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본청

2016 사진전입상작, 최종국 [태양과 가로등]

> 보도자료 > 본청

한반도 기후위기, 탄소중립 없이는 벗어날 수 없다!

등록부서 : 국립기상과학원, 기후변화감시과 2021/01/18 조회수 5169

한반도 기후위기, 탄소중립 없이는 벗어날 수 없다!
 - 현재 탄소 배출 유지하면 21세기 중반(2041~2060년) 한반도 3.3℃ 증가
 - 전 세계적인 탄소 중립에 성공하면 1.8℃ 정도로 억제 가능


□ 기상청(청장 박광석)은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의 제6차 보고서의 온실가스 배출 경로를 기반으로 하여,
   2100년까지의 한반도 기후변화 전망을 발표하였다.
   *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 동아시아에 대한 고해상도(25km)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산출하고, 그 결과를 “한반도 기후변화 전망보고서 2020”에
    수록한 것으로 우리나라의 지역별 기후변화 적응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 한반도 기후변화 전망은 현재 수준의 탄소배출량을 지속하는 ‘고탄소 시나리오’와 앞으로 화석연료 사용을 최소화하고

   획기적으로 탄소배출량을 감축하는 ‘저탄소 시나리오’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 고탄소 시나리오에서는 가까운 미래(2021~2040년) 한반도 기온이 현재보다 1.8℃ 상승하고 기후변화가 가속화되면서
   먼 미래(2081~2100년)에는 7℃까지도 상승할 수 있는 것으로 전망하였다.
 ○ 극한기후 현상도 21세기 중반 이후 가속화되어 21세기 후반에는 폭염에 해당하는 온난일*이 4배(93.4일) 급증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온난일: 일 최고기온이 기준기간의 상위 10%를 초과한 날의 연중 일수
 ○ 한반도 강수량도 먼 미래(2081~2100년)에는 14%까지 증가하고, 집중호우에 해당하는 극한 강수일**이 30%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상위 5% 극한강수일: 일 강수량이 기준기간의 상위 5% 보다 많은 날의 연중 일수
 
□ 저탄소 시나리오에서는 가까운 미래(2021~2040년) 한반도 기온이 1.6℃ 상승하고 강수량은 1%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나,
   21세기 중반 이후 기후변화의 추세가 약화되면서 먼 미래(2081~2100년)에는 기온이   2.6℃ 상승하고 강수량은 3%
   증가하는 데 그칠 것으로 전망하였다.
 ○ 또한, 극한기후 현상도 21세기 중반 이후에 약화되어 21세기 후반에는 온난일이 2배(37.9일), 극한 강수일은 9% 증가하는
    것에 그쳐, 고탄소 시나리오에 비해 기후위기가 현저하게 줄어들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였다.
 
□ 이번 전망에 따르면, 정부가 선언한 ‘2050 탄소중립’ 시점인 미래(2041~2060년)의 한반도 기온이 고탄소 시나리오에서는
   3.3℃ 상승하는 반면, 온실가스 저감 정책의 실현을 가정한 저탄소 시나리오에서는 1.8℃ 상승으로 억제될 것으로 예상된다.
 ○ 이는 세계적인 기후변화 대응에 동참하는 것과 더불어 우리나라 기후위기 극복하고 미래 생존을 도모하기 위하여는
    ‘온실가스 배출 0(Net Zero)’를 달성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과 실천이 무엇보다  필요함을 말하고 있다.


□ 이번에 발표한 2100년까지의 한반도 기후변화 전망은 모든 국가 행정기관에서 신기후체제의 국가 온실가스 의무 감축

   이행과 기후변화 완화·적응 정책 수립에 활용될 예정이다.
 ○ 이 전망자료는 ‘기후정보포털(www.climate.go.kr) 열린마당 > 발간물 > 기후변화시나리오‘에서 ’한반도 기후변화
    전망보고서 2020‘으로 다운받을 수 있다.
 ○ 더불어 기상청은 올해 11월 ‘남한 상세(1km)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발표하여 시․군․구별 기후변화 적응 대책 수립을
    지원할 계획이다.


□ 박광석 기상청장은 “전 세계적으로 기후위기로 몸살을 앓고 있는 이 시대에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정부의 ‘2050 탄소중립’ 추진계획을 구체화하고 기후변화 적응 정책을 수립하는 데 있어 유용한 과학적 근거가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라고 밝혔다.


* 자세한 사항은 첨부물이나 해당부서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공공누리

목록보기