체로 평년 수준의 기온을 보이다가, 이후 기온 변동 폭이 크게 나타났으며, 2월에는 일주일 이상 지속된 추위가 두 차례 발생하였다.
|
|
|
|
(1월 큰 기온 변동) 북극진동으로 인해 10일 전후 대륙고기압과 상층 찬 기압골 영향으로 한파가 발생했으나, 13일 이후에는 따뜻한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을 자주 받으면서 기온이 크게 올랐다.<붙임 3 참고> ※ 1월 동안 충남권의 일평균기온 최저는 9일에 –8.4℃, 최고는 26일에 4.4℃로 12.8℃의 큰 변동폭을 보였음
|
|
(2월 두 차례 추위 지속) 북대서양 폭풍 저기압의 북극 유입으로 인한 우랄 블로킹 발달 등의 영향으로 봄이 온다는 입춘(3일부터 10일까지)과 얼음이 녹는다는 우수(18일부터 24일까지)에 추위가 각각 일주일 이상 지속되었다. 그 결과 2월 평균기온은 –0.9℃로 평년(0.6℃)보다 1.5℃ 낮았고(하위 17위), 최근 10년(2016~2025년) 중 두 번째로 낮았다.<붙임 4 참고> ※ 2025년 2월 평균기온 최저일: 2월 8일 –6.6℃(일평년차 –6.0℃)
|
|
[강수량] 지난 겨울철 강수량은 46.1mm로 평년(87.5mm) 대비 52.7% 수준으로 적었고(1973년 이래 하위 7위), 역대 1위로 가장 많았던 작년(253.6mm)과 비교하면 1/5 수준이었다.<붙임 2, 6 참고> ※ 겨울철 강수량 하위 순위: (1위) 2021/22년 17.7mm, (2위) 1998/99년 21.5mm, (3위) 1987/88년 25.5mm
|
|
|
(잦은 눈) 차고 건조한 북풍이 우리나라로 자주 불어 강수량은 적었으나, 대륙고기압 확장과 상층 찬 기압골 영향으로 서해상에서 해기차(바닷물과 대기의 온도 차)에 의해 발달한 눈구름이 유입되어 서쪽 지역을 중심으로 눈이 자주 내렸다. 대전 눈일수는 37일로 평년(23.8일)보다 13.2일 많았고(역대 2위), 내린 눈의 양도 32.6cm로 평년(25.3cm)보다 많았다.(역대 18위).<붙임 2, 5, 6 참고> ※ [설 연휴(1.27~29.) 동안] 일최심적설(쌓인 눈의 높이가 하루 중 가장 많이 쌓여있었던시간에 관측한 눈의 높이)이 가장 많았던 날: 1월 28일 대전 12.3㎝
|
|
박경희 대전지방기상청장은 "지난 연휴 비와 눈이 내리면서 매우 건조한 대기 상태가 일부 해소되었으나, 봄철에는 여전히 산불 발생 위험이 커질 수 있어 철저한 대비가 필요합니다.”라며, “지난 겨울철에도 1월 고온과 늦겨울 추위 등 변화무쌍한 날씨가 나타났고, 앞으로도 기후변동성은 더욱 심화될 수 있습니다. 대전지방기상청은 이상기후 현상을 면밀히 감시하고 신속한 정보를 제공하여, 지역민 안전과 생명을 지키는 데 최선을 다하겠습니다."라고 밝혔다.
|
※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세요.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