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울 위험 예측정보, 소해구 단위로 확대 제공
 - 기존 45개 해안 지점 → 2,877개 소해구 단위 예측 분포도 도입
 - 안전한 해상 활동을 위해 먼바다까지 빈틈없는 사전 정보 제공 강화
   
기상청(청장 이미선)은 10월 31일(금)부터 동해 망상해변, 속초 영랑동 해안도로 등 45개 해안 지점에 대해 제공해 왔던 너울* 위험 예측정보를 우리나라 주변 해상 전체로 확대하여 제공한다고 밝혔다.
   
* 먼바다에서 발생한 강한 풍파의 에너지가 해안까지 전달되어, 바람이 불지 않아도 갑작스러운 파도를 일으키며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해양위험기상 현상
   
기상청은 그간 동해안, 남해안, 제주 해안의 주요 해수욕장, 해안도로, 방파제 등 45개 해안 지점에 대해 3일 후까지의 너울 예측정보를 4단계 위험도*(관심, 주의, 경계, 위험)로 제공해 왔다.
   
* 유의파고(2m, 4m)와 파주기(8초, 11초) 기준값으로 단계별 구분
   
너울은 해안뿐만 아니라 해상을 운항 중인 선박에도 예기치 못한 큰 흔들림을 일으켜 항로 이탈, 선박 전복 등 피해를 일으킬 수 있다. 이에 우리나라 주변 해역을 2,877개 소해구(약 17km×17km 격자)로 세분화하여 단계별 위험도를 색상에 따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해구도* 기반 분포도로 새롭게 제공한다.
   
* 우리나라 주변 해역에 구획을 긋고 구획마다 간단한 번호를 부여한 지도로, 남북방향 약 50km 간격으로 나눈 대해구와 이를 다시 9개의 구역으로 나눈 소해구로 구성
   
우리나라 주변 해상에 대한 너울 위험 예측정보는 기상청 해양기상정보포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https://marine.kma.go.kr > 안전·안보 > 너울 > 분포도
   
이미선 기상청장은 “너울이 자주 발생하는 겨울철에는 해안가 및 해상에서의 활동 시 너울 위험 예측정보를 사전에 꼼꼼하게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기상청은 앞으로도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해양 안전 서비스를 더욱 적극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