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아침, 한강 결빙 관측 지점인 한강대교 부근이 올 겨울 들어 처음으로 얼었다. 이는 평년보다 15일, 작년보다 13일 이른 것이다.
한강 결빙이 평년보다 빨라진 것은 12월 중순에 들면서 찬 대륙고기압이 주기적으로 확장해 한반도 주변의 상하층 기온이 낮아지기 시작한 이후 지난 26일부터 서울 아침기온이 영하 10℃안팎까지 떨어지고 낮 기온도 영하 5℃에 머무르는 추운 날씨가 이어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기상청은 한강대교 주변에 일정한 수역을 정해놓고 지난 1906년부터 한강의 결빙 상태를 관측하고 있다. 한강 결빙 관측지점은 서울을 통과하는 한강 수계의 중앙 지점인 한강대교의 노량진 쪽 2번째와 4번째 교각 사이에서 상류 쪽으로 100m 부근의 남북 간 띠 모양의 범위를 지정하였다. 이는 관측지점 선정 당시인 1906년 노량진 나루는 한강의 주요 나루 가운데 하나였으며, 관측을 위한 접근성이 쉬웠기 때문이다.
결빙은 얼음으로 인하여 강물이 완전히 볼 수 없는 상태이며 얼음의 두께와는 무관하다. 해빙은 결빙된 수면이 녹아 어느 일부분이라도 노출된 상태를 말한다. 결빙 시작일과 마지막 해빙일 사이에는 몇 번의 결빙과 해빙이 있을 수 있다. 한강의 결빙 평년값은 1월 13일, 해빙 평년값은 2월 5일이다.
문의 : 관측운영과 심원보 2181-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