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0년 여름철 기상특성]
월별 기온 들쑥날쑥, 가장 긴 장마철에 많은 비
- 이른 6월 폭염, 8월 중순 이후 폭염·열대야
- 대전ㆍ세종ㆍ충남을 포함한 중부 긴 장마기간(1위)
- 대전ㆍ세종ㆍ충남 장마철 강수량과 강수일수 역대 1위
- 대기 정체와 찬 공기 유입, 기온·습도 높은 공기의 남~서쪽 확장 때문 |
|
(기온) |
6월 초부터 이른 폭염이 나타나 대전ㆍ세종ㆍ충남 6월 평균기온(22.4℃/평년 21.4℃)은 1973년 이후 3위로 높았으나, 7월(22.9℃/평년 24.6℃)은 장마의 지속으로 기온이 오르지 않아 46위(하위 3위)까지 낮아졌으며, 8월(26.4℃/평년 25.2℃, 6위)은 폭염과 열대야가 이어져 7월 말부터 8월 중순까지 더웠던 평년과 다르게 여름철 기온변동을 보였습니다. |
|
○ |
6월은 최저기온(18.1℃/평년 16.5℃), 폭염일수(1.6일/평년 0.3일) 모두 1위, 8월은 최저기온(23.5℃/평년 21.3℃) 2위, 열대야일수(6.2일/평년 1.8일) 5위를 기록하면서 더위가 나타났습니다. |
○ |
(6월 더위) 기온과 습도가 높은 공기(이하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과 서쪽에서 접근한 저기압에 의해 따뜻한 남서풍이 유입되었고, 강한 일사까지 더해지면서 역대 3번째로 더운 6월로 기록되었습니다. |
○ |
(7월 선선) 보통 북태평양고기압이 북상하면서 더워지는데, 금년은 우리나라 주변에 찬 공기가 위치하고, 북태평양고기압이 서쪽으로 확장하면서 정체전선을 따라 흐리고 비가 온 날이 많아 낮은 기온을 보였습니다. |
○ |
(8월 더위) 기온이 높고 습도가 낮은 공기(티벳 고기압)와 북태평양고기압이 동시 확장하여 우리나라 주변 대기 상·하층에 더운 공기가 자리잡았고, 장마철 종료 후 기온이 급격히 상승하여 폭염과 열대야가 이어졌습니다. |
|
(강수) |
덥고 습한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를 따라 수증기가 지속적으로 유입되었고, 정체전선에 의한 강한 강수대가 자주 형성되면서 강수 기간도 길고, 강수량도 많았습니다(강수량 984.9㎜, 4위, 강수일수 49.4일, 3위). |
|
○ |
특히, 6~7월은 북태평양고기압의 북쪽 확장이 늦어지면서 상층 찬 공기 사이에서 발달한 저기압에 의해, 8월은 평년과 같이 북태평양고기압이 북쪽으로 점차 확장하여 정체전선 상에서 발달한 폭이 좁은 강한 강수대가 남북으로 이동하면서 전국 곳곳에서 집중호우가 발생하였습니다. |
|
(장마철) |
대전ㆍ세종ㆍ충남을 포함한 중부지방의 장마철은 6월 24일 시작하여 8월 16일에 종료(54일)되면서, 1973년 이후 가장 긴 장마로 기록되었습니다. |
|
○ |
장마철 대전ㆍ세종ㆍ충남 강수량(818.1㎜)과 강수일수(34.6일)는 모두 1973년 이후 1위를 기록하였습니다. |
|
(2020년 여름철 특성 원인) |
|
○ |
6월 시베리아 이상고온으로 7월 북극 해빙(海氷) 면적이 1979년 이후 최저를 기록하였고, 이로 인해 우리나라 주변은 대기 정체(블로킹)로 편서풍이 약해지고 북쪽으로부터 찬 공기의 유입이 잦았습니다. |
○ |
또한, 7월 서인도양에 해수면 온도가 높고 대류가 매우 활발(상승기류)해지면서 동인도양~필리핀해 부근에서 대류 억제가 강화(하강기류)됨에 따라, 북태평양고기압이 남~서쪽으로 크게 확장하였습니다. |
|
- |
이 때문에, 북태평양고기압의 북쪽 확장이 지연되었고, 우리나라 부근에서 정체전선이 지속해서 활성화되어 장마철이 길게 이어졌으며, 7월 기온도 낮아져 기온변동이 컸던 것으로 분석됩니다. |
|
- |
한편, 6~7월은 상층 찬 공기를 동반하며 발달한 저기압에 의해, 8월은 정체전선 상에서 발달한 남북으로 폭이 좁은 강한 강수대가 지속해서 발달하면서, 집중호우와 많은 비가 잦았습니다. |
|
|
 |
|
|
|
|
□ |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세요.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