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포토뉴스

2016 사진전입상작, 최종국 [태양과 가로등]

> 포토뉴스

올 여름 이상기온의 원인과 전망

등록일 : 2010/08/04 조회수 12817

 평균기온

[그림 1] 7월의 전국 60개 지점 평균기온 시계열

▲ 현황

 지난 7월(7.1.~31.) 전국 60개 지점의 평균기온은 25.3℃로 평년(24.5℃)에 비해 0.8℃ 높았으며, 특히 7월 한 달 중 26일이 평년에 비해 기온이 비슷하거나 높았다(그림 1 참조).
 
   
원인

지난 6월부터 적도 동태평양 해역에 라니냐 초기상태가 나타난다.
열대 태평양 표층의 더운 해수가 서태평양지역으로 이동하여 남북으로 분산되면서 인도네시아 부근을 비롯한 열대 서태평양 해역과 북태평양 중위도 해역에 강한 고수온 벨트가 형성된다.


인도네시아 부근 해역에서 형성된 강한 대류활동(deep convection)에 의한 파동 에너지가 북서태평양 지역으로 전파되면서 우리나라 남동쪽에 위치한 북태평양고기압 세력을 강화시킨다. 또한, 중위도 상공 10km 부근에 위치한 제트기류의 축이 북편하면서 북쪽 한기의 남하를 저지하는 역할을 하였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평년에 비해 강하게 발달한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고온다습한 남서기류가 지속적으로 유입되면서 남부 내륙과 영동지방을 중심으로 30도를 웃도는 폭염이 지속적으로 나타났다.

 

바람장 평년편차

             [그림 2] (좌) 상공5km 부근의 바람장 평년 편차 및 해수면온도 평년 편차도 (우) 북반구 여름철의 P-J(Pacific-Japan) 패턴 모색도(Nitta, 1987)

  전망

열대 동태평양 해역의 저수온 현상은 올 여름철 동안 세력을 유지하거나 다소 강화될 것으로 전망되나, 가을철 후반부터 서서히 약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북태평양고기압 세력 또한 평년에 비해 지속기간이 다소 길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9월 초순까지도 기온이 평년보다 다소 높은  늦더위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

 

 

문의  기후예측과 김지영 02-2181-0474


공공누리
기상청 이(가) 창작한 올 여름 이상기온의 원인과 전망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목록보기

담당관리 : 본청

문의 : 042-481-7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