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자유토론

2018 사진전입상작, [햇무리]

> 자유토론

자유토론은 기상업무 또는 기상지식과 관련해서 자유롭게 토론하는 장으로,
기존 자유토론과 지식샘 게시판을 통합하여 운영합니다.
기상청 홈페이지 게시물 관리 기준에 따라 해당 글이 삭제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게시글 등록 시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개인정보가 포함될 경우 개인정보 노출 위험이 있으니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기상지식과 관련한 일부 게시물에 대해서는 선별하여 답변을 게재할 예정입니다.
※ 기상청의 공식적인 답변이 필요한 경우는 '국민참여>민원이용안내'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로그인 유지시간(10분) 내 작성 완료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즐라왓의 이동경로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이종찬 2012/09/24 조회수 3816

평소 자주 들려서 여러 분들의 의견을 보다가
잠시 의문이 생기는 점이 있어서 처음으로 글을 남겨 봅니다.

현재 즐라왓의 이동경로가 대만에 상륙하지 않고 동북쪽으로 틀었는데요.
이 상황에서 일본동쪽에 있는 북태평양 기압이 확장해 우리나라 고기압대를 조금
밀어내 버린다면 제주도와 경남을 걸쳐서 이동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고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이점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참고로 이번에 태풍피해본 여러 분들에게 위로의 말을 전하고 싶네요. 저도 태풍피해가 많은 지역 주민이기에
충분히 아픔에 대해서 공감합니다. 다만 안온다안온다 하다가 큰 피해를 보는 것 보다는
다방면으로 예측하고 이야기 해보는게 태풍을 대비하는 자세가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댓글 7
  • 이**님의 프로필사진

    경순님 글 감사해요. 아무래도 경순님 말대로 될 것 같아요. 근데 쓰신 말 중에 ´서진´이 아니라 ´동진´아닌가요? 제가 머릿 속으로 경순님 말을 듣고 그려본 바로는 대만쪽에서 북동진 할 경우 북태평양 기압 가장자리로 이동하면서 오키나와 아래 방향으로 휘어서 나가거든요. 제 상상(?)이 잘못된건지 코멘트좀 해주세요.ㅎ

    이종찬 2012-09-25 01:05:17

  • 최**님의 프로필사진

    글 수정좀요 태풍의 진로가 더 서진한다음에 북태평양 가장자리를 타고 이동할것입니다

    최경순 2012-09-25 00:16:13

  • 최**님의 프로필사진

    종찬님께서 글을 쓴 의도는 잘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사람한테 이런글이 자기를 옹호한다 이런식으로 다른이야기는 다 배제하고 1차원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이기 때문에 의도하는 바를 이해할지 심히 걱정됩니다.^^;; 저도 잘모르지만 아는대로 답변 드리겠습니다 상층 제트기류대가 원래 덴빈 산바 같은경우는 한반도북동쪽에 형성되면서 한반도쪽으로 끌어들이는 역활을 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우리나라 상층에 제트기류대가 지나고 있기때문에 오히려 더 남쪽에서 전향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태풍은 북태평양 고기압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지금 현재 북태평양 고기압은 동남쪽해상으로 밀려난 상태라 확장을 하더라도 태풍의 진로가 더 서진할것입니다. 그리고 현재 우리나라 주변 기압계를 보면 봄철에만 나타나는 동서고압대가 보입니다. 동서고압대란 우리나라부근에서 이동성고기압들이 동서로 1000~1500km로 길게 펼쳐져 있는 기압계 유형입니다.. 이때 기압을 주로 북쪽과 남쪽으로 지나가고 고기압 속도가 느리기때문에 맑은 날씨가 지속됩니다..요즘 날씨가 전형적인 동서고압대의 날씨입니다

    최경순 2012-09-24 22:49:38

  • 이**님의 프로필사진

    그리고 상층 제트기류대가 살작 빗겨서 형성될 가능성은 없는지요? 상층 바람에 대해서 무지하다보니.. 죄송합니다. 또는 대륙고기압이 일종의 기압골 통로로 공기들이 빠져나가서 그 틈을타서 기압대가 변동될 가능성은 없을까요?

    이종찬 2012-09-24 19:47:39

  • 이**님의 프로필사진

    그리고 경순님 하나만 질문드려도 될까요? 제가 기상에 대해 잘 몰라서 이런 생각도 해봅니다^^;; 예를들어 우리나라 동북쪽에서 대륙고기압이 약화되어 이동성고기압으로 분리되는 틈새사이로 북태평양 고기압이 그 틈을타서 일시적으로 성쇠를 회복할 가능성은 없는 건가요?

    이종찬 2012-09-24 19:45:35

  • 이**님의 프로필사진

    경순님 말에 동의 합니다. 어떤 기상에 대해서 책임지는 위치가 아닌 일반 시민으로서 논의를 하기 때문에 ´온다 온다´ 하는 식의 이야기가 쉽게 나올 수 있겟죠. 다만 저는 일반 시민들도 기상에 대해 많이 말하고 논쟁도 벌여야 지금처럼 기상청 일기예보에 의존하는 현실이 변할거라고 생각해요. 그렇기 때문에 최대한으로 이런 게시판에서는 여유를 두고 이야기를 나눠야 하는게 옳지 않을까 생각해본겁니다. 최경순님 말처럼 근거없는 소모적인 글들은 게시판 질을 떨어뜨리죠. 제 의도를 곡해하지 않으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이종찬 2012-09-24 19:43:11

  • 최**님의 프로필사진

    지금 시기상 대륙고기압이 확장하고 북태평양 고기압은 수축하는시기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에 올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죠 그리고 님 말씀대로 북태평양이 확장할수도 있으나 지금 북태평양 고기압의 위치도 일본 동해상에 빠져있고 확장한다고 해도 여름철만큼 강하게 확장을 못합니다 그리고 다방면으로 토론하는게 좋죠 하지만 근거도 없고 그냥 온다온다 이런식으로 글적는데 어떤 논의가 펼쳐질수있겠습니까? 태풍이 왜 오는지 뭐때문에 오는지 이정도는 적어줘야하는데 매일 온다고 하는데 어떻게 토론이 이루어 질수 있겟습니까?

    최경순 2012-09-24 19:01:42


본인인증 또는 SNS계정 인증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본인 인증

· SKT, LGU+ 통신사를 사용하여 핸드폰을 인증할 경우 인증창 상단에서 휴대폰 본인 확인(문자) 선택 후 인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