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목) 장마전선 영향, 중부지방 120mm 이상 많은 비 - 중부지방 천둥·번개 동반한 시간당 20~30mm의 집중호우 [7월 7일 아침 장마예상도] 현재 제주도 남쪽해상에 위치한 장마전선은 북태평양고기압의 확장으로 인해 점차 활성화되면서 북상하겠고, 6일(수) 낮에 전라남도에 비가 시작되어 밤에 충청이남지방으로 확대되겠습니다. 예상강수량(6~7일) - 서울·경기, 강원영서, 충청남북도, 전라남북도 : 30~70mm, 많은 곳(중부지방) 120mm 이상 - 강원영동, 경상남북도, 제주도, 울릉도·독도 : 10~50mm 7일(목) 새벽 장마전선이 중부지방에 위치하면서 전국적으로 장맛비가 이어지겠으며, 특히 중부지방은 7일(목) 오후에서 밤사이 비의 강도가 강해지면서 천둥·번개를 동반한 시간당 20~30mm의 집중호우가 예상됩니다. 8일(금) 서울·경기지방은 일시 소강상태를 보이겠으나, 9일(토) 장마전선이 다시 활성화되면서 전국에 장맛비가 내리겠습니다. 이 후 11일(월)~12일(화)에는 다시 장마전선의 영향으로 중부지방에 비가 내릴 가능성이 있으니, 앞으로 발표되는 기상정보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한편 그 동안 전국적으로 내린 많은 비로 인해 지반이 약해진 상태에서 또 다시 많은 비가 예상되니 산사태, 축대붕괴 등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히 대비하시기 바랍니다.기상청 이(가) 창작한 7일(목) 장마전선 영향, 중부지방 120mm 이상 많은 비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2011/07/05 조회수 : 35407 [ 다운로드 : jpg 파일 ]
[7월 중순~8월 상순, 무더운 날이 많겠다] 7월 중순에는 기압골의 영향으로 많은 비가 올 때가 있겠으나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다.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으로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고온현상이 나타날 때가 있겠으며 기온은 평년보다 높겠다. 순 평 균 기 온 강 수 량 7월 중순 평년(23~26℃)보다 높겠음 평년(69~173㎜)과 비슷하겠음 7월 하순 평년(24~27℃)보다 높겠음 평년(51~135㎜)과 비슷하겠음 8월 상순 평년(25~28℃)보다 높겠음 평년(47~139㎜)과 비슷하겠음 7월 하순에는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전국적으로 무더운 날이 많겠으며 기온은 평년보다 높겠다. 대기불안정에 의한 국지성 집중호우가 있겠으나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다. 8월 상순에는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전국적으로 무더운 날이 많겠고, 폭염과 열대야가 자주 나타나 기온은 평년보다 높겠다. 대기불안정에 의한 국지성 호우가 있겠으나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다. 최근 1개월(‘11.06.01~’11.06.30) 전국의 평균기온은 21.9℃로 평년보다 0.6℃ 높았다. 평균 최고기온은 27.0℃로 평년보다 0.6℃ 높았고, 평균 최저기온은 17.6℃로 평년보다 0.8℃ 높았다. 평균 강수량은 288.6㎜(평년대비 190%)로 평년보다 많았으며, 일조시간은 170.7시간으로 평년보다 22.3시간 적었다. 문의: 기후예측과 신진호 02-2181-0473기상청 이(가) 창작한 [7월 중순~8월 상순, 무더운 날이 많겠다]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2011/07/04 조회수 : 16485 [ 다운로드 : jpg 파일 ]
[영상뉴스] 숨가쁘게 달려온 기상청 기상청 이(가) 창작한 [영상뉴스] 숨가쁘게 달려온 기상청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2011/07/01 조회수 : 8961 [ 다운로드 : jpg 파일 ]
온난화 유발하는 이산화탄소, 메탄 농도 증가 지구온난화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의 농도가 2009년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아산화질소(N2O), 염화불화탄소(CFC-11, CFC-12) 의 5개 가스가 지구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은 96%로 기후를 변화시킬 가능성이 가장 큰 온실가스이다. 기상청(청장 조석준) 기후변화감시센터(충남 안면도 소재)는 한반도 배경대기지역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측정·분석한 「2010 지구대기감시 보고서」를 6월 30일 발간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온도상승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이산화탄소(CO2)의 2010년 안면도의 연평균 농도는 394.5 ppm으로 2009년(392.5 ppm)에 비해 2.0 ppm, 관측을 시작한 1999년(370.7 ppm)에 비해 23.8 ppm 증가하였다. 안면도와 전 지구 이산화탄소 월평균 농도(1999~2010). 2010년 전 지구 이산화탄소 평균농도는 NOAA GMD (Global Monitoring Division)에서 제공. 지난 12년(1999-2010)간 우리나라(안면도)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매년 평균 2.2 ppm 씩 증가하였다. 안면도의 2009년 농도(392.5 ppm)는 세계기상기구(WMO)에서 보고한 2009년 전 지구 평균농도 386.8 ppm 보다 5.7 ppm 높다. 2010년 안면도의 연평균 메탄(CH4) 농도는 1,914 ppb로 2009년(1,906 ppb)에 비해 8 ppb 증가 하였다. 안면도의 2009년 농도(1,906 ppb)는 세계기상기구(WMO)에서 보고한 2009년 전 지구 평균농도 1,803 ppb 보다 103 ppb 높다. 2010년 안면도의 아산화질소(N2O) 연평균 농도는 325.2 ppb로 2009년에 비해 2.6 ppb 증가하였으며, 관측을 시작한 1999년(314.0 ppb)에 비해 11.2 ppb 증가하였다. 안면도의 2009년 농도(322.6 ppb)는 세계기상기구(WMO)에서 보고한 2009년 전 지구 평균농도 322.5 ppb 보다 0.1 ppb 높다. 프레온가스로 불리며 성층권 오존층 파괴의 원인물질로 알려진 염화불화탄소(CFCs)는 최근 사용량 감소 추세에 따라 연평균 농도가 꾸준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염화불화탄소(CFC-11)의 2010년 평균농도는 244.7 ppt로 2009년의 249.0 ppt 에 비해 4.3 ppt 감소하였다. 염화불화탄소(CFC-12)의 2010년 평균농도는 524.2 ppt로 2009년의 528.7 ppt 에 비해 4.5 ppt 감소하였다. 문의 : 기상청 기후변화감시센터 센터장 정해순 041-674-6420기상청 이(가) 창작한 온난화 유발하는 이산화탄소, 메탄 농도 증가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2011/06/29 조회수 : 13136 [ 다운로드 : jpg 파일 ]
[영상뉴스] 태풍 비상근무 중인 국가기상센터 기상청 이(가) 창작한 [영상뉴스] 태풍 비상근무 중인 국가기상센터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2011/06/26 조회수 : 13988 [ 다운로드 : jpg 파일 ]
제5호 태풍 메아리[MEARI]의 특징 - 6월에 이례적으로 서해상으로 북상 - 6월에 서해상에서 유일하게 북서진 - 장마전선과 태풍이 합쳐져 서울을 비롯한 중부지방에 6일간 강수지속 - 6월 비·바람 극값 경신 제5호 태풍 “메아리(MEARI)"는 22일(수) 15시 필리핀 마닐라 동쪽 해상에서 발생하여 26일(일) 새벽 서귀포 서남서쪽 해상을 지나 서해북부해상에서 북상하고 있으며, 27일(월) 낮에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제5호 태풍 “메아리(MEARI)"는 6월 서해로 북상해 우리나라에 직접 영향을 준 태풍 중 서해에서 유일하게 북서진한 태풍으로 기록되었습니다. 이는 동쪽에 북태평양고기압이 발달하여 태풍이 동진하지 못하고 북~북서진하였기 때문입니다. 태풍은 북태평양고기압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평년의 경우에는 북태평양고기압이 동서로 폭넓게 뻗어있어 태풍이 중국남부로 이동하나, 금년 6월에는 평년과 달리 북태평양고기압이 남북으로 형성되어 있어 태풍이 서해를 관통해 북상하였습니다. 22일(수)부터 서울을 비롯한 중부지방에 장마가 시작되었으며, 이 태풍은 장마전선에 열과 수증기를 공급하면서 장마전선을 활성화 시켜 많은 비가 내렸습니다. 이어서 장마전선과 태풍이 합쳐져 장마시작과 더불어 27일(월)까지 비가 오면서 서울지방에 연속 강수지속일수가 6일로 가장 길었습니다(81년 이후 통계). 누적강수량 분포도(6월 22일~26일 15시) 일 최대풍속 분포도 태풍이 서해로 북상하면서 태풍진행 방향의 동쪽(위험반원)에 위치한 서해안지방은 태풍의 진행방향과 바람의 방향이 일치하여 강한 바람이 불었으며, 해안지방을 중심으로 6월 강수량 및 풍속 극값이 경신되었다. 기상청 이(가) 창작한 제5호 태풍 메아리[MEARI]의 특징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2011/06/26 조회수 : 21575 [ 다운로드 : jpg 파일 ]
[영상뉴스] 2011 기상정보대상 수상기관(삼성 에버랜드 리조트사업부) 기상청 이(가) 창작한 [영상뉴스] 2011 기상정보대상 수상기관_삼성 에버랜드 리조트사업부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2011/06/24 조회수 : 7849 [ 다운로드 : jpg 파일 ]
[태풍 피해예방 캠페인] 기상청 이(가) 창작한 [태풍 피해예방 캠페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2011/06/24 조회수 : 27399 [ 다운로드 : jpg 파일 ]
[영상뉴스] 유영숙 환경부 장관, 기상청 초도방문- 기상청 업무보고와 장마 및 태풍 대비 상황 파악 - 유영숙 환경부 장관은 취임 후 첫 소속기관 초도방문 일정으로 23일 오전 기상청(청장 조석준)을 방문해 5층 회의실에서 이일수 기획조정관으로부터 국가 기상·지진 업무 발전 계획을 보고 받고 2층에 있는 국가기상센터와 국가지진센터 현장을 시찰했다. 현장 시찰에서 진기범 예보국장은 전국으로 확대된 장마 상황과 북상하고 있는 제5호 태풍 메아리의 동향을 보고하였으며, 김영신 지진관리관은 지진조기경보시스템 구축계획과 선진국 현황 등을 보고했다. 이 자리에서 유 장관은 “세계적으로 뒤지지 않는 우리 기상 기술 수준이 든든하다. 계획된 사업이 잘 추진되도록 노력해 달라”며 “올 여름에도 집중호우와 태풍 방재 업무에도 만전을 기해 줄 것”을 당부했다. 조석준 기상청장은 유영숙 장관에게 “기상은 생명을 살리고 인류 공존을 약속하는 과학기술이므로 기상업무 발전과 기상외교를 통해 국가 경제 발전과 국격을 높이는데 기여하겠다”고 보고했다. 한편, 공군회관 사파이어홀에서 6회째를 맞는「대한민국 기상정보대상」시상식에서 기상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경영을 혁신하고, 기상산업의 활성화 등에 기여한 기업, 단체 및 개인에게 대상 등 총 9개의 상을 수여하였다.기상청 이(가) 창작한 [영상뉴스] 유영숙 환경부 장관, 기상청 초도방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2011/06/23 조회수 : 8632 [ 다운로드 : jpg 파일 ]
7월 전반에는 비 많고, 7월 하순 이후부터 무덥겠음 7월 전반에는 북태평양고기압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기압골의 영향으로 전국에 걸쳐 비가 오는 날이 많겠다. 후반에는 점차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무더운 날씨가 나타나겠다.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겠고 강수량은 평년보다 많겠다. 월 평 균 기 온 강 수 량 7월 평년(23~26℃)과 비슷하겠음 평년(187~397㎜)보다 많겠음 8월 평년(23~27℃)보다 높겠음 평년(193~367㎜)과 비슷하겠음 9월 평년(18~24℃)보다 높겠음 평년(132~244㎜)과 비슷하겠음 8월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으로 무덥겠으며, 기온이 평년보다 높아 전국적으로 폭염과 열대야가 자주 나타나겠다. 대기불안정에 의한 국지성 호우가 있겠으나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다. 9월에는 북태평양고기압의 세력이 유지되면서 고온현상이 나타날 때가 있겠으며 기온은 평년보다 높겠다. 대기불안정과 저기압의 영향으로 지역에 따라 비가 오는 곳이 있겠으나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다. 7월 8.9월 한편, 최근 3개월(‘11.04.01~06.20) 전국의 평균기온은 16.1℃로 평년보다 0.2℃ 낮았으며, 평균 최고기온, 평균 최저기온은 21.8℃, 10.8℃로 평년보다 0.5℃ 낮고, 0.1℃ 높았다. 평균 강수량은 260.3㎜로 평년과 비슷(평년대비 100%)하였다. 문의: 기후예측과 신진호 02-2181-0473
2011/06/23 조회수 : 17900 [ 다운로드 : jpg 파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