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상에 위치한 발달한 저기압의 영향으로 전국적으로 많은 눈이 내리고 있다. 특히 서울·경기도 등 대설경보와 주의보가 발효 중인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20㎝ 안팎의 많은 눈이 내렸다.
이번 눈은 서울·경기도와 강원도에 집중되어 오후 2시 현재 10~20㎝의 분포를 보인 반면, 경기도와 인접한 서산 3.0㎝, 청주 7.3㎝, 천안 11.6㎝ 등 지역편차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 4일 0시부터 오후 2시까지 쌓인 눈의 양은 서울 25.8㎝, 인천 22.3㎝, 수원 19.1㎝, 문산 19.5㎝, 이천 22.5㎝, 충주 14.8㎝, 춘천 22.0㎝ 등이다.
대설의 원인은 지난 2~3일 영하 10도 안팎의 한파를 가져온 상층 5km의 영하 30도 안팎의 찬 공기가 머무르고 있는 상태에서 중국 중부내륙에서 접근하는 저기압이 서해상을 지나면서 따뜻하고 매우 많은 습한 공기를 공급받아 서울·경기도지방에서 충돌하면서 큰 눈구름대가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더욱이 대륙의 찬 공기가 저기압 후면으로 강하게 유입되면서 저기압 중심의 북쪽에서 눈구름을 크게 발달시킨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오늘 서울에 내린 25.8㎝의 눈은 1969년 1월 28일 25.6cm 이후 41년 만의 대설이며, 1937년 적설 관측 이래 가장 많은 양이다. 일최심신적설(0시부터 쌓인 눈의 높이) 극값 기록으로 볼 때 인천과 수원도 각각 2위, 4위에 해당할 정도로 많은 양의 눈이 내렸다. 일최심신적설 극값 1위 기록은 인천이 30.0㎝(1973년 12월 22일), 수원이 21.9㎝(1981년 1월 1일)이다.
저기압이 동진하면서 서울·경기도 등 서쪽지방은 점차 약해지겠으나 강원도, 충청북도, 경상도 등 동쪽지방은 많은 눈이 오겠으니, 시설물관리와 교통안전 등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4일 밤부터는 상층(5km)이 영하 40도 안팎인 찬 대륙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서해상에서 만들어진 눈구름의 영향으로 충남서해안과 전라남북도서해안은 7일(목)까지 많은 눈이 내리겠다.
- 주요 도시 신적설 기록 -
지점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서울 (1937년 이후) | 2010. 1. 4. 25.8cm | 1969. 1. 28. 25.6cm | 2001. 2. 15. 23.4cm | 1956. 2. 28. 22.8cm | 1969. 2. 16. 19.7cm |
인천 (1949년 이후) | 1973. 12. 22. 30.0cm | 2010. 1. 4. 22.3cm | 1969. 1. 28. 20.0cm | 1969. 2. 16. 19.2cm | 2001. 2. 15. 17.6cm |
수원 (1964년 이후) | 1981. 1. 1. 21.9cm | 2006. 12. 17. 20.5cm | 1973. 12. 22. 19.2cm | 2010. 1. 4. 19.1cm | 2001. 2. 15. 15.1cm |
※ 위 표는 2010년 1월 4일 14시00분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아직도 눈이 내리고 있어 눈이 종료되는 시점에서는 변동될 가능성이 있음.
문의 : 예보상황과 2181-06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