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이미지

지진해일

  • 관측관
  • 지진해일

지진해일 관측망

지진해일 관측

기상청은 울릉도 및 임원항에 해일파고계(15m 이상 파고 관측 가능), 연안 방재 관측 시스템(18개소), 해상감시 CCTV(24개소), 국립해양조사원의 조위자료(50개소) 등을 공유하여 실시간으로 감시에 활용하고 있다.

지진해일 사례

구분 일자 진앙 규모
(Mw)
동해안
지진해일고
피해 비고
1 1940.8.2 일본 홋카이도 샤코탄반도 (44.15°N / 139.28°E) 7.5 ~2m 삼척에서 가옥 피해(56), 선박 피해(6) 묵호 1.2m, 나진 0.5m 해일 관측되었고, 주민 증언에 따르면 삼척, 울진, 울릉도에 최대 2m의 지진해일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
2 1964.6.16 일본 혼슈 니카타 (38.3°N / 139.2°E) 7.5 ~0.5m 기록 없음 부산 0.3m, 울산 0.39m의 해수면 상승이 기록됨
3 1983.5.26 일본 혼슈 아키타
40.46°N / 139.10°E
7.7 2~5m
(약 70km의 해안에서 파고 2m 이상)
사망(1), 행방불명(2), 부상(3), 가옥 피해(34), 선박 피해(156)
(피해액 약 3.7억원, 삼척군 임원리에서 최대 피해)
지진 발생 후 우리나라 동해안에 1시간 30분~1시간 50분 동안 10분 주기로 지진 해일이 몰려와 동해안의 여러 지역에 많은 피해를 주었음. 동해안의 해수면이 최고 3m 폭으로 높아졌다 낮아지는 해면 승강 현상이 일어나 밤 9시경까지 계속되면서, 간만의 차가 최고 6m나 되는 조수 현상까지 겹쳐 피해가 증폭되었음. “쾅”하는 폭음과 함께 수심 5m의 항구 바닥이 드러날 정도로 한꺼번에 바닷물이 빠져나갔다가 10분 후 “쏵”하는 소리와 함께 다시 밀려옴.
4 1993.7.12 일본 홋카이도 오쿠시리
42.85°N / 139.19°E
7.8 0.5~3m (1:30~3:00 동안 10분 주기로 지진해일 내습) 어선 피해(35)
(피해액 약 3.9억원)
지진 발생 후 우리나라 동해안에 1시간 30분~3시간 동안 10분 주기로 지진 해일이 밀려와 많은 피해를 주었음. 울릉도와 속초시 대포항, 장사항의 어선 침몰을 비롯하여 동해, 삼척, 임원항에 이르는 강원도와 경상북도 동해안 일원에 최대 2~3m의 지진 해일 발생. 1983년 아키다 지진 해일과는 달리, 기상청은 22시 50분 지진 해일 특보를 발표, 신속한 지진 해일 대비 업무를 수행하여 인명 피해는 없었으며 재산 피해도 줄일 수 있었음.
5 2011.3.11 일본 혼슈 도후쿠 38.1°N / 142.9°E 9.0 0.2~0.3m 없음 지진 발생 후 수분 만에 울릉도와 동해안 일부 지역에서 약 0.1m의 약한 지진해일이 발생하였고, 일본 남쪽을 거쳐온 지진해일이 제주도와 남해안에 최대 0.2~0.3m의 파고를 기록하였다.

지진해일 피해 사진
(삼척항 쓰나미(1983.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