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이미지

화산

  • 관측관
  • 화산

화산활동 감시

천리안 등 위성자료를 활용하여 한반도와 주변국의 화산활동을 감시한다.

관측구분 관측방법 관측요소
기본관측 지진계에 의한 자동관측 - 지진파형
- 지진파 위상의 도달시각 및 진폭
- 지반속도
- 지반가속도
보조관측 인공위성에 의한 관측 - 화산가스
- 화산재
- 지표변화
지구물리 관측 - 중력
- 자기장
- 지형변화
지구화학 관측 - 화산가스 분출량의 변화
- 이산화탄소 및 아황산가스 농도변화
육안 및 체감에 의한 관측 - 화산의 분화
- 화산재
- 화산가스의 분출(식물 고사 등)
- 지표변화

국내 영향 가능 화산
(29개)

화산폭발지수(VEI)
화산폭발지수(Volcanic Explosivity Index)는 화산폭발의 크기를 지수별로 나타낸 것으로,
폭발성, 화산재의 부피와 높이에 따라 0부터 8까지 9단계로 나누어져 있다.

VEI 분출물의 양 상황 분화재의 높이 사례
0 <10,000m³ 비폭발적 (non-explosive) 100m 이하 마우나로아 화산
1 >10,000m³ 소규모 (gentle) 100 ~ 1000m 스트롬볼리 화산
2 >1,000,000m³ 중간규모 (explosive) 1 ~ 5km 갈레라스 화산(1993)
3 >10,000,000m³ 대규모 (severe) 3 ~ 15km 코략스카야 화산
4 >0.1km³ 매우 대규모 (cataclysmic) 10 ~ 25km 몽펠레 화산(1902)
5 >1km³ 초대규모 (paroxysmal) 25km 이상 세인트헬렌스 화산(1980)
6 >10km³ 파국적 (colossal) 25km 이상 피나투보 화산(1991)
7 >100km³ 매우 파국적 (super-colossal) 25km 이상 탐보라 화산(1815)
백두산 분화(약 960년경)
8 >1,000km³ 초파국적 (mega-colossal) 25km 이상 토바 화산(74,000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