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포토뉴스

2016 사진전입상작, 최종국 [태양과 가로등]

> 포토뉴스

안개에 대해 알아볼까요?

등록일 : 2010/12/20 조회수 24396

안개

 

안개란 지표 부근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나타나는 기상현상으로써 가시거리가 1km 이내로 제한되었을 때 그 현상을 말한다. 안개 속의 공기는 습하고 차갑게 느껴지며, 상대습도는 100%에 가깝다.

 

안개가 위치하는 고도에 따라, 하늘이 보일 정도로 엷고 낮으면 낮은 안개, 시정이 1km 이상이고 지표면이 접해 낮게 깔려 있으면 땅안개(또는 얕은 안개), 그 외를 안개라고 한다. 안개의 색깔은 주로 백색이지만, 오염원이 있는 공장지대, 도심 등에서는 연기나 먼지가 결합되어 회색이나 황색을 띠게 되는데, 이를 스모그(연기와 안개의 합성어)라고 한다.

 

안개는 공기 덩어리의 냉각, 수증기 공급원의 발생 원인에 따라 복사안개, 이류안개, 증기안개, 활승안개, 전선안개 등으로 분류한다. 맑은 날 야간에 해가 지고 땅이 차가워지면서 육상에서 발생하는 안개는 복사안개이다. 바람이 없고 상대 습도가 높은 맑은 날 야간에 잘 발생하는데 비가 온 후 맑은 밤에도 잘 발생한다. 일출 후 1시간 사이에 많이 발생하며, 보통 발생 후 1~2 시간 이내에 사라진다. 해상에서 발생하는 안개의 대부분은 이류안개로 바다안개, 해무라고도 불린다. 이류안개는 따뜻하고 습한 공기 덩어리가 찬 해수면이나 지표면 위를 이동할 때 그 아래 부분이 냉각되어 발생한다. 안개 낀 범위가 넓고 지속시간이 긴 것이 특징이다.

 

안개는 구름과 발생과정이 비슷하지만, 그 차이는 밑 부분이 지표면에 접해 있으면서 시정이 1km 미만이면 안개, 떨어져 있으면 구름이라고 하며, 산허리에 낀 안개는 산기슭에서 보면 구름이지만, 등산하는 사람에게는 안개가 된다.

 

안개는 눈이나 비 등 다른 기상현상에 대한 교통사고에 비해 사고율은 적은 편이지만 사망률은 가장 높다. 그렇다면 안개 피해를 줄이려면 어떻게 해야 될까?

 

평상 시에는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안개정보에 관심을 기울이고, 상습안개지역 등 안개 관련정보를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운전 시 안개를 만났을 때는  안개등이나 비상등을 켜고, 최고속도의 50% 이하로 속도를 줄이며, 앞차와 가드레일 등을 기준으로 안전거리는 평소 2배 이상으로 유지해야 한다. 아름답지만 위험한 안개. 지금 당신의 눈앞에 보이는 안개는 어떻습니까?

 


공공누리
기상청 이(가) 창작한 안개에 대해 알아볼까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목록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